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조선 후기 한시의 신탐색 ; 조선후기 천기론의 사상적 토대에 관한 고찰 -백악시단의 천기론을 중심으로-

        김형술 ( Hyoung Sool Kim )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1 No.-

        본고는 천기론의 사상적 토대를 고찰하고 천기론이 불러온 창작상의 변화상을 논구한 것이다. 천기론을 문학론으로 본격화한 백악시단의 문인들은 양란 이후 주자학 동요에 대한 반동으로서 理의 실재성을 강조하고 지각(知覺)이라는 특별한 기능을 통해 리(理) 를 체인하는 心의 작용에 주목하였다. 특히 그들의 미발론이 중시한 심(心)의 허정(虛靜)한 상태는 그들의 천기론으로 직결되었다. 천기는 송대에 이미 성리학의 체계로 흡인되어 天理의 묘발처라는 의미로 사용된 용어로 백악시단의 문인들은 인식 대상과 인식 주체 의 두 계기를 관통하여 천기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특히 백악시단이 본격화한 천기론은 주체가 수양을 통해 천기로운 상태에 있을 때 대상의 천기와 조우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는 수사 차원의 복고에 매몰된 채 시를 재주 과시용 여기(餘技)로 여겼던 전대 소단의 인식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것이자 새로운 시 창작의 방향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들은 수사에 견인되어 대상의 참됨도, 주체의 참됨도 상실하게 된 전대 시단을 극복하기 위해 ‘진시(眞詩)’를 전면에 내세웠는데 천기론은 바로 眞詩의 핵심 이론으로서 시가 담지해야 할 정신적 깊이를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천기론은 천리를 체인하기 위해 만물을 통해 현현되는 천기와 조우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종래의 성정론이 이론적 틀로서 담보하기 어려웠던 대상의 의의를 한층 제고시켰다. 아울러 천기론은 천부의 본연한 마음을 강조하고 일체의 가식이나 허위를 배제시킴으로써 진솔한 창작을 가능하게 하였고, 진실한 창작을 전제로 개성적인 시 창작을 이끌었다. 백악시단의 천기론(天機論)은 조선후기 집권계층이 변화된 세계상과 조응하며 제시한 ‘진시’ 창작의 핵심 이론으로 집권계층의 사상이었던 성리학을 문학적으로 변주해낸 것이었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heon-Gi[天機] theory with Baegak[白嶽] poetical circles as the central figure, Baegak poetical circles put emphasis on the substantiality of natural law[天理], and believed that humans could realize the natural law through the human’s perception ability which was inherented in human mind, Especially, their Mibal[未發] theory emphasized the empty and calm condition of mind to realize the natural law, and their Mibal[未發] theory was directly related to their Cheon-Gi[天機] theory, From Song Dynasty[宋朝] downward, Cheon-Gi[天機] has been used as the Neo-Confucian’s term that means ‘the spot where the natural law[天理] is profoundly revealed’, That is to say, Cheon-Gi[天機] is the medium that enables human to realize the natural law, Baegak poetical circles who had faith in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made the Cheon-Gi[天機] into their poetics, They thought that the poetry must be written by the poet who had Cheon-Gi[天機], And they thought that the only poet who had Cheon-Gi[天機] could capture the Cheon-Gi[天機] of poetic object, And furthermore, they thought that the poetry that was written through the the Cheon-Gi[天機] of poetic object and subject was the very masterpiece, The Cheon-Gi[天機] theory brought about changes as follows:First, raised the importance of poetic object, Second, enabled the poet to write a truthful and individual poetyr, In short, The Cheon-Gi[天機] theory that brought about remarkable changes in the poetical history of late Joseon was built on the Neo-Confucian foundation, That is to say, The Cheon-Gi[天機] theory was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 KCI등재

        천기론(天機論)의 사적변이(史的變移)와 농암(農巖)의 ‘천진(天眞)’ 개념 재론(再論)

        이훈 ( Hoon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8 No.1

        본고는 천기론(天機論)에 대한 기존 연구와 쟁점을 살펴보고, 천기론의 사적변이(史的變移) 양상을 농암금창협(農巖金昌協)까지 정리하면서, 농암의 천기론에 등장하는 ‘천진(天眞)’이란 용어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 재론한 것이다. 그 결과 천기론은 고려후기와 조선전기의 성리학자로부터 허균과 장유를 거쳐 농암에 이르기까지 3단계의 변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농암의 ‘천진(天眞)’이란 용어는 장유의 ‘진(眞)’ 개념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닌 유가의 정통 사상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것임을 밝혔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후기와 조선전기 성리학자들이 사용한 ‘순선(純善)한 본원적 성(性)’으로서의 ‘천기’는 장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으로서의 ‘천기’ 개념을 주자주의적 교화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이며, ‘의고(擬古)’와 ‘反擬古’의 개념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이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허균과 장유의 ‘천기’ 개념은 도가의 ‘무위자연(無爲自然)’에 근접한 것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본다면 허균과 장유에 의한 ‘천기’ 개념의 2차 변이는 원개념인 장자의 ‘천기’ 개념으로 회귀한 것이다. 또한 허균과 장유의 천기론이 지닌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반모의(反模擬)’로는 볼 수 있어도 ‘반의고(反擬古)’로는 설정할 수 없다. 필자는 이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장자적 천기론’이란 용어를 그대로 원용하였다. 셋째, 농암의 ‘천진’이란 용어가 이백이 고풍(古風)에서 구사한 ‘천진’의 의미와 일맥상통함을 밝히고, 이를 통해 ‘천진(天眞)= 대아(大雅)= 정(正)’이라는 구도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농암의 ‘천진’은 주자가 말한 ‘성정지정(性情之正)’의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농암 시론의 기저에는 당대에 성행한 의고주의 시풍에서 벗어나 당·송시의 장점을 취합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요컨대 농암의 천기론은 ‘반의고(反擬古)’를 목적으로 하여, 주자학적 교화론이 추구한 ‘성정지정(性情之正)’에 허균과 장유가 추구한 ‘성정지진(性情之眞)’을 통합한 것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필자는 농암의 천기론을 ‘反擬古的천기론’이라 명명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ing research and issues on the theory of Cheon-gi(天機), summarizes all the aspects of historical transition of that theory to the NongAm(農巖) Kim Chang-hyeop(金昌協), and reargues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term?simplicity(天眞)?appeared in NongAm`s Cheon-gi theory. As a result, it shows that had occurred three-stage transition in Cheon-gi theory, from Neo-Confucianists(性理學者) in the late Goryeo(高麗) and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to Heo Gyun(許筠) and Jang Yoo (張維), and to NongAm. It also reveals, NongAm`s simplicity was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orthodox confucianism(儒家) rather than just accepting Jang Yoo`s ‘truthfulness(眞)’.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eon-gi as ‘a pure-good human nature’, used by Neo-Confucianists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is reinterpreted into Chuang-tzu(莊子)`s Cheon-gi as inaction nature(無爲自然) from a perspective of enlightenment theory(敎化論) of Zhu Xi`s thought(朱子主意). And it does not contain the concept of archaism(擬古) and anti-archaism(反擬古). So I denominate it as a ‘Neo-Confucianism Cheon-gi theory’. Second, the term ‘Cheon-gi’ established by Heo Gyun and Jang Yoo is close to inaction nature in Taoism(道家). In the Strict sense, two dimensional transition of that term might be returned to the original concept-Chuang-tzu`s one. In addition, inaction nature in their Cheon-gi theory could be regarded as anti-imitation(反模擬) but could not be set up as anti-archaism. I quote “Chuang-tzu` s Cheon-gi theory”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ird, it is illuminating that the term of simplicity expressed by NongAm is parallel to the meaning of Li Bai(李白)` s ?GuFeng(古風)?, therefore, reasonable conclude that a structure is formed : Simplicity(天眞) = DaYa(大雅) = Rightness(正). So NongAm` s simplicity contains the meaning of Seongjeong-ji-jeong(性情之正) of Zhu Xi. And the base of NongAm` s poetics have a tendency to away from archaism prevailing in those days, and collect benefits of Tang Song` s Poetry(唐宋詩). In brief, this study reconfirms that NongAm` s Cheon-gi theory has an intention of anti-archaism, integrating Seongjeong-ji-jeong pursued by Zhu Xi` s enlightenment theory with Seongjeong-ji-jin(性情之眞) sought by Heo Gyun and Jang Yoo. In that respect, I denominate NongAm` s Cheon-gi theory as ‘Anti-archaisme Cheon-gi theory’.

      • KCI등재

        천기론(天機論)의 비평사적 의의와 한시 창작상의 공효(功效) -백악시단의 시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김형술 ( Hyoung Sool Kim ) 한국한시학회 2014 韓國漢詩硏究 Vol.22 No.-

        본고는 조선후기 시풍 변화를 이끌었던 천기론을 사상적 측면에서 다시 검토하고 창작상에 어떠한 변화를 불러왔는지를 논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기론은『莊子』에 기원을 두었지만 송대에 이미 성리학의 체계로 흡인되었다. 성리학자들은 天機를 天理가 오묘하게 드러난 곳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조선후기 시풍 변화를 선도한 백악시단은 주자학을 바탕으로 성리학의 개념어였던 ‘天機’를 시론으로 발전시키고 ‘眞詩’ 창작의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백악시단이 시론으로 발전시킨 천기론은 기존의 성정론과 상보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시적 대상의 위상을 한층 제고하였다. 백악시단의 문인들은 천기론에 입각하여 시적 주체와 대상의 균형적 관계를 지향하였고, 이를 통해 대상 자체의 의의를 부각시키고 대상과의 깊은 교감을 전면화하는 시적 성취를 이룰 수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d on cheon gi(天機) which leads changes of a style of poetry in late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1. Cheon gi(天機) discussion based on Chuang-tzu, but it was absorbed into neo-Confucian in Song dynasty. 2. neo-Confucianists define cheon gi(天機) as where natural law is delicately revealed. 3. Baegak poetical circles who lead changes of a style of poetry in late Joseon dynasty evolve cheon gi(天機) discussion into a criticism of poems, and used as a base for their Jin poetry(眞詩)’s creation theory. 4. Cheon gi(天機) discussion that was evilved into a criticism of poems by Baegak poetical circles raised the meaning of poetic object. 5. Baegak poetical circles aimed the balance relation between poetic subject and poetic object on their creation theory, Cheon gi(天機) discussion. 6. So, Baegak poetical circles broke from the conventional creation, achieved accomplishment that the realism of poetic object and the spirituality of poetic subject were melded.

      • KCI등재

        고전문학 : 삼연의 천기 개념 형성 배경과 시적 형상화의 양상

        신경훈 ( Kyeong Hoon Shin )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이 글은 삼연 김창흡의 천기 개념을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대별하여 그의 천기에 대한 인식이 시 작품에 표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삼연의 시에서 장자적 천기 개념은 감관의 속박과 기욕에서 벗어난 자유를 ‘망기(忘機)’로 표현하였고, 제물론적 사유와 결부된 천기 개념은 작은 사물의 발랄한 생명성에서 약동하는 천기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즐거운 삶을 누리는 흥으로 표현하였다. 삼연의 시에서 발견되는 성리학적 천기론은 주돈이의 태극론에 인식적 뿌리를 두고 있다. 삼연은 존재의 생성·변화의 근원을 태극에 두고, 세계의 본질을 체용의 원리로 이해하여 물태에서 천기의 움직임을 포착하였다. 천기는 형기의 ‘활의(活意)’이고 천리는 본연의 ‘정리(正理)’로 해석하여, 현실세계에서 형기로 드러나는 천기는 천리를 발현시키는 기제로서 그 생명력을 긍정적으로 인정하였다. 이러한 천기 개념은 인물성 동론에 결부되는데, 삼연의 시에서는 신분귀천을 넘어 사람의 진솔한 성정을 인정하고 물성과 범인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며 만물이 각자의 존재원리에 따라 생명을 누리는 충만한 세계로 표현되고 있다. 삼연의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은 그 인식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태극론과 인물성 동론의 관점에서 해석한 천기 개념은 장자의 제물론적 사유와 상통하고, 주자가 장자의 ‘기욕천기론’을 원용한 견해를 수용한 결과 수양론적 관점에서도 유사성이 발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im, Chang-Heup`s theory of Cheongi into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his understanding about Cheongi in his poem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concept of Zhuangzi`s Cheongi expresses freedom from Shiyu(嗜慾: preferences and desires) based on the restriction of sensory organs and the subjective knowledge as ‘Wangqi(忘機: forgetting the secular world).’ The concept of Cheongi colligating with Qiwulun(齊物論: discourse on seeing all things as equal) is expressed as the enjoyment to find out the movement of Cheongi vibrant with life of small things and live a satisfactory life.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in Kim Chang-Heup`s poems is cognitively established on Zhou Dunyi`s Tai Chi Theory. He considered that the creation and change of being are derived from Tai Chi, understood the essence of the world as the theory of Ti Yong(體用: Substance-Function), and captured the movement of Cheongi in the private and social life of human beings. Cheongi is will to live(活意) from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形氣), and is heavenly principles are analyzed with their own Nyaya; the life of Cheongi, emerged as th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 in the real world, is positively approved as the mechanism to develop heavenly principles. This concept of Cheongi is colligated with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world was a satisfactory place to accept the true nature of people over their social positions, to appreciate the worth of materials and people, and to enjoy own life based on the own existence principl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The concept of Cheongi analyzed with Tai Chi theory and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 between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shares things in common with Zhuangzi`s Qiwulun. Zhou Dunyi accepted the opinion quoting “其嗜欲深者,其天機淺(More preferences and desires one has, further the one grows away from heavenly principles)” by Zhuangzi; as a resul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view of self-cultivation.

      • KCI등재

        삼연의 천기 개념 형성 배경과 시적 형상화의 양상

        신경훈 배달말학회 2014 배달말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Kim, Chang-Heup’s theory of Cheongi into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his understanding about Cheongi in his poem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concept of Zhuangzi’s Cheongi expresses freedom from Shiyu(嗜慾: preferences and desires) based on the restriction of sensory organs and the subjective knowledge as ‘Wangqi(忘機: forgetting the secular world).’ The concept of Cheongi colligating with Qiwulun(齊物論: discourse on seeing all things as equal) is expressed as the enjoyment to find out the movement of Cheongi vibrant with life of small things and live a satisfactory life.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in Kim Chang-Heup’s poems is cognitively established on Zhou Dunyi’s Tai Chi Theory. He considered that the creation and change of being are derived from Tai Chi, understood the essence of the world as the theory of Ti Yong(體用: Substance-Function), and captured the movement of Cheongi in the private and social life of human beings. Cheongi is will to live(活意) from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形氣), and is heavenly principles are analyzed with their own Nyaya; the life of Cheongi, emerged as th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body in the real world, is positively approved as the mechanism to develop heavenly principles. This concept of Cheongi is colligated with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n Kim, Chang-Heup’s poems, the world was a satisfactory place to accept the true nature of people over their social positions, to appreciate the worth of materials and people, and to enjoy own life based on the own existence principl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Zhuangzi’s theory of Cheongi and the neo-confucianistic theory of Cheongi. The concept of Cheongi analyzed with Tai Chi theory and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 between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shares things in common with Zhuangzi’s Qiwulun. Zhou Dunyi accepted the opinion quoting “其嗜欲深者,其天機淺(More preferences and desires one has, further the one grows away from heavenly principles)” by Zhuangzi; as a resul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view of self-cultivation. 이 글은 삼연 김창흡의 천기 개념을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으로 대별하여 그의 천기에 대한 인식이 시 작품에 표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삼연의 시에서 장자적 천기 개념은 감관의 속박과 기욕에서 벗어난 자유를 ‘망기(忘機)’로 표현하였고, 제물론적 사유와 결부된 천기 개념은 작은 사물의 발랄한 생명성에서 약동하는 천기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즐거운 삶을 누리는 흥으로 표현하였다. 삼연의 시에서 발견되는 성리학적 천기론은 주돈이의 태극론에 인식적 뿌리를 두고 있다. 삼연은 존재의 생성·변화의 근원을 태극에 두고, 세계의 본질을 체용의 원리로 이해하여 물태에서 천기의 움직임을 포착하였다. 천기는 형기의 ‘활의(活意)’이고 천리는 본연의 ‘정리(正理)’로 해석하여, 현실세계에서 형기로 드러나는 천기는 천리를 발현시키는 기제로서 그 생명력을 긍정적으로 인정하였다. 이러한 천기 개념은 인물성 동론에 결부되는데, 삼연의 시에서는 신분귀천을 넘어 사람의 진솔한 성정을 인정하고 물성과 범인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며 만물이 각자의 존재원리에 따라 생명을 누리는 충만한 세계로 표현되고 있다. 삼연의 장자적 천기론과 성리학적 천기론은 그 인식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태극론과 인물성 동론의 관점에서 해석한 천기 개념은 장자의 제물론적 사유와 상통하고, 주자가 장자의 ‘기욕천기론’을 원용한 견해를 수용한 결과 수양론적 관점에서도 유사성이 발견된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조선 국왕의 한시에 나타난 천기(天氣)의 인식과 표현 양상

        김남기 ( Nam Ki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본 논문은 조선시대 국왕들의 한시 중에서 天氣와 관련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천기의 인식과 표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列聖御製』의 편찬 과정 및 국왕의 한시 중에서 天氣와 관련된 작품을 개관한 뒤 이들 시편의 창작 동인과 작품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열성어제』에 실린 천기 관련 국왕의 시편은 성종·숙종·영조·정조·익종의 작품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천기 현상 중에서 비와 눈, 해와 달, 가뭄과 홍수 등을 제재로 하여 지은 시편의 비중이 높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농업을 중시하던 사회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喜雨와 瑞雪, 가뭄과 홍수를 제재로 한 시편이 많은 것이 이를 반증한다. 조선 국왕의 천기 관련 한시는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천기와 관련된 국왕의 한시를 天氣의 조화와 驗豊에 대한 기원, 천기의 不調와 民苦에 대한 자성, 天道의 섭리와 物理에 대한 탐색, 천기의 변화와 物象에 대한 玩賞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조선 국왕의 한시에 나타난 천기 인식과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위의 논의를 통하여 국왕의 천기에 대한 인식과 표현은 기본적으로 治者로서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목적의식이 강하게 개입하고 있고, 일부 작품은 개인으로서의 抒情을 토로한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국왕의 천기 관련 한시에는 天人感應 사상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고, 동시에 천기를 통하여 인간 사회의 질서 또는 도덕과 관련지으려는 의식이 개입되어 있음을 살폈다. This paper, king of Joseon dynasty of Sino-korean poems from the weather related works associated with the target recognition and expression patterns of the weather have been studied. Before full fledged discussion, chapter 2 appeared in the weather related Sino-korean poems full look at the kings works and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these specimens were selected categories of work. king`s weather related Sino-korean poems and can b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In this paper, weather related king`s Sino-korean poems. weather poems about the wish of the harmony and good harvest, weather`s disharmony and the self reflection people`s suffering, provision of the duty of the sky and make sense of all things and a search for weather changes and patterns of things in sentiment an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hown in all times of the king`s Sino-korean poems pattern recognition and examined the expression. Throughout this discussion about the weather`s percep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king basically as a ruler trying to promote the stability of livlihood as a purpose and some of work is about appearing the feeling of individual person can see king`s prose that is related weather need to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석파(石坡) 이하응(李昰應)의 천기자발적(天機自發的) 성령경(性靈境)의 심미체현(審美體現) 고찰(考察)

        김명주 ( Kim Myeong-ju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5 No.-

        이 논문은 朝鮮朝 末 정치가이자 書畵家였던 石坡 李昰應의 예술론에 관한 글이다. 석파의 人生歷程은 한편의 드라마이며, 그 드라마는 다시 예술이라는 이름을 빌어 세상과 疏通하고자 하였다. 李昰應은 조선조 말이라는 급박한 역사적 전환기에, 한 왕조를 부정적 강인함으로 이끌었던 인물로 더 많이 刻印되어 왔다. 그러나 그 落魄의 역정을 겪으면서, 정치적 擊爭속에서 실로 많은 작품을 창작한 예술가였기에 더욱 주목된다. 其實, 石坡의 삶은 10년간 擊爭의 정치적 行蹟을 제외하면, 自意든 他意든 落魄의 餘情과 隱居的 삶이 었고, 그 기간에는 詩· 書· 畵로 자신의 심경을 다스렸다. 그는 生을 마감하기 전까지 紀年作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왕실의 종친이었지만 자기철학이 있는 예술가의 삶 또한 소중히 한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자기철학적 예술의 正相은 石坡 李昰應에게서 天機自發的인 性靈境의 審美로서 體現되었다. 이 性靈境의 審美는 단순히 기발한 그 妙相의 構想이 아니며, 效嚬學步의 模擬가 아니라, 自然性情의 드러남인 天機적 妙思이며, 自發的창작이다. 이와 같이 自然· 自發的인 靈感을 의미하는 天機ㆍ性靈論은, 陽明의 心學으로 창작 주체자의 革新적인 自由獨創精神으로 表出되기에 이른다. 石坡 李昰應은 正統의 조선儒者이다. 본디 佛家에 심취한 석파였지만, 평범하지 만은 않은 자신의 人生餘情에서, 살얼음 밑으로 흐르는 계곡물처럼 禪家와 陽明의 心學은, 인생 끝자락에 이른 석파의 內面에서 그를 지탱해주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그를 지탱해주던 석파의 自得的 天機는 비로소 眞書畵로 드러난다. 石坡 李昰應의 `天機自發的 性靈境의 審美體現`은, 天地萬物에 內涵되어 있는 眞自然道를 스승으로 삼고, 生機로써 象形을 `陶冶性靈`하며, 塵俗에서 벗어나 自得한 石坡書畵의 眞我的 意境이 펼쳐진 審美境界라고 하겠다. 이는 `陶冶性靈`하는 석파 예술의 창작과정에서 有我의 강한 自覺的창작 정신인 我法인 것이다. 이러한 審美學 境界는 自得과 自發을 지향하는 석파藝術의 革新的인 自由獨創精神으로 석파의 `我`에 집약되며, 石坡의 詩文에 관한 `有我`는 그의 內面自我에 內涵되어 있는 그 무엇인 天機에 自發的으로 이끌리어 표출된 性靈의 긍정적 審美體現이다. 이러한 석파 이하응을 老傅秋史는 `그 天機가 淸妙하다`고 하였다. This paper is on Seokpa(石坡) Lee Ha-Eung(李昰應)`s art theory who was a politician and a calligraphic painter(書畵家) in late Joseon Dynasty. Seokpa`s life was like a drama and in the name of art, he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drama. Lee Ha-Eung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figure who led a dynasty with negative toughness at an urgent,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of late Joseon. Going through that declining history and political bitter struggles, however, he was an artist who created a number of works, which draws keen attention. Ideals of self-philosophical art is embodied by Seokpa Lee Ha-Eung as aesthetic appreciation (審美) of realm of exquisite nature (性靈境).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realm of exquisite nature is not its novel, clever form or imitation of Hyobinhakbo (效嚬學步, imitating others without judgment of right or wrong) but expression of natural temper through clever thoughts with Cheongi (天機, the secrets of nature) and voluntary (自發的) creation. Thus, Cheongi (天機) is a term which means natural and voluntary inspiration and it is ultimately expressed as a creator`s innovative free and original mind through practical ethics (心學) of Wang Yangming (陽明). Seokpa Lee Ha-Eung is an orthodox Confucian scholar in Joseon. He was initially absorbed in Buddhism but the practical ethics of the Zen sect and Yangming was support in his later years on the inside like water in the valley flowing under thin ice through his complicated life. Seokpa`s Chengi that supported himself is finally expressed as Kaishu painting (眞書畵). Seokpa Lee Ha-Eung`s `embodiment of Cheongijabal aesthetic appreciation for realm of exquisite nature` is what was learned from the way of true nature (眞自然道) implied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shaping for `cultivation of exquisite nature (陶冶性靈)`through a chance to be vital again (生機) and; the realm of aesthetic appreciation where artistic atmosphere of true self entering nirvana (眞我的) on Seokpa`s self-complacent calligraphic painting out of the earthly life lies on. It is a way of one`s own expression (我法) - a strong, conscious creative soul for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有我) in Seokpa`s artistic creation process with `cultivation of exquisite nature.` This realm of aesthetic appreciation is innovative free and original mind in Seokpa`s art that is oriented towards self-complacency and voluntariness, which is focused on his `self (我)` and the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in Seokpa`s poetry and prose is embodiment of positive aesthetic appreciation for exquisite nature expressed through being voluntarily drawn by Cheongi, something implied in his inner self. Chusa (秋史) acclaimed Seokpa Lee Ha-Eung as `one whose Cheongi is pure, beautiful and at the same time, odd.`

      • KCI등재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시론과 한시문학

        박수천 ( Park Soo-cheon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시론은 성정(性情)과 천기(天機)에서 출발해 감인(感人)과 기실(紀實)의 문제로 집약된다. 그는 사람의 성정에서 근본한 시란 작가의 천기가 발현된 것이라 단적으로 말하였다. 그의 성정과 천기의 문학적 논의는 시작품의 ‘감인(感人)’이란 효용론으로 이어진다. 홍석주는 시의 비평적 층위를 ‘의(意), 사(辭), 기(氣)’의 셋으로 나누고 그 각각이 구현해야 할 문학성이 ‘진지(眞摯), 조달(條達), 유동(流動)’이라 말했다. 시작품에 담아낼 작가의 의(意)는 진지해야 하고, 그것을 위해 작품에 구사하는 사(辭)는 조리[條]가 있고 잘 전달[達]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전체적 기세는 자연스럽게 흘러 움직여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어 시작품의 쓰임[用]은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感人]이라 말해, 그의 시론의 가장 독자적인 측면은 바로 감인(感人)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석주는 자신의 시대에서 모의(模擬)와 부화(浮華)한 형식에만 빠져 있는 문단을 비판적 시각으로 보아, 이에 시문학의 근본적 문제를 거론해 감인(感人)의 논리를 한층 더 크게 부각시킨 것이었다. 결국 감인(感人)의 시론은 홍석주 자신이 살았던 그 시대 문단이 지닌 현실적 폐단에 대한 문제 인식과 그 진단에서 도출된 논의라 할 수 있다. 홍석주는 시작품이 진정한 감인(感人)의 효용을 가지기 위해서는 의도된 인위적 꾸밈을 철저히 배격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는 근체시가 지닌 인위적 율격에 대해 부정적인 논의를 펼쳐 보였다. 시의 올바른 길은 응당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인데, 율시가 나온 이후에는 억지로 규정된 율격을 맞추려다 보니, 자연스러운 천기(天機)의 발현과는 거리가 멀어져 마침내 감인(感人)의 시가 되지 못했다고 논의하였다. 홍석주는 당시의 문단을 비판하면서 올바른 문학 창작의 한 방법으로 기실(紀實)을 제시한다. 홍석주는 시작품이 천기자연(天機自然)의 참된 성정을 온전히 발현해 내려면 서정을 하면서 기실(紀實)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기실(紀實)의 논의는 홍석주가 기존의 진경(眞景)과 진시(眞詩) 주장을 끌어와 다시 창작방법론의 핵심적 지향점으로 부각시킨 것이었다. 홍석주의 한시작품에서는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을 대표적인 시적 성취로 거론할 수 있다. 그가 시론으로서 개진한 감인(感人)과 기실(紀實)의 논의가 자신의 작품에서는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으로 표출된다고 하겠다. 평온(平穩)하고 담박(淡泊)한 작품적 풍격(風格)은 홍석주의 시편에서 일찍부터 나타나 보인다. 홍석주는 주로 근체시에서 자신의 작품적 문학성을 이루어냈는데, 별도로 일반적 문인들에 비해 고시(古詩) 작품을 많이 남긴 점이 하나의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다. 홍석주의 시편에는 기실(紀實)의 시론에 따른 사실적(寫實的) 표현이 상당히 두드러지는 편이다. 눈앞의 실경(實景)을 진솔하게 그려내는 작품들이 시문집에 두루 나타나 있어, 기실(紀實)의 지향은 그의 시론과 작품 창작의 기본적 토대였던 것으로 보인다. 홍석주가 자신의 시편에서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으로 지향한 귀결점은 바로 감인(感人)이었다. 작품에서 자신의 진정(眞情)을 자연스럽고 솔직하게 표현함으로써 결국은 그것을 읽는 사람들의 공감을 기대한 것이었다. The poem theory of Hong Seog-joo(洪奭周) is focused on Impressing-someone( 感人) and Recording fact(紀實) that were starting from One’s real nature(性情) and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He insisted directly that the poems expressed one’s own real nature were expressing of writer’s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 His such theory of literature related on the pragmatic theory named Impressing-someone. Hong Seog-joo(洪奭周) had the censorious view on the current literary circles which showed only imitation and splendid appearance. So he emphasized the theory of Impressing-someone more. After all, his theory of Impressing-someone was come from recognizing problems and diagnosis of the his days literary circles. He showed theory of Recording fact(紀實) as the new and correct literary writing method. He stressed on the Recording fact if literary works expressed One’s real nature(性情) wholly without missing truth. Hong Seog-joo(洪奭周) expressed the literariness of Plane light(平淡) and Realistic(寫實) on his poems especially. His theory of Impressing-someone(감인(感人)) and Recording fact(紀實) made the literariness of Plane light and Realistic on his poems. Such literariness came out several poem works his early days. According to his poem theory, he made realistic expression frequently on his many poem works. So intending to Recording fact(紀實) was his basic theory of making poem works.

      • KCI등재

        계곡(谿谷) 장유(張維) 시론(詩論) 연구(硏究) - 『시경(詩經)』의 영향을 중심으로 -

        鄭香春 ( Zheng Xiangchun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어려서부터 타고난 자질이 총명했던 谿谷 張維는 『詩經』 등 유가경전은 물론 道家·佛家·醫卜·天文·地理 등에 통했고, 그의 학문성취도 이에 힘입었음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다. 본고는 이와 같은 학문적 배경을 전제로 계곡의 시론에 끼친 『시경』의 영향에 주목하여 詩序說, 詩史經說, 辭賦說, 天機說을 고찰하였다. 계곡의 「詩序」는 「毛詩序」를 버리고 “淫者自作”설을 주장한 주자의 견해를 정면으로 부정했다. 이는 주자일변도의 학문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고방식으로 학문연구에 임해야 한다는 개방의식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詩史經說은 詩·史·經이 융합된 杜詩는 주로 『시경』을 비롯한 유가경전에서 자양분을 섭취한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杜詩를 詩史로 간주하는 상식에서 벗어난 계곡만의 이해이다. 그리고 “言切志深”, “事核而備”, “刺婉不隱” 등 詩·史·經의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고, 이런 작품이 훌륭한 시라는 詩論의 내함을 추출할 수 있다. 詞賦說은 「離騷」는 『시경』의 변종이고 사부는 또 「이소」의 변체이며, 『시경』, 「이소」, 사부로 이어지는 연결 키워드는 “麗以則”으로 보았다. 사부는 情性을 바로잡고 인간의 양심과 사물의 법도를 회복시키는 등 詩敎의 측면에서 『시경』 등과 근사하다. 단 사부에 경도된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곧 귀신같은 절륜한 文藝의 경지로 파악된다. 이는 “獨秉天機”의 경지에 임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시사한다. 天機說은 천기의 내함을 진솔한 감정을 자연스럽게 발로한 것이라 하여 “성색” 등 형식 요소도 망라시켰다. 천기를 직접 경술과 연관시키지는 않았지만, 시문에 대한 자타의 평에서 언제나 經本설이 주로였음을 알 수 있었고, 시평의 용어나 개념 등도 대체로 유가시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다. 계곡이 주장한 “以人觀詩”시점에서 보면 천기설의 기반은 유가의 시론에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國風을 천기의 시로 규정한 洪良浩의 언급에서도 방증된다. 특히 “以人觀詩”설은 현대의 사회역사비평방법론에 해당하고, “眞情實境”, “情境妥適”은 “情景交融”의 意境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천기설은 현대의 시 창작논의 靈感說과도 맥이 통한다. 요컨대 계곡의 천기설은 재래의 시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대인의 의식에 다가선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다. It is well known that Gye-kok Chang-yu, who was born with bright qualities since he was young, was proficient not only in Yuga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but also in Taoists(道家)·Buddhist(佛家)·medicine and divination(醫卜)·astronomy·geography. And further his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supported by these studies. On the premise of this academic background, this paper studies theory of Si-seo(詩序說), theory of Si-sa-gyeng(詩史經說), theory of Sa-bu(詞賦說), theory of Cheon-gi(天機說),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Odes” on Gye-kok’s criticism of poems. Gye-kok’s “Si-seo(詩序)” had abandoned “Mo-si-seo(毛詩序)” and completely denied Juja(주자)’s opinion that claiming the theory of “obscene writers(淫者自作)”.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n open consciousness that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of thinking, breaking away from the academic atmosphere of one-sided to the Juja. The theory of “Si-sa-gyeng” could be seen that Du’s poetry which was fused by peotry, history, and scriptures were mainly influenced from the Yuga scriptures, including “The Book of Odes”. This is a creative understanding of Gye-kok which has deviated from common sense that regards Du’s poetry as a history of poetry. It is worthy that Gye-kok ha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i-sa-gyeng as “keen and meaningful(言切志深)”, “well equipped content with the point(事核而備)”, “the satire is indirect without hidden(刺婉不隱)” and the content of Gye-kok’s criticism of poems could be extracted from these facts above. The theory of “Sa-bu(詞賦)” considered “I-sao(離騷)” as a variety of “The Book of Odes”, “Sa-bu” as a version of “I-sao”, and the connecting keyword between “The Book of Odes”, “I-so” and “Sa-bu” as “beautiful and custom(麗以則)”. “Sa-bu” is similar to the role of “The Book of Odes” in Si-gyo(詩敎), such as correcting disposition and restoring human conscience and the law of things. However,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Gye-kok’s tendency to “Sa-bu” is identified as the state of spiritual and exquisite literature and art. This suggests that it cannot be achieved unless it reaches the level of “nature’s mystery(獨秉天機)”. The theory of “Cheon-gi(天機)” includes form elements such as “the sound and color of the poem(聲色)” which has the content of nature expression of sincere feelings. Although Gye-kok has not directly related Cheon-gi to scriptures, it was found that his criticism of poems is always based on Yuga scriptures from the reviews by himself or others. His terms and concepts of poetry review generally has not deviate from the category of Yuga’s criticism of po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I-in-gwan-si(以人觀詩)” claimed by Gye-kok, it is clear that the basis of the theory of “Cheon-gi” lies in Yuga’s criticism of poems. This is also evidenced by the mention of Hong Yang-ho(洪良浩), which defines “Guk-pung(國風)” as a poem of Cheon-gi. In particular, the theory of “I-in-gwan-si(以人觀詩)” corresponds to the modern social criticism methodology. “Sincere feelings and realistic environment(眞情實境)” and “suitability between feelings and conditions(情境妥適)” are nothing but the artistic conception(意境) of “fusion of feelings and conditions(情景交融)”. The theory of “Cheon-gi” is in line with the inspiration theory(靈感說) of modern creation of poetry. In short, the value of Gye-kok’s Cheon-gi theory could be discussed in that it approaches modern consciousness while based on traditional criticism of poems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