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혁신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동현(Lee, Dong Hyun),이천재(Lee, Cheon Jae) 한국지적학회 2012 한국지적학회지 Vol.28 No.2

        최근 지적 분야에서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에 부합하는 효율적ㆍ혁신적 방법론으로서 크라우드소싱의 활용이 현실적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혁신을 위한 크라우드소싱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향후 지적혁신 수단으로서 크라우드소싱 활용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지적업무 및 크라우드소싱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인터넷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연구방법에 따른 기술적 접근방법과 연구의 유용성에 따른 체재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 및 내용에서 검토되었다. 첫째, 지적혁신과 크라우드소싱의 관계는 지적혁신의 의의, 지적혁신과 크라우드소싱의 관계, 선행연구 및 접근 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크라우드소싱 적용 가능 사례 검토는 지적조사ㆍ통계 관리, 지적민원 관리, 통합 및 3차원지적 관리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셋째, 크라우드소싱 적용 방향은 플랫폼의 단일화, 지적업무의 구조적 혁신, 문제해결에 따른 보상체계의 다양화, 크라우드소싱 정보 인증제도의 마련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Recently, application of crowdsorucing is emerging as a practical alternative which is an effective and innovative methodology corresponding to spatially enabled socie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utilization directions of crowdsourcing as a means of cadastral reform in future by reviewing its applicability. The research subject was limited to cadastral affairs and crowdsourcing.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search, and a descriptive and systematic approach is applied concurrentl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produced from three following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crowdsourcing and cadastral reform was reviewed in terms of a meaning of cadastral reform, the relation,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approach framework. Second, the case study of applicable crowdsourcing was applied as a viewpoint management of cadastral survey·statistics, cadastral civil affairs, integrated and 3D cadastre. Finally, the direction of its application was reviewed considering the following details such as the unification of platforms, the structural reform of cadastral affairs, the diversification of reward systems, the authentication of crowsourced information.

      • KCI등재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캠페인 효과 탐색: 지각된 동기와 크라우드소싱 유형의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 태도, 기업 참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은(Young Eun Park),강지영(Ji Young Kang),김경진(Kyung Jin Kim),강현숙(Hyun Sook K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63 No.1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과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활동(공모전, 서포터즈)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론적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활동이 대학생들의 조직 평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실무적인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인인 지각된 크라우드소싱 실행 동기와 크라우드소싱 유형의 효과가 매개변인인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과 종속변인인 조직에 대한 태도, 기업참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지각된 크라우드소싱 실행 동기: 이타적 vs. 이기적) × 2(크라우드소싱 타입: 서포터즈 vs. 공모전) 피험자 간 무작위 실험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이기적인 동기보다 이타적인 크라우드소싱 동기가 인지되는 경우,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고, 조직과 관련된 참여 행동 의도(취업 의도, 봉사 참여 의도, 투자 의도)가 높아졌다. 또한,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인 기초성과 접근성은 지각된 동기와 태도, 지각된 동기와 참여 행동 의도 사이를 병렬적 구조로 매개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반면, 크라우드소싱 유형(서포터즈/공모전)을 비교하였을 때, 유형에 따른 태도나 행동 의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 대상의 대표적인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활동인 서포터즈와 공모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크라우드소싱 프로그램의 실행 동기가 이타적으로 인지되어야 긍정적인 태도와 참여 및 지원 의사를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크라우드소싱과 같은 참여형 캠페인을 실행하는 경우 동기 해석에 방점을 두어 메시지와 혜택 등을 구성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re needs to be a more systematic analysis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crowdsourcing activities (idea contests vs. supporters) whil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ctively practice crowdsourcing target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crowdsourcing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al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We designed a 2 (perceived crowdsourcing type: altruistic vs. selfish) × 2 (crowdsourcing type: contest vs. supporters) between subjects randomized experiment to find out the effect of perceived crowdsourcing motive, and crowdsourcing types on dependen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public dialogic communication,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When an altruistic crowdsourcing motive was perceived rather than a selfish moti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was formed,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related to the organization (employment intention, volunteer intention, investment intention) increased. In addition, we confirm that grounding and accessibility, which are organizational-public dialogic communication factors, mediate perceived motives and attitudes and perceived motives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in a paralle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crowdsourcing types (supporters vs. idea contes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itudes or participation inten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sts and supporters programs, the inferred motive of crowdsourcing should be altruistic. It is also suggested that messages focus on delivering altruistic motives in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 KCI우수등재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에 기반한 프랑스 시민공동입법 사례 연구 -「디지털 공화국을 위한 법률안」을 중심으로

        정재도(Jung, Jae DO)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3

        크라우드소싱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많은 시민의 참여와 소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집단지성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이것을 입법을 포함한 주요 정책결정에 반영함으로써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와 효율적인 정책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민과 정부가 공동으로 법률안을 작성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로 프랑스의 『디지털 공화국을 위한 법률안』을 들 수 있다. 프랑스는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활용한 2차례의 시민의견수렴을 통해 『디지털 공화국을 위한 법률안』의 시민공동입법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통하여 시민과 시민, 시민과 정부 사이에 쌍방향 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온라인 플랫폼에 제시된 제안들에 대해서 정부가 성실히 답하였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시민의견수렴에 참여한 시민들간에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설계하고 운영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많은 시민들의 제안이 법률안에 반영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의견수렴과 병행하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오프라인에서의 협의를 좀 더 개발할 필요성과 공개적 협의에 참여하는 시민들간의 커뮤니티 활동의 강화를 통하여 집단지성의 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것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를 보다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참여자들의 다양한 의견의 제안과 토론을 활성화시킬 것 등이 향후의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과제들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보다 정교화함으로써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집단지성에 기반한 시민공동입법을 가능케 하려는 데 그 본질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프랑스의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에 기반한 시민공동입법의 경험과 과제는 입법에 대한 시민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우리에게 집단지성을 통한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입법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디자인이 웹사이트 지각요소를 통해 소비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윤영(Yoonyoung Jeong),임수빈(Subin Im),윤나라(Nara Youn),Aric Rindfleisch,유관수(Kwansu You) 한국유통학회 2017 流通硏究 Vol.22 No.4

        창의적인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는 기업이 혁신을 유지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시장의 최종사용자(end-user)인 소비자에게 위탁하는 크라우드소싱은 기업 내부 역량을 통한 신제품 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로 제시된다. 그러나 소비자의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참여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크라우드소싱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중요한 목적중 하나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획득하는 것임에 착안하여,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특성이 참여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환경의 영향력을 통해 소비자의 창의성이 긍정적으로 조성될 수 있다면, 기업이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개발 과정이 활기를 얻고 관련 아이디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실제로 운영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40곳을 자극물로 사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창의성 연구의 폭을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분야로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에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관리함으로서 크라우드소싱 참여자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여 기업이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창업 사례 연구

        김재일(Jaeil Kim),박상철(Sangchul Park),홍수지(Suji Hong)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1

        대중의 참여를 독려하는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개념이 전(全)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발맞추어 브로스앤컴퍼니는 국내 최초로 대중의 참여를 바탕으로 제품개발을 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팔로(pallo)’를 제공하고 있다. 본 사례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선두주자인 브로스앤컴퍼니의 비즈니스모델과 제품개발 프로세스, 수익배분 방식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사례는 국내 크라우드소싱 시장이 아직 도입기에 불과하지만 무한한 발전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크라우드소싱 시장의 전망과 크라우드소싱 기업들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Crowdsourcing enables companies to solve their problems and develop new products by making the crowd involved in these phases. This concept has recently been emerging around the world. Bros&Company firstly introduced a crowdsourcing R&D platform, named Pallo, into Korean customers. On this platform, the participation of the crowd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new products. This case examines Bros&Company, the leading crowdsourcing company in Korea by analyzing its business model, product development process, profit distribution, and so on. Furthermore, this case shows that the domestic crowdsourcing market has the high growth potential, although it is still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the market life cycle.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case, the prospective of future crowdsourcing market and the future business directions of crowdsourcing companies are discussed.

      • KCI등재

        공유경제와 크라우드 워크

        김희성(Kim, Hee-S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江原法學 Vol.54 No.-

        공유경제는 자영과 고용, 마켓플레이스(시장)와 고용중개사업이라는 두 경계에 있다. 그 경계는 융합하고 있으면서 이제 어느 하나 만에 의거한 논의는 한계가 있다. 성장이 기대되는 공유경제에서는 플랫폼의 자주적 대처에 의한 발전이 우선 가장 중요하다. 자유를 지향하는 인터넷이라 하더라도 노동에 관한 서비스인 한 일정한 수준의 규제는 필요하다. 직업소개 등 이미 법규제가 있는 서비스에 관해서는 당연히 그 규제가 적용된다. 그렇지만 무모하게 규제하여 발전을 저해함으로써 크라우드 워커(작업자)와 기업의 효용을 낮추는 규제는 필요최소한에 그쳐야 하고 서비스창발과 불량사업자의 도태를 촉진시켜야 한다. 자영과 고용 사이의 일하는 방식. 시장과 고용중개사업 사이의 플랫폼 그리고 공유경제에 의해 떠오르고 있는 것은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새로운 노동시장의 과제이다.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 크라우드 소싱에 의한 고용노동의 대체 혹은 불안정한 취업상태에 놓인 크라우드 워커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우리나라의 논의 속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노동법의 바람직한 대응방법이 검토되어야 한다. 원래 크라우드 워커는 노동법의 적용대상자일 수 있을까? 혹은 크라우드 소싱이란 노동법이 대응해야 하는 문제일까? 이 점에 관해서 살펴 본 외국의 논의들은 아직 해결책을 제대로 찾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대다수의 견해는 기존의 근로자개념, 근로자 유사의 자의 개념 혹은 가내근로자의 개념으로는 크라우드 워커를 충분히 파악할 수 없거나 혹은 충분한 규제가 미칠 수 없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노동법의 ‘업데이트’를 위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종류의 논의도 또한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대응을 다른 법규제(예를 들어, 경쟁법이나 계약규제)에 맡기지 않고 여전히 노동법이 대응해야 하는 문제로 검토하고자 하는 점에서 적잖이 공감대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본적 자세는 우리나라에서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대응을 검토함에 있어서 유용할 것이다. The sharing economy exists on the border between self-employment and employment or the marketplace(Market) and employment brokerage. The border has been fused so that only single discussion occurs in the limit. First of all,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velop the autonomic preparation of platform in the sharing economy expecting economic growth. Even though the Internet has the origin of liberal intention, the consistent level as a labor service is required. With the service already restricted such as job placement, etc., the restriction is adopted obviously. On the other hand, the restriction that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crowd workers and businesses may impede the development due to restricting recklessly so that it shall stay at the minimum necessity. In this regard, creating jobs and removing faulty business operators shall be promoted. It is the solution task of new labor markets lasting for a long time to arise the working method between self-employment and employment, the platform between the market place and employment brokerage, and the sharing economy. In the near future,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exchange the employment by crowd sourcing and cause the problem of crowd workers who are situated in the unstable employment. The awareness of these issues will be continued in the discussion of Korea. Therefore, the reasonable method shall be reviewed to respond the restriction of labor laws with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Originally, is a crowd worker the subject of labor laws? or is crowd sourcing the problem to respond labor laws? In this regard, as stated above, the discussion of foreign countries cannot still find the solution. However, the majority opinions share the consideration not to examine the crowd worker or affect the restriction sufficiently within the previous definition of employees, the definition of similar employees, and the definition of domestic employees so that it is considered to continue the discussion of updating labor laws. The type of the discussion also has the big difficulty, but it is the bond of sympathy that responding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does not impose other restrictions(e.g. competitive laws or restriction of contracts) but review the problem that labor laws shall respond. The fundamental attitude has the appropriateness to review the respondence with respect to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in Korea.

      •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 구축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적용에 관한 연구

        권혁진(Gwon, Hyeok Jin),이종환(Lee, Jong Hwan),송명경(Song, Myong Ky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2 한국지적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12

        최근 지적 분야에서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의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정책 관점에서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의 구축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활용 방법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연구범위는 지적정책 결정과정으로 한정하고 크라우드 소싱 프로세스의 적용 관점에서 이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literature)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회와 크라우드 소싱의 개념적 접근은 개념, 지적정책 결정과정, 접근의 틀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지적정책결정 과정에서 크라우드소싱 적용 방향은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셋째, 크라우드 소싱 적용을 위한 한계 및 해결방향에서도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Recently, a study on establishing spatially enabled society has been performed in cadastral field.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pplication of crowdsourcing to establish spatially enable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adastral polic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search range is limited to the cadastral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y were reviewed in terms of application of the crowdsourcing process. Descriptive and systematic approach were applied concurrently and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 : First, conceptional approach of spatially enabled society and crowdsourcing is reviewed in terms of their concepts, cadastral policy, and framework. Second, the applications of crowdsourcing to the cadastral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were reviewed in terms of public agenda setting, policy mak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evaluation. Third, the limitation and desirable direction for application of crowdsorucing were also reviewed in terms of in terms of public agenda setting, policy mak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evaluation.

      • ICT 기반 참여적 의사결정의 제고방안

        정장훈,신은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STEPI Insight Vol.- No.151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기존의 생산·소비 양식은 물론 의사결정과정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기존 ICT 기반 참여적 의사결정제도에는 여러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기존 온라인 참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의사결정기법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이다. 한국에서도 크라우드소싱제도를 벤치마킹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존재하나 크라우드소싱은 우리의 공공영역에 있어 완전히 생소한 개념이 아니다.* 크라우드 소싱(Crowdsourcing) 대중(Crowd)과 외부자원 활용(Outsourcing)의 합성어로, 크라우드소싱이란 문제해결과정에 특정 커뮤니티 또는 다수의 대중을 참여시켜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공공영역의 크라우드소싱 실태 분석 사이트로 국민신문고와 지방정부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가 있으나 `과정` 측면의 쌍방향적 소통과 `결과` 측면의 공유가 요구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소싱에 대한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과제 1] 플랫폼으로서의 정부[과제 2] 지식공유 플랫폼을 위한 제도 개선[과제 3]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과제 4] 공공-민간 플랫폼의 전략적 연계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동기요인이 크라우드소싱의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소정,김형준,Kim, So-Jeong,Kim, Hyung-Jun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1

        인터넷의 일반화와 더불어 신제품 개발과 관련한 아이디어의 원천을 기업 외부에서 찾는 하나의 방식으로 크라우드소싱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에 대한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참여자의 자기결정성과 동기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크라우드소싱 참여자들의 자기결정성의 세 가지 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참여 동기의 내재적 동기(즐거움과 성취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재적 동기인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자기결정성의 요인들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금전적인 보상의 외재적 요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크라우드소싱의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기요인은 내재적 동기로서의 즐거움과 외재적 동기인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 참여자들의 자기결정성에 대한 욕구 충족은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활성화시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러므로 기업은 성공적인 혁신 혹은 신제품 개발을 위하여 기업 외부에 존재하는 지식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가치를 공동으로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d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lf-determination and motivation in the crowdsourcing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three elements of the self-determination which is not forced by outer pressure has intended to analyze practically the effect on the motivation of the customers participating in the crowdsourcing into the intrinsic motivation phase and extrinsic motivation phase. Th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could be verified with the intrinsic motivation phase of the participants who affect positively the enjoyment and accomplishment. In the effec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n the monetary compensation and recognition by others of the extrinsic motivation phase, the hypothesis that the effec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f the on the monetary compensation would be negative was overruled, which must have been because while the participation in the crowdsourcing is proposing voluntarily one's own ideas, the concept that the monetary compensation makes the participants participate in order to perceive others not in the voluntary proposals but in the competitive relationships and win them worked and thus the autonomy was perceived negatively. Also, the reason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as not supported can be said to be because the crowding-out effect which decreases the intrinsic motivation affected the external compensation and the motivation.

      • KCI등재

        크라우드 소싱 항공뷰 영상에 대한 품질 요소 및 기준 정의

        최경아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0 No.4

        최근 디지털트윈 기술 발전과 활용 확산으로 인하여 디지털 세계 구축에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세계 구축에 있어서 공간정보는 필수적이며, 해당 공간정보는 현실 세계를 정교하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현재의 공간정보 구축 시스템으로는 국토 공간의 변화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갱신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경제적으로 빈번하게 수집 가능한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의 활용에 주목하고 있다.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공간정보갱신 및 변화탐지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품질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소싱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품질 요소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 획득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국제 공간데이터 품질과 영상 관련 표준을 식별하여 품질 요소를정의하였고, 적용 가능한 개념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동시에 국내외 기존 항공측량 관련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크라우드 소싱 영상에 적합한 기준을 제안하며, 품질 검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구성을 제시하였다. 향후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국토 공간의 변화정보를 수집하고 갱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으로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win technology, interest in constructing a digital world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patial information is essential in constructing the digital world, and the spatial information must be able to accurately reflect the real world. However,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llect and update the information on changes in land space with the current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Therefore, we are focucing on the use of crowd-sourced data that can be collected frequently and economically.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crowdsourced data for spatial information update and change detec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reliability in the quality of the data.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fine various quality factors related to crowd-sourced image data and propose criteria for them. For this, we established a crowd-sourced data acquisition scenario, and identified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spatial data quality and image data, and derived applicable conceptual elements to define the quality factors. In addition, we reviewed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aerial surveying, and then suggested criteria suitable for crowd-sourced images, and data structure required for quality evaluation. In the future, after experimental validation, it is expected that thos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ensuring the reliability of crowdsourcing data as an efficient way to collect and update information on changes in lan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