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잡지와 애국론의 혼종성

        손성준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0 No.-

        근대 한국의 애국주의나 내셔널리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개 3가지 경향성을 보인다. 첫째, ‘애국’의 존재를 기정사실화한 상태에서 선험적으로 수행되었을 뿐, 애국 담론 자체의 형성과정이나 그 복수성에 주의를 기울인 경우는 희소하다. 둘째, 연구 대상이 된 주요 문헌 자료 중 신문 매체는 적극적으로 다룬 편이지만, 다양성과 내용의 완결성 면에서 우위에 있던 잡지 매체들은 총체적인 분석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셋째, 번역 텍스트와 수용자의 주체적 개입 양상에 상대적으로 덜 주목해왔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에서는 대한제국기 잡지의 애국 담론의 과도기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애국 담론은 곧 매체의 정치적 지향과 직결되어 있기도 했지만, 『조양보』나 『태극학보』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 상충된 애국론이 하나의 매체 안에서도 공존하기도 했다. 특히 『조양보』의 「논애국심」이 보여준 ‘반애국론’은 당시의 애국운동을 감안할 때 매우 이채로운 사례이다. 다만 이 같은 흐름 역시 명백히 그 시대의 공론장이 배태한 문제의식인 만큼, 동시기 미디어 전체로 범위를 확대한다면 유사한 계보의 목소리들을 더욱 다양하게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충군이 곧 애국을 의미하던 시대로부터의 이탈은 번역이 앞당겼다. 량치차오의 애국론이 여러 형태로 번역되고 변주된 것이 그 대표적 사례다. 하지만 『서우』와 『소년한반도』의 량치차오 활용법이 다른 것처럼 동종 텍스트로부터 번역된 애국 역시 하나의 정치적 입장만을 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었다. 최신 학문을 배운다는 자각을 지닌 유학생들의 기관지 『태극학보』에 ‘충군’의 미덕이 꾸준히 언급된다는 사실도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충군’의 자리는 불안정하게 유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점들은 대한제국기 담론장 자체의 과도기적 성격과 그 속에서 개진되던 애국론의 혼종성을 여실히 증명해준다. Previous studies on patriot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Korea mostly manifest the following three tendencies. First, these studies adopted a transcendental approach, presupposing the existence of patriotism without focusing 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discourses on patriotism or the plurality of these discussions. Second, they actively investigated newspapers as a main source of literature data for research but did not intensively analyze magazines that surpassed the other media types in terms of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contents. Third, they paid less attention to aspects of translated text and the independent intervention of translation receiv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on patriotism presented in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Discourses on patriotism are generally linked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media channels introducing them. However, there are also cases where conflicting theories of patriotism coexist within a single media channel, as shown in the magazine Joyangbo (朝陽報) and the journal Taegeukhakbo (太極學報). Particularly, the article “Discussing the Patriotic Mind” (論愛國心) presented in Joyangbo aligns with the theory of anti-patriotism, thus evaluated as an unusual example of discourses on patriotism given the prevalence of patriotic movements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as this discussion in Joyangbo clearly reflects the prevailing concerns of the era, extended research based on the entire range of media during the same period may lead to the discovery of similar opinions. Furthermore, translation accelerated a departure from an era where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was deemed as patriotism. This phenomenon is represented by instances of Liang Qichao’s theory of patriotism translated and adjusted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idea of patriotism indicated in the same translated text does not reflect only a single political viewpoint, as shown in the journal Seowoo (西友) and the magazine Sonyeon-hanbando (少年韓半嶋) where Liang Qichao’s theory of patriotism was applied for different purpos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virtue of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is consistently mentioned in Taegeukhakbo, an institutional journal published by Korean students engaged in the latest academic studies overseas. Nonetheless, the significance of showing loyalty to the sovereign varies in the discourses presented in Taegeukhakbo. These observations clearly demonstrate the hybrid nature of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annels of discourse focussed on the theory of patriotism that were develop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 KCI등재

        옐레나의 비장(悲壯)과 노라의 파탄(破綻) -한국 근대소설의 주체적 여성상, 그 양가적 계보의 젠더역학-

        손성준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Among characters of Korean modern novels, there are some ‘subjective women’ who boasted conspicuous presence. The present study suggests ‘Elena’ in On the Eve and Nora in A Doll’s House as two literary sources of feminist or activist female characters in Korean modern novels, and intends to reveal their writers’ gender consciousness by analyzing aspects of transformation in the genealogy of each character. ‘Elenas of Joseon’ created by male writers have two things in common. One is that they are awakened to ideological practice or life committed to national cause, a momentum for which was created by male. Another is that despite the absence of male, they sacrifice all things and carry on the deceased male’s will. To males, Elenas of Joseon were romantic ideals. Therefore, however arduous their progress was, their sacrifice could be depicted as beautiful and courageous. Unlike Elena-type characters who are mostly provided with a turning point by male’s good influence, Nora-type characters are awakened instead by male’s hypocrisy and violence. This was self-awareness that was formed due to the shock of betrayal or the oppression of custom, not given from the outside. This awakening, which was accompanied with resistance to patriarchal culture, was made in extreme pain because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reality. It is because of this that works creating ‘Noras of Joseon’ were mostly equipped with the narrative of ruin. The reason why Nora’s life embodied was far closer to ruin among the second-generation female writers than among the first-generation female writers is the result of increasingly intensified oppression within the androcentric society reflected in their works. This is sharply contrasted with male writers’ narratives about Nora that mostly tried to find the cause of her ruin from the inside of the woman. 한국 근대소설이 낳은 캐릭터 중에는 두드러진 존재감을 뽐냈던 ‘주체적 여성’들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근대소설의 여성운동가 혹은 행동하는 여성 캐릭터의 두 가지 문학적 원천으로 그 전날 밤의 ‘옐레나’와 인형의 집의 ‘노라’ 를 제시하고, 각 캐릭터의 계보가 어떠한 변용 양상을 띠는가를 분석하여 작가들의 젠더의식을 드러내고자 했다. 남성 작가에 의해 탄생한 ‘조선의 옐레나’에게는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었다. 하나는 이념적 실천이나 민족적 대의를 수행하는 삶에 눈뜨게 되는데, 그 계기가 남성에 의해 마련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남성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희생하며 유지를 이어나간다는 것이다. 남성들에게 있어서 조선의 옐레나들은 낭만적 이상이었다. 그렇기에 ‘그녀들’이 아무리 고난의 행군을 하더라도그 희생은 아름답고 비장하게 그려질 수 있었다. 옐레나 유형의 캐릭터가 대부분 남성에 의한 감화 속에서 터닝포인트를 맞는것과는 달리, 노라 유형은 되려 남성의 위선 및 폭력 속에서 각성한다. 이는 외부로부터 주어진 게 아니라 배신의 충격이나 관습의 압박 등에서 이루어내는 자각(自覺)이었다. 가부장적 문화에 대한 저항을 동반하는 이러한 각성은, 현실에밀착해 있는 만큼 극한의 고통 속에서 이루어졌다. ‘조선의 노라’를 낳은 작품들이 많은 경우 파탄의 서사를 장착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1세대 여성 작가들보다 2세대 여성 작가들이 형상화한 노라의 삶이 더욱 파탄에 가까웠던 이유는, 갈수록 강력해지는 남성 중심 사회의 억압을 작품 속에 반영한 결과였다. 이는 남성 작가들의 노라 서사가 대개 파탄의 원인을 여성 내부에서 찾으려 한것과 뚜렷하게 대비된다.

      • KCI등재

        번역 서사의 정치성과 탈정치성 -『조양보』 연재소설, 「비스마룩구清話」를 중심으로

        손성준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distribution and change of German hero, Bismarck’s Korean biography which is a double-translation and reveal division aspect of politics in it, and then make crack partially in the view of studies in 1900s’ translation. Main analysis object is 「비스마룩구淸話(Bismarck’s Table-Talk)」(1906), the serial novel of 『朝陽報(JoYangBo)』. Even though early translation, problem of hero and unique route of acceptance, 「비스마룩구淸話」 has not focused all the while. So in this article, it focuses a discussion on the phased comparison between 「비스마룩구淸話」 and its original script, English and Japanese translation. Charles Lowe who is author of Bismarck’s Table-Talk(1895) in English version, tried to describe Bismarck as an ordinary person who had an everyday conversation with his family, friends, or neighbors. While Murakami Shunzo who is author of Japanese version 『ビスマ−ク公清話』(1898), described Bismarck as hero again so his politics was maximized. On the other hand, in 「비스마룩구淸話」 of 『朝陽報』, the politics of Japanese version was excluded. 『朝陽報』 did not translate introduction let alone writer’s name, Murakami, and focused his efforts on cancelling out emphasis point in original script. As a result, 「비스마룩구淸話」 became kind of wisdom story and provided both of fun and lesson, so Bismarck was described as a wise man in Korean version. 「비스마룩구淸話」 shows that the scripts considered as the most politic text was introduced different aspect as antipolitics. That’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version and other biography of Bismarck of the same age. Like 「비스마룩구淸話」, de-political translations were not excluded in public opinion at that time. Nevertheless, one of the major reasons that it seems to be excluded is researchers’ awareness of the times stereotypes. The studies in translation experience new rising now. But without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past premise, the studies are likely to settle for the write material principle which is subjected to the view of main history of literature even though new material will be found. Significance and duty of the studies in translation is to provide the power can aware the times newly. 이 글의 목표는 重譯되어 한국에 이른 독일 영웅 비스마르크 전기의 유통과 변이를 추적하여 그 정치성의 분절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1900년대를 대하는 번역 연구의 시각에 일정 부분 균열을 일으키는 데 있다. 주 분석 대상은 『조양보』 연재소설, 「비스마룩구淸話」(1906)다. 「비스마룩구淸話」는 이른 번역 시기와 대상 인물의 문제성, 그리고 수용 경로의 독특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연구사의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스마룩구淸話」의 저본이 되는 영문/일문 텍스트와의 단계적 비교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다. 영문판 저자 찰스 로우는 Bismarck’s Table-Talk를 통해 의외의 비스마르크, 즉 일상적 교제를 풍성하게 나누는 한 인간으로서의 그를 형상화 하고자 했다. 하지만 일역자 무라카미 슌조는 『ビスマ−ク公清話』에서 로우의 비스마르크를 ‘영웅의 像’으로 되돌렸고, 이 과정에서 비스마르크의 정치성은 극대화 되었다. 한편 『조양보』의 「비스마룩구淸話」는 일문 저본의 정치성을 탈각시킨다. 한국어 번역자는 무라카미의 이름은 커녕 사명감 가득한 自序를 조금도 옮기지 않았으며 저본의 강조 지점들을 오히려 상쇄시키는 데 주력했다. 결과적으로 「비스마룩구淸話」 일종의 ‘지혜담’으로 둔갑하여 재미와 교훈을 함께 제공했으며, 이 과정에서 비스마르크는 ‘지혜자’ 다운 품격을 갖춘 모습으로 주조되었다. 「비스마룩구淸話」의 번역은 가장 정치적 텍스트 부류라고 판단해 온 것들이 정치성에서 이탈하여 다른 양상으로 소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동시대의 다른 비스마르크 전기들과도 차별화 되는 지점이다. 시야를 넓혀 보면 「비스마룩구淸話」와 같이 탈정치화 된 번역물은 당대 공론장에서 예외적 존재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것이 예외로 보이는 이유는 연구자들의 고정된 시대 인식에서 기인하는 바 크다. 번역 연구는 새로운 융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시대를 보는 기왕의 전제들에 대한 비판 의식 없이는,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더라도 주류 문학사적 관점에 복속하는 소재주의에 머물기 십상이다. 번역 연구의 의의이자 의무는 오히려 시대를 새롭게 읽어낼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데 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미디어의 콜럼버스 수용: 『독립신문』, 『유몽천자』, 『그리스도신문』, 량치차오라는 매개를 중심으로

        손성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Christopher Columbus' myth of overcoming adversity and “discovering” the “New World” was once undoubtedly strong. Columbus was more than just an explorer; he symbolized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world image and the opening of the modern era. This Western-centric perspective was transplanted into East Asia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nd why the myth arose from th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bout Columbus distributed through various media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Until now, research on the accommodation of Western heroe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has focused on politicians and soldiers. However, Columbus has a larger presence than any other figure introduced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essential materials, this study focuses on Columbus-related information introduc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hrough Columbus' biography in The Independent, The Thousand Character Series, Christian News, and Liang Qichao's editorials. Usually, these texts included an idolization of Columbus, which could deviate from the facts. Notably, the fiction regarding Columbus was intertwined with the context of accentuating virtues such as initiative and perseverance in East Asia,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Columbus was prominently mentioned in 「Enterprise and Adventure」 and 「Perseverance」, in which Liang Qichao discussed the qualities of the modern citizen, and the contents were repeatedly translated into the public sphere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knowledge related to Columbus was reproduced as a discourse of enlightenment by the media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의 신화는 한때 그 누구도 의심할 수 없을 정도로 견고했다. 콜럼버스는 단순한 탐험가가 아니라 작금의 세계상을 구축한, 그리하여 근대를 열었다는 상징성을 갖고 있었다. 이 서구 중심적 관점은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에도 이식되었다. 이 글은 대한제국기의 여러 미디어에 산포된 콜럼버스 관련 지식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의 신화가 어떤 경위와 의도로 구축되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그동안 대한제국기의 서구영웅 수용에 관한 연구는 정치가 및 군인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콜럼버스는 이 시기에 소개된 어떤 인물보다 다양한 지면에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여러 핵심 자료 중 여기서 주목한 것은 『독립신문』, 『유몽천자』, 『그리스도신문』의 콜럼버스 약전(略傳), 그리고 량치차오의 논설을 매개로 신문, 잡지에 소개된 콜럼버스 관련 정보들이다. 이 텍스트들은 대개 사실과는 괴리된 콜럼버스의 이상화된 면모를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량치차오가 근대적 국민의 자질을 논한 「진취와 모험」과 「의력」에서 콜럼버스의 비중이 컸다는 점, 그리고 그 내용들이 대한제국기 공론장에 누차 번역되었다는 점에서 나타나듯 콜럼버스를 둘러싼 허구는 동아시아에서 진취성 및 인내력 같은 미덕을 강조하는 맥락과 혼재되어 있었다. 이렇게 수용된 콜럼버스 관련 지식은 대한제국기 미디어의 자체적인 계몽의 언설로 재생산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한제국기, 세계를 번역하다 -번역하는 주체의 탄생과 한국근대문학사

        손성준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3 No.-

        Despite their inherent heterogeneity, ‘the translated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of during the Korean Empire have until recently constituted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owever, unlike the ‘creative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that focu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most of the translated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were treated schematically in separate spaces. The ‘tradition’ that associates translated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with literary history was formed through the early works of Ahn Ja-san, Kim Tae-joon, and Im Hwa, who, while focusing on translation, did not separate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into translated and creative works. This paper investigated why they did not exclude translated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from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inding that it was not due to their inner characteristics, but because of the effects of translating them. Translation was an inevitable part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 as a modern language communit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were the texts that served this task most faithfully. Since 1905, man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have been translated in the form of ‘books’ characterized by expertise, systematicity, and completeness of knowledge. The intensiv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texts captured the world for their readers, making a large contribution to the imagination of the language community. In addition, they appeared ‘in large quantities’ and ‘simultaneously’ and were continuously ‘advertised’ through print medi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which were widely advertised as ‘translation publishing’ strongly evoked one convergence point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 Thu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egan when contemporaries recognized that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modern world in the contemporary mind. Moreover, the translating subject of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arratives paved the way for th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 and the cre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independence of the translating subject, which was strengthened by the conditions of relay translation, is also among the characteristic phenomena in the early day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대한제국기의 번역 역사전기물은 그 태생적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한국근대문학사의 첫 부분을 장식해 왔다. 다만 문학사적 의의가 집중된 창작 역사전기물과는 달리 별도의 공간에서 소략하게 취급되는 것이 대다수였다. 번역 역사전기물을 문학사로 끌어들이는 ‘전통’은 안자산ㆍ김태준ㆍ임화 등의 초기 작업을 통해 형성된 것인데, 이들 초기의 문학사가들은 역사전기물을 번역과 창작으로 분리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번역된 것을 보다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본고는 그들이 번역 역사전기물의 존재를 문학사에서 배제하지 않은 이유를 역사전기물의 내적 특질이 아니라 그것을 번역함으로써 나타난 효과에서 찾고자 하였다. 번역은 근대적 언어 공동체, 곧 네이션을 구축한 필연적 과정이었고 역사전기물은 그 작업에 가장 충실히 복무한 텍스트였다. 1905년 이후의 역사전기물 다수는 지식으로서의 전문성ㆍ체계성ㆍ완결성을 확보한 ‘책’의 형태로 번역되었다. 세계를 담아낸 조선어 텍스트의 집중적인 출판과 유통은 비가시적 언어 공동체를 형상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이들은 ‘대량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출현했으며, 나아가 인쇄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광고’되었다. “역술”, “역출”했다고 널리 선전되던 역사전기물은 조선어 공동체라는 하나의 수렴점을 강하게 환기했다. 이렇듯 한국근대문학사는 근대 세계에 편입된 조선어 공동체가 동시대인의 심상 속에 자리 잡으며 시작되었다. 한편, 역사전기물의 번역 주체가 연이어 세계문학의 번역 및 한국문학의 창작까지 담당한 점, 중역(重譯)이라는 조건이 강화한 번역 주체의 자의성 등도 한국근대문학사 초기의 특징적 현상이라 하겠다.

      • KCI등재

        검열, 그 이후의 창작: 심훈의 장편소설로 본 식민지 작가의 검열 대응

        손성준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7 No.-

        This paper analyzes Shim Hoon’s response patterns according to the censorship experience repe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his full-length novels. Shim directly revealed the international nature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The Lover of the East, which turned into a domestic problem in another of his works, The Phoenix. In Eternal Smile, he demanded that the reader make existential choices between city and rural life; in Vega, he highlighted women’s issues; and in Evergreen Tree, he highlighted and dealt with va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The power of Shim’s texts to survive the test of time mainly came from his repeated experience of censorship. Although censorship stopped the first two full-length novels that dealt with socialism head-on, it failed to track three of the subsequent novels as they only indirectly covered socialism. His consistent strategy was to criticize Japan’s coercive rule by making accusations against the terrible ruthless reality of colonial Joseon and to describe the Japanese language, Japanese people, and Japan in a negative context. Therefore, even if Shim covered women’s and rural issues, if the focus is only on these problems,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censors from the time as well as current readers to understand his profound strategy. In short, Shim’s novels had a layer of thematic continuity behind the discontinuity in terms of material. A reading technique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ombination of what he showed externally and what he wanted to convey internally as an undercurrent. In addition, Shim Hoon’s cas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in line with the universal experience of colonial writers. 이 글은 심훈의 장편소설들을 중심으로, 반복되는 검열 체험에 따른 작가의 대응 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심훈은 『동방의 애인』에서 사회주의 운동의 국제적 구도를 직접 드러냈고, 이는 『불사조』에 이르러 국내의 문제로 전환된다. 『영원의 미소』에서는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실천적 선택을 요청하며, 『직녀성』에서는 여성 문제를, 『상록수』에서는 농촌 문제를 각각 끌어들였다. 심훈의 텍스트를 살아남게 하는 힘은 주로 축적된 검열 체험에서 나왔다. 비록 검열은 사회주의를 정면에서 다룬 첫 두 장편을 중단시켰지만, 사회주의를 이면에서 다룬 이후 세 편의 추적에는 실패했다. 식민지 조선의 참혹한 현실을 고발하여 일본의 통치를 비판하고 일본어․일본인․일본이라는 공간을 부정적 맥락으로 소비하는 것은 그의 일관된 전략이었다. 그렇기에 심훈이 여성 문제․농촌 문제를 다루었다 하여 그것만을 주목한다면 검열관뿐 아니라 독자 또한 심훈의 의도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는 것이 된다. 심훈의 소설에는 소재적 불연속성 이면에 주제적 연속성의 층위가 존재하고 있었다. 심훈이 보여준 것과 심훈이 전달하고자 한 것을 함께 이해하는 독법이 필요하다. 심훈의 사례는 식민지 작가들의 일상적 체험과 맞닿아 있기에 중요한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번역과 원본성의 창출: 롤랑부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과 그 성격

        손성준 한국비교문학회 2011 比較文學 Vol.0 No.53

        This study analyzes how the biography of Madame Roland, a lady from the period of French Revolution, was changed through the space of translation of Japan-China-Korea connection. Among the biographies of Madam Roland, The Queens of Society(1860), co-authored by Grace Wharton and Philip Wharton of England, shows clearly the translation route to East Asia. In The Queens of Society, she was described as a deficient person in religious and personality though she was a great woman. In Japanese edition, she was introduced as a model of modern woman without negative factor(The Model of Lady, The Queen of Relationship, by Tsubouchi Shōyō, 1887 and The Flower of French Revolution, by Tokutomi Rōka, 1893). Whereas, this model woman was recreated as the origin of revolution by Liang Qichao(A Life of Madame Roland, The Bravest Modern Woman, 1902). His translation allowed the new image of Madame Roland to be introduced in Korea(A Life of Madame Roland, The Best Modern Heroine, 1907). Shōyō, Rōka and Liang Qichao viewed the radicalism of French Revolution from a same standpoint, after Wharton defined that they had to take precautions against it by conservative ideas of revolution. Particularly, Liang Qichao described Madame Roland as a mother of revolution as well as a victim of revolution to show his double recognition of French Revolution. Whereas, in Korea, the conservative ideas of Liang Qichao was deleted(in the newspaper form) or the message of expectation for radical change of society was added(in the book from). To translate Western literatures into China was to receive authoritative information even though it was double translation. For this reason, a translation became the activity to create a new origin, not a relation of an origin and a copy. The texts of Whartons and Shōyō were an origin and a translation but they were not the same story. So were the biographies of Madame Roland by Liang Qichao and Korean translator. Texts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functioned as independent text with originality in each place. The significance of study in translation of East Asia in modern transition is not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literal or liberal translation or research into the level of influence, but to find how intervention of translator create a new originality in the extraordinary nature of the translating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