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사상의 변화

        이병욱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이 논문에서는 근현대시기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이전에도 한국불교에는 사회참여의 흐름이 있었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의상(義湘), 고려시대의 의천(義天), 조선시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참여한 의승병(義僧兵)이다. 이러한 흐름이 있었기에 근대에 들어서서 본격적 사회참여사상이 등장할 수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서 불교의 사회참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인 쪽은 만해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이다. 한용운에 따르면, 불교는 평등의 가르침이고 서로 구제하라는 가르침이다. 이 입장에 서서 한용운은 독립운동에서는 민족주의 노선과 사회주의 노선을 화해시키고자 하였고, 농민운동과 여성운동에 대해서는 당시의 현실에 맞는 운동을 할 것을 조언하였다. 이처럼 한용운이 불교의 사회참여를 강조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서 주장하는 반(反)종교운동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그 반대내용은 불교에도 사회주의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고, 또한 종교의 입장에서는 모든 주의(主義)와 제도를 넘어서서 그 시대의 중생에게 알맞은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은 1945년 이후 해방공간 속에서 소멸해 버린다. 그 후 상당기간 동안 한국에서는 변변한 불교 사회운동이 없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사회의 모순을 타파하는 민중운동의 하나로서 민중불교운동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민중불교운동은 기존의 참여전통이 사라진 가운데 갑자기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불교사상의 이해에 문제가 있었다. 이 민중불교의 문제점을 딛고서 1990년대 새로운 불교시민운동이 등장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다. 선우도량에서는 주로 한국불교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것이 점차로 불교시민운동으로 발전해 나간것이라면, 정토회는 한국사회의 문제점(또는 국제적 문제점)을 불교의 입장에서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그렇지만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을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과 비교해본다면, 사상의 ‘폭’과 ‘정교함’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이 더 우월하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change of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of modern Korean buddhism. Before modern times, there wa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n buddhism. It is Uisang in Sillas era, Uicheon in Koryeos era and monk soldier in Joseons era. Because of thi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can appear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Han Yong Woon played an active part. Bu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disappeared through the conflict of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After that, during a good long time, there was no the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 In the 1980s,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as one of popular movement to break down a Korean societys inconsistency. But Popular buddhist movement had a problem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because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suddenly after the disappearance of the existing participation tradition. In the 1990s, new buddhist civil movement to overcome the problem of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The typical groups are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Seon-U Do-Lyang is the group to overcome the Korean Buddhist problem mainly, and it developed into buddhist civil movement. Jeong-To Hwi is the group to solve the Korean society problem a viewpoint of buddhism. But if we compare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with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from the view of thoughts breadth and elaborateness, I think tha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is superior to the viewpoint of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 KCI등재

        불교수행자의 관점에서 본 사회참여

        고미송(Mi Song Koh)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9

        본 연구는 ``불교 수행자``의 관점에서 사회참여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해보려는 시도이다. 불교는 세상을 인식하고 변화시키는 관점이 일반적인 세속의 관점과 다르기 때문에 불교 수행자라면 인식이 다른 만큼 실천의 방법론도 달라야 한다고 본다. 기존의 불교적 사회참여에 대한 논의들이 전제로 하는 사회참여 개념은 근대적 세계관에 입각한 인권과 사회정의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불교적 관점에서는 ``나``와 ``나의 것``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불교적 사회참여를 논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불교 교리 내에서 사회참여를 이야기하는 부분들을 끌어낼 것이 아니라, 불교수행자의 관점에서 수행과 사회참여가 어떻게 통합적으로 성립될 수밖에 없는지를 먼저 성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일부에서는 불교 수행과 사회참여를 범주적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으나 필자는 불교 수행과 불교적 사회참여는 질적으로 다를 수 없다고 본다. 반야바라밀을 떠나서는 수행을 이야기 할 수 없고, 수행을 떠나서는 ``불교적`` 사회참여를 이야기 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다. 이타심과 비판정신은 일반적인 사회참여의 구성요소는 될지언정 불교적 사회참여의 구성요소라고 볼 수 없다. 이타심과 비판정신이 중생의 이기적인 성향에 대한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다면 지혜와 자비의 보살행은 자타의 이분법(이기심 vs 이타심)을 넘어서는 실천이다. 그런데 보살행과 질적으로 구별되는 사회참여라면 그것을 굳이 ``불교적`` 사회참여라고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살행으로서의 사회참여는 참여불교보다는 자비불교로 더 잘 표현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the issue of social engagement from a Buddhist practitioner view. The concept of Engaged Buddhism is based on the premisses of Modernity and its discussions on human rights, social justice etc. But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there is not a separate individual owning his properties. Before we search the grounds of social engagement in Buddhist Doctrine, we should consider how Buddhist social involvement. can not be apart from the practice of Buddhism. There is a tendency to distinguish the category of Buddhist practices from Buddhist social engagement but I don`t agree with that view. Altruism and critical perspectives may be constituent parts of secular social involvement but these are only the antithesis of sentient beings` selfishness, while the practices of Boddhisattvas are based in Prajna Wisdom and Compassion which goes beyond dichotomous epistemolog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ocial involvement lies in its specific views of the world acquired only by practice of Prajna Wisdom and Compassion.

      • KCI등재

        재가자 중심 불교공동체 ‘정토회’의 사회참여운동

        김보경(Kim, Bo-K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토대로 사회참여운 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는 ‘정토회’를 분석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사회참여적인 측면에서는 소극적이었던 불교공동체가 1990년 중반부터 종단의 개혁과 함께 사회참여 노력을 시도해 왔으나 그 성과가 미미했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종단 중심이 아니라 재가자 중심으로 활동하는 ‘정토회’는 기존의 불교공동체가 안고 있던 한계들을 극복하고 나눔의 사회참여활동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정토회는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라는 대승불교 근본정신을 사회참여사상으로 토대 삼으면서 대중들의 삶과 가치에 파고 들어 재가자들을 사회참여로 이끌고 있다. 타 종교인들뿐만 아니라 일반 인들까지 포섭하여 불교 가르침에 근거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사회참여 활동을 이어가는 모습은 현 한국사회가 소통의 사회로 나아가는 데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참여운동에서는 범세계적인 복지문제의 영역인 환경, 인권, 평화 운동으로 나누어 전개하고 있다. 정토회는 불교의 가르침이 우리들의 삶과 긴밀한 상호연결 속에 있음을 위 문제들을 통해 이해시키면서 재가 자들을 사회참여로 이끌어내고 있다. ‘바른 불교, 쉬운 불교, 생활불교’를 기치로 일상적인 사회활동과 수행이 하나라는 것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 다. 정토회의 회원들은 기존의 종단에서 활동을 이끄는 특정 지도자를 따르는 제자가 되기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행복하게 만들어 나가는 수행 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기존의 종교단체가 지닌 사회참여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재가자 중심으로 나눔의 사회참여활동을 확산시켜 나가는 정토회의 활동은 새로운 종교 운동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is study examines the “Jungto-Society,” which has been carrying out a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in Korea. Since the mid-1990s, the Buddhist community, which used to be passive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has endeavored to socially engage as well as to reform the monastic order, but the results were not yet significant. Nevertheless, the Jungto-Society, a community based on lay Buddhists, rather than the monastic order,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communities and continues to systematically conduct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sharing. The Jungto-Societ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Mahayana Buddhism, ‘Sanggubori Hahwa Jungsaeng(上求菩提 下化衆生)’ and encourages the lay Buddhists to be socially participated by digging into the values of public life. The systematic and organize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are founded on Buddhist teachings, which cover not only other religious people but also the public, can b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 atmosphere of communic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 Jungto-Society lead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s by dividing them into environmental, human rights, and peace movements, which consider global welfare problems. It tells lay Buddhists that Buddhist teachings are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ves, leading them to social participation. With their mission of ensuring “right and accessible Buddhism for all,” they prove that daily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us practices are compatible. The members of the Jungto-Society aim to become practitioners who make their lives happy, rather than disciples who follow a particular leader in the existing monastic order, and this aim helps th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ocial activities of traditional religious groups. The spreading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Jungto-Society among lay Buddhists is significant since it spreads out the activities of sharing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religious values in present-day Korean society, where social movements have little influence.

      • KCI등재

        참여불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갈등시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유승무(Lew, Seung-mu)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4 No.-

        이글에서는 사회갈등의 시대인 오늘날 한국불교의 사회참여문제를 체계적으로 논의함으로써그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은 참여불교의 관점을 채택하였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때문이었다. 첫째, 아시아의 참여불교는 한국불교의 ‘은둔’의 전통을 극복하는데 적합한 실천적 모델이나 준거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아시아의 참여불교는 사회 갈등의 조건 속에서 불교의 사회참여방법의 지침을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보다 직접적으로 말하면, 아시아의 참여불교는 사회개혁이나 대안의 사회를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불교문화운동 및 불교사회운동을 성공적으로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국불교다. 과연 오늘날 한국사회의 객관적 조건은 한국 불교로 하여금 사회참여운동을 자극할 정도로 무르익어 있는가? 그리고 오늘날 한국불교는 사회운동을 추동해 나갈 수 있는 주체적 역량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가? 무엇보다도 오늘날 한국사회는 다종교 사회적 특성과 종교의 세속화로 인해 심각한 균열(한국사회의 종교적 균열)을 경험하고 있는데, 이는 불교사회운동을 추동할 조건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집합적 사회운동을 추동해 나갈 수 있는 주체적 역량(주체의 의식이나 조직)은 매우 부족하다. 다만 갈등시대를 경험하면서 최근 한국불교의 핵심적 담지자(agent)인 승려들의 사회참여의식이 다소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국가와 불교 사이의 갈등과 같은 갈등시대라는 조건 속에서 한국불교의 효과적인 사회참여방법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이렇다. 즉 일종의 NGO로서, 정치적 이슈나 공공의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시민사회에 폭넓게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paper examines Korean Buddhism's social engagement issues today, age of social conflicts, and deduces Korean Buddhism's practical implications in such social engage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has adopted the Engaged Buddhist perspective. There are two primary reasons for choosing Engaged Buddhism. First, Asian Engaged Buddhism can provide an appropriate model to follow or criteria in overcoming Korean Buddhism's tradition of "seclusion." Second, Asian Engaged Buddhism offers a guide to Buddhism's social participation to respond to social conflicts. To put it more directly, Asian Engaged Buddhism has led a Buddhist cultural movement, as well as a successful Buddhist social movement, as a means to achieving social reformation or alternative society. What's in question, however, is Korean Buddhism. Have objective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today matured enough for Korean Buddhism to mobilize a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Also, how capable is today's Korean Buddhism of leading a social movement? Above all, today's Korean society is witnessing a severe chasm (religious chasm in Korean society), due to multi-religious social characteristics and secularism. This means the conditions to organize a Buddhist-led social movement exist to a certain degree. However, the principal capabilities (consciousness of actors or organizations) to lead an assembled social movement are seriously lacking. Albeit, the monks, Korean Buddhism's core agents, are seen to have more social participatory consciousness lately, as they experience conflicts. What, then, is the effective method of a social participation for Korean Buddhism? It is desirable for Korean Buddhism to take on an NGO-kind of a role and participate in a wide variety of civil societal matters by paying more attention to political issues and public affairs.

      • KCI등재

        범산 김법린의 사상과 활동

        이봉춘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3 No.-

        근대불교의 대표적 지성 가운데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범산 김법린(1899~1964)은 근현대 불교의 출발을 이끌어간 견인차였다. 백성욱과 함께 한국불교 최초로 유럽에 유학(소르본느 대학)하고 돌아 온 그는 특히 불교계의 계몽과 교육, 교단행정에 헌신하며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범산은 일제치하에서는 조국독립에 앞장섰던 애국지사였고,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사회․문화 등 다방면에서 걸쳐 한국 사회의 지도적 위치에서 활동하였다. 범산의 사상과 삶은 그가 처해있던 시대환경과 조건 그리고 가치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그러나 그의 사상과 삶의 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만해 한용운이었다. 범산이 만해에게서 큰 영향을 받고 있었음은 그의 삶 곳곳에서 확인된다. 서울과 지방에서의 3․1운동 참여, 비밀결사 卍당의 주도, 외국 유학, 승려로서의 帶妻, 불교청년운동 및 불교혁신운동, 광범한 사회활동 등에서 한용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유추할 수 있다. 범산에게 만해는 영원한 스승이었고 만해에게 범산은 그 정신을 물려줄 만한 큰 그릇의 제자였다. 만해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 범산의 사상은 대체로 ‘근대와 혁신의 불교사상’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그것은 다시 ① 민중본위적 불교사상 ② 현실참여의 불교사상의 구체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전자는 민중을 위한, 민중 속에 살아 숨쉬는 불교의 건설을 지향한 것이며, 후자 또한 정신면에서 민중본위적 불교사상과 맥락을 함께하는 불교의 사회적 현실참여를 의미한다. 범산은 불교의 사회적 현실참여를 무엇보다도 중시하였고 그것을 자신의 體化된 삶으로 보여주었다. 불교 내적 활동이라 하더라도 범산에게 있어서 그것은 민중 및 사회와의 연관으로 인해 의미를 갖는다. 그만큼 불교의 현실참여는 불교활동 자체의 외연확대인 셈인데, 범산은 이를 자신의 삶으로 일관되게 실천해 보이고 있다. 요컨대 범산은 민중본위적 불교사상과 현실참여의 불교사상을 통해 근대와 혁신의 새불교를 이룩하고자 한 것이다. 근대․혁신의 불교사상을 지닌 범산이 보여주는 활동과 그 업적은 교단 내에서 뿐만 아니라 불교 밖의 분야에서도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고 광범하다. 그것은 크게 ① 근대적 지성활동과 교단 견인 ② 불교발전을 위한 계몽․교육과 대학경영 ③ 정치․사회․문화적 참여와 공헌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범산의 이같은 불교 내외적 활동은 자신의 불교사상 구현을 위한 치열한 삶의 과정이었고 결과였다. 여기서 범산이 在家승려였다는 사실은 전제로 그의 불교외적 현실참여 부분을 재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관점에 따라 각기 이해가 다를 수 있다. 다만 요점을 말하면 불교인이 있어야할 자리에서 그것이 정치든 사회든 문화든 어떤 현실․현장에서라도 당연히 함께 있어야 하리한 점이다. 불교인으로서 자각과 의식이 있다면 불교 안과 밖의 구분은 그렇게 중요한 문제일 수 없다. 어떤 현실․현장에든 자각과 의식을 지닌 불교인의 참여는 곧 불교활동의 외연확대이며 이는 그만큼 불교의 발전으로 회향된다는 뜻에서이다. 범산의 근대․혁신의 불교사상과 불교 외적 다양한 현실참여 활동이 이를 가장 구체적으로 입증해주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범산의 사상과 활동이 오늘의 한국불교 현실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 크다. Dr. Beop-Lin Kim (1899-1964)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who have led the modern Korean Buddhism. His Buddhist pen name is Beom San. At the outse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while Dr. Sung Wook Paek went to Germany to study Buddhist philosophy, Beom San went to the Sorbonne to study philosophy. After graduating from the Sorbonne, Beom San returned home and produced great achievements especially in the Buddhistic enlightenment,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Buddhist Order. In addition, Beom San was an eminent patriot fought for his fatherlan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he played an active role in many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so forth as an excellent leader. His life and thought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 condition and value of the times which he had undergone. But it was Yong Woon Han(or Manhae) who had greatly influenced on his thought and the way of life. We could confirm those traces of Manhae’s influences in his various life. We could also infer those traces from his following diverse activities such as his participation in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his leading role for 卍 Group of an underground organization, his studying abroad, his life as a married Buddhist priest, the Buddhist Youth Movement,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so on. Therefore Manhae was his everlasting mentor, and Beom San was an excellent disciple worth taking over Manhae’s spirit. Beom San’s thought which was greatly affected by his mentor Manhae is able to be generally summarized as ‘Modernization and Innovation of Buddhist thought’. It seems to be taken shape as both ①the populace Buddhist thought and ②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The former points to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hought both for the public and taking breath in the public, while the latter means 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for the society on the populace Buddhist thought living in the sprit of the time. Above all things Beom San regarded 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for the society very highly and also he showed us it as the embodiment of his life. Even if it would be the inner Buddhist activities, it stands for the correlation to the public and the society. Accordingly 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represents the extensive enlargement of Buddhism and Beom San put it in practice in his own life. In short, Beom San wanted to achieve the modernization and innovation of the new Buddhist thought through both the populace Buddhist thought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By the way, the achievements and activities on modernization and innovation of Buddhist thought of Beom San are remarkably various and cover wide areas not only within the Buddhist Order but in the outside fields beyond Buddhism. His achievements and activities may be summarized as ①modern activities of Buddhist Intellectuals and the traction role of the Buddhist Order, ②the enlightenment an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m, and running a university, ③political, social, cultural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and so on. His inner and outside activities were his own fierce process of life and the results for the realization of his own Buddhist thought. Here we could reconsider his actual participation in the outside activities beyond Buddhism on condition that Beom San was a married Buddhist priest. Even if he was a married Buddhist priest, the above fact that his life was a severe one may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from the individual viewpoint. In conclusion, whether he was a married Buddhist priest or not, even if he might face any difficult situation in political, social, cultural areas, and what not, a true believer in Buddhism would do well to do his best in the actual participation of Buddhism. Because our everyday life should be the way to enlightenment, no matter where we are and whatever we do. If we h...

      • KCI등재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과 제주불교

        한금순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29 No.-

        근대 제주불교의 관음사는 관할 사찰 소림사에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이라는 현판을 달아놓고 제주도민을 위로하는 활동을 거행하였다. 이는 종교적인 범위의 활동이기도 했으나 제주사회 현안에도 참여하여 활동하고자 하였던 제주불교의 활동 양상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이에 한라산신제를 거행하는 제주불교의 활동이 제주불교의 제주사회 참여활동의 일환임을 여타 근대 제주불교 활동 속에서 비교하여 살폈다. 제주도 관음사는 조선시대 국가 의례였으나 1908년 일제가 폐지한 이후 방치되고 있는 한라산신제를 복원하여 제주도민을 위로하고자 하였다. 소림사를 1933년부터 한라산신제를 봉행하는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으로 활용하였다. 특별히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이라는 현판을 내걸어 사찰의 삼성각의 기능을 제주도의 한라산신제단의 역할로 의도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파악하였다. 왜냐하면 근대 제주불교는 꾸준히 종교 활동의 범위를 넘어 제주사회의 현안에 적극 참여하는 활동을 보이기 때문에 이 또한 제주사회를 이해한 활동 중 하나라 보았다. 제주불교의 제주사회 참여활동은 1918년 제주 법정사항일운동으로 그 위세를 떨치기도 하였다. 제주불교협회는 제주도 사회단체들과 함께 제주기근구제회 활동에 같이 참여하고 관음사의 안봉려관은 집행위원으로 참여한다. 또한 만주의 동포가 중국으로부터 학대를 받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제주도의 사회단체들이 만든 재만동포옹호동맹 활동에는 관음사 주지 안도월이 선전부 구성원으로 참여 활동하기도 한다. 제주불교협회 포교당은 제주사람들의 제주사회 참여활동 장소로 제공되기도 하였다. 재만동포옹호동맹의 사무소로 제공되거나 제주청년회, 제주여자청년회의 회의 장소로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드러나는 제주불교의 사회참여 활동을 보건데, 소림사의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이라는 현판은 제주불교가 종교 활동을 제주사회 현안에 참여하는 활동으로 부각시키려 의도했던 활동이라 보았다. Gwaneumsa Temple in the modern periods held the relief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in Jeju, with hanging the signboard of ‘The Sanctum of Hallasan Mountain God in Jeju’ at Sorimsa, one of Gwaneumsa’s branch. It was conducted as the religious ritual with showing the activist aspect of Jeju Buddhis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sm of Jeju Buddhism and the active role of Jeju Buddhism in the ritual for the god of Hallasan Mountain. In 1908, after the abolition by Japanese imperialism in Jeju Island, the consciousness for the god of Mt. Halla was restored with the intention of relief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Gwaneumsa enshrined the god of Hallasan Mountain to Sorimsa as its Samseonggak since 1933. Thereafter, Gwaneumsa purposely emphasized the function of Samseonggak that performed the ritual task for the god of Hallasan Mountain, with hanging the signboard of ’The Sanctum of Hallasan Mountain God in Jeju’, at Sorimsa. It implies that Jeju Buddhism in the modern periods had the activist attitude in regional issues of Jeju beyond its religious practices, Social activism of Jeju Buddhism reached the peak in 1918 when anti-Japanese movement of Beopjeongsa took place. Association of Jeju Buddhism and Buddhist monks of Gwaneumsa cooperated with other social organizations in Jeju for famine relief in Jeju, and political assistance of Korean compatriots in Machuria. In consideration of social activism of Jeju Buddhism, hanging the signboard of ‘The Sanctum of Hallasan Mountain God in Jeju’ at Sorimsa implies the comprehensive and cooperative stance of Jeju Buddhism about regional issues in Jeju.

      • KCI등재

        국가불교의 “호법”과 참여불교의 “호국”

        고영섭(Young Seop K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4

        이 논문은 국가와 종교, 교단과 왕권 사이의 갈등과 상생을 모색하기 위해 논구한 글이다. 붓다의 가르침을 실현하려 했던 전륜성왕들은 ‘바른 법으로 나라를 다스린다’[정법치국(正法治國)]는 원칙 아래 ‘국가를 보호하여’[호국(護國)] 왔다. 그리하여 인도 서역의 전륜성왕은 불국(불국(佛國))을 실현하기 위해 정법에 의해 나라를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때문에 ‘정법을 역설하는’ 교단(불교)와 정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국가(왕권)는 일종의 사회계약을 맺은 관계와 같았다. 하지만 불교가 동아시아로 전래된 이후 불교 지형은 변화하였다. 전륜성왕 추구와 호국사찰 건립 및 문두루비법(文豆屢秘法)을 통한 외침 격퇴 등은 종래 역사 밖으로 벗어나는[脫領土化] 사상으로 인식되었던 불교를 역사 안으로 들어 가는[再領土化] 사상으로 재인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때문에 붓다의 가르침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나라를 보호하려는 제왕에 의해 주도된 호법불교는 타자화된 국가불교이며, 불자에 의해 주도된 호국불교는 주체화된 참여불교라고 할 수 있다. 불교를 통치 이념으로 했던 우리나라의 고대 사국과 통일신라 및 대발해와 고려시대와 달리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하는 조선시대 국왕들의 불교 보호적 경향은 지극히 미미하였다. 때문에 불자들은 호국(護國)적 참여를 통해 불교의 존재감을 스스로 확보해야만 했다. 국왕의 부름에 의해 의승군(義僧軍)의 궐기가 촉발되었지만 그들이 월계(越戒)를 감수하면서까지 일어선 것은 그 역사의식과 시대정신의 체인(體認)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 때문에 호국불교는 특정 정권에 충성하는 ‘어용불교’가 아니라 역사 속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동참한 ‘참여불교’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국왕이 주체가 되는 국가불교와 달리 불자가 주체가 되는 참여불교는 역사 안으로 동참하고 시대속으로 투신하는 불교이다. 다시 말해서 역사 밖에서 국왕에 의해 실현되는 정법치국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호법(護法)과 달리 역사 안에서 불자에 의해 구현되는 극락정토를 주체적으로 움켜안는 호국(護國)은 실천불교의 다른 이름이었다. 그것은 ‘근왕’(勤王)만을 위해 이루어진 것도 아니고, 국왕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국왕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법적 국가불교와 달리 불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국적 참여불교이었다. 따라서 ‘호법’은 국왕들의 불교정책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호국’은 불자들의 불교 참여에 의해 자내화된 불교정신을 실현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국왕에 의해 실현되는 정법치국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호법이 아니라 불자에 의해 구현되는 실천 불교를 주체적으로 움켜안는 호법이었다. 나아가 역사와 현실에 대한 소극적인 ‘피투’(被投, 던져짐)가 아니라 적극적인 ‘기투’(企投, Entwurft, 던져감)였으며, 오늘 여기의 현실을 뛰어서 넘어가는 ‘초월’(超越)이 아니라 지금 이곳의 현실을 껴안고 넘어가는 능동적인 ‘포월’(抱越)이었다. 이러한 기투와 포월의 마음가짐은 오늘날 생태와 자연과 환경 및 통일과 인권 문제 등과 같은 현실적 이슈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동참으로 나아가는 참여불교와 상통하고 있다. 조선시대 의승군이 보여준 ‘호국’을 위한 불교의 의미 역시 바로 이러한 주체의 능동성과 적극성에서 비롯된 ‘참여’로 나아간 불교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oexistence between country and religion or Buddhism and king. The ideal king who realized the lesson of Buddha for ruling ideology ``protected country`` with the principle, ``ruling country with proper law``. Therefore, the ideal king of the western areas of India became the king through an order and they ruled and edified country with an order. Therefore, there was a some kind of social contract between ``Buddhist order (the Buddhism) that advocates an order`` and the country (king) that rules country with an order. However, the Buddhist topology has changed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to East Asia. The search for ideal king, construction of state-protection temple and repulse of Japanese invasion through mundurubibeop(文豆屢秘法) created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Buddhism, which was previously recognized as the existence out of the history, as the existence in the history. Therefore, in the viewpoint of Buddhism, the national Buddhism that was led by king to rule and protect country with the lesson of Buddha can be deterritorialized Buddhism and the engaged Buddhism that was led by Buddhists can be reterritorialized Buddhism. Unlike ancient 4 countries, United Sila, Balhae and Koryeo that adopted Buddhism as a ruling ideology, the kings` tendencies to protect Buddhism were very timid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that adopted 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Therefore, Buddhist should secure own sense of being through state-protection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king, the foundation of monk army was triggered. However, they could rise bearing exceeding precept(越戒) by recogniz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spirit of the age. Therefore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was not the government-inspired Buddhism devoted to a certain government but it can be a model of ``engaged Buddhism`` participating in the history actively. Unlike national Buddhism that is led by king, engaged Buddhism that is led by Buddhists is the one to participate in the history and the age. Unlike the state protection of king that has an objective viewpoint out of the history, the state protection of Buddhists that has a subjective viewpoint in the history was another name of engaged Buddhism. It was not only for the loyalty to king or it was not motivated by the command of king. Unlike the state protectional of othered national Buddhism that was led by king, it was the state protectional of engaged Buddhism that was led by Buddhists. Although ``Buddha Dharma protection`` was performed by the Buddhist policy of othered king, ‘state protection’ could be a subjective Buddha Dharma protection as subjective Buddhists participates in Buddhism. It was not a passive geworf(被投) about history and reality but an active entwurft(企投). It was not the passive transcendence running of today`s reality but the active embracement & transcendence embracing today`s reality. The mind of entwurft and embracement & transcendence corresponds to the engaged Buddhism that is active for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reality issues such as ecology, nature, environment, unification and human right. The meaning of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shown by monk army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uddhism that was led by ``engagement`` originated from the activeness of subject.

      • 지역사회 재가불자의 사회참여

        이철헌(Lee Cheol heon)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9 불교문화연구 Vol.10 No.1

        한국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대승불교를 지향하면서도 고통 받는 민중들에게 다다가 손을 내미는 데에는 아직도 인색한 게 사실이다. 기독교계의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사회참여활동에 자극받아 불교계가 뒤늦게나마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깨닫고 교단에서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니 다행한 일이다. 그러나 세속의 욕망을 끊고 출가하여 수행하는 출가자들이 복잡다난한 현실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오늘날 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은 전문화되고 다양화되었기 때문에 출가수행자보다는 재가불자들이 이해와 판단이 빠르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사회참여에 대한 재가불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중소도시의 지역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대도시와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수도권역에 모든 인구와 각종 시설이 집중됨으로써 그 외 지역사회는 소외되고 있으며, 대도시와 그 외 지역간의 소득과 문화 격차는 심각한 현실이 되었다. 지역사회는 여러 인맥으로 얽혀 있고, 지역 유지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이기주의 성향이 매우 강하고, 경제력이 미약하고, 주민들의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으며, 노인층이 많고, 각종 정보수집이 어렵다. 그리고 지역불교사회는 주지의 독단적인 사찰운영, 신자들의 불교교리에 대한 무지와, 기복적인 신앙형태, 출가자와 재가신자들의 의식수준이 낮으며, 신도의 노령화로 사회참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에서 재가불자들이 사회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불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보리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사찰과 연대하여 출가자와 재가불자가 함께 사회참여를 해야 하며,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가능한 자원을 가지고 작게 천천히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사회단체와 협력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하고 교육과 경험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Korean Buddhism is stingy in giving its hands to the public even though it aims Mahāyāna Buddhism which practices the way of bodhisattva that redeems mankind pursuing enlightenment. Encouraged by the active and broad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of Christianity, Buddhism real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engagement and expanded support and interest in it. However, it s hard for monks to worry about and solve worldly problems since they became monks to cut off worldly desire and relations. In addition, the number of monks is insufficient to engage in diverse social problems. Because many problems of modern society are specialized and various, Buddhists who understand the problems well and have good judgment are more adequate in social engagement than monks. Commun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ve plenty of differences from major citie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etc. Communities are excluded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and facilities in capital area. The cultural gap between major cities and the other regions became severe realities. Communities have many personal connections and community leaders have vested rights. Communities have regional self-centeredness, little economic power, and plenty of senior citizens. Members of the communities lack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ability to gather information. Buddhism of local society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social engagement owing to a dogmatic management of chief buddhist monk, ignorance of buddhist doctrines, inconsistent form of faith, low awareness of buddhists, and aging of buddhists. For buddhists to engage in society they should have accurate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mercy in advance. Buddhists should participate in society along with monks banded together with local temples. They should start slowly with enough resources to fit local needs. Lots of people should join and experts should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 KCI등재

        현대 觀音菩薩像 新圖像과 관음신앙의 경향

        KIM HYE BUM 불교미술사학회 2018 불교미술사학 Vol.26 No.-

        This study analyzed the new icons of nine Avalokitesvara at the four temples in Korea. It investigated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new birth to this icons. Also it examined the new trends and significance to the modern faith of Avalokitesvara through the new icon. It is summarized that what messages are given to Buddhists living in modern times by the following four types. First is the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the farmers' association movement. Second is the practical movement to carry out work and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arming movement. Third is the Religion and World Peace Movement by Practicing nonpossession and noble poverty. Fourth, Let's live as a Buddha as an edification, practice, and propag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Buddhist University. All of which has an enlightening character that demanded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nded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on the premise of practical Buddhism. The faith of modern Avalokitesvara contained the both of the 'Reliance upon Avalokitesvara' and 'one's own strength'. It still has retaining the traditional icons it relies on the Avalokitesvara faith as a saviour.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newly emerged the new Avalokitesvara icons reveal the practical idea that Buddhists themselves encounter and challenge to the problems and demands of the present age.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as a step in recognizing that the Avalokitesvara faith of Korea has grown to pursuing that the happiness are given by the practice and effort. The balance of the both that is to inherit to cause of the 'benefitting oneself and others' pursued by the Mahayana Buddhism, it will be expected to grow into a more solid public faith of Avalokitesvara in the modern and future of the world. In addition, the leaders‘ role to public is very importance, and revealed the influence of innovative ideas and actions. Finally, the part that can not be left out of this study is that the laymen, rather than the Buddhist priests, show the movements of local propaganda more actively. 이 논고는 네 곳의 사찰에 봉안된 9구의 새롭게 출현한 관음보살상의 신도상(新圖像)을 분석하고, 현대에 도상이 탄생하게 된 동기와 배경을 조사하였다. 그신도상에 투영된 한국 현대 관음신앙의 신(新)경향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것이현대의 불교계와 미술사에 어떠한 메시지를 주고 있는지 요약하여 다음의 4가지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농민결사운동을 통한 불교 사회참여와 개발(開發)’, 둘째, ‘농선(農禪)운동으로 일과 수행을 동시에 이루어 나가자’는 실천운동이다. 셋째, ‘무소유·청렴을실천하며 종교와 세계의 평화운동’이다. 넷째, ‘불교 교육을 통한 중생교화·포교· 실천·수행·붓다로 살자’이다. 각 사찰의 관음보살상의 독특한 신도상의 형상과단어의 뜻만 달리했을 뿐 이 모두는 불교계의 사회참여를 요구하며 실천불교를 전제로 한 대중의 의식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담겨있는 계몽적 성격을 가졌다. 현대 관음보살상의 신도상에 투영된 관음신앙은 타력적인 요소와 자력적인 요소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다. 관음보살상의 획기적인 신도상을 창출해내면서도 기존의 전통도상을 유지했다는 것은 구제자로서의 관음신앙을 의지하는 것이다. 반면에, 새롭게 출현한 관음 도상들의 특징과 조성 배경은 불자들 스스로가 현시대가 당면한 문제와 요구에 부딪히면서 개선해 나아가는 실천사상을 드러냄으로써, 본인과 가족만을 위한 기도를 넘어서 이웃과 사회 전체를 정토로 만들려는 ‘자리이타’의 사상이 두각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관음신앙이 토착신앙과 융합하여 현세 이익만을 추구했던 기복신앙에서 한걸음 성장하여 신앙도 복도 자신이 실천해갈 때 주어짐을 이해하는 과정에 들어선 것으로 해석된다. 관음신앙의 양면성인 타력과 자력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대승불교가 추구하는 ‘자리이타’의 대의를 계승하는 것으로서현대와 미래의 더욱 단단한 대중의 신앙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사회대중을 이끌어갈 사찰의 지도자들이 붓다의 교설을 대중에게 어떻게 전하고 계몽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 대중에게 가장 친화력 있는 관음신앙의관음 신도상을 표현해 내었고, 그것에 부합되는 행동으로 전력 질주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좌시할 수 없는부분은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들이 사찰의 소임자로서 불교의 정법에 의지하여 더욱 적극적인 지역포교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대승불교사상과 사회참여 一考

        박경준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4 No.-

        대승불교는 불교 본연의 종교적 생명력을 회복하여 사회대중과 소통하며, 그들을 고통과 미혹에서 구제하려는 적극적 실천불교 내지 참여불교의 성격을 지닌다. 대승불교는 무엇보다도 생사와 열반을 분별하지 않고 眞諦와 俗諦를 원융하게 보아, 현실세계를 인정하고 따뜻하게 포용한다. 또한 대승불교의 化現(incarnation) 사상에 따르면, 여러 붓다와 보살들은 이미 깨달았지만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화하여 이 세상에 화현한다. 따라서 이 화현 사상을 통해 볼 때 불보살에서 깨달음을 향한 개인적 수행은 곧 중생구제의 실현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眞俗不二와 化現思想은 대승불교의 사회참여 내지 사회적 실천의 사상적 근거가 된다. 또한 『大般浬槃經』의 한 가르침에 따르면, 四大, 時節, 土地, 人民등 네 가지(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이 가르침은 일종의 사회윤리를 강조한 것으로 우리는 공동의 행위와 노력을 통해 사회적․자연적 고통과 재난을 극복해 가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대승불교의 적극적이고도 구체적인 실천의 이념은 6바라밀의 실천덕목은 물론 아미타불의 48원, 약사여래의 12대원, 보현보살의 10대원, 승만부인의 10대원 등에 두루 나타난다. 대승의 보살은 수도생활과 일상생활을 분리시켜 보지 않는다. 보살은 현실을 떠나지 않고 현실의 한복판에서 대승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이다. 오늘의 불교인은 이러한 대승의 자비정신을 통해 인류가 당면한 양극화와 생태환경 등의 심각한 위기를 극복하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가야 한다. Mahāyāna means the 'Great Vehicle', which has the great teaching of conveying all others as well as oneself from this shore of suffering and death to the other shore of comfort and life. The Mahāyāna Buddhism originated to overcome the Abhidharma Buddhism that was excessively immersed in pedantic interpretations of Buddhist teachings and fail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as a 'living religion'. On that ground, Mahāyāna Buddhism lays emphasis on the perfecting of self for perfecting others as well as the attainmentof Enlightenment. It restores the religious vitality of Buddhism in itself, and sympathizes with people in society while it plays an active role of practice and Engaged Buddhism to saver them from sufferings and delusions. Mahāyāna Buddhism takes in reality as it stands, not separating nirvāna from life and death, and conceiving of oneness with the ultimate truth and the relative truth. In Mahāyāna Buddhism, many Buddhas and Bodhisattvas are incarnated in the phenomenal world to save suffering sentient beings. The Non-dualism of the two Truth and Incarnation are ideological bases for social practice and social engagement in Mahāyāna Buddhism. In the Mahāparinirvāna Sūtra, a perons's suffering and pleasure are influenced by four variables-the four primary elements of earth, water, fire, or wind; the time of the year; the land; the people-as well as karma, the consequences of all one's actions from former lives. As a kind of social ethics, this teaching tells us to overcome social difficulties or natural disasters through collective actions and efforts. It is the time for Buddhists with the spirit of Mahāyāna to give affectionate attention and help to people in suffering. Furthermore, we should make collective social endeavor to change the organizational contradictions of significant reproducing conflicts and discontents in the present policy, society and economy. Mahāyāna means the 'Great Vehicle', which has the great teaching of conveying all others as well as oneself from this shore of suffering and death to the other shore of comfort and life. The Mahāyāna Buddhism originated to overcome the Abhidharma Buddhism that was excessively immersed in pedantic interpretations of Buddhist teachings and fail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as a 'living religion'. On that ground, Mahāyāna Buddhism lays emphasis on the perfecting of self for perfecting others as well as the attainmentof Enlightenment. It restores the religious vitality of Buddhism in itself, and sympathizes with people in society while it plays an active role of practice and Engaged Buddhism to save them from sufferings and delusions. Mahāyāna Buddhism takes in reality as it stands, not separating nirvāna from life and death, and conceiving of oneness with the ultimate truth and the relative truth. In Mahāyāna Buddhism, many Buddhas and Bodhisattvas are incarnated in the phenomenal world to save suffering sentient beings. The Non-dualism of the two Truths and Incarnation are ideological bases for social practice and social engagement in Mahāyāna Buddhism. In the Mahāparinirvāna Sūtra, a person's suffering and pleasure are influenced by four variables-the four primary elements of earth, water, fire, or wind; the time of the year; the land; the people-as well as karma, the consequences of all one's actions from former lives. As a kind of social ethics, this teaching tells us to overcome social difficulties or natural disasters through collective actions and efforts. It is the time for Buddhists with the spirit of Mahāyāna to give affectionate attention and help to people in suffering. Furthermore, we should make collective social endeavor to change the organizational contradictions of significant reproducing conflicts and discontents in the present policy, society and e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