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적 카타르시스의 이중적 개념과 문학치료

        김동우 ( Kim Dong-w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이 글은 카타르시스가 지닌 이중적 성격을 통해 문학치료에서 수용되고 있는 카타르시스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함으로써 문학치료학의 이론적 발전은 물론 사회적 지평을 확장시키기 위해 씌어졌다. 일반적으로 카타르시스는 억압된 감정의 해소나 정화로 이해되지만 이는 카타르시스를 치료 효과로만 이해하는 한계를 지닌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카타르시스는 원래 무엇인가를 치우고 제거하는 치료 행위를 의미했다. 따라서 카타르시스는 치료 행위와 치료 효과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전자가 카타르시스가 지닌 능동적 성격을 강조한다면 후자는 수동적이고 부수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카타르시스의 이중적 성격은 이 개념을 원용한 정신분석학에서 명료하게 드러난다. 맨 처음 카타르시스 치료법을 발견한 브로이어는 환자가 자신의 환상을 이야기로 말함으로써 히스테리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측면에서 `치료 효과`로서 카타르시스를 사용했지만, 이 요법을 하나의 심리 치료술로 이론화하려 했던 프로이트는 `치료 행위`로서 카타르시스를 강조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치료 행위로서 카타르시스의 능동적 성격은, 글쓰기 치료나 창작 치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문학치료가 지닌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데 유리한 이론적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타르시스의 이중성은 카타르시스에 대한 기존의 문학치료 이론들을 재조정할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정화 이론과 명징화 이론은 치료 행위로서 카타르시스의 능동적 성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반대로 조정 이론은 치료 효과로서 카타르시스의 사후적 측면을 간과한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한편, 카타르시스와 문학치료의 관계에서 치료 행위와 치료 효과의 이중성과 동시성의 문제라든가, 치료 주체의 모호성, 그리고 카타르시스가 전적으로 언어로 수행된다는 사실에서 말미암은 사회적 지평의 문제 등은 더 섬세하게 탐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mote theoretical development of literary therapeutics based on reexamination of existing discussions on catharsis, generally accepted in literary therapies, through dual characteristics of catharsis. Catharsis is commonly understood as release or purification of suppressed emotion, this meaning has limits of binding catharsis to its therapeutic effects only. Originated from the "Poetics" by Aristotle, catharsis originally referred to an act of treatment in which something is cleaned or removed. Therefore, catharsis has duality of therapeutic action and therapeutic effect. If the former emphasizes 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term, the latter seems to contain passive and subordinate characteristics. Such duality of catharsis is clearly revealed in psychoanalysis that invoke this concept. J. Breuer, the first discoverer of catharsis therapy, used catharsis as a `therapeutic effect` in that patients relieve their hysteric symptoms by expressing their fantasy as a story, but S. Freud attempted to make a theory on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tressed catharsis as a `therapeutic action.` Active characteristics of catharsis as therapeutic actions have not been widely known. Such characteristics may offer theoretical points advantageous for underlining enthusiastic and active sides of literary therapy, as seen in writing and creative therapies. In addition, such duality of catharsis demands rearrangement of existing literary therapeutic theories on catharsis. In specific, purification theory and cleaning theory are failing to reflect active characteristics of catharsis. On the other hand, coordination theory neglects ex-post aspects of catharsis as a therapeutic effect. On one hand, further studies about the relation between catharsis and literary therapeutics must be conducted on problems of duality and simultaneity between therapeutic action and effect, ambiguity of therapeutic subject, and social prospect on complete reliance of catharsis on language.

      • KCI등재

        <기획> : 공감과 치유의 언어,문학 ; 프로이트의 사유에 나타난 카타르시스 연구

        정락길 ( Lak Kil Chung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이 논문은 치유론의 입장에서 카타르시스 개념을 프로이트의 사유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론에서 카타르시스를 언급한 이후 카타르시스는 19세기까지 크게 도덕적 해석, 의학적 해석으로 그리고 19세기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성적(교육적/비판적) 해석과 미학적 해석이 추가되어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고, 지금도 많은 논쟁 중에 있는 개념이다. 논문은 카타르시스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해석을 살펴본 후 우선 현대의 문화적 상황이 카타르시스 경험이 도덕적, 의학적, 지성적, 미학적 범주가 서로 미묘한 경계 사이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리고 프로이트가 카타르시스의 개념을 어떻게 치유론과 연관되어 이해하였는가 하는 점을 주로 살펴보고 있다. 프로이트에게서 카타르시스 개념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전개되어 진다. 첫번째 방향은 치료 요법으로서의 초기의 카타르시스적 방법의 사용과 이 방법의 포기, 그리고 이후의 정신분석학의 고유한 치료 방법으로 등장하는 자유연상 기법의 채택과 밀접히 연관되어 나타나는 프로이트의 치료적 변화의 방향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이트는 카타르시스적 방법만으로는 치료의 완성으로 나아갈 수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두 번째 방향은 프로이트의 예술적 사유 속에서 나타난 카타르시스 개념을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예술, 미학적 의미의 카타르시스론은 카타르시스가 단순히 감정의 정화라는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을 통해 통찰적 과정까지 나아가는 프로이드적 사유의 단면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래서 치유론에서 카타르시스는 자기애적 카타르시스만이 아니라 집착하고 굳어버린 자아의 해체와 삶의 새로운 통찰 가능성으로서의 카타르시스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catharsis in the thought of Freud. First of all, we are going to notice that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around the Aristotelian concept. Aristotle explain the meaning of catharsis as he is using that term in the definition of tragedy in Poetics. Widely, held interpretations of catharsis as "purification" (in the context of ethical interpretation), or "purgation" (in the context of medical interpretation) have basis until 19th century, but catharsis said by Aristotle changed its notion in the time and according to the points of view of the interpreters. More recentl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interpretation of catharsis as intellectual clarification or aesthetic clarification has arisen as a rival to the older views in describing the effect of catharsis on members of the audience. This paper does not purport to be a complete history of catharsis. We just note that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atharsis has different meanings and thus indicates the subtle processing of the emotion in thought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the subjects. In the second place, we are going to examine the thought of Freud around the concept of catharsis. In the thought of Freud, the concept of catharsis develops in two directions. In the first direction, the cathartic method, which consists in bringing down the psychological barriers of the patient by hypnosis to wake the buried memories, so generating an emotional discharge. Quickly, Freud gives up the hypnosis and then the suggestion. This technical evolution keeps pace with a change of perspective in the theory of the cure. It is about a re-memorization, or about an objectification by connecting it with the psychoanalytical speech. Freud defines this process as ‘working through’. We also examine catharsis in his text on the art. For Freud, the esthetic experience seems at first to happen in the narcissistic catharsis. But from what would make burglary in the art, Freud proposes the effect of a ‘desaisissement’ in the radical difference of narcissistic catharsis. This ‘desaisissement’ is ‘shock of ego’ by which the subject (the patient) acquires the insight as new revival.

      • KCI등재

        카타르시스와 정동의 시론적(試論的) 고찰

        김민지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analyzing catharsis methodically. The concept of catharsis, which was viewed through politic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would provide clues to the numerous questions that arose from the existing catharsis. Aristotle examined the “affect” aspect of the tragedy, which he suggested as a means for expressing catharsis in poetry. The catharsis, which occurs through a sudden shift of emotion, exists where it coincides with the concept of what Spinoza calls a "shuttle." This is where the transition from fear to compassion is seen as an emotional transition, and the feeling of pain causes pleasure and makes you feel catharsis. The concept of affect revolves around that mentioned by Spinoza and Deleuze. We also consider catharsis by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affect transition. The sudden acceleration of the emotions mention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catharsis at an orderly level. In the concept of catharsis, which is also confronted with real human problems, we discover that we reach greater perfec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olitics. It also observes the specific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catharsis, analyzing it through a schematic, called "spiritual, physical, and unconsciousness." The schematic confirms that the movement is continuously exercising. Moreover, catharsis also occurs between these changes of emotion. Although the text focuses only on the poetic consideration of catharsis and affect, we hop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new question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본고의 연구 목적은 카타르시스를 정동적 차원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정동(Affect)을 통해 바라본 카타르시스 개념은 기존 카타르시스의 분분했던 해석과 수많은 물음에 방향성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카타르시스를 정동으로 고찰함으로써 비극에 국한되었던 종래의 카타르시스 개념에서 벗어나 카타르시스가 삶에서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반응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기존 카타르시스 연구는 감정의 정화 자체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정화 과정에 대한 논의는 부재한다. 또한 카타르시스를 유발하는 감정을 고정된 양태로써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카타르시스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카타르시스(Catharsis)가 발현되기 위한 수단으로 내세운 비극에서 정동적 측면을 고찰한다. 특히 감정의 급전(急轉)을 통해 이루어지는 카타르시스와 스피노자가 언급한 정동의 개념이 맞물리는 지점에서 해답을 찾아, 공포에서 연민으로의 이행을 정동의 이행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공포에서 연민으로의 이행을 정동의 이행으로 해석하고, 감정의 이행을 통한 신체적 변화와 반응 과정을 카타르시스가 발현되는 것으로 재해석한다. 정동의 개념은 스피노자와 들뢰즈가 언급한 정동의 개념을 중심으로 정동이 지니고 있는 이행의 성질에 주목하여 카타르시스를 고찰한다. 앞서 언급한 감정의 급전이 바로 카타르시스 목적에 대한 정동적 차원의 이해를 가능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또한 인간의 실존문제와도 맞닿아있는 카타르시스의 개념에서 우리는 정동의 이행을 통해 더 큰 완전성으로 도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카타르시스와 정동의 구체적인 관계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면서 정신-신체-무의식이라는 도식화를 통해서 분석한다. 이 도식화를 통해 정동이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카타르시스 역시 감정의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비록 본고는 카타르시스와 정동의 관계에 있어 시론적 고찰에만 머물지만, 추후 이 둘의 관계는 온갖 비평에서 성립될 것이며, 카타르시스에 대한 새로운 물음의 시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상담자의 영혼 돌봄 과제와 카타르시스 - 상담자와 내담자에게 ‘상담에 대한 저항’으로 등장하는 카타르시스 연구 -

        고유식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상담 시 내담자는 자신의 억압된 욕구와 그로 인해 겪게 되는 고통과 좌절을 상담 자에게 호소하며 분석적 대화를 통해 이를 소산시키고, 그 결과로 안정과 만족의 획 득을 기대한다. 내담자가 바라는 이러한 긍정 감정은 증상의 출처를 발견하고 구조를 파악함으로 자연스럽게 증상이 제거될 때 얻어진다. 즉 증상 제거는 분석 과정에 따 른 수동적 결과이다. 그러나 내담자가 상담 중 증상에 대한 원인 파악 없이 증상의 일시적인 사라짐을 경험하게 되면 스스로 치유되었다 생각하여 상담 종결을 원하기도 하며, 상담자 역시 이러한 내담자의 태도에 순응 및 동조하며 내담자의 상담 종결 의 지를 그대로 수용하기도 한다. 만약 내담자로 인해 상담 진행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상담자라면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해진다. 증상의 일시적인 제거 중 흔히 나타 나는 현상으로 내담자의 카타르시스가 있다. 카타르시스는 대체로 사람들에게 긍정적 의미로 인식되어 있지만 상담 상황 속에서는 상담의 강력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이 논문은 상담 상황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저항으로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카타르시스’ 욕구가 상담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지, 이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은 무엇인지를 정신분석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또한 카타르시스 욕구가 이제까지 영 혼 돌봄 상황에서 어떻게 작용되어 왔으며, 이것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목회 신학적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연구자는 이 논문이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에게 상담 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 는 카타르시스의 유혹을 극복하고 상담자가 영혼을 돌보는 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uring counseling, the client appeals to the counselor about his or her repressed desires and the pain and frustration that they experience in life, and wants to dissipate them through analytical dialogue. The client expects to achieve stability and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se positive emotions desired by the client are obtained when the symptoms are naturally eliminated by discovering the source of the symptom and understanding its structure. So, the removal of symptoms is a passive result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ss. However, if the client experiences a temporary disappearance of symptoms without figuring out the cause of the symptoms during counseling, they may think that they have healed themselves and terminate the counseling. Also, the counselor agrees with the client's attitude and accepts the client's will to end the counseling as it is. If the counselor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unseling because of the client, this tendency is stronger. A common phenomenon during the temporary relief of symptoms is catharsis of the client. Catharsis is generally perceived as a positive meaning by people, but in counseling situations, it acts as a strong resistance to counseling and has a negative effect. Through this thesis, I studied the negative effects of ‘catharsis of client and counselor’ desire as resistance that frequently appears in counseling-analysis situations on counseling-analytic therapy, how to get out of this from a psychoanalytic dimension, how this cathartic desire has been operated in the soul care situation so far, and what is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help both counselors and clients to overcome the temptation of catharsis, which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ounseling, and to help counselors perform their roles as caretakers of the soul.

      • KCI등재

        휠체어무용수의 카타르시스(Catharsis) 경험에 관한 연구

        손가예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2

        The main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atharsis in the performance of wheelchair dancers and to classify and grasp the catharsis experiences psychologically and artistically using case study methods. Wheelchair dancers were sol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oppression, economic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the performance preparation process through catharsis, which they experienced in performances. This study aimed to derive a new interpretation of catharsis through psychological and dance analysis of catharsis experienced by wheelchair dancers in performan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catharsi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ategorized catharsis types as catharsis of purifying, catharsis of moderate, and catharsis of spirituality, and analyzed using case studies. Wheelchair dancers looked at themselves in the dance performance, found a goal of moderation, and experienced catharsis by feeling joy.Wheelchair dancers looked at themselves in the dance performance, found a goal of moderation, and experienced catharsis by feeling joy. Wheelchair dancers had a new perspective on their own life, as an artist, and as a handicapped person through the experience of catharsis, and felt the satisfaction from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chievement. 본 연구는 휠체어무용수의 공연에서 나타나는 카타르시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여 카타르시스의 경험들을 심리학적·예술학적으로 분류하고 파악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휠체어무용수들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억압과 경제적 어려움 및 공연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공연에서 경험하는 카타르시스를 통해 해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무용수들이 공연에서 경험하는 카타르시스에 대해 심리학적·무용학적 분석을 통해 카타르시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카타르시스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카타르시스의 종류를 순화의 카타르시스, 중용의 카타르시스, 영성의 카타르시스로 분류하고 사례연구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휠체어무용수들은 무용공연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중용의 지향점을 찾았으며, 환희를 느낌으로써 카타르시스를 경험했다. 휠체어무용수들은 카타르시스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과 예술가로서의 삶, 장애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졌고, 심리적 안정감과 성취에서 오는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에 적용되는 카타르시스의 효용성 재고-소설 「광염소나타」를 중심으로-

        조성희 ( Jo S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본 논의는 현대 서사물이 제공하는 카타르시스의 효과와 그 효과에 나타나는 문제를 김동인의 소설 `광염소나타`를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2장에서는 본 논의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발판 작업으로써 `광염소나타`에 관련된 논의들을 검토한 뒤, 과거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음에도 불구, 카타르시스와의 연계선상에서 이 작품을 바라보려는 논의는 미흡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구조상 3중의 액자구성이라는 복잡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광염소나타`의 기본 서사 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문학치료학적으로 서사의 기능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서사의 심층적 층위를 구분함에 있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문제가 좀 더 지엽적이고 산만하며 인간 삶의 구체적인 양상을 구현하고 있는 1차적 서사 층위와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문제가 일관적이며 핵심적이고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을 지향하고 있는 2차적 층위로 정리할 수 있었다. 본격적으로 카타르시스의 문제를 분석하고자 하는 4장에서는 우선 과거의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던 카타르시스의 개념을 검토하여, 본 논의를 위한 보다 정확한 `카타르시스`의 의미를 적용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런 뒤 이 소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카타르시스의 작동 원리에 대한 분석을 시도, 한없는 사랑의 대상인 동시에 한없는 족쇄이자 너무나 강력한 초자아로 작용한 백성수의 어머니가 백성수를 억압했고 그런 어머니의 죽음 뒤 억압된 리비도를 분출하는 백성수의 모습에서 정도는 다르지만 이야기를 접하고 있는 주체인 우리 역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소설을 읽고 쓴 몇 편의 감상문들을 분석해 이 소설의 카타르시스가 각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이드와 초자아의 역할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상반되는 양상으로 드러날 수 있다는 점도 살펴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장에서는 `광염소나타`에서 카타르시스의 대상이 되는 특정한 서사는 `리비도의 무절제한 분출의 문제`이며 카타르시스의 주체는 이를 접하는 우리 모두의 자아라는 논의를 성립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 소설에서 나타나는 카타르시스의 작용이 어떻게 자아의 `쾌`와 `불쾌`의 반응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 결과적으로 카타르시스가 억압된 리비도로 인해 역시 억압되어 있는 감정의 배출과 관련되어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현대에 나타나는 자극적인 서사물들이 지닌 문제를 재고해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보완해주는 건강한 서사물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This manuscript analyze the problem of current narratively creatures proffered catharsis through the Kim Dong-in`s novel < Gwangyeom Sonata >. Thus, in the second chapter, I could verify that the different types of study or endeavors about < Gwangyeom Sonata > have always been in existence for many times but they needs a little more digging into about catharsis. It is in the third chapter that I analyze the structure of epic in < Gwangyeom Sonata >, and we are able to recognize this novel divided into two layers of epic. On the surface, this novel seems to realize concrete and individual aspect of human`s life through the peculiar hero `Baek Sungsu`, but its in-depth epic treats of the fundamental and core problem on Human being. In the fourth chapter which going to analyze the catharsis, examines how the earlier discussion develop about general idea of catharsis, to grasp the accurate meaning of catharsis. Next, I analyze the process properties of catharsis in this novel, and interpret the readers feel catharsis when `Baek Sungsu` is to act out his repressed desires. To achieve this, I also analyze several book reports on this novel.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catharsis is continuous with repressed discharge of impulse by repressed libido. Therefore, we could reconsider the problem of current narratively creatures too provocatively, and could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wholesome epic to make up for this problem.

      • KCI등재

        발레 ‘지젤’에 대한 미학적 접근: 카타르시스를 중심으로

        임정미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work of the ballet Giselle looked at the aesthetic approach. To do this, Aristotle's concept of catharsis in books and journal articles focused on study was conducted. First, interpreting the works of the ballet Giselle, and examines the meaning of catharsis. Next, Aristotle's catharsis and cathartic in the ballet Giselle works were discussed. Catharsis in Aristotle and the meaning of the ballet Giselle work we've se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act and second act through the ballet Giselle could find a catharsis. The first act and lied about the identity of this aristocratic beauty Giselle and Albrecht's love scenes. But to her fiance cheated while Albrecht's true identity was discovered that Giselle will die in pain and shock. Gisele At this time of tragedy in the works of compassion and fear evocative purpose by the case is to causea catharsis of emotions. The second act flowers on the grave of Giselle Albrecht has come up with. Ghost in the graves and Albrecht to kill Wilis, but because of the love of Giselle Albrecht safely, saving lives is the content. Gisele In this scene we love and compassion I could feel the pleasure. After all, Aristotle said the tragedy was felt through out the catharsis. Gisele tragedy represented by the works, reminding us of the thrill of pity and fear to produce changes in emotion can be brought. In addition, while the living Giselle, Albrecht and love after death was, at this point, we felt the feelings of love and pleasure can be. 이 연구는 발레 지젤의 작품을 미학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련 서적과 학회지 논문에서의 카타르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발레 지젤의 작품을 해석하고, 카타르시스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와 발레 지젤 작품에서의 카타르시스를 논의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발레 지젤 작품에서의 카타르시스의 의미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발레 지젤의 1막과 2막을 통하여 카타르시스를 발견할 수 있었다. 1막에서는 가난하고 아름다운 지젤이 귀족의 신분을 속인 알브레히트와 사랑을 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약혼자까지 있으면서 신분을 속인 알브레히트의 사실이 발각되어 지젤은 고통과 충격으로 죽게 되었다. 이때 지젤의 작품, 즉 비극의 목적은 연민과 공포를 환기시키는 사건에 의하여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2막에서는 알브레히트가 지젤의 무덤에 꽃을 들고 찾아온다. 무덤 주변에 있는 윌리라는 유령들은 알브레히트를 죽이려고 하지만, 지젤의 사랑 때문에 알브레히트는 무사히 목숨을 구하게 되는 내용이다. 지젤은 알브레히트 때문에 고통과 층격으로 죽었지만, 그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죽어서도 알브레히트의 목숨을 지켜주었다. 우리는 이 장면에서 지젤의 사랑과 연민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결국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을 통하여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비극을 대표하는 지젤의 작품을 통하여, 우리는 연민과 공포를 통해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겅험하는 것이다. 또한 지젤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알브레히트를 사랑하였는데, 이 때 우리는 사랑과 감정의 정화를 느낀다고 할 수 있다.

      • 카타르시스에서 디오니소스적 긍정으로

        김종기(Kim, Chongki) 민족미학회 2012 민족미학 Vol.11 No.1

        아리스토텔레스 비극론의 주요한 핵심 중 하나는 ‘카타르시스’ 개념이다. 「시학」 제6장에서 단 한 번 나타난 ‘카타르시스’에 대한 해석은 레싱의 도덕·윤리적 관점에서의 해석과 베르나이스의 의학적 관점에서의 해석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뉜다. 레싱의 관점에서 카타르시스는 ‘연민’과 ‘공포’와 같은 격정들이 덕행으로 전환되는 데서 발생하는 것이었고, 베르나이스의 관점에서는 동종치료법처럼 격정들을 상승시켜 그러한 격정들을 배설[放出, 噴出]함으로써 쾌의 획득, 고통의 경감과 해방의 감정을 얻는 것이었다. 그런데 브레히트가 지적하는 바대로 이 카타르시스는 (배우들이 모방하는) ‘행위자들’에 대한 관객들의 감정이 입을 통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카타르시스는 불행에 빠진 주인공이 자신의 불행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견디어가며 결국 신이나 또는 스스로에 의해 구제되는 줄거리를 통해 비극을 관람하는 관객들로 하여금 현실의 삶 속에서 야기되는 불안과 고통을 털어내고 위무하는 치료제의 기능을 한다. 왜냐하면 관객은 나도 저 주인공처럼 (나의 양심을 지키면서) 이러한 고통스러운 삶을 묵묵히 견디어나가면 결국 나의 삶이 구제받거나 보상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과 기대를 가지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카타르시스는 현세적 토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니체는 전통적 해석과 달리 카타르시스를 ‘무력화’의 과정이라고 파악한다. 니체는 비극의 효과를 의학적이거나 도덕적인 해석방식을 넘어서 미적 영역에 근거해서 설명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에서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소멸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니체의 비극 해석에서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해명이 핵심적이며, 더 나아가 비극의 효과에 대한 니체의 해석에서는 전통적인 카타르시스로부터 디오니소스적 긍정으로의 전환이 나타난다. 디오니소스적 긍정이란 허무주의를 극복한 긍정이며, 짐을 지거나 견디거나 묵종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창조하는 것을 의미하는 긍정이다. 이러한 긍정은 내세를 위해 현세를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세를 그 자체에서 긍정하는 것이다. 니체는 비극이 이러한 “차안의 위로의 예술”이라고 보고 있다. 니체에 따르면 비극의 비밀스런 가르침이란 “개별화는 악의 근원이며 예술은 개별화의 속박을 파괴할 수 있다는 기쁜 희망이며 다시 회복된 통일에 대한 예감이라는 고찰”이다. 따라서 니체는 개별화의 속박을 벗어나는 청중(또는 관객)의 미적 활동이 비극의 효과라고 파악하며, 그것은 청중들이 하나로 일체화되는 디오니소스적 도취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바로 이 디오니소스적 도취가 현존재의 미적 정당화의 토대가 된다. 또한 니체는 그것을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소외, 고립 등 수많은 악덕을 야기하는 원인인 개별화로부터 근원적인 일자로 되돌아가는 경험에서 찾는다. 이러한 경험이 바로 디오니소스적 도취이며 그는 그것을 더 높은 공동체적 삶의 회복에서 찾는다.

      • KCI등재

        한국과 서구의 공연예술 미학

        김효(Kim, Hy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는 한국과 서구의 문화 전통에서 각각 공연예술의 미학을 지칭하는 대표적인 용어이다. 그동안 이 두 개념어와 관련한 연구 논문과 저서들은 꾸준히 출간되어 왔으며, 특히 조동일의 저서,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는 ‘카타르시스’ 와 ‘신명풀이’를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다룬 최초의 본격 연구서라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각별한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하지만 본 논문은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에 관한 조동일의 입론과 궤를 달리하여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 비교 연구에 새로운 국면을 열어 보고자 한다. 조동일은 비극을 ‘카타르시스연극’이라 부르고 희극을 ‘신명풀이연극’이라고 부를 정도로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를 완전히 이질적인 미적 체험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양자 사이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카타르시스/신명풀이 논의를 연극의 문제에서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동/서양의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로 확대시킨다. 결국 조동일은 서구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비극성의 문화’, 한국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희극성의 문화’로 귀착시킨다.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바는,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는 진정 서로 배타적인 미적 범주인가? 그리고, 비극성 취향은 과연 서구문화의 전유물이고 한국에는 정말로 비극적 전통이 부재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카타르시스와 신명풀이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 두 개의 용어는 모두 육체적이며 정신적인 차원에서 응어리진 것을 격렬하게 풀어내는 메커니즘을 가리키는 용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더불어, 연민을 조장함으로써 고통을 쾌감으로 승화시키는 비극 문학은 모든 문화권에 보편적으로 발달하는 문학 범주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catharsis and shinmyung-puri. If the keyword of western aesthetic pleasure is catharsis, the keyword of aesthetic principle of Korean traditional art is shinmyung-puri. This comparative research has a triple purpose: above all, I have tried to clarify successively the notion of catharsis in Poetics and Politics of Aristotles and shinmyung-puri, and then compared theses two notion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hey share in the mechanism of generating aesthetic pleasure. This method of research is chos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a discourse spread in the milieu of the Korean literature who takes shinmyung-puri for the anti-thesis of the catharsis. However, the catharsis and the shinmyung-puri are not different in the fact that they are the same aesthetic effect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pain. Relief of the psychological pain is achieved in two different ways: in one hand, by ‘neutralizing the pain’ that is to attenuate or forget the pain by the means of laugh or exciting music, and in the other hand, by soothing the one through dealing with his pain itself in a positive way. Theses two methods of relief constitutes, in fact, two principles of aesthetic pleasure. In conclusion, the catharsis and the shinmyung-puri are not the opposite notions to each other but they are two singularities of the same generality.

      • KCI등재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 구조

        권혁정,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aekwondo Kyorugi Players' feeling of happ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catharsis resulted from doing Taekwondo. To achieve this goal, we have us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s the essence of experience in Taekwondo Kyorugi Players. Concretel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atharsis experiencing Taekwondo Kyorugi Players, we collect and analysis the data in the process of the in-depth interview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The catharsis that Taekwondo Kyorugi Players feel is an expression of their feelings experienced during their practice. First, Taekwondo Kyorugi Players experience catharsis as joy, delight, and composure through purgation and purification. In addition, Taekwondo Kyorugi Players' catharsis is always experienced both in the body and the mind. Therefore, the structure of Taekwondo Kyorugi Players' catharsis consists of the phenomenon of the experiences in their body and mind. In other words, the catharsis, that is, joy, delight, and composure, are usually expressed as ceremony, roars, and tears through the body and are experienced as pleasure and relief from stress in the mind. These bodily and mental elements constitute Taekwondo Kyorugi Players' catharsis and are the foundation of their happiness. In this way, Taekwondo Kyorugi Players' experience the feeling of happiness when their whole body has a shudder and thrilling experience. Consequently, the core of Taekwondo Kyorugi Players' Catharsis is the ‘feeling of happiness.'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을 통해 얻는 행복감의 의미를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경험하는 카타르시스(catharsis)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체험하는 카타르시스의 본질적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느끼는 카타르시스는 경기를 통하여 경험되는 일련의 느낌들이 표출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는 ‘배설’과 ‘정화’를 통해 경험되는 ‘희열’과 ‘평정심’이다. 이러한 전 과정은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태권도 경기를 할 때 우리의 몸과 마음이 경험하는 카타르시스의 체험들이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인 희열과 평정심은 몸과 마음의 체험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 구조적 맥락은 몸과 마음의 체험에 대한 현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인 희열과 평정심은 몸과 마음의 체험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즉 몸짓, 포효, 눈물, 감격,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카타르시스로 표출되고 행복의 근원이 된다. 태권도 겨루기 선수는 온몸에 전율을 느끼고 짜릿한 경험을 할 때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며 그것이 태권도 겨루기 선수에 있어 카타르시스의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