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 접근을 활용한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C-FCT) 개발

        김경숙,이소희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creativity measurement tool for 3-5-year-old children, called the Child Figural Creativity Test(CFCT) coaching approach which considers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ldren while addressing the need for creative individuals who can cope with and lead changes in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validation from literature and experts, the CFCT is composed of three creativity component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e test was administered to 893 children from seven kindergartens in three regions (Gyeonggi, Jeolla, and Chungcheong) of South Korea to standardize the test. The collected data was sco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o create norms for each age group. The CFCT showed an acceptable level of validity (.804), and high test-retest reliability (.952) and inter-rater reliability (.93~.96). This tes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research and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to approach creativity measurement in children and how to actively engage them in the process. 본 연구는 21C 지식과 정보의 변화에 대처할 뿐 아니라 그 변화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한 시대에 유아들의 발달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가지고 만 3~5세 유아의 코칭 접근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 도구(C-FCT)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의성과 관련된 문헌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3개의 창의성 구성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구성하였다. 본 검사 실시 및 검사 도구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국(경기, 전라, 충청도)지역에서 표집한, 7개 유치원 89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채점하고 통계 처리하여 만 3~5세 각 연령별로 규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칭 접근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 도구(C-FCT)의 공인타당도는 .804로 그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52, 채점자 간 신뢰도는 .93~.96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코칭 접근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 도구(C-FCT)는 유아의 창의성 측정에 대한 접근 방법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유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창의성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이론적 측면, 방법적 측면, 실천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유아 발달을 고려한 유아 창의성 검사 도구로서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도형창의성검사의 구인타당도에 관한 확인적요인분석

        전경남(Jeon Kyungna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1

        유아도형창의성검사(전경원, 2001)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의 창의성연구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창의성 검사 중 하나이다. 유아도형창의성검사는 창의성의 다양한 측면 중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의 4개 요인을 측정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 검사의 구인타당도에 관한정보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확인적요인분석의 방법을 사용해 유아도형창의성검 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아동패널조사의 5차년도 조사에서 총 1,69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수집한 유아도형창의성검사의 점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요인모형을 검증하였는데, 이들 모형은 1) 검사요강의 내용을 토대로 설정한 4요인(A)모형, 2) 4요인(A) 모형에 일부 개별 문항 점수의 오차 분산 간 공분산 관계를 설정한 4요인 (B) 모형, 3) 4요인(B) 모형의 유창성과 독창성 요인을 확산적사고 요인으로 통합한 3요인 모형이다. 확인적요인분석 결과 4요인(A) 모형은 논리적인 해석이 어려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편 4요인(B) 모형과 3요인 모형은 모형적합도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판별타당도 및 검사점수해석의 측면에서 3요인 모형이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유아도형창 의성검사의 구인타당도와 검사의 해석 및 채점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K-FCTYC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Jeon (2001),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reativity tests in Korean creativity research with young children. K-FCTYC is reported to measure the four factors of fluency, originality, openness and sensitivity, but the evidence on the construct validity of K-FCTYC is scarc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K-FCTYC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he scores of K-FCTYC collected from 1,690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5th year's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three different factor models of K-FCTYC was tested, including 1) 4-Factor(A) model, which is based on the facture structure as K-FCTYC's manual suggests, 2) 4-Factor(B) model, in which a series of covariance among error terms are specified to 4-Factor(A) model, and 3) 3 Factor model, in which the fluency and originality factors are combined as divergent thinking factor. The results indicate 4-Factor(A) model is not logically interpretable. On the other hand, both 4-Factor(B) and 3-Factor models show excellent, global model fits, but 3-Factor model is more valid in terms of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the present article provide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on the construct validity of K-FCTYC, and its interpretation and scoring methods.

      • KCI등재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예 ( Kim Mi-yei ),이소은 ( Lee Soe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성과 환경교육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 경험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와 성·연령에 따른 창의성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에 소재한 A, B 어린이집 유아 총 60명이었으며, A어린이집 유아에게는 녹색성장활동을, B어린이집 유아에게는 누리과정을 실시한 후 창의성의 변화정도를 검증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은 유아종합창의성검사(K- CCTYC)로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ronbach`s α, 빈도, 백분율, 그리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 보다 창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창의성은 만4세가 만 5세보다 높았으나, 언어독창성, 신체상상력 등 창의성의 특정 하위영역의 경우 만 5세의 창의성이 만 4세보다 높았다. 또한 성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형창의성의 몇 몇 하위영역의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뛰어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의 창의성 연구 및 교육 활동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creativit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reativity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ag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ixty 4- and 5-year-old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in which children experienced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 and comparison group in which children experienced Nuri program. K-CCTYC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reativity. To analyze the data, Cronbach`s α, frequency, percentile, and ANCOV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participating in green growth program improved significantly in creativity than their counterpart. In general, 4-year-olds` creativity were higher than 5-year-olds`, except certain areas in creativity such as language originality and physical imagination. Although sex differences were rarely found, but boys were higher in certain ares of figure creativity such as fluency and figure originality, flexi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data for children`s creativit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정소윤(Jung, So 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8 창의력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창의성 발달과 자아개념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 창의성과 자아개념 계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아 150명을 대상으로 전경원(2000)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K-FCTYC)와 이경화, 고진영(2003)의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는 읽기자아, 수학자아, 신체자아, 친구관계 자아, 부모관계 자아, 일반자아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도형 창의성 하위요인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과 자아개념 하위요인 읽기와의 관계에서는 창의성 하위요인 모든 영역이 자아개념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하위요인 중 민감성이 높은 유아는 읽기자아, 수학자아, 신체자아, 친구관계, 부모관계, 일반자아가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elf-concept and utilize the results for the basic reference to develop creativity and self-concept. First, the interrelation of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the infant showed generally the relationship of consideration in reading self, mathematics self, physical self, friendship self, parenthood self, general self. Second, in relationship between the subordinate factor of figure creativity such as fluency, creativity, openness, sensibility and reading and mathematics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self-concept, all fields of the creativity subordinate factor was highly related with the self-concept.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the subordinate factor of figure creativity such as fluency, creativity, openness, sensibility and the body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self-concept, the body had little to do with fluency, creativity, openness but it was highly related with sensibility. Forth, in relationship between the subordinate factor of figure creativity such as fluency, creativity, openness, sensibility and the friendship and the parenthood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self-concept, it showed that the friendship was also highly related with sensibility rather than other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volved 150 children under 5 years old who are attending kindergartens in Gwangju. It used “The Test of Figure Creativity of the Infant and K-FCTYC(Jeon, Kyung-won, 1997)” and “The Test of Self-Concept for the Infant(Lee, Kyung-hwa, Go, Jin-young, 2003)” to collect of the data.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gather a statistics of the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of Pearson.

      • KCI등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전래동화 활용 문학 활동의 효과

        정여옥(Yeook Jeong),이경화(Kyunghwa L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 활동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부천시의 2개 어린이집에서 각 1개 반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20명)과 통제집단(20명)으로 설정하고 사전검사로 유아용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실시전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문학 활동을 하는 창의성계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4주간(12차시) 실시하였다. 실험실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수업효과를 확인한 결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 활동은 창의적 능력 중 언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상상력과 유창성, 독창성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도형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완성도, 새로운 요소첨가, 주제, 비관습성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연속성 및 연결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창의적 성격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전래동화 활용 문학 활동은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도형창의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 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the effect of literary activity using transmitted fairly tales on child creativity. To this end, a literary activity program using transmitted fairly tales that improves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40 of young children aged 5 years, 40 of whom belonged to H kindergarten in Pucheon, Gyeonggi-do. Forty young children who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employed in this study included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Pre-pro testing was performed to verify homogeneity and to analyze the experiment result. The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like this; the literary activity of using transmitted fairy tales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language domain and sub-factors as imagination, fluency, and originality of children. And also identified the effects of the literary activity of using transmitted fairy tales on the creativity of drawing domain and sub-factors as completion, new elements, theme, and unconventionality of children. But the literary activity of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didn't ha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hild creative characteristics as curiosity, independence, run-a-risk, and task-commit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literary activity of using transmitted fairy tale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refore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through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ore systematical literary activity using transmitted fairy tales.

      • KCI등재후보

        교사의 발문유형이 유아의 도형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박순애,권오식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발문유형이 유아의 도형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 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S’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4세, 만5세 총 53명의 유 아들을 각각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가지 지시(유창성 지시 vs. 독창성 지시) 중의 하나를 주 고 도형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유아들에게 지시 다음에 네 종류의 미완성도형이 제공되었는데 유아들은 미완성도형을 바탕으로 시간제한 없이 자유롭게 그림을 완성하도록 격려되었다. 유 아들의 창작물을 창의성의 세 측면(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에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 과, 유아들은 독특성 지시조건에 비해서 유창성 지시조건에서 더 큰 유창성, 독창성, 및 정교 성을 보였고, 유창성지시에서 유창성을 증가시키고, 독창성지시에서 독창성을 증가시키는 지 시 의존적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만 4세 유아들 보다 만 5세 유아들에게서 더 큰 창의성 을 보였으며, 발문유형과 연령 간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자극유형(M형, Y형), 선의 유형(실선, 점선), 그리고 성별의 주효과 및 타 변인과의 상호작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가 갖는 함의를 몇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형재료 탐색의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혜(Jeung-hye Kim),이경화(Kyunghwa L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1 Global Creative Leader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조형재료 탐색 후 진행되는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2개의 어린이집에서 각 1개 반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9명)과 통제집단(9명)으로 설정하고 사전검사로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실시전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조형재료 탐색을 경험하고 난 뒤 조형활동을 하는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총10차시 실시하였다. 실험실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효과를 확인한 결과, 조형재료 탐색 후 진행된 조형활동은 창의적 능력 중 언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상상력과 유창성, 독창성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도형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주제요인을 제외하고는 연속성, 완성도, 새로운 요소첨가, 비관습성에서는 유희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창의적 성격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의결과로 조형재료 탐색 후 진행되는 조형활동은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도형창의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조형활동을 할 때 조형재료에 대한 충분한 탐색활동을 진행한 뒤 조형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what the art activities after the experience of art materials have an effe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 With the art activities after experience of the materials for the children,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by revealing whether such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forming the creative tendencies. The summarized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mentioned be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rt activities after experience of the art materials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the linguistic creativity, which is the sub-concept of the children’s creative ability. Second, the art activities after experience of the materia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eme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hildren’s creative ability, the shape creativity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other factors. Therefore, the art activities after experience of the materials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creativity of the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sub-factors of the creative tendency of the children except for the adventurousness such as curiosity, sense of independence and the obsession with the assignment with the art activities after experience of the materials, indicating that such activities affected the improvement in the creative tency of the children.

      • KCI등재후보

        동화 듣기 활동에서 발산적 발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구종(Yoo Kujong),조희정(Jo Heejeong),조칠례(Jo Chilly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동화 듣기 활동에서 발산적 발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4-5세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 각 20명이었으며 검사도구는 전경원(1999)의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사용하였다. 처치는 실험집단의 경우 유아의 침의성에 미치는 호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할한 발산적 발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0주간 30화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동화를 들려주고 동화 내용에 대한 질문 위주로 사후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역별 창의성인 언어 창의성ㆍ도형 창의성ㆍ신체 창의성과 척도별 창의성인 유창성ㆍ융통성ㆍ독창성ㆍ상상력에서 발산적 발문 프로그램 활동 유아들이 동화 듣기 활동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기하였음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Divergent Question Program through a fairy tal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is study was also intented to empirically test The divergent question program Activity is better than a fairy tale listening activity in classified creativity and index classifie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Forty four, five-year-old children in J and D Kindergarte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9. 2. 2002 to 11. 8., three times per week for 10 weeks. The experiment treatment was to listen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o stimulate linguistic creativity, figural creativity and movement creativity. The primary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ivergent question program through a fairy tale affects young children fluency.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a researcher in order to advance young children creativity The Test tool was Korea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 by Jeon, Kyung-Won. Data management was performed by SPSSWlN 10.0, T-test was use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Linguistic Creativity, Figural Creativity, Movement Creativity by t-test post-test dat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divergent question program Activity is better than a fairy tale listening activity. Second, The analysi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magination by t-test post-test dat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divergent question Activity is better than a fairy tale listening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gent Ques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reativity scores and index classified creativity scores, Divergent Question positively affects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기본도형 패턴과 테셀레이션 학습을 통한 어린이들의 인지능력 향상

        채승진 ( Sung Zin Chae ),전경민 ( Kyung Min J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기본도형패턴을 이용하여 어린이용 도형인지 학습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인지능력 발달과 이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도형과 도형패턴은 디자인 요소와 이의 조합 형태임과 동시에 도형과 도형패턴의 인지는 초등수학과정의 주요 내용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본도형패턴 인지훈련은 수학적 문제해결은 물론 조형이해와 창조적 표현을 통해 인지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수학교육과 기본도형패턴 연습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능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지능력향상을 위해 기본도형패턴을 이용한 학습모형을 디자인 하였고 이를 응용 발전시켜 아이디어 생성능력향상을 위한 테셀레이션 학습모형을 개발 제안하였다. 이상의 학습모형의 평가를 위해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용행태 조사와 소감을 정리하고, 수학교육 전문가와 인터뷰를 시행하여 기초적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차후 온라인 시스템의 적용 안을 제안하였다.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design learning models which have the educational effects of enhancing children`s cognitions using basic figure patterns. The cognitive training using basic figure patterns can develop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expression and thus might be a useful method to enhance their cognitions. From literature review, we learned about the effects of mathematical education and basic figure pattern exercise on cognitive ability as well as cognition on creativity. We built two learning models; one for improving children`s cognitions using basic figure patterns, the other for developing their creativities through tessellation. For evaluating these two learning models, tests for observing and assessing children`s performances and interviews with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were carried out. Furthermor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bilities of these models to online environments.

      • KCI등재

        반응중심 그림책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수희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1 기술경영 Vol.6 No.1

        본 연구는 반응중심 그림책감상활동이 만4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K구에 소재한 99명의 유아(실험집단 51명, 통제집단 48명)를 대상으로 전경원(2000)의 유아용 종합창의성검사(K-CCTYC)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첫째, 반응중심 그림책감상활동은 만4세 유아의 언어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응중심 그림책감상활동이 만4세 유아의 도형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나, 하위요인에서 유창성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융통성과 독창성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미래시대 주역이 될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반응중심 접근법을 활용한 그림책감상활동의 이해와 개념 정립, 그리고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