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genealogy of the translated novel, Chunhee. Chunhee is a translated work of La Dame aux Camélias by Alexandre Dumas Fils, a French novelist (1848).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Jin Hakmun, 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and Park Luweol translated some works of Dumas Fils. Especially, Park Luweol's work is a film novel. Not much has been known about this work until rec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genealog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Chunhee. Except for The Hongru by Jin Hakmu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other work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lation genealogy of Chunhee.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genealogy. When translating Japanese works, Jin Hakmun and Na Dohyang modified titles or names, making them Korean ones, and translated the whole original works.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on the other hand, accepted the title of Japanese version, ‘Chunhee’, and made a condensed transl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é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춘희』가 우리 문단에 번역 소개되어 온 역사적 정황을 작품별로 제시하고, 그 계보의 문학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춘희』의 번역사를 조망하고자 했다. 진학문, 나도향은 일본소설을 대본으로 번역 번안했으나 제목이나 인명 등을 조선적인 표현으로 바꾸었고 축역이나 경개역이 아닌 완역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반면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은 공통적으로 일본소설 제목 ‘춘희’를 그대로 수용하고 줄거리 중심의 축역, 경개역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고쳤다는 점에서 앞선 작가들과 변별된다.

      • KCI등재

        라디오 방송으로 살펴 본 「춘희」의 형상화 작업과 극예술연구회의 공연 체제에 관한 연구

        김남석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7

        <La Dame aux Camélias> was planned to be produced by the Geugyesuryeonguhoe as the 8th regular performance, but the performance was canceled. In 1935, the Geugyesuryeonguhoe experienced a so-called “bad year” and had to cancel a large number of scheduled performances that were in violation of censorship. The performance of <La Dame aux Camélias> was also planned in 1935, but the reason for the cancellation of the performance of <La Dame aux Camélias> was the problem of 'casting', not 'censorship'. The Geugyesuryeonguhoe made an unusual decision to perform <La Dame aux Camélias> at the time of 1935, but the performance was canceled and the expected results were not achieved. Interestingly, however, a large-scale radio drama 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La Dame aux Camélias> was made, and given this scale and time, it can be deduc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lay <La Dame aux Camélias> was not impossible. Nevertheless, Geugyesuryeonguhoe blocked the possibility of regular performances of <La Dame aux Camélias> by itself, using the role relationship as a pretext. Therefore, the performance plan of <La Dame aux Camélias> and its replacement process can be a major clue to the situation and internal circumstances of the Dramatic Arts Research Council at the tim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performance situation of <La Dame aux Camélias>, the reason for its cancellation,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a Dame aux Camélias> appearing in the process are investigated, and the influence and repercussions of the decision to perform <La Dame aux Camélias> on the Geugyesuryeonguhoe and the Joseon theater world from the time of 1935 are investigated. <춘희>는 극예술연구회 제8회 정기공연으로 제작하려고 예정되었다가, 공연이 취소되었던 작품이다. 1935년 극예술연구회는 소위 말하는 ‘액년’을 경험하면서, 검열에 저촉된 많은 수의 공연 예정작을 취소해야 했다. <춘희>의 공연 역시 그러한 1935년 기획되었지만, <춘희> 공연의 취소 원인은 ‘검열’이 아닌 ‘배역’ 문제였다. 극예술연구회로서는 1935년 시점에서 <춘희>를 공연하는 이례적인 결정을 내렸지만, 공연이 무산되면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춘희>의 대규모 라디오드라마 제작 송출이 이루어졌고, 이 규모와 시기를 감안하면 연극 <춘희>의 공연도 불가능하지 않았다는 추정을 끌어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예술연구회는 배역 관계를 이유로, <춘희>의 정기공연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했다. 따라서 <춘희> 공연 계획과 그 대체 과정은 당시 극예술연구회의 상황과 내부 사정을 알려주는 주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를 통해 <춘희>의 공연 정황과 무산 이유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춘희> 콘텐츠를 살펴보고, <춘희> 공연 결정이 1935년 시점에서 극예술연구회와 조선 연극계에 미치는 영향과 파장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계몽기 번역문학과 독자층 연구

        전은경(Jun, Eun-kyung)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본 논문은 근대 계몽기의 번역 문학을 살펴보면서 독자층의 형성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문학의 태동과 근대 독자의 출발 및 성장을 보기 위한 서설이 되는 작업이다. 같은 서양의 문학을 가지고 오고 있지만, 한, 중, 일은 그 각자의 내적 토대와 상황에 따라서 다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즉 그 당시 유행했던 작품도 다르고, 번역된 작품도 다르며, 독자들의 반응 역시 달랐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은 주어진 텍스트가 동아시아 각 나라의 내적 토대를 만나면서 각장의 방식대로 변환되어 독특한 특징을 양산해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근대 문학의 토양을 만들어내는 것은 텍스트에 반응하며, 텍스트를 해석하고 즐기고, 또 그 가운데 배움을 이어가고 있는 독자들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면에서『춘희』를 번역한 동아시아 삼국의 환경과 독자들의 성향은 비슷하면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파리차화녀유사』가 『홍루몽』의 계보를 이으면서 가장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그리고 번역어 자체도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좀 더 함축적이고 생략이 된 것이 많았다. 그러나 그 속에서 독자들은 서양의 연애를 문명으로 받아들여 배우고자 하는 의식은 은연중에 가지고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은 신문매체가 급격하게 발달하여, 대신문과 소신문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그 가운데 소설독자 역시 양분되었다. 즉 남성적인 소설 경향과 여성적인 소설 경향으로 나뉘어 남성 독자와 여성 독자들이 구분된 채로 자신들의 욕구를 정반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춘희』는 『만조보』가 지식인 독자층을 확보하려던 상황과 맞물리면서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독자들의 호응이 가장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여성 독자들은 가정 소설에, 남성 독자들은 복수 스릴러물들에 흥미를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춘희?가 큰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했던 것이다. 근대계몽기 조선에서는『홍루』가 일본의『춘희』처럼 연재 중단이 될 정도로 흥미를 못 끌지 않을까 지레 짐작하고 있었다. 그래서 소설 예고를 해서 전체 내용 줄거리를 미리 안내했다. 또한 작가 스스로도 큰 인기를 끌지 못할 것이라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식인 독자들은 이『홍루』 ?의 연애의 세계를 중국처럼 일종의 서양 문명을 배우는 하나의 장치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더 나아가 중국의 감각적인 영역, 통속적인 영역과는 달리, ‘愛’의 과정을 행동의 영역에서 ‘지적 영역’으로 상승시켜 개념을 좀 더 지적인 영역으로 옮겨 놓았다. 결국 동아시아 삼국의 내적 토대와 독자들의 경향, 매체의 변화 과정속에서 『춘희』라는 텍스트와 그 텍스트의 영향력은 각 나라별로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그 속에서 결국 식민지 조선의 경우, 이러한 영향 속에서 근대문학이 성립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근대를 맞닥뜨린 한, 중, 일 각각의 차이를 바라보는 것은 한국의 근대문학을, 또 근대독자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낼 수 있도록 하는 큰 틀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are readers of Modern Korea with those of Modern China and Modern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compare readers among the literatures in East Asia. East Asia had received so called “Western Literatures” as a Modernity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In China, <巴黎茶花女遺事>, translated La Dame aux camelias(1848, by Alexandre Dumas Fils), was most popular of East Asia. Chinese people fell in love with <巴黎茶花女遺事>. because it had taught real western love. The love from love was very different from old chinese love. Hoewever in Japan, <椿姬> was stopped in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Manjobo> La Dame aux camelias. Because Japanese readers had divided two types; one was the male-type reader, the other was the female-type reader. Therefore <椿姬> was disregarded by both of all.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This concept is “love of sphere of knowledge”.

      • KCI등재

        나도향 소설의 낭만성과 그 문학적 원천

        손성준(Son, Sung-j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이 글은 나도향의 번역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 전반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나도향 소설의 낭만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문학적 원천은 그가 번역한 작품 중에서도 『카르멘』과 『춘희』였다. 본고는 나도향이 택한 일본어 저본을 규명하고 번역 태도를 분석하여 그에게 두 소설이 갖는 의미가 각별했음을 논증했다. 아울러, 두 소설의 서사, 기법, 캐릭터 등이 나도향의 창작 곳곳에서 변용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카르멘은 팜므 파탈의 전형이고 마르그리트는 지고지순한 사랑의 상징으로서, 두 주인공 캐릭터는 흥미로운 성격상의 대조를 보인다. 나도향의 소설 역시 두 유형의 캐릭터가 주를 이룬다. 그는 카르멘 유형을 통해서는 ‘사랑의 광기’를, 마르그리트 유형을 통해서는 ‘사랑의 순수’를 형상화하고자 했다. 이 두 측면은 나도향 소설 전체를 관류하는 낭만성의 핵심이었다. This article was motivated by the critical mind that the world of Na Do-hyang’s works at large needs to be re-appreciated through his translation. The literary source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omantic quality of Na Do-hyang’s works were Carmen and La Dame aux Camélias (translated title : Dongbaek-kkot, 동백꽃), among works he translated. This article demonstrated that the two novels had meant a lot to him, by investigating the Japanese scripts of the original works chosen by Na Do-hyang and analyzing his attitudes of translation. Further, this article analyzed the aspects of how the narratives, techniques, and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were transformed throughout Na Do-hyang’s works. In terms of characters, Carmen, the female protagonist of Carmen, is the archetype of femme fatale, and Marguerite, the heroine of La Dame aux Camélias, is the symbol of very noble and pure love, and their characters contrast starkly with each other. Na Do-hyang’s works also featured the two types of characters. He tried to embody ‘the madness of love’ through characters of the Carmen type, and ‘pure love’ through those of the Marguerite type. These two aspects were the core of romantic quality that flows through all of Na Do-hyang’s stories.

      • KCI등재

        번역된 서양의 연애/극

        백현미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5 No.-

        본 논문의 목적은, 1910-30년대 식민지조선에 수용된 ‘서양발 연애극’을 통해 ‘번역된 연애’의 정체성을 살피는 한편, 서양발 연애극이 연극계에 불러일으킨 반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애극이란 남녀의 연애가 중심 사건이 된 드라마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주요 논의 대상인 「살로메」와 「부활」, 「카르멘」과 「춘희」를 ‘서양발 연애극’이라 총칭했다. 서양발 연애극 중 「살로메」와 「카르멘」은 ‘요부의 애’를, 「부활」과 「춘희」는 ‘신성한 애’를 표상했다. ‘요부의 애’는 여성의 성적 매력과 욕망이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연애 서사를, ‘신성한 애’는 여성이 남성에 의해 희생을 당하거나 남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자신을 희생하는 연애 서사를 각각 의미한다. 그런데 ‘요부의 애’이든 ‘신성한 애’이든, 서양발 연애극에는 낭만적 해피엔딩이 없다. 서양발 연애극에서 남녀의 연애가 결혼이나 가족 형성으로 귀결하지 않는 것은, 서양발 연애가 가족주의와 순결에 대한 강박 너머의 탈사회적 연애였음을 의미한다. 서양발 연애극을 통해 드러나는 1910-30년대 번역 문예물의 ‘연애’는 1910년대 번안 문예물의 ‘연애’와 분명히 구별된다. 번안 문예물이 고아로 자란 남자의 연애와 결혼과 가족 문제를 다룬 가정극이라면, 번역 문예물은 고아로 자란 여자의 연애와 결혼 불가능성을 다룬 비가정극이다. 번안 문예물이 연애와 가족 형성을 연결시킨 연애-가정극이라면, 번역 문예물은 가족 밖의 연애를 다룬 연애극인 것이다. 서양발 연애극이 연극계에 남긴 파장으로 두 가지 점을 주목했다, 서양발 연애극은 여성인물을 전경화했고, 이것이 여배우의 등장을 추동했다. 그리고 연애극의 여주인공과 여배우의 이미지를 결합시키며 소비하는 문화가 조성되었다. 연애극은 ‘연애하는 여자’ 상에 ‘서양의’ ‘최신의’ 이미지를 부여했고, 현실에서는 여배우에 대한 대중적 흥미를 촉발했다. 또한 서양발 연애극은 신극과 대중극의 이항대립적 구별 짓기가 불가능함을 흥미롭게 보여준다. 서양발 연애극은 대중극계에서뿐 아니라 신극계에서도 공연되었다. 대중극계에서건 신극계에서건 서양 작품의 번역과 가극류의 표현 수용이 중요한 과제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서양발 연애극들은 신극이 아니라는 식의 비판에 지속적으로 직면했다. 서양발 연애극들은 신극의 비대중성과 언어중심성을 예민하게 보여주는 계기판이었고, 대중성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신극계의 선망과 고민을 보여주는 상황판이었다.

      • KCI등재

        ≪춘희≫의 번역과 식민지 조선의 ‘연애’ - 진학문의 ≪홍루≫를 중심으로

        전은경 한국언어문화학회 2009 한국언어문화 Vol.0 No.39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 KCI등재

        번역으로 갈라진 운명 -『홍루』와 『파려다화녀유사(巴黎茶花女遺事)』의 번역 양상 비교 연구

        등천 ( Qian De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1917년에 『매일신보』에 연재된 『홍루』는 동시대 번역·번안소설 가운데 매우 독특한 텍스트이다. 진학문은 일역본 『椿姬』(1903)를 저본으로 하여 프랑스 소설 La Dame aux Camelias(1848)를 충실하게 번역하여 처음으로 ‘부부애’가 아닌 서양 미혼 남녀의 ‘사랑’ 양상을 생생히 재현했다. 『홍루』는 당시 독자들의 주목을 받지못한 채 문학사에서 잊혀졌다. 반면에 린수(林수)가 번역한 『巴黎茶花女遺事』(1899)는 중국에서 출판되자마자 독자들에게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청나라 말기에 많은 번역가들이 서양소설을 번역하는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파리다화녀유사』는 중국 번역문학사에서 정전화된 텍스트로 인정받았다. 본고는 『홍루』와 『파리다화녀유사』의 번역 양상과 독자의 반응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에 주목하여 양국에서 도착 텍스트가 판이하게 수용된 경위를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텍스트에 나타난 남녀 주인공의 이미지 및 서구적 사랑에 대한 번역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두 번역자의 번역 태도와 한중 양국 독자의 반응을 함께 고찰하고 번역자, 도착 텍스트, 독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Hongru (Red Tears) which was serializ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in 1917 is a very special text among the contemporary translated and adapted novels. As a Korean student studied in Japan, Jin Hak-mun made a translation of the French novel La Dame aux Camellias into Korean titled as Hongru, based on the Japanese translation published in 1903, representing a new aspect of love - “modern love” of an unmarried coupl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marital love” that had been illustrated in the earlier adapted novels. However, Hongru failed to capture the attention of Korean readers and became a forgotten tex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ereas Bali Chahuanv Yishi (The Lady of the Camellias) translated by a Chinese translator, Lin Shu, caused a great sensation among Chinese readers and a great impact on many translators to do translation of Western novels in the end of Qing Dynasty. Therefore it had been credited for the influence as a canon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nslated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Bali Chahuanv Yishi’s aspects of translation and readers’ responses, and based on the difference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different acceptance of translations in each country. Specifically it tries to study on the images of protagonists and the aspects of translation on the romantic love in Hongru and Bali Chahuanv Yishi. In addition, this paper also tries to examine the attitude of the two translators and the readers of each translation, and clarify a correlation among the translators, the texts, and the readers.

      • KCI등재

        나도향의 『동백꽃』번역과 복수의 저본들

        손성준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91

        이 글은 나도향이 번역한 『동백꽃』의 저본을 밝히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 과정에서 『춘희』의 일역 판본 중 후쿠나가 반카의 『椿姫』를 도향의 저본으로서 확정하였고, 도향이 알버트 린치의 삽화가 포함된 영역본 The Lady with the Camellias까지 일역본과 함께 참조하였다는 사실도 논증하였다. 이 영역본은 바로 후쿠나가 반카의 저본이기도 했다. 일역본에만 의지하지 않고 영역본을 추가로 활용함으로써 도향은 어휘나 표현 방식에 있어서 일역본에 얽매이거나 일역본의 문장 구조에 국한되지 않는 과감하고 자유로운 번역을 시도할 수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도향은 일역본에 오류나 누락이 있다고 의심될 경우 영역본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할 수 있었다. 영역본을 보완재로 활용했기에 도향은 일역본의 번역 수준을 끊임없이 검증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자신이 판단 내려야 할 순간에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도향에게 영역본은 자신의 번역을 스스로 교차 검증함으로써 원작의 감각에 조금이라도 근접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였다. This article focuses on revealing the source text of “Camellia(동백꽃)” translated by Na Do-hyang and analyzing its meaning. As a result, it was posited that the source text for Do-hyang was identified as Fukunaga Banca(福永挽歌)’s The Lady with the Camellias(椿姫) from among the Japanese translated versions of The Lady with the Camellias. It was also suggested that Do-hyang referred to the English translated version of The Lady with the Camellias, which featured illustrations by Albert Lynch. This English translation was the source text for Fukunaga Banca as well. By utilizing not only the Japanese translations but also the English versions, Do-hyang was able to craft bold and liberated translations that were not restricted by Japanese vocabulary, expressions, or sentence structures. Similarly, if there was a suspected error or omission in the Japanese translation, Do-hyang could refer to the English version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If the Japanese translation was utilized to augment the English version during uncertain moments, and if the English version was the foundational source for the Japanese translation, then Do-hyang could consistent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Japanese translation and also attain a broader perspective when making judgments. For Do-hyang, the English translation served as a valuable tool, enabling her to inch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original by cross-verifying her 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