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토양침식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 평가

        심우진(Woo Jin Shim),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우리나라는 높은 산지 비율과 인구밀도,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높다. 토양침식은 토지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로, 최근에는 토양침식 추정 모형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형은 반영하는 변수에 따라 추정 결과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실제 발생하는 침식량을 산정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특히 대부분의 모형이 단기적인 환경변수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나타나는 침식량의 추정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P>137</SUP>Cs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1960년대 이후 평균 침식량을 살펴본 후 국내 토양침식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RUSLE(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와 매개변수를 공유하는 USPED(Unit Stream Power-based Erosion Deposition) 두 모형과 비교하여 토양침식 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UP>137</SUP>Cs기법을 통한 침식량 분석 결과, 연구지역은 1960년대 중반 이후 평균 28.97ton/ha의 침식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지 이용 별로 살펴보면 경작지의 침식량은 67.58ton/ha/yr, 산지는 0.02ton/ha/yr으로 분석되었다. RUSLE모형과 USPED모형이 추정한 연구 지역의 연 평균 침식량은 각각 21.28ton/ha, 12.82ton/ha로 약 2배의 격차가 나타난다. <SUP>137</SUP>Cs기법을 기준으로 두 모형의 침식추정량을 비교한 결과, RUSLE의 연 평균 침식량은 0.73배, USPED는 0.43배 더 낮게 추정했다. 침식의 공간적 분포형태는 RUSLE가 실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분포 형태를 USPED에 비해 더 잘 추정했다. 그러나 두 모형 모두 산지에서 보다 경작지의 침식량이 월등히 높은 현실에 맞지 않게, 경작지의 침식 추정량을 산지보다 부정확하게 추정했다. 이는 토양 침식 추정 모형이 국내의 집약적인 토지이용과 중단기 기간의 침식 현상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국내 상황에 맞는 변수 개발 및 모형 보정 등의 보완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토양침식 연구에 모형의 적용과 해석에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re is a high risk of soil erosion caused by torrential rains of summer, high mountain rate, and population density. There are several ways to study soil erosion. Recently,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is most commonly used to study. However, the results of the soil erosion model are predicted value, not observed one.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models utilize short-term environmental variables,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stimation of erosion amou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137</SUP>Cs method is used calculating a soil erosion and spatial distribution to identify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that suits domestic condition, and compared with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s applied by RUSLE and USP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nnual average of soil erosion amount is 28.97ton/ha in the study area, Since each type of land use, the cultivated area has the annual 67.58ton/ha, forest area occurred 0.02ton/ha of soil erosion amount. Secondly, the average annual soil erosion amount of the study area estimated by RUSLE model and the USPED model resulted as 21.28ton/ha and 12.82ton/ha, respectively. RUSLE model estimated adequately in soil erosion amount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than USPED model. However, both models estimated incorrectly in the erosion of cultivated land. This result shows that the soil erosion estimation model does not fully reflect the intensive land use in Korea and the medium- and short-term soil ero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ables and calibration of model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domestic situation would be necessary, and a critical view on applying and interpreting models in soil erosion research would be needed.

      • 낙진방사성동위원소 (<SUP>137</SUP>Cs and <SUP>210</SUP>Pb<SUB>ex</SUB>)를 이용한 토양침식 조사

        윤정환(Jung-Hwan Yoon),김혁수(Hyucksoo Kim),양재의(Jae E. Yang),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 침식은 전세계적인 문제로 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고, 침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다양한 국가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조사 방법은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이다. 이 방법은 경험적인 방법으로 강우, 토양특성, 경사, 작물, 관리 인자를 산출하고 모델식에 적용하는 것이다. 여러 장점이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인자 산정에 필요한 많은 정보가 필요한 점과 침식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침식과 퇴적에 따른 공간적인 패턴을 조사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낙진방사성동위원소(fallout radionuclides, FRN)를 이용한 토양 침식 연구가 대안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FRN은 강우시 대기에서부터 토양으로 낙진되며 토양입자와 강한 흡착을 통해 토양침식 과정에서 토양입자와 같이 이동한다. 이를 선행연구에서 토양침식 패턴과 FRN 농도 변화가 매우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대표적인 FRN은 인공방사성물질인 <SUP>137</SUP>Cs과 자연방사성물질인 <SUP>210</SUP>Pb<SUB>ex</SUB>, <SUP>7</SUP>Be 등이 있다. FRN을 이용한 토양 침식 조사 방법의 장점은 현장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FRN 농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량적으로 침식량과 퇴적량, 그리고 공간적인 토양 이동 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N을 이용한 토양침식 조사방법의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토양 침식이 가장 심하다고 보고되고 있는 고랭지(안반데기)와 울릉도 토양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침식에 사용한 FRN은 <SUP>137</SUP>Cs과 <SUP>210</SUP>Pb<SUB>ex</SUB>이며, 산출한 결과를 비교하고자 USLE로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안반데기의 한 경사면(20 x 120 m)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SUP>137</SUP>Cs과 <SUP>210</SUP>Pb<SUB>ex</SUB>의 공간적인 분포 패턴이 지형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모델식에 적용하여 공간적인 토양 침식량을 평가한 결과 <SUP>137</SUP>Cs을 이용하였을 때는 83.5 ton ha<SUP>-1</SUP> yr<SUP>-1</SUP>이, <SUP>210</SUP>Pb<SUB>ex</SUB>을 이용하였을 때는 112.5 ton ha<SUP>-1 </SUP>yr<SUP>-1</SUP>이었다. USLE를 이용해 조사한 토양침식량은 166.0 ton ha<SUP>-1</SUP> yr<SUP>-1</SUP>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울릉도 토양(14지점)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울릉도 토양의 평균 토양침식량은 <SUP>137</SUP>Cs으로는 19.5 ton ha<SUP>-1</SUP> yr<SUP>-1</SUP>이, <SUP>210</SUP>Pb<SUB>ex</SUB>은 24.0 ton ha<SUP>-1</SUP> yr<SUP>-1</SUP>이었고, USLE로는 221.6 ton ha<SUP>-1</SUP> yr<SUP>-1</SUP>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울릉도는 USLE를 이용하였을 때 침식량이 매우 높게 산정되는데 이는 울릉도의 경사인자가 매우 큰 것과 더불어 화산회토에 대한 토양특성을 반영하는 침식인자 산정식과 울릉도에서 주로 재배되는 재배 작물에 대한 C, P 인자 산정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토양 이용 형태 및 지점별 특징적인 토양 특성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USLE와 달리 토양 분석만으로 토양 침식량 산정 뿐 아니라 공간적인 토양 침식 및 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FRN을 이용한 조사 방법은 큰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연안침식 방지를 위한 연안관리에 관한입법방안 연구

        김기태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국제법무 Vol.10 No.2

        Our country is surrounded by water on three sides and the territory is limited. Whether we can turn the land over to next generation as the excellent resource depends on how the limited land is used. The external form of our land can be chang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regardless of our intension. The most affected part is the land contacted by the water. Because erosion is usually connected to sedimentation, the amount of erosion and that of sedimentation is the same. but the problem is that it does not happen at the place where we expect. In order to prevent these erosion and sedimentation from happening, the nation established and controlled Costal Management Act but the current existing act which is only for solutions on the problems doesn't contain proactive 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suggest an alternative for preventing erosion but also make proactive action by evaluating all possible situations. It is advised to manage the costal waters at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Rio de Janeiro, Brazil, in 1992 For this reason, the nations which are related to costal erosion such as US, UK, Japan and so on have the regulations for preventing rivers and lakes as well as costal areas from erosion. These nations make an effort to curb disorderly developments and preserve natural resources.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made a lot of efforts by introduc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ostal management since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1990s. For costal management, the act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policy has been enforced all over the world. It is carried out by federal or state government in the federal state. Generally,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state government establishes a policy and federal government supports it. In Korea, central government makes the law and enacts a provision actively. The cities in the costal areas realiz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i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which can prevent costal erosion in advance, not just spending efforts and costs on it.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는 우리나라는 한정된 국토를 가지고 있다. 한정된 국토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우리 다음세대 또는 다다음세대에 훌륭한 자원으로 물려줄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자연환경에 의하여 국토의 외형이 변할 수 있다. 제일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 물과 맞닿아 있는 곳이라고 할 것이다. 흔히 침식이 있으면 퇴적이 있기 때문에 그 양은 동일하다고 하겠지만 원하는 곳에 침식과 퇴적이 일어난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침식과 퇴적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안관리법을 제정하여 국가가 관리하고 있지만 현행 연안관리법은 연안침식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이지 사전 예방적 내용을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침식 방지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안에 침식을 줄 수 있는 모든 행위들에 대하여 사전에 평가하여 사전에 미리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 환경개발회의를 통해 연안수역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권고하였다. 이에 따라 연안침식과 관련되어 있는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연안뿐만 아니라 강이나 호수와 연관되어 있는 곳까지도 모두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는 연안에서의 무질서한 개발억제와 자연자원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연안침식을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유엔환경개발회의의 영향으로 선진국에서는 연안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관리제도를 도입하는 등 많은 노력들을 진행하고 있다. 연안관리를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법률을 제정하거나 정책을 집행하는 성격을 보이고 있다. 물론 연방국가의 경우 연방에서 추진하는 경우도 있고, 주정부 차원에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주정부 차원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연방정부에서 지원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법률을 제정하여 주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해안에 있는 도시에서 연안침식의 문제를 더 실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더 이상 침식과 퇴적으로 인한 문제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비용을 지출 할 것이 아니라 이를 예방하여 국토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침식연소 현상을 고려한 고체 모터 내탄도 성능 예측

        이정섭(Jeongsub Lee),진정근(Jungkun Jin),김신회(Shinhoe Kim),박재범(Jaebeom Park),이방업(Bangeop Lee),정규동(Gyoodong Jung)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2

        고체 로켓 모터의 경우 침식연소 현상에 의해 연소속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침식연소 현상이 발생할 경우 압력 거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탄도 성능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침식연소 현상이 발생하는 고체 로켓 모터의 경우 내탄도 성능 해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침식연소 효과를 적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Lenoir & Robillard 모델식을 적용하여 침식연소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 침식연소 모사모타의 제작, 시험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침식연소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침식연소 모사모타는 세장비를 충분히 크게 설계하였으며, DBST 센서를 적용하여 연소관 위치별로 압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침식연소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침식연소 모델링을 적용한 내탄도 성능 예측을 수행할 수 있었다. The burning velocity is able to be varied due to the erosive burning in the case of solid rocket motor. The internal ballistic performance as well as structural safety can be affected if the erosive burning phenomenon is occurred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motor is varied. Therefore, the erosive burn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internal ballistic analysis of solid rocket motor if the erosive burning is expected. In this paper, Lenoir & Robillard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rosive burning phenomenon, and erosive burning induced motor was designed, tested,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Th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was designed as large enough to induce the erosive burning, and the DBST sensor was applied to measure the pressure at each point on the motor case. The erosive burning was confirmed from test results, and the estimation of internal ballistic performance was accomplished adapting erosive burning model.

      • KCI등재

        실효적인 연안침식대응을 위한 법제도적 전략 방안 - 영국의 연안침식 대응정책을 참고하여 -

        김용훈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가천법학 Vol.14 No.3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 이상으로 인하여 해수면이 상승되고 있고 각종 개발행위로 인하여 연안침식 현상은 우리의 안전을 본격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연안침식의 위험성을 인지한 각국은 연안침식에 대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고 우리 역시 1990년대에 이르러 연안 침식을 위한 각종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법률유보원리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여러 법률을 통하여 연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연안관리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그리고 자연재해대책법 등 연안침식관리를 위한 근거 법률은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연안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연안관리법이 연안침식 대응을 위하여 직접 봉사하는 법률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에서도 연안침식에 대한 사항은 산재하여 규정되어 있어서 연안침식에 대한 실효적인 정책을 담보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며 다른 법률 역시 연안침식이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하여 규정된 법률이라는 점에서 그 적용에는 적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해역별 지형구조 및 퇴적환경에 따른 보다 다각적인 연안침식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됨에 불구하고 법률에서 이를 감안한 보다 실효적인 정책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안침식 대응에 있어 상당히 실효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영국의 경험을 참고할 만하다. 영국은 연안침식 대응을 위하여 여러 법률을 제정․개정하고 있지만 영국의 정책에 있어 두드러지는 사항은 계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안침식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그리고 갑작스럽게 발행한다는 사항에 주목하여 장기적 정책설정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연안침식대응을 위하여 다각적인 대응방향성을 고집하고 있다는 것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에 우리 역시 보다 장기적인 수준에서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과 각종 다양한 행위자 간의 협업을 유인할 필요성을 인정되는 것이 사실이라는 점에서 이를 반영하는 연안관리법 개정안을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Sea levels are rising due to climate change worldwide, and coastal erosion happens due to various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ose rising sea levels and coastal erosion are threatening our safety in earnest. Recognizing the dangers of coastal erosion, most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manage to deal with the coastal erosion, and we have also promoted various policies for tackling the coastal erosion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 certainty, Korea is also specifying policies to respond to coastal erosion based on various laws. In reality, there are a number of laws for the sake of dealing with the coastal erosion matters, such as the Coastal Management Act, Act on Planning and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the Public Waters Management and Reclamation Act,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and so on. Although the Coastal Management Act directly serves coastal erosion, it does not guarantee effective policies for coastal erosion, and there are considerable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of other concerned laws in that other laws are just stipulated for specific purposes other than coastal erosion. Despite the need for a strategy to respond to coastal erosion that suits the situation in Korea, we do not secure the efficient legal strategies and policies to deal with the coastal erosion to our situation(e.g. being surrounded by water on three sides). Thus it is worth referring to the UK's experience and policies for the coastal erosion in that UK is an island country and specialized in the coastal erosion policies. And considering the policies of the UK relating to the coastal erosion we will be able to get by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coastal erosion, and the concerned laws that stipulate a more effective provisions to deal with the coastal erosion. In fact, the UK has enacted and revised several laws to respond to coastal erosion these days, but a prominent point in UK policy is the country is progressively using the Plan (concerning with the Coastal Erosion). The focus is that we should make the policy for the coastal erosion on long-term viewpoint deu to the fact that the coastal erosion occurs slowly and sudden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it is also noteworthy to point out that the UK insists on a multifaceted policies for coastal erosion.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revising the Coastal Management Act referring to UK’s legal instruments, for example, establishing policies at a longer-term level and inducing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actors concerning with the coastal erosion.

      • KCI등재

        동해안 침식 원인분석 및 침식 영향도 평가

        박선중(Seon Jung Park),서희정(Heui Jung Seo),박승민(Seung Min Park),박설화(Seol Hwa Park),안익장(Ike Jang Ahn),서경식(Gyeong Sik Se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6

        연안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각종 개발사업은 표사수지 불균형, 연안표사 이동상 및 횡단표사 이동상 변화를 야기하며, 이로 인한 해빈의 완충구간 축소로 연안재해 위험성을 크게 증대시킬 뿐 아니라 회복 불가능한 장기적 해안침식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연안개발을 위해 건설된 각종 구조물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장기적·지속적인 해안침식 현상은 표사수지 및 연안표사와 횡단표사 변화량 평가를 통해 직접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하다. 즉, 표사수지 변화, 연안표사 이동, 횡단표사 이동 구분되는 이들 개별적인 원인에 기인한 침식지역과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침식지역의 분류를 통해 연안개발과 해안침식 현상의 인과성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개발에 따른 침식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동해안(강원도, 경상북도) 일대 해안을 대상으로 연안 구조물 건설 및 육역 개발 등 주요 개발현황과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장기적·지속적 침식원인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공구조물 건설에 따른 침식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침식 영향도 개념을 정립하고, 침식 영향도 평가를 위한 세 가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연안침식 실태조사에서 검토된 해빈 영상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하저항을 대상으로 침식 영향도를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하저항 개발은 93.4%, 호안도로 건설은 6.6%로 침식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평가되었다.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ccurring on the coast cause an imbalance of surface sediments, causing coastal disasters or irreversible coastal erosion. Coastal erosion caused by the influence of various port structures built through coastal development can be directly identified by evaluating changes in the sediment budget, longshore sediment, and cross-shore sediment. In other words,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causality between coastal development and coastal erosion by classifying regions due to single cause and regions due to multiple caus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ediment classified into the three types mentioned above. In this study, the cause of long-term and continuous eros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astal development history and the Coastal Erosion Monitoring targeting the coast of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on the east coast. 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eros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the concept of erosion impact assessment was established, three methods were proposed for the impact assessment. The erosion impact of Hajeo port was assessed using the results of satellite image analysis presented in the Coastal Erosion Monitoring Report, it was assessed that the development of Hajeo port had an impact of 93.4% on erosion, and that of the coastal road construction had an impact of 6.6%.

      •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김경탁,김주훈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1

        토양침식은 강우분포, 토양, 토지이용과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런 요인들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토양침식량 계산은 RUSLE를 이용하였고, RUSLE의 지형 및 공간정보 관련 인자들은 DEM,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한강수계 제1지류인 경안천유역의 농경지로 하였으며, 토양침식량 분석결과 보통, 특수작물(1210) 재배지역, 과수원(1220), 미경지정리답(1120), 경지정리답(1110)의 순으로 가장 큰 토양침식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재배지역의 평균 토양침식량 또한 보통, 특수작물 재배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토양침식량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농경지의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토양침식의 위험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5등급의 경우 전체 농경지의 2.4%에 해당하는 72.5ha정도가 침식위험지역으로 판단하였다. 이 침식위험지역은 밭작물재배지역이 72.4ha이고 과수원이 0.1ha로 분석되었으며, 기타의 농경지역에서는 5등급의 위험지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토지이용 상황에 관계없이 2등급(1~50ton/ha/yr) 지역이 전체 농경지의 70.2%로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Soil erosion is influenced from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rainfall distribution, soil type, land use, etc.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soil erosion hazard zone in cropland. RUSLE was used for an analysis of soil erosion amount, and for the spatial data of basin, soil erosion amount was calculated by extracting the respect topography space related factors of RUSLE using DEM, Landuse, Soil map as base map. This paper is targeting at the watershed of Gyeongan stream in Gyeonggi-do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soil erosion amount showed that soil erosion occurred in the order of crop field(1210) planting area, orchard(1220), non-adjusted paddy fields(1120), and adjusted paddy fields(1110), and also the average soil erosion in these planting areas has the most amount in crop field planting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on soil erosion hazard zone of farm land by classifying it into 5 classes using the result of that result of analysis on the amount of soil erosion, in case of Class 5 in which the hazard of soil erosion is the highest, approximately 72.5ha that corresponds to 2.4% of the total farm land was decided as erosion hazard zone. For this erosion hazard zone, it was analyzed that dry field crop planting area was 72.4ha and orchard was 0.1ha, and Class 5 hazard zone did not appear in other farming areas. Also, it showed that Class II(1~50ton/ha/yr) area had the most ratio of the entire farm land, i.e., 70.2%, regardless of land use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soil erosion hazard zone of farm land by classifying it into 5 classes, the Class V has the highest soil erosion hazard, approximately 72.5ha that corresponds to 2.4% of the total farm land was estimated as an erosion hazard zone. This erosion hazard shows 72.4ha in dry field crop planting area, 0.1ha in an orchard, but the highest hazard zone, the Class V was not shown in other farming areas. Also, it showed that Class II area had the most ratio of the entire farm land, i.e., 70.2%, regardless of land use state.

      • KCI등재

        USLE를 활용한 만경강 상류지역에서의 토양침식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재혁,심은증,이연길,김태웅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범용토양유실예측공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그 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봉동 수위관측소의 유역면적은 342.27㎢이며, 유역에서의 유사유출량을 모의하고 이를 실측치와의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양침식량 산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해 연도별 강우사상을 활용하였고, 연평균토양침식량 산정을 위해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격자기반의 토양침식도를 생성하여 산정하였다. 토양침식도(30m×30m)는 강우침식인자(R), 지형인자(LS), 토양침식인자(K), 식생피복인자(C), 침식조절인자(P)를 ArcView Map Calculator에서 각각의 인자들을 곱하여 생성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역에서 토양침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침식기준목 측정을 통한 안면도 둔두리 해식애의 단기간 침식 변화

        장동호,조창현,정준호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2 기후연구 Vol.7 No.2

        이 연구에서는 안면도 둔두리 해식애를 대상으로 침식기준목을 이용하여 침식·후퇴율을 산정하고, 계절적 변화특성과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여름철에 침식·후퇴율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집중호우 및 태풍 등과 같은 극한기후사상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후 해식애의 침식·후퇴율은 가을철이 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겨울철에 다시 증가하였는데, 이는 해식애의 기반암이 동결·융해작용을 반복하면서 기계적 풍화가 활발히 진행된 결과이다. 해식애의 침식·후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선행강수일수 및 일 최대파고이다. 특히, 태풍 및 폭풍해일시 강한 파랑에너지에 의해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지난 2년간(2010년 6월~2012년 5월) 침식·후퇴율은 각 지점마다 지형·지질학적 특성이 다르지만, 대략 0.5(D1)~1.5m(D3) 정도이며, 연간 침식·후퇴율로 환산하면 25~75cm/yr이다. 해식애 침식·후퇴과정의 특징은 해성작용(파랑에너지) 이외에도 육상의 삭박작용이 함께 작용하여 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 토석류 유동 해석을 위한 침식모형 평가

        이승준 ( Seungjun Lee ),안현욱 ( Hyunuk An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산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다. 특히, 도심지역 및 산림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유동 및 퇴적과정에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선행연구들에선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의 유동과정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고 이를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정화도 높은 예측을 위해 토석류의 침식 및 연행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침식 및 연행작용은 토석류의 유동과 퇴적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토석류 분석 및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침식 및 연행작용 알고리즘(이하 침식모형)을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침식모형과 유동모형을 선택하여 각 침식모형에 따른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였다. 토석류 분석에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여러 유동 및 침식모형을 선택하여 모의·분석할 수 있는 Deb2D 모형을 활용하였다. Deb2D 모형은 2차원 수치해석 모형으로 적응형 격자를 기반으로 토석류를 구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선 유동 모형으론 Voellmy, Bingham 그리고 Coulomb-viscous 모형을 선택하고, 침식모형으론 Sovilla, Frank 그리고 Medina 모형을 선택하여 모의하였다.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구현했으며 수치모형의 정확성 판단을 위해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석류의 피해 범위, 총 퇴적량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 관측된 최대 퇴적 높이 및 최대 속도를 비교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연구지역의 토석류 발생 전·후 DEMs(Digital Elevation Models)을 활용하여 공간에 따른 침식 깊이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Deb2D 모형을 통해 분석된 침식깊이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Deb2D 모형을 통한 토석류 모의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선 침식모형의 선택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