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래시가드 추구혜택이 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래시가드 추구혜택이 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서울, 대구, 부산, 광주, 창원에 거주하는 248명의 20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 - 5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요인은 편안함추구, 과시⋅유행추구, 이상적체형추구, 개성추구, 젊음추구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래시가드 추구이미지의 요인은 현대성, 활동성, 단정성, 현시성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래시가드 추구혜택과 추구이미지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중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젊음추구는 성별, 한 달 용돈, 래시가드 1회 구매가격에 따라, 래시가드 추구이미지의 현대성은 성별, 학년, 한 달 용돈, 래시가드 1회 구매가격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래시가드 추구혜택은 추구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편안함추구는 래시가드 추구이미지의 활동성과 단정성에,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개성추구는 래시가드 추구이미지의 현시성에,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젊음추구는 래시가드 추구혜택의 현대성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포츠웨어 상품기획이나 프로모션 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rsuit benefit of rash guard on pursued imag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and May 2018 from 248 university students in their’s living in Seoul, Daegu, Pusan, Gwangju, and Changwon.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consist of five dimensions of comfortableness-pursuit, flaunt · trendpursuit, ideal shape-pursuit, individuality-pursuit, and youth-pursuit. The factors of pursued images of rash guard consist of four dimensions of modernity, activity, neatness, and manifestation. It appears to be different between pursuit benefits and pursued images of rash guard, subj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f these, it appears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youth-pursuit of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subject to gender, monthly allowance, and purchase price per rash guard. It appears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odernity of pursued images of rash guard, subject to gender, grade, monthly allowance, and purchase price per rash guard.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give influences on pursued images. Especially, comfortablenesspursuit of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activity and neatness of pursued images. Individuality-pursuit of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manifestation of pursued images. Youth-pursuit of pursuit benefits of rash guard exert a noticeable influence on modernity of pursued images.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the useful sources of sportswear merchandising and promotion.

      • KCI등재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 및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정연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 및 추구혜택과 구매행동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한국화장품 수출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화장품 구매 경험이 있는 베트남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베트남 여성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36부를 제외한 31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도구의 요인분석은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였고, 브랜드이미지와 구매행동은 1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추구혜택은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어 요인 1은 ‘경제성 추구’, 요인 2는 ‘기능성 추구’, 요인 3은 ‘브랜드 추구’로 명명하였다.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각 변수 간 상관관계는 브랜드 이미지는 구매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구혜택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 경제성 추구도 구매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독립변수로써 브랜드이미지는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이미지가 높을수록 구매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화장품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독립변수별로 추구혜택의 하위요인별 경제성 추구,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가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베트남 여성의 한국화장품 추구혜택 중 경제성 추구, 브랜드 추구, 기능성 추구혜택이 높을수록 구매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프로축구 관중의 추구혜택과 재관람의도의 구조모형분석

        김용만 ( Yong Ma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1

        프로축구 K리그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인 관중 유인전략은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관중이 추구하는 혜택과 재관람의도를 가능케 하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관중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의해 첫째, 프로축구 관중들의 프로축구에 대한 추구혜택이 관람태도와 관람만족을 통해서 재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모형을 분석하고, 둘째, 추구혜택, 관람태도, 관람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의 각 개념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프로축구 관중 중 3개 구단(FC서울, 인천FC, 수원삼성)의 홈관중 450명이다. 표집은 편의표본추출법에 근거했으며,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불성실 응답 내용 89부를 제외한 361부를 유효표본으로 선정한 후 연구 목적에 맞게 자료처리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과 AMOS 4.0을 활용하였는데,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은 검증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구혜택을 외생변수로 설정하고 관람태도, 관람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를 내생변수로 설정한 구조모형은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구혜택 중 흥미추구와 일상탈피추구는 관람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추구는 관람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관람태도는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benefits sought, attitude toward the viewing, viewing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were K-league spectator. 361 samples out of 450 sample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were adopted as a final data. We confirmed the goodness of fit test of the model, utilizing SPSSWIN Ver. 12.0 and AMOS 4.0, and after which we tested each hypo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 sought out of benefits sough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viewing. Second, escape sought out of benefits sough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viewing. Third, companionship sought out of ` sought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viewing. Fourth, attitude toward view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Fifth, attitude toward view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Sixth, view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 KCI등재

        헤어스타일추구혜택에 따른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

        박계희(Kye Hee Park),전혜민(Hye Min Jeon),진용미(Yong Mi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헤어스타일추구혜택에 따른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을 알아보고 분석한 결과를 통해 헤어시장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본적 동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수립하며 헤어스타일추구혜택에 따른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에 관련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조사를 위한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54부를 spss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헤어스타일추구혜택 유형과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 요인을 알아보고 차이를 분석하고자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연령은 30대의 여성, 결혼여부는 기혼 여성, 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이 많았다.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 이상에서200만원 미만의 소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헤어스타일추구혜택 요인을 알아본 결과 자아표현추구, 가격표현추구, 사회지향추구, 기능표현추구의 4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고,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의 요인을 알아본 결과 커트행동은 층이 있는 형태와층이 없는 형태, 혼합 형태의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컬러행동은 긍정적 이미지와 새치관리의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셋째, 헤어스타일추구혜택 요인을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기능추구집단, 경제추구집단, 자아추구집단, 사회추구집단으로 분류되었다.넷째, 헤어스타일추구혜택 유형에 따른 커트행동 및 컬러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사회추구집단이 커트 행동 중 층이 있는 형태와 층이 없는 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추구집단은 혼합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추구집단은 컬러 행동차원 중 긍정적 이미지에 기능추구집단은 새치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추구집단은한 가지 커트형태의 행동을 하며 자아추구 집단은 혼합된 커트형태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위해 컬러행동을 하고 기능추구 집단은 새치관리를 위해 컬러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관련 업게는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집단의 특성에 맞는 커트행동 및 컬러행동을 고려하여 다양한 정보매체나 매스컴을 통해 광고할 것을 제안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하여 기술적인 부분을 접목한 실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20-40 In this study, the single women who cut hairstyle action and color according to the benefits soughtto investigate behavior of the market analysis and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air basically motivated toidentify and establish basic data hairstyle seekingbehavior and color behavior cuts benefits associatedwith the marketing strategy to provide a purpose·Empir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a preliminarysurvey research was part of the final 254 spss20.0 usingstatistical programs surveyed to examine demographic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benefitssought and the type of hair style and color behaviorcut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recognize differencesin behavi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rveyedage 30, single women, married women in the maritalstatus, education university student / graduate group.The averag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000,000₩2,000,000 or more in most of the income, respectively. Second, hairstyles benefits sought out factorsresult of self expression in this pursuit, pursuit of pricerepresentations, and social-oriented pursuit, the pursuitof functional expression was derived in four dimensions,cut out the factors of action and color behavior cuts,this results in the layer behavior layers are not in shapeand form, a mixed form of the three factors werederived, color images and marlin action in themanagement of two positive factors were derived.Third, hairstyle, separated by groups seeking tobenefit from the results factors, functional groups seek,pursue economic groups, self-seeking groups, andcommunity groups were classified as pursuit.Fourth, according to the type of hairstyle CutBenefit behavior and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color of this behavior results in social action in pursuitof collective layer in the form of the cut and the flooris not self-seeking groups form influences affecting themix of respectively. In addition, self-seeking groups inthe positive-dimensional image feature color actiongroups are seeking to influence management marlin.This is one kind of social groups are seeking tocut and shape the behavior of self-seeking groups aremixed cut shape and color for a positive image seekingbehavior and ability to manage a group of the marlinaction showed that color. Thus, the more hair-relatedeopge general conclusions on the nature of the collectiveaction and color behavior cuts to meet a wide rangeof modern information media and advertising throughthe mass media suggest.Targeted follow-up study, all age groups combinedwith a substantial part of the technical study hope cometrue.

      • KCI등재

        등산복 추구혜택에 따른 추구이미지와 색선호

        한희정(Hee Jung Han),김미숙(Mi Soo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로 등산복 추구하는 혜택에 따른 집단 간 등산복을 통해 추구하는 이미지와 선호하는 색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고 887부의 설문지를SPSS 19.0의 요인분석, 군집분석, 신뢰도 분석, ANOVA,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산복 추구혜택의 차원을 기준으로 남성은 무관심 집단, 경제성/브랜드추구집단, 기능활동성 추구집단, 경제성/개성 추구집단으로, 여성은 경제성/체형보완 추구집단, 브랜드/개성 추구집단, 소극적 브랜드 추구집단, 소극적 기능성추구집단으로 각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등산복 추구이미지는 매력/패션감각적, 고급/품위 있는, 단순/단정한 이미지의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등산복 추구혜택 집단 간 추구이미지와 재킷, 조끼 티셔츠의 색상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단순/단정한 이미지를, 여성은 매력/패션감각적 이미지를 주로 추구하였다. 남성은 재킷, 조끼, 티셔츠에서 파랑, 남색, 연두, 흰/회색을 선호한 반면, 여성은 빨강, 주황과 같은 밝고 선명한 색상을 선호하였다. 연령대와 월소득에 따른 등산복 추구혜택 집단의 분포차이에서 여성 집단에서만 월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브랜드/개성 추구집단은 고소득층 비율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differences in the pursued images and preferred colorsof mountain gear among the male and female groupsdivided by benefits sought for mountain gear. Data were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nductedto a total of 887 respondents. Factor analysis, clusteranalysis, reliability test, ANOVA, and chi-square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9.0.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Four segments were formulated per gender based onbenefits sought for mountain gear: the indifferent, theeconomy/brand-oriented, the function-ori ented and theeconomy/individuality-oriented for males, and theeconomy/body complimenting function-oriented, thebrand/individuality-oriented, the passive brand-orientedand the passive function-oriented for females. Regardingimages pursued for mountain gear, 3factorswereidentified:fascinating/fashionable,luxurious/refined andsimple/neat im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in mountain gear images pursued, and color preferencesfor jacket, vest, and t-shirt among the groups. Malegroups tended to pursue simple/neat image, whereasfemales did fascinating/fashionable image. The malegroups tended to prefer blue, purple blue, yellow greenand white/grey for jacket, vest and t-shirts; the femalegroups preferred bright/vivid colors such as red andorange.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monthlyincome distribution among the female groups, and thebrand/individuality-oriented showed the highest incomelevel.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박명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is aime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 as well as the effects that wearing attitude has on the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ound capital regions in the hopes of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to their uniforms and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resulting in a positive notion to uniforms being settled in among the students. In the regards of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female students are highly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esthetics, and economy al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factors. It is notable that students in Seoul are pursuing those elements more strongly than those in Gyeonggi-do. As for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safety weighs a lot among female students. Meanwhile, those in Gyeonggi-do were more inclined to economy as they prefer wearing uniform more often than not. Students who are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are less likely to pursue economy, whereas those who are pursuing practicality are pursuing better economy. Those in favor of economy, meanwhile, are pursuing aesthetics, safety, as well as economy.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aesthetics, safety, and economy to b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s, practicality, and the convenience aspects of school uniforms.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편의점 HMR 추구혜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품질의 매개역할

        정해옥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가정간편식(HMR)은 일상생활과 가장 가까운 편의점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구매에 있어 접근성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자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점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HMR 제품 혜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 HMR 추구혜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편의점 HMR 추구혜택과 구매의도 간에 지각된 품질의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조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편의점 HMR의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2.4.2.-2022.4.13. 까지이며, 250부를 배포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본 연구에 부적합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213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편의점 HMR 추구혜택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혜택이 기능적 혜택에 비해 구매의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 HMR의 지각된 품질은 추구혜택(심리적 혜택, 기능적 혜택)과 구매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편의점 HMR에 대한 추구혜택을 파악함으로써 HMR 구매 향상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편의점 HMR에 대한 지각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직장인 여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유형과 지속가능성 의류 구매의도의 영향요인

        고은희,문주옥,김민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types and consumption of sustainable clothing according to clothing pursuing benefits of working wome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ir intention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To do so, we analysed responses from a total of 460 working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above with an annual income of more than 40 million won. The benefits of clothing pursuit by working women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fashion pursuit, brand pursuit, individuality pursuit, social recognition pursuit, and comfort pursuit.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pondents were categorised into three clusters: functional benefit-oriented, complex benefit-oriented, and psychological benefit-oriented. The “comfort- seeking” benefit was above the average for all cluster types, indicating that function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women's clothing consumption. Functional benefits and a low monthly clothing spend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tentions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as were longer-lasting items within a limited budget and lower spending on new clothing. By age, those in their 30s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than those in their 20s, confirming millennials' intention to consciously consume. Finally, offline apparel shoppers through department stores or outlets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sustainable apparel, suggesting that having an interest in apparel consumption and valuing it through direct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sustainable apparel consum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categorising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clothing pursuit benefits to reveal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ustainable clothing consump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fashion industry and consumer research on sustainable clothing consumption. 본 연구는 직장인 여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유형과 지속가능성 의류에 대한 구매의도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연 소득 4,000만원 이상인 20대 이상 직장인 여성 소비자 총 46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장인 여성 소비자의 의복추구혜택은 유행 추구, 브랜드 추구, 개성 추구, 사회적 인정 추구, 편안함 추구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군집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안정 중시형, 복합적 혜택 중시형, 자아실현 중시형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의복추구혜택 요인에 대한 응답자 평균 점수와 군집분석 결과, 모든 유형에서 평균값을 넘긴 요인은 ‘편안함 추구’ 였으며, 이를 통해 여성 의류 소비자들에게 있어 기능적 요소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적 혜택과 편안함 등의 안정감을 중시하고 월 의류 구매 지출액이 낮은 경우 지속가능성 의류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제한된 예산 내에서 내구성이 좋은 상품을 오래 사용하므로 새로운 의류 구매 지출액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 비해 30대의 지속가능성 의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 밀레니얼 세대의 의식 있는 소비 의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백화점 혹은 아울렛을 통한 오프라인 의류 구매자들의 경우 지속가능성 의류를 구매할 의도가 높게 나타나, 의류 소비에 관심이 있고 직접적인 경험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지속가능 의류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화를 넘어 지속가능 의류에 대한 영향요인을 함께 밝혔으며, 향후 지속가능 의류 소비에 대한 패션 업계 및 소비자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여성 소비자의 골프웨어 추구혜택에 따른 구매행동 - 추구이미지, 패션혁신성, 패션관여, 의복평가기준을 중심으로 -

        한희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4

        Lifestyle change and expansion of leisure industry led to an increase of female and young golfers in golf participation, and this extended golf wear market with expansive use as casual out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ursued images,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garment quality evaluation(GQE) of golf wear among female groups segmented by benefits of golf wear.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from 500 subjects with the experiences of purchasing golf wear,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luste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ve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benefits of golf wear, those are the passive ostentation-oriented, the practical individuality-oriented, the positive ostentation-oriented, the individual attraction-oriented, and the practicality-oriented. Regarding images pursued of golf wear,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which are luxurious/fashionable, active, splendid, and neat imag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ursued images,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GQE among the segments. The positive ostentation-oriented showed high level of monthly income, pursued images and GQE, and tended to consider golf wear from various angles of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passive ostentation-oriented showed generally passive propensity of golf wear with low level of pursued images and GQE. The practical individuality-oriented tended to be in middle degree of pursued images, and thought highly of performance cue of GQE. The individual attraction-oriented showed high degree of monthly income, luxurious/fashionable and splendid images, and appearance cue of GQE. The practicality-oriented considered significantly neat style image and performance cue of GQE.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레저 산업의 확장으로 골프인구가 여성과 젊은 층으로 확대되었고 또한 골프웨어를 일상적 캐주얼 의류로 겸용하는 활용성으로 관련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소비자의 골프웨어에 대한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의 골프웨어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패션혁신성, 패션관여, 그리고 의복평가기준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20대 이상으로 최근 2년간 골프웨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고, SPSS 21.0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차원을 기준으로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 실용성 추구집단의 다섯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골프웨어 추구이미지는 고급/패션감각적, 활동적, 화려한, 차분한 이미지의 네 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각 집단의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고 모든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골프웨어에서 디자인과 기능성 등 다각도적 측면에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전체적으로 골프웨어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의 각 요인에 대한 고려 정도가 낮았고 골프웨어에 전체적으로 소극적인 성향이었다. 그리고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은 전체 추구이미지에 대해 중간 수준이었고 의복평가기준에서 성능적 요인을 중시하였다.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은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다수 분포되었고 고급/패션감각적 이미지와 화려한 이미지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골프웨어 평가에서 디자인 등 외관적 특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용성 추구집단은 단순한 스타일과 의복품질 중에서 성능에 대한 고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창원지역 대학생의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이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류민정,최수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Until now,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hat form a lifestyle by combining LOHAS Well-being into one concept, but also have no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HAS well-being lifestyle, body image and sportswear pursuit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LOHAS well-being lifestyle on body image and sportswear pursuit benefits. Those surveyed were selected as 20s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a group of consumers with high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and the status of Changw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pril 2019 for 3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living in Changwon. Data analysis was used by the SPSS program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of the LOHAS well-being lifestyle consisted of five dimensions: family and social orientation, healthoriented, leisure-oriented, environmental protectionoriented and eco-friendly residential-oriented. The factors of body image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thletic ability and weight care; and the factors of sportswear pursuit benefit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trend and show-off, ideal body pursuit, comfort pursuit, personality and youth pursuit. The ROHAS well-being lifestyl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and sportswear pursuit benefits. The LOHAS well-being lifestyle was shown to affect body image and sportswear pursuit benefits, especially the health pursuit of the LOHAS well-being lifestyle was a variable that had a marked impact on body image and sportswear pursuit benefits.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services for fashion stores in Changwon. 지금까지 연구들은 로하스와 웰빙을 하나의 개념으로 조합하여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과신체이미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과의 관계를 분석한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로하스웰빙라이프스타일이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로는 파급효과와 패션 상품의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 집단, 창원지역의 현황 등을 감안해서 창원지역의 20대 대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창원 지역에 거주하는 350명의 20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2019년 3-4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가족 및 사회지향, 건강지향, 여가지향, 환경보호지향, 친환경주생활지향의 5개 차원으로구성되었다. 신체이미지의 요인은 외모관심, 외모만족, 운동능력, 체중관심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의 요인은 유행 및 과시추구, 이상적체형추구, 편안함추구, 개성 및 젊음추구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이미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로하스웰빙 라이프스타일의 건강추구는 신체이미지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원지역패션상권의 마케팅 전략과 건강관련 서비스 개발 시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