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疾病 소재에 대처하는 韓國漢詩의 몇 국면

        김동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9 고전과 해석 Vol.6 No.-

        이 글은 한국한시에서 질병이라는 소재가 어떤 양태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몇 갈래로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 질병 소재의 한시 작품들이 시적 질감의 층위에서 다양한 차이를 지니고 있었으나, 이를 1) 비애와 연민 그리고 초연으로 향하는 경우, 2) 해학으로 뻗어나간 경우, 3) 주변인의 질병에 시선을 모으는 경우, 4) 대사회적 비탄과 분노의 매개가 되는 경우로 나누어 개괄하였다. 이는 서글픔, 웃음, 안타까 움, 분노라는 네 갈래의 정서적 국면과 대응될 수 있다. 질병 소재에 대처하는 한국한시의 특징적 경향은 우선 비속한 시선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속담, 판소리, 가사 등에서 타인의 병든 몸을 비하적으로 묘사하는 것과 다른 특징이다. 또한 한국한시에서는 한시라는 장르가 서정양식에 속하고 심미성을 지향하기 때문에, 타인의 질병보다는 자신이 앓는 질병에 시선을 집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곧 타인의 질병을 소재로 삼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드물었던 것이다. 다만, 질병에 대해 분노의 감정을 수반하는 일군의 작품에서는, 질병에 대한 서정적 응시라기보다는 질병과 연계된 기아, 유민, 민생파탄 등의 소재와 더불어 사회적 모순을 비판하는 매개체로 활용되곤 했다. 한국한시의 질병 소재는 근대문학에서의 그것과도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예컨대 근대문학에서의 질병은 병적 개인의 등장을 사회적 은유로서 주시하기도 했으나, 한국한시의 영역에서 바라본 질병이라는 문학적 소재는 개인을 매개로 한 사회적 은유가 미약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를 밀쳐두고, 질병이라는 소재가 한국한시의 문학적 자양분으로 두루 활용되었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This writing organized the topic, disease of the Sino-Korean Poetry, divided into four cases which are 1) a case going to Pathos, Self-Pity and Salvation 2) a case going to Humor 3) a case gathering the attention to the disease of surrounding people 4) a case becoming the medium about anti-societal mourning and anger. Those corresponds to the four emotional aspects such as sorrow, laughter, feeling sorry, and anger. Those can be cited as characteristic tendencies. First, it is true that the vulgar sight was barely existent. It is the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the thing described vulgarly on sicken body of someone in the proverbs, traditional Korean narratives, lyrics, and so on. Secon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focus is one's own disease over others' disease.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genre called Sino-Korean Poetry is lyricism based on aesthetic appreciation. Third, when others’ disease is used as a topic, it involves generally the feeling of anger. At this time, the topic called disease was used a medium for criticizing the social problems.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topic of disease used in the Sino-Korean Poetry and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e latter, disease is used as a metaphor for alluding emergence of sick individuals. However, disease as it is used in the Sino-Korean Poetry lacks this type of societal metaphor. Despite this limitation, however, the topic of disease is used to enrich the Sino-Korean Poetry on the literary level.

      • KCI등재

        질병서사에 나타난 고통의 언어와 증언의 윤리 - 젊은 여성 질병서사를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a sick body and language of pain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and investigate the biomedical discourse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orming illness experiences as well as the aspect of ego being reconstructed, ultimately figuring out ethics of narratives as a testimony raised by illness narratives.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he body in which pain is embodied loses the control ability, perceives time as a horizontal and spatial sense, feels shame, and stigmatizes itself. The narrator, however, monopolizes and accepts his or her illness in his or her own way and incorporates his or her illness experiences into his or her life through writing, thus creating a new ego. In this way, illness becomes a loss no longe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that are finite and doomed to perish.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estify that genderized medical knowledge and gender-discriminating stereotypes had women get mistaken about their illness or incapable of explaining it. Their illness narratives also wish that the world of illness will be recognized as a unique world and reveal their nature as resistant illness narratives to raise a question about a right to illness. The testimony of illness narratives establishes a bond of sympathy with readers, who in turn notice an ethical practice by functioning as a witness to the testimony. The testimony and ethics of narrative raised by the body of embodied pain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narrative competence in medical ethics. 본고는 젊은 여성들의 질병 서사에서 아픈 몸과 고통의 언어가 재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뿐만 아니라, 질병경험을 형성하는 생의학 담론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질병서사가 제기하는 증언으로서 서사의 윤리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 고통이 체현된 몸은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채 시간을 수평적인 공간적 감각으로 인식하며, 수치심을 느끼고 스스로를 낙인찍는다. 그러나 서술자는 질병을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여 수용하고, 글쓰기를 통해 질병경험을 삶으로 통합시켜 새로운 자아를 창조한다. 이로써 질병이 더 이상 상실이 아니라, 유한함과 필멸이라는 인간존재의 취약성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 한편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젠더화된 의학지식과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여성들의 질병을 오인하거나 설명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그리고 질병세계가 고유하게 인정되길 바라며 질병권을 제기하는 저항적 질병서사로서의 성격을 드러낸다. 질병서사의 증언은 독자와 공감의 유대를 형성하고, 독자는 다시 증언에 대한 목격자로 기능함으로써 윤리적인 실천을 예고한다. 이러한 체현된 고통의 몸이 말하는 증언과 서사의 윤리는 의료윤리의 서사적 역량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거듭나기 과정으로서의 질병 -한국한문학이 포착한 질병의 한 특징-

        이홍식 ( Lee Hong-shik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그동안 한국한문학 분야에서 진행해 온 질병 관련 연구는 주로 개별 작가의 질병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거나 질병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을 탐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렇다 보니 우리 문학이 질병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발전해 왔는지, 우리 문학은 왜 그토록 집요하게 질병을 노래하고 사유해 왔는지, 우리 문학에서 질병이 차지하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데에는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별 작가의 질병 기록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질병 기록을 종합하되, ‘질병에 걸리고, 고뇌하고, 치유하고, 새로운 주체로 거듭나는` 일련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질병의 문학이 탄생하는 지점과 여기에서 분화되는 질병의 의미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병 관련 작품을 남긴 많은 작가들이 질병을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해 왔을 뿐 아니라 각각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문학이 탄생하고 질병의 의미도 분화되었던 까닭에, 우리 문학이 집요하게 질병을 사유하고 노래한 이유를 이 지점에서 엿볼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한문학에서는 질병 그 자체보다는 질병에 수반되는 고통과 그것으로 인해 야기된 병든 주체의 정서와 삶의 변화 등에 보다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고, 때로는 이 질병을 당대의 정치, 사회, 문화, 종교의 맥락 위에 배치하여 당대의 정치, 사회, 문화, 종교의 문제를 읽어내는 매개로 활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치병 후 질적으로 변화된 병든 주체의 모습을 그려내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 보다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질병을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한 결과이자 우리 문학이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이 질병이나 질병이 만들어낸 고통 자체가 아니라 질병과 관계를 맺은 인간과 그 인간이 질병과 관계를 맺는 양상에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 문학에서 질병이 차지하는 의미 가운데 간과할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질병이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주체의 거듭남을 매개하고, 각각의 과정마다 새로운 문학의 탄생을 자극한다는 데 있다고 본다. 우리 문학이 질병을 지속적으로 노래하고 사유한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고, 질병이 소재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오랫동안 문학과 관계를 맺어 온 증거 또한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Meanwhile studies on diseases having done in Korean Chinese classics mainly have traced recognition of individual writers on diseases or focused on types of literary embodying of diseases. So there have to be showed the limits that how our literature has established and developed relation with diseases, why our literature has stubbornly persistent singing and thinking diseases and what meaning of diseases is in our literature and so on. In this paper, I generally researched that I gathered various records on diseases, focused a series of course, got a disease, agonized, cured and renewed new subject`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point of occurring literature of disease and divided meaning of diseases in this point without within individual`s records. Because not only several writers leaving works on diseases understood diseases such as a series of courses but also they wrote new literature and let meaning of diseases divided, I could concluded why our literature has stubbornly persistent thinking and singing diseases in this point. As a result, aspects of that focused on pain attended a disease, feeling of sick subjects from the disease and changes of life etc, are showed in Korean Chinese classics, sometimes writers positioned the disease o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and used diseases as media to read problems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religion in Korean Chinese classics rather than diseases themselves. I confirmed these facts in Korean Chinese classics. Ultimately I confirmed that Korean Chinese classics more concentrated on giving meaning and describing qualitatively changed sick subject`s life after curing a disease. We can see that this was a result of understanding a disease as a series of course and a object affected by our literature was not the disease or pain itself from the disease but human related the disease and aspects of relation between human and diseases. Therefore, what a meaning contained diseases in our literature could not overlook diseases meditated subjects` renewal through a series of course and stimulated occurring new literature in each course. A reason that our literature continuously sang and thought diseases could be found on these facts and evidence that diseases had meanings more than materials and related with literature for a long time could be found these facts.

      • KCI등재후보

        이연주 시에 나타난 질병 모티프의 이중성

        김지은 ( Kim Ji Eu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1 한국문화기술 Vol.31 No.-

        본고는 이연주 시에 나타난 질병 모티프를 중심으로 질병 모티프의 상징과시의 화자의 이중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연주 시에서 질병 모티프는 다양한 시편에서 발견된다. 현대 문학에 있어서 질병은 중요한 상징이나 비유의 대상으로 주제학의 영역에서 상징적 주제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하게 작동한다. 질병은 문학적으로 중요한 징표이자 시대사적 징후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질병 모티프는 사회 질서를 둘러싼 관심을 표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질병에 대한 은유들은 개인과 사회 간의 격심한 불안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연주 시의 질병 모티프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 시의 화자가 맺고 있는 타자와의 관계 양상을 상징하기 위해 사용된 모티프이다. 위험한 시절의 진료소 연작시를 통해 살펴본 시의 화자와 타자의 관계는 질병 모티프를 통해 구체화 된다. 관계로부터 기인한 서정을 이중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질병 모티프를 사용하고 있어 시사적이다. 둘째, 시의 화자와 세계의 관계를 상징하는 데 질병 모티프가 사용되고 있다. 화자는 세계에 대한 영향으로 인해 질병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럼에도 세계에 대한 관심을 그칠 수 없다는 이중성을 드러내는데 질병 모티프를 동원하고 있다. 이렇듯 이연주 시의 질병에 대한 모티프들은 대상에 대한 이중성을 드러내며 화자가 선택하지 못하는 모습과 그로 인해 모두 실패하는 모습을 전시해 시의 비극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질병의 명칭을 시어로 사용함으로써 질병 자체가 갖는 고통의 환기를 통해 시인의 부정적인 세계관이 돋보이기도 했다. 이연주 시인은 질병 모티프를 통해 화자의 이중성을 드러내며 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 있어 질병 모티프의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pecifically discussed the symbol of the disease motif and the duality of the speaker of the poem, focusing on the disease motif that appeared in Lee Yeon-joo’s poem. In Lee Yeon-ju’s poem, disease motifs are found in various specimens. In modern literature, disease is an important symbol or metaphor and works meaningfully in capturing the meaning of a symbolic theme in the field of subject science. This is because disease is an important literary sign and a sign of historical signs. Disease motifs are used to express concern over social order, and metaphors for disease reveal severe instability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is context, the disease motif of Yeon-joo Lee’s poem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thing we looked at was the motif used to symbo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of the poetry and the other was emphasized through the disease motif, which was examined through the series of poems in the clinic during the dangerous times. It was suggestive by presenting two lyrics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together. The disease motif was used to symbo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of the second poem and the world. The speaker was put into a disease situation due to its influence on the world. Nevertheless, I couldn’t stop my interest in the world. As such, the motifs of Lee Yeon-ju’s poems reveal two lyrics, and the speaker of the poems both fail due to the appearance of being unable to choose one of them, enhancing the tragedy of the poem. In addition, the poet’s negative view of the world stood out by using the specific name of the disease in poetic language, and arousing the pain of the disease itself.

      • KCI등재

        질병으로 보는 에도(江戸)시대 :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의 우키요조시(浮世草子)를 중심으로

        고영란(Koh, Young-ra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현재의 코로나19가 그러하듯, 에도시대 일본 사회에서도 질병이란 아직 인간이 완전히 정복하고 지배하지 못하여 불안감과 무기력감을 생성하는 그 무엇이었고, 이를 이해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그들의 문학적 상상력은 질병을 어떻게 묘사하고 이해했는지, 당대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유명한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 이하 사이카쿠)의 작품을 통해 이해해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지면 관계상 『사이카쿠 쇼코쿠 바나시(西鶴諸国ばなし)』(1685), 『후토코로 스즈리(懐硯)』(1687), 『부도덴라이키(武道伝来記)』(1687)에 국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이카쿠 작품 속에는 감기, 복통, 류마티스, 정신질환, 악성 종양, 간질, 천연두 등 다양한 질병이 묘사되고, 동시에 이를 둘러싼 불안감과 무기력감이 묘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원인을 불교적 업보에서 찾고 불교적으로 치유하고자 하는 당대 일본인들의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렇듯 질병에 의해 야기되는 불안감과 무기력감을 종교적으로 이해하고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다. 질병이라는 신체의 문제를 문화적으로 이해하고 풀어나가고자 했던 것이다. 새로운 질병에 대한 인류의 불안감과 무기력감은 또다시 생성될 것인데, 그때 사이카쿠의 문학 작품과 같은 질병에 관한 정보, 원인, 극복방법 등을 문화적으로 묘사하고 공유하는 길이야말로 인류가 질병에 대해 품는 정신적 불안감과 무기력감을 상쇄해줄 것으로 희망해 본다. 다양한 질병의 명칭과 양상, 생성원인, 극복방법 등을 문화적으로 공유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 자체가 이미 정신적으로 해당 질병에 대한 불안감과 무기력감을 해소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제 코로나19라는 정체 모를 질병에 대한 불안감과 무기력감을 증폭시키기 보다는, 이에 대한 정보와 원인, 극복방법 등을 문화적으로 공유하고 이해하는 데에 보다 심혈을 기울이는 것이 질병에 대한 인류의 또 다른 과제라고 생각한다. There were many trials to understand and overcome what disease was in Edo era culturally, because many people had no medical expertise so that they felt anxiety and helpless on disease.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works described disease by Ihara Saikaku who was the most famous Ukiyozoushi writer in Edo era. Especially, Saikaku Shokoku Banashi(1685), Hutokoro Suzuri(1687), Budo Denraiki(1687) were focused on, because public people were described in them. In woks by Ihara Saikaku, cold, colic, Rheumatoid arthritis, mental illness, cancer, epilepsy, small pox and etc. were described in many scenes, and also the anxiety and helpless related to the disease. And the people who was finding the reason why they got disease got clue in Karma so they tried to cure disease in Buddhist way. This point that people in Edo era tri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disease in religion means very suggestive. The anxiety and the helplessness by covid 19 is spread these days, but the similar situation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new disease. Thus we should learn the cultural way which share the information, cause of creation, the way to overcome disease in the literary works the people understood and overcame the anxiety and the helplessness by the disease in Edo era. Because sharing the information, cause of creation, the way to overcome disease in literary works is related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new disease.

      • KCI등재

        한국 고대의 질병관과 불교적 치유 방식

        김수연(Kim, Soo-Youn)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2

        병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한 고민은 그 사회의 의학 수준과 사유 체계를 반영한다. 따라서 질병관과 치유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 그 사회를 이해하는 창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고대인의 질병관과 치유 방식을 통해 고대 사회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여러 자료들을 종합해 보면, 한국 고대의 질병관은 노환으로 인한 질병을 제외하고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운의 부조화로 인해 일어나는 질병이다. 기운의 구성이나 운행, 조화·부조화 양상 등에 의해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심리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질병은 기운의 부조화와도 연결되는데, 마음이 흐트러지면 기운도 흐트러지기 때문이다. 마음과 기운을 바로잡고 걱정을 떨쳐버리는 것이 치료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세 번째는 하늘이나 신의 징벌로 질병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네 번째는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외부 요인은 원한, 귀신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질병이 발생하게 된 외부 요인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이 질병관을 유형화한 위에 불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치료 방식들을 정리해 보았다. 원시 사회에서 주술사가 의사의 역할을 담당했던 전통이 이어져, 고대 사회에서도 의료 행위에 주술적 치료 방법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치병과 관련하여 모방주술을 행하거나 주문을 외우는 치료 방법들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술적 치료를 담당했던 관료인 주금사도 운영되었다. 방위를 점쳐 환자에게 유리한 곳으로 자리를 옮겨 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하는 둔갑도 활용되었다. 경전의 교설에 의지하여 『약사경』을 讀經하였다. 100명의 고승들이 모여 『인왕경』을 강설하는 백고좌회도 왕의 치병을 위해 개설되었고 度僧이 수반되기도 하였다. 수계도 치병 방법 가운데 하나였다. 경전에 질병 치료 방법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더라도, 교설 내용을 현실적으로 재해석하여 치병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흔히 종교적 치료 방법은 비과학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고대인들은 그들의 사유체계 안에서 납득할 수 있는 질병 발생 원인을 찾았다. 그리고 그에 맞추어 나름의 합리적 근거를 가진 최선의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Contemplation over the causes and treatment methods of diseases reflects a society’s medicine level and perspective, which means that one of windows into the understanding of a society is to examine its viewpoints of illness and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thus set out to understand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by examining ancient people’s viewpoints of diseases and methods to treat them. When many different materials are put together, it becomes clear that there were four major types of viewpoints of diseases in ancient Korea except for diseases due to old age: the first type includes diseases caused by vitality disharmony. Such diseases depend on the composition, management, and harmony & disharmony patterns of vitality; the second type contains diseases caused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diseases are connected to the disharmony of vitality, as well, since vitality will be disrupted when the mind is. Such diseases can be treated by setting the mind and vitality straight and shaking off worries; the third one includes diseases caused by punishment by the Heaven or gods. Such diseases appear in tales about the spread of religion or scriptures; and the final one covers diseases caused by external factors. There are various external causes including resentment and ghosts, and therapies involve the elimination of such external factors as causes of illness. After classifying the viewpoints of diseases, the investigator arranged religious therapies around Buddhism. Following the tradition of sorcerers serving as doctors in the primitive society, many shamanistic treatment methods were included in medical acts in the ancient society. They would imitate a spell or make an incantation to treat illness. In the ancient society, there was Jugeum-sa(呪噤師) comprised of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such shamanistic treatments. Dungap(遁甲, Eight-Gate Transformation) was also in practice which would predict the progress of illness according to bearings and move patients to a place favorable to their treatment, thus contributing to therapy. There were cases of chanting sutras in Yaksa-gyeong(藥師經) and Yumahil-gyeong(維摩詰經). Baekgojwa-hoi(百高座會), in which 100 high priests would gather and give a lecture on Inwang-gyeong(仁王經), was held to treat the illness of a king or queen. It is noteworthy that Baekgojwa-hoi was accompanied by a measure to allow Buddhist monks to enter priesthood, and it was one the basic ways that kings accumulated their Buddhist merits. The teachings of Inwang-gyeong also include a section about the protection of Seungbo(僧寶, Sangha), which suggests that these acts of therapy were part of efforts to protect the state.

      • KCI등재

        문헌설화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시선과 대응의 양상

        유형동(Yoo, Hoyung-Dong)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이 글은 질병을 소재로 삼는 문헌설화 몇 편을 대상으로 하여, 과거 문학에서 질병이 어떤 방식으로 이해되었으며, 그 대응의 양상은 어떠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질병은 작품 안에서 형상화될 때 문학적 굴절을 보이게 된다. 이때 질병은 실체와는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문학에 형상화된 질병은 그 문학작품을 형성하게 한 사회문화와 관련을 지닐 수밖에 없다. 결국 질병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유되고, 재의미화 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병의 원인을 바라보는 시각과 병의 치유를 어떤 방식으로 전개하는가 하는 부분에 집중해서 검토하였다. 병이 귀신과 같은 외부적 존재가 인간의 몸에 지핀 결과라는 인식이 매우 오래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서 근래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 동안 질병의 원인은 귀신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그와는 달리 매우 객관적인 견지에서 질병의 원인을 고찰한 경우도 있었다. 유몽인이 전하는 몇 가지 이야기에서 음식과 질병의 관계를 조망하는데, 이는 병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그 실체에 다가가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병의 원인인 귀신을 달래거나 강한 힘으로 제압해 쫓아 버림으로써 극복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다수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 이야기에서 주목할 것은 병의 원인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병을 치료하기 위한 행위가 때로는 윤리적이고 이념적인 문제로 치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실체를 알 수 없는 질병 앞에서 분노에 휩싸여 타자를 탓하고 혐오하기보다는 나를 돌아보고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남을 탓하는 마음이 표출될 때 우리는 질병의 은유에 빠지게 될 것이다. 또한 병을 치료해야 할 대상으로 바라보고 이념이나 정쟁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태도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질병에 대한 설화들이 주는 의미는 현재적이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several literary tales about diseases, and how diseases were understood in the literature of the past, and how they responded. Disease shows literary refraction when it is shaped in a work. At this time, disease has a different meaning than reality. The disease embodied in literature is b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social culture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work. After all, disease is privatized and re-meaning in a cultural context.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the view of the cause of the disease and how it is develop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that disease is the result of external beings, such as ghosts, on the human body for a very long time. For a long tim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recent one, the cause of disease was understood as a ghost. On the other hand, the cause of the disease was considered from a very objective point of view. In several stories told by the Yumong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disease can be understood to reflect the consciousness of reaching out to the substance by objectively observ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There were many stories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disease by appeasing the ghost, the cause of the disease, or by suppressing it with strong force and kicking it away. What is noteworthy in these stories is that the gaze on the cause of the disease or the act of treating the disease sometimes degenerates into ethical and ideological problems. In the face of an unknown disease, one needs a process of looking back and preparing for rather than blaming and detesting others. We fall into the metaphor of disease when our accusatory minds are expressed. One should also look at disease as a treatment target and maintain an attitude that does not target ideology or political strife. In this respect, the meanings of stories of diseases are present.

      • KCI등재

        질병과 신화: 질병문학으로서의 손님굿 무가

        염원희(Youm, Won-Hee)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손님굿 무가’는 근대 이전 질병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한 질병문학이다. 전염병이 어떻게 인간의 삶에 오게 되었는지 설명하는 신화로, 두창이라는 질병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질병의 증상 변화와 치유 과정이 담겨 있으며, 이는 구전되었던 민간의 의료 지식이었다. 이 서사는 왜 질병이 생겼는가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다. 질병의 원인이 인간의 신체 바깥에 있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며, 이 외부적 존재를 신으로 상징화하였으며, 이를 ‘노정기(路程記)’라는 독특한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다. 또한 두창의 신격은 여성과 남성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며, 남성 신격이 퇴치되어야 할 대상이라면, 여성 신격은 질병신이자 치유자로 등장한다. 무엇보다 한국 무속의 질병신화는 질병신을 경외하기보다는, 질병에 걸린 환자에 시선을 두었다. 동해안 〈손님굿〉의 철앵이, 서울굿의 호구는 환자의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죽음을 통해 치유적 의미를 획득한다. 제주도의 두신은 무분별한 질병의 존재였던 탓에 신인데도 징벌의 대상이 된다. 한국 무속의 질병신화는 환자를 낫게 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며, 질병신은 환자를 위해 존재한다. 또한 호구나 철앵이와 같이 ‘상처받은 자가 상처를 치유한다’는 맥락을 통해 존재의 유한성에 얽매이지 않음으로써 질병으로 인한 인간 존재의 한계 극복을 지향하는 신화이다. "Sonnimgut Muga" is a Korean disease literature based on observations of pre-modern diseases. It contains myths explaining how a epidemic came into human lif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a disease called Duchang. It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ing symptoms and healing of a disease. This was the medical knowledge that has been tradionally hanaed down through generations. Sonnimgut can be seen as Koreans" religious and cultural response to epidemic disease are external factors, outside of the human body. This is symbolized as a god or deity, and songs are sung about this in a unique form called "nojeonggi." Also, if the stature of the Duchang exists separately between women and men, and if a male deity is something that should be eradicated, a female-deity is both a disease god and a healer. The myths about disease in Korean shamanism were never songs that feared the disease but were rather focused on patients with the disease. In donghaiangut and seoulgut, the patient does not stay in the sick but obtains a therapeutic meaning through death. Jeju-gut is subject to punishment even though it is a god, because it was a reckless disease. The myth of a disease in Korean shamanism is shamanism is embodied in songs that are sung to heal the patient and about the disease god that is believed to exist outside of the patient. These myths also ai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 existence, caused by diseases, by not being bound to the finite nature of existence, through the invocation of the idea of "the wounded heals the wounds."

      • 질병매개곤충과 질병관리본부의 정책방향

        정기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최근 기후변화 및 경제 개발 등으로 인한 환경 변화로, 신·변종 질병이 세계적으로 출현하고 있고, 이러한 다양하고 위험한 질병들이 교통수단의 발달로 국경을 쉽게 넘나드는 현상이 빈번해 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기후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곤충과 진드기류에 의한 질병들이 증가 또는 확산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질병매개곤충에 의한 매개체 전파질환이 재출현 되고 있고, 지속적인 발생 및 증가 추세에 있으며 또한 해외로부터 새로운 질병 유입에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말에 근절되었던 말라리아가 재출현하여 다시 토착화되고, 2004년부터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급증하는가 하면 일본뇌염도 근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최근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홍반열,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참진드기에 의한 질병이 새롭게 발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해외로부터 감염되어 유입되는 뎅기열 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현재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지카바이러스감염증 환자의 유입 사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현상들이 현재의 질병 위기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2016년 9월 5일자로 한국응용곤충학회에서 대한민국 10대 해충을 선정하고 질병분야의 의학해충 으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를 선정하여 국가 및 연구자의 관심과 연구의 집중을 천명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라 사료되며, 이것은 질병관리본부의 정책수립 및 연구방향 설정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질병관리본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체 전파질환 관리를 위해 감염병 매개체 국내 분포, 밀도, 병원체 감염율 조사와 매개체 생태, 방제 등에 대한 연구 및 질병매개곤충 자원화 사업을 확대, 추진할 계획입니다. 현재 대학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감염병 매개체 거점센터를 구축하여 주요 매개곤충과 병원체 감염에 대한 감시사업을 운영하고(2016년 11개 센터, 2017년 16개 센터 완료예정) 있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감염병 매개체 분야 중심의 연구비 확보 등은 현재까지 질병관리본부가 만들어낸 자그마한 성과라고 생각됩니다. 향후 질병관리본부의 슬로건인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을 여는 질병관리본부”가 되고자 질병매개곤충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분야별 연구를 강화 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질병관리본부의 정책 방향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연구개발에 한국응용곤충학회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KCI등재

        질병 관련 인터넷 정보 이용 효과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이민규 ( Min Kyu Lee ),김영은 ( Young Eun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4

        질병문제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의 핵심적인 담론 가운데 하나이며 그들 생활의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질병정보 활용이 이용자의 보호동기를 추구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취급하지 못했던 인터넷을 통한 질병 관련 정보이용이 보호동기이론 차원에서 과연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질병에 대한 변인도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발전하여 고혈압과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과 광우병이나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은 신종 감염질환 등 두 가지 종류의 상이한 질병 차원으로 분류하고 각 질병군에 대해서 미디어 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미디어별 질병 관련 뉴스 이용과 이용자의 공포 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신종 감염질환의 경우 매체 이용량과 질병에 대한 공포 인식 간에는 어떠한 인과관계도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만성질환의 경우 신문 이용량이 많을수록 질병에 대한 공포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질병 공포 인식과 이용자의 보호동기추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만성질환의 경우 질병 공포 인식이 높을수록 질병에 대한 심각성과 이용자가 느끼는 취약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신종 감염질환은 심각성, 취약성, 대처방안 효율성, 공포 인식과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또한 질병에 대한 공포인식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질환에 대한 이용자의 보호동기추구와 건강 증진 의사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의 경우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과 건강 증진 의사와는 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다. 신종 감염질환의 경우 보호동기를 구성하는 네 변인의 추구 동기가 높아짐에 따라 건강 증진 의사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 증진의사와 본 연구에서 새로 도입된 인터넷 질병 관련 정보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종류 질병 모두 건강 증진 의사가 높을수록 인터넷을 통한 질병 관련 정보 탐색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that use of disease information would act as mechanism which pursues users` protection motiv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disea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Moreover, variables related to diseases were divided into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and acut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and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 It is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use of media and both of two disea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f the relation with use of disease news and fear cognizance, there were not any casu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fear cognizance in the case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However, the more users read the newspapers, the more they cognize fear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fear cognizance of disease and severity/vulnerability. In the case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 between fear cognizance of disease and severity/vulnerability/response efficacy,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 between fear cognizance of disease and self-efficacy. It is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users` protection motivation and their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severity/vulnerability/selfefficacy affect users`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positively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s. Compared with this, 4 variables of protection motivation affect users`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positively in the case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Finally, there is a significant result that users`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affect searching disease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ositively in the case of both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