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문소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the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Eighty youth soccer players were assigned to either a song-based music therapy group or a control group.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the Exercise Stress scale and the Athle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aired 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osttest score on the exercise stress measure than the control group (p<.01).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test to posttest on the exercise stress measure (p<.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t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 (p<.01).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pretest to posttes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p<.05). The results suggest that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at lowers exercise stress and rai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소속 유소년축구선수 80명(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1명)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실험집단은 소규모(8-11명)로 나누어 주 4회, 45분씩,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운동스트레스척도와 운동선수 긍정심리자원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동질성검정과 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p<.01). 운동스트레스 사전․사후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둘째, 긍정심리자원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01). 긍정심리자원 사전․사후점수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자원 지지와 긍정정서 유도를 통한 운동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긍정심리자원 형성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우울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선명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of university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36 athletes of K University in Seoul were composed of 18 experimental groups and 18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mposed of total 18 times for each 120 minutes for one time a week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Aug 31 2012 to Jan 4 2013. A pretest and a post test of stress using the perceived stress standard, depression standard were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7.0 Vers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C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a lower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statistical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meaningful impact on perceived stres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ired t-test there was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effect on the perceived stress than depression.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우울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K대학 체육학과 운동선수 36명을 대상으로 18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2012년 8월 31일부터 2013년 1월 4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 대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Beck(1967)이 제작한 척도를 수정한 우울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Cohen, Kamarck & Mermelstein(1983)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 대응표본 t-검정 등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울감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집단미술치료가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 감소와 우울감 완화 중 어떤 부문에 더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분석한 대응표본 t-검정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감‘보다 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선명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athletes. The subjects were 68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to the art therapy course at N University in Seoul.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for 120 minutes. once a week over 15 sessions in total.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following indexes were used: the index of perceived stress standard, the index of athletic stress, the index of PITR, the index of depression, and the index of self-esteem.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the before and after therapy sc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perceived stress and athletic stres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stress coping. Second, in the case of the index of PITR, the posttest score was significantly low rather than the pretest score.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ccordingly, the group art therapy had effects on the perceived stress standard, athletic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However, the group art therapy had no effects on the academic stress coping and the stress coping of PITR.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N대학교 미술치료강좌에 등록한 대학 운동선수 68명을 대상으로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5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스트레스 설문지,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우울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등의 평가도구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각 척도의 사전․사후 평균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와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사전․사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통한 스트레스 척도의 경우 사전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우울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의 경우 사전․사후 평균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 운동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나,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이나 ‘빗속의 사람’그림검사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능력에는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

      • KCI등재후보

        집단운동 프로그램이 척수손상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생활근력에 미치는 영향

        신영일,이형수,장용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7 재활복지 Vol.11 No.3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에 내원하여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는 24명(훈련군 12명, 대조군 12명)의 척수 손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운동 프로그램이 일상생활동작과 생활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대상자들은 미국척수손상협회의 분류에 의하여 손상정도가 A, B 등급인 흉, 요수 손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은 SCIMⅡ를, 생활근력은 BT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훈련군은 근력강화운동, 의자차 사용 기술, 사회적응훈련 등 집단운동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물리치료가 제공되었다. 8주간의 운동 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훈련군은 운동 전후에 자조관리, 호흡근과 괄약근 관리, 실내외 이동, SCIMⅡ 총점, 의자차 추진력, 핸들 회전력, 휠체어 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대조군에서는 자조관리, 호흡근과 괄약근 관리, SCIMⅡ 총점, 의자차 추진력, 휠체어 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실내 이동, 실외 이동, 핸들 회전력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운동 전후의 변화량에 대한 훈련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비교에서도 SCIMⅡ와 의자차 추진력, 핸들 회전력, 휠체어 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훈련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집단운동 프로그램이 척수손상인의 재활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exercise program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muscle strength in the spinal cord injury(SCI) person. 24 subjects with SCI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ercise(12) and control(12) group to randomized. Exercise participants receiv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50 minutes in 3 times a week for 8 weeks while control group continued their general physical therapy. The therapeutic effect was evaluated by Spinal Cord Injury Measurement Ⅱ(SCIM Ⅱ), BTE Work Simulator(wheelchair propulsion, steering torque) and wheelchair propulsion velocity. In analyzing the data,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computing average and standard ceviation,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M Ⅱ(self-care task, respiration and sphincter management task, indoor & out door transfer, total score), wheelchair propulsion, steering torque and wheelchair propulsion velocity(p<0.05).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task, respiration and sphincter management task, total score, wheelchair propulsion and wheelchair propulsion velocity(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oor & out door transfer, steering torque(p>0.05). After the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are task, respiration and sphincter management task, indoor & out door transfer, total score, wheelchair propulsion, steering torque and wheelchair propulsion veloc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group exercise program. Thus, group exercise program can result in improved ADL and muscle strength the SCI peopl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how longterm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SCI people.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자기효능감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신유영(Shin You-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를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에게 적용하고 자기효능감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U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야구선수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주1회 3시간씩 12회기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과 운동스트레스이며 사전, 사후, 추후 점수에 대해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그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자신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group art therapy to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and verify the effect on self-efficiency and exercise str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0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based in U city were divided into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12 consecut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er weekly for 3 hours each.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efficiency and exercise stress, and the repeated measurements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e-, post-, and later scor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of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and their sub-factors - self-regulating efficien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in self-confidence.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exercise stress in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KCI등재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김용숙(kim Yong-sook),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K구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들 가운데 MMSE-K를 실시하여 총점이 19점 이하에 해당되는 경증 치매노인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 총 16명을 선정하여 무선배치하고 실험집단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5회기 프로그램을 매주 1회씩 60분간 진행하였다.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판 MMSE-K와 인물화 그림검사, KISE발달척도를 사용하여 점수를 측정하였다. 윌콕슨 검증으로 양적분석을 하고, 인물화 그림에서는 녹음과 관찰, 형식적․내용적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치매노인의 하위요인인 4개의 영역과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인물화 검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빈도분포를 양적 분석한 결과 인지기능이 향상되었고, 질적 분석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형태․공간 인지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치매노인의 소근육 운동의 하위요인인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서 부분적으로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셋째, 회기별 프로그램 질적 분석에서도 종이매체의 반복적 사용으로 치료적인 중재를 지속할 수 있는 인지적 자극훈련과 지속적인 손의 감각자극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medium of paper on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A total of 16, composed of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articipants used Seoul K-Gu Day Care Center and scored below 19 points in the MMSE-K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carry out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weekly, 60-minute session every Thursday for a total of 15 programs, excluding pretest and posttest, from Oct. 2017 to Feb. 2018. The Korean-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Human Figure Drawing tests and KISE development scale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s. Specifically,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qualitative analysis using recording,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ategories as well as in the overall resul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categories of fine motor skills, including accuracy, cognitive movement, and writing skil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ult. In the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suggested that cognitive stimulation training, which sustained therapeutic intervention by repetitive use of paper medium and continuous stimulation of hand sensation, positivel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 KCI등재

        온라인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이 성인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규리 ( Gyuree Park ),이승호 ( Seungho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기반 심리치료인 감각운동 심리치료(SP)를 온라인 화상으로 운영한 집단상담이 성인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친밀관계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성인 여성들의 건강한 생활 영위를 돕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지원한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통제집단(13명)과 실험집단(13명)을 모집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은 16회기(55분/회기) 동안 온라인 화상운영의 환경성에 적합하게 구성된 SP 집단상담에 참여하여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분산 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성인 여성들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친밀관계경험에 긍정정인 영향을 주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함의를 기초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which operates sensorymotor psychotherapy (SP), which is a body-oriented psychotherapy,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of adult women, and to help healthy living of adult women living in the COVID-19 era.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group (13 people) and the experimental group (13 people) were recrui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P group counseling, which wa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ality of online video operation during 16 sessions (55 minutes/sessions), and the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and the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verified that it had a positive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and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of adult wome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linical intervention plan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긴장이완, 만성 통증에 대한 인지, 신체자각에 미치는 효과 -광주 5·18 민주화 운동 생존자들 중심으로-

        양현경 한국명상학회 2016 한국명상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광주 5?18 민주화 운동 생존자들의 긴장이완, 만성 통 증에 대한 인지, 신체자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에 거주 하며 광주트라우마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5?18 생존자 5명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으로 2015년 9월1일부터 12월 1일까지 주 1회 (매회 90분) 11주간 실시하였다. 효과를 측정하 는 척도는 긴장이완척도, 통증파국화척도, 신체자각척도를 실시하고 미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긴장이완, 신체자각 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났다. 이는 신체중심 집단심리치료가 심리적 외상이 있는 생존자들의 부교감신경계를 자극하 여 긴장을 낮추고 이완 반응을 증가시키고, 신체자각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