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악성 임파종에서 혈청 β2-microglobulin 에 관한 연구

        고은희,김현숙,한지숙,김주항,이삼열,김병수,고윤웅,윤진우,전상일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0 No.4

        Rata 2 microglobulin, a low molecular weight polypeptide, exists in the plasma membrane of all nucleated cells and its normal serum concentration, in free form, is in the range of 1, 500 to 2,000 μg/L, Serum β2-microglobulin is increased in malignant tumors especially in B-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and thus the serum concentration is of help for the diagnosis, therapeutic response and prognosis of these disorders. The author attempted to correlate the serum β2-microglobulin levels and the clinical courses of malignant Iymphomas, in 35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showing normal BUN and serum creatinine levels. These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the in-patients of Severance Hospital, Yonsei Medical Center during September 1984 to July 1985. As a control group, the serum β2-microglobulin levels of 38 healthy subjects were also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rum β2-microglobulin in 38 healthy subjects was 1,827±546 μg/L. The serum β2-mic-roglobulin of 35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revealed 2.298±1.117μg/L. The serum p, microgiobulin in 35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ignificantly(p$lt;0.05). 2) The serum β2-microglobulin level according to clinical stage showed increasing tendency with higher with higher stages. Fourteen patients of stage I or II showed the mean serum β2-microglobulin level of 1,660±688 μg/L and 19 patients of stage g or p showed 2,754±1,196 μg/L. The statistical difference he tween those 2 groups was significant(p$lt;0.005), The serum β2-microglobulin was increased($gt;2,000ug/L) in 35.7% of stage I and g, and 77.8% of stage g and IV untreated active malignant lymphoma. Among the non-Hod-gkin's lymphoma group(n=29), serum β2-microg-lobulin was increased in 35.7% of patients of stage I and in 78.5% of those of stage III and IV. The same increased level was observed in 75.0Fo of Hodgkin's disease(n=4) of stage III and IV. 3) The serum β2-microglobulin level of 16 patients with the systemic symptoms(B symptom) was 2,870±1,203ug/L and 17 patients without B symptom was 1,744±765ug/L(pg0,005). 4) In 13 Patients. serum β2-microglobulin levels were monitored prior to and after the treatment. Six of these patients were responsive to the treatment and their serum β2-microglobulin levels prior to treatment were rather lower than normal. Serum β2-microglobulin level decreased as their clinical courses improves. On the other hand, the other 7 patients who had considerably high serum β2-microglobulin levels showed the increasing tendency of its levels inspite of the treatment. Based on these studie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erum β2-microglobulin determination is a valuable laboratory study in following up malignant lymphoma.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고은희,이진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J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행복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행복감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연결하는 매개요인인 행복감에 대한 이해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계면활성제 SDS가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은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자연과학 논문집 Vol.3 No.-

        정제된 포스포리파제 D(PLD)의 활성도를 계면활성제 sodium dodecyl sulfate(SDS)존재하에서 phosphatidyl choline(PC)를 기질로 조사하였다. PC기질로 달걀PC를 비롯하여 지방산의 길이가 서로 다른 [PC(C_(8:0))], [PC(C_(12:0))], [PC(C_(16:0))], [PC(C_(20:0))]을 사용하여 활성을 측정한 후 비교분석하였다. 지방산 길이의 영향을 SDS 농도와 온도에 현저한 변화를 나타냈다. 기질 PC의 지방산의 길이가 길수록 최적 활성도를 갖는 SDS 농도는 증가하여 37℃일 경우 5 μ㏖의 PC(C_(8:0)), PC(C_(12:0)), PC(C_(16:0)), PC(C_(20:0))에 대해 SDS농도가 각각 7, 11, 12.5,와 18 μ㏖에서 최대 활성도를 나타냈다. 한편 이들 SDS농도 조건에서 효소의 최적 활성도를 나타내는 온도는 지방산의 길이가 길수록 증가하여 PC(C_(8:0)), PC(C_(12:0)), PC(C_(16:0)), PC(C_(20:0))일 때 각각 25, 30, 35 ℃,와 45 ℃에서 최대 활성도를 나타냈다. Egg PC의 최적 조건은 PC : SDS 비가 2 : 1이었으며 온도는 37℃로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지방산 길이에 따른 계면활성제 SDS농도와 최적 온도사이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온도가 틀리면 최적 SDS양도 바뀜이 관찰되었다. The conditions for the optimal PLD activity with the PC containing fatty acyl group of differing chain length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with egg PC as substrate. PC used were egg L-α- Phosphatidylcholine, dioctanoyl[PC(C_(8:0))], dilauroyl[PC(C_(12:0))], dipalmitoyl[PC(C_(16:0))], and arachidoyl[PC(C_(20:0))]. The chain length of the substrate had great effect on the SDS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 for the maximum enzyme activity. In order to have the maximum PLD activity 7, 11, 12.5 and 18 μ㏖ of SDS were required for 5 μ㏖ of [PC(C_(8:0))], [PC(C_(12:0))], [PC(C_(16:0))], and [PC(C_(20:0))] respectively at 37℃. At these SDS conditio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aximum PLD activity were 25, 30, 35, and 45 ℃ for [PC(C8:0)], [PC(C12:0)], [PC(C16:0)], and [PC(C20:0)]. As for egg PC, 2.5 μ㏖ SDS and 37 ℃ were required for the maximum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a corelation exist between surfactant SDS and optimal temperature along the chain length of fatty acid. Furthermore in different temperature an altered optimal amount of SDS was observed.

      • KCI등재후보

        기업가정신교육에서의 Design Thinking 효과성 분석을 위한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고은희,나건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vious stud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esign Thinking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ructuring is necessary for the individuals who are educated because the constituent factors as the evaluation index of the entrepreneurship currently being used is the corporation based on the value orientation of entrepreneurship. This study was based on five dimensions- autonomy, informativeness, risk taking, preactiveness, achievement desire(competitiveness aggressiveness) of Lumpkin and Dess which are widely used as the evaluation index. As the analysis method, Verimax with Kaiser normalization was used, as a result, the new constituent factor, achievement desire, goal orientation, and autonomy were presented. It can be used as new constituent factor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using Design Thinking forward.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교육에 있어서 Design Thinking 활용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진행하였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기업가정신의 평가지표로서의 구성요인은 기업가정신의 가치 지향성에 의거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교육을 받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기에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평가 지표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Lumpkin 와 Dess의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성취욕구, 자율성이라는 구성요인을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 추출 방법으써의 주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회전방법으로 카이저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Verimax)를 활용하여, 주성분을 도출 후 주성분을 토대로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원칙에 부합하도록 구성요인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재분류된 구성요인에 해당하는 새로운 구성요인으로 진취성, 목표지향성, 자율성을 제시하였다. 향우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시한 구성요인을 활용하여 기업가정신교육에 있어서 Design Thinking이 미치는 영향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직장인 여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유형과 지속가능성 의류 구매의도의 영향요인

        고은희,문주옥,김민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types and consumption of sustainable clothing according to clothing pursuing benefits of working wome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ir intention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To do so, we analysed responses from a total of 460 working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above with an annual income of more than 40 million won. The benefits of clothing pursuit by working women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fashion pursuit, brand pursuit, individuality pursuit, social recognition pursuit, and comfort pursuit.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pondents were categorised into three clusters: functional benefit-oriented, complex benefit-oriented, and psychological benefit-oriented. The “comfort- seeking” benefit was above the average for all cluster types, indicating that function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women's clothing consumption. Functional benefits and a low monthly clothing spend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tentions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as were longer-lasting items within a limited budget and lower spending on new clothing. By age, those in their 30s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sustainable clothing than those in their 20s, confirming millennials' intention to consciously consume. Finally, offline apparel shoppers through department stores or outlets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sustainable apparel, suggesting that having an interest in apparel consumption and valuing it through direct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sustainable apparel consum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categorising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clothing pursuit benefits to reveal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ustainable clothing consump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fashion industry and consumer research on sustainable clothing consumption. 본 연구는 직장인 여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유형과 지속가능성 의류에 대한 구매의도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연 소득 4,000만원 이상인 20대 이상 직장인 여성 소비자 총 46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장인 여성 소비자의 의복추구혜택은 유행 추구, 브랜드 추구, 개성 추구, 사회적 인정 추구, 편안함 추구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군집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안정 중시형, 복합적 혜택 중시형, 자아실현 중시형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의복추구혜택 요인에 대한 응답자 평균 점수와 군집분석 결과, 모든 유형에서 평균값을 넘긴 요인은 ‘편안함 추구’ 였으며, 이를 통해 여성 의류 소비자들에게 있어 기능적 요소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적 혜택과 편안함 등의 안정감을 중시하고 월 의류 구매 지출액이 낮은 경우 지속가능성 의류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제한된 예산 내에서 내구성이 좋은 상품을 오래 사용하므로 새로운 의류 구매 지출액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 비해 30대의 지속가능성 의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 밀레니얼 세대의 의식 있는 소비 의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백화점 혹은 아울렛을 통한 오프라인 의류 구매자들의 경우 지속가능성 의류를 구매할 의도가 높게 나타나, 의류 소비에 관심이 있고 직접적인 경험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지속가능 의류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화를 넘어 지속가능 의류에 대한 영향요인을 함께 밝혔으며, 향후 지속가능 의류 소비에 대한 패션 업계 및 소비자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