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 수도권을 중심으로 In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최은영 한국도시지리학회 200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공간으로 수도권의 인구이동을 분해하여 인구이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기회의 차에 의한 젊은 연령층의 수도권 집중과 두뇌유출, 지역간 격차의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에 비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전입 초과 인구 규모가 감소하고 있지만 지방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둘째, 기존 인구이동 흐름의 정형이었던 도-농간 인구이동은 도시간 인구이동으로 변화하였으며 지방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인구의 주요 목적지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의 거주지인 송파구와 강남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현재 서울로 전입하는 인구의 특성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지역간 인구이동에 의해 수도권 인구집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연령대는 20대로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의 초과전출 대부분이 10대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서울로의 순이 동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가 대학 재학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20~24세로 나타나고 있어 교육기회의 차가 인구이동의 중요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인구 중에 20대 비율이 높은 것은 이동하는 인구 집단안에 고등교육을 받았거나 받을 가능성이 큰 사람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20대 인구의 수도권 집중은 지방의 두뇌유출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1950년대 이후 서울은 절대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순 전출지역으로 변화하였지만, 선택적 인구이동을 통해 서울의 영향력과 수도권 인구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특정 집단의 측정지역으로의 선택적 인구이동은 단순한 인구집중 현상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은 연령별로 매우 차별화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brain drain and growing spatial inequality owing to the selective inter-regional migration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This analysis shows the number of people have moved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in a given period(1996, 2000) by the administrative unit of Si·Gun·Gu. Both the process of population decrease in Seoul and its expending the power of influence occur simultaneously. An agedisaggregate decomposition is able to highlight destination choice among various age groups. Age-disaggregated character in migration reveals considerable complexity about the aggregate trends. Particular types of people, aged between 20~29 have greater propensity to migrate into Seoul from other provincial areas. The outflow of well-educated young people(brain drain) may induce the growing spatial inequality.

      • KCI등재

        강원도 인구이동의 결정요인 분석 : 지역간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김주영 한국부동산연구원 2020 부동산연구 Vol.30 No.2

        Population growth and decline have been major topics in the social science field, such as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housing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population movement and the factors that would have a deciding role in population movement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existing population theories, the push-and-pull factor between regions and the threshold model can be used for estimating population movement. In this study, the net financial benefit model was adopte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between Gangwon Province and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variables were effective in household migration, especially population density, income level, housing cost, and medical institutions. Second,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urban density was not a meaningful factor in selecting migration areas for the old generation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Gangwon Province needs to set up a more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and to control the housing cost. 인구의 감소추세와 고령화 추이는 지역 차원의 인구이동과 결정요인 분석의 중요성을 높이고 있다. 강원도는 2008년 이후 인구의 순전입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청년층은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반면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지역으로 유입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지역간 인구이동 결정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전체 인구의 순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인구밀도, 소득수준 그리고 주거비용과 병상수로 인구밀도와 주거비용은 낮을수록 순전입을 촉진하는 반면 소득수준이 높고 병상수로 평가한 의료환경이 우수한 지역으로 인구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대에 관계없이 지역의 개인소득 수준과 주거비용은 인구의 순이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대별 순전입인구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다소 예상과 다르게 인구밀도가 고령자 계층의 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지 못했다. 강원도에 대한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결과는 지역소득의 창출요인으로서 보다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인구유입을 위한 안정적인 기반시설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천진홍(Jin Hong Chun),이성우(Seong Woo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이동 유형을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원인을 고찰하는 한편 두 가지 유형의 상호 연계성을 이동 후 관찰되는 자가소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인구주택총조사(Census)를 활용해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고 기존의 이동거리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는 한편, 이동형태에 따른 자가소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간 이동과 지역 내 이동의 연계를 밝혀주는 Goodman의 세 가지 가설과 Roseman의 조정이동 가설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성립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거리에 따른 이주경력 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차가 거주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이동성향이 증가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성의 반복이동 성향이 증가하며 유배우자의 이동성향은 감소하였다. 단거리 이동의 경우 여성의 이동성향이 남성에 비해 우세했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통제된 변인 중 보다 앞선 시기에 실업률이 부(-)인 지역으로 향하던 이주가 조사시점과 가까운 시기에는 정(+)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과, 교원수 변인이 동일시기 정(+)인 지역에서 부(-)인 지역으로 변화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주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은 지역 간 이동에서 여성이 더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형별로 살펴보면 판매직과 기능직의 경우 이동 후 자가를 소유할 확률이 가장 낮았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가장 높은 확률을 보였다. 제주지역으로 이주한 가구가 타지역 이주가구에 비해 자가소유확률이 낮았으며 지가가 높은 지역을 목적지로 택한 가구일수록 자가소유 경향은 낮아졌다. 이동성향이 높은 가구는 자가소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studies on residential move, there has been tendency of dichotomy where short distance moves are largely caused by housing to adjust to changes in households while long distance moves are induced by shift in labor market. However, some empirical studies have proven that residential move is so complex process that the simple dichotomy should be elaborate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ompounded course of residential move in Korea. In determining migration history, families with younger householders, renters, householder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smaller households show a higher probability to move. In case of mobility, women were more prone to move compared to man. Women compared to man, older age augmented the probability to own a house after migration. Families with householders following an occupation of sales and technical service showed lowest tendency to own houses while it marked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rofessionals. Higher land price of a reg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owning houses after migra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ctors in macro level as well as micro level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 of individuals with vary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migration history.

      • KCI등재

        수도권 기초자치단체들의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송용찬 ( Yong Chan Song ),김민곤 ( Min Gon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6 국가정책연구 Vol.30 No.3

        인구이동의 원인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주로 광역지자체 수준에서 논의되어왔으며,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의 각 개별이론들을 통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적 접근은 기초지 자체들 수준에서의 인구이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며, 특히 인구이동 관련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내 기초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인구이동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특히 서울권/비서울권 두 집단별로 나누어 총 전입인구 및 총 전출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 1인당 복지예산비중, 인구 1000인당 사설학원 수, 기반고용비율’이 두 집단 모두에게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 1000인당 보육기관 수’는 서울권에만 영향을 미치고 ‘인구 1000인당 노인복지시설 수, 지역외부 통근비율, 출산장려금’은 비서울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좀 더 세분화 단위인 기초 지자체들 수준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구이동은 경제·사회·문화적 단일의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것이 아니며, Tiebout(1956), Todaro(1970)등 다양한 연구의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초 지자체들수준에서 서울권/비서울권 각 집단의 인구이동 영향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자체의 효과적인 성장정책을 위해서 정책결정자들이 각 변수를 심도 있게 고려해야할 통찰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종합적인 인구이동 정책을 개발에 단서를 제공한다. The existing previous researches on the cause of the human migration have been discussed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separate theories in the aspect of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However, such single access cannot explain the human migration sufficiently at the aspec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uppermost limit not considering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with the human migration has been shown.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out what variables affect the human migration in the aspect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to verify the variables that have affected the changes on the total population of moving in and moving out by dividing the region into Seoul area and non- Seoul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lfare budget per one person, number of the private institutes in the portion of 1000 people, based employment rate have been found as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human migration in the both groups. In addition, the number of nursery institution per 1000 people has been found as the factor affected in the group of Seoul area, and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per 1000 people, external interregional commuting ratio, and childbirth grant have been found as the factor affected in non- Seoul area. Those results implies following meanings. At first, this study is regarded a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in the aspect of the local governments, more specified measuremen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human migration is not explained with the single theory of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the necessity of reviewing various theories such as Tiebout(1956) and Todaro(1970) have been confirmed. At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affecting variables on the human migration in the group of Seoul area, and non- Seoul area at the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confirmed. Through this, the decision maker of the policy can have the insight to consider each variable in depth for the effective growth policie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provide the clues for developing the total human migration policy by extension.

      • KCI등재후보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결과에 관한 연구

        강은택(Kang, Eun Taek)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는 비수도권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사람들 중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과 이동하지 않고 비수도권에 계속 거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지역별 경제적 변화,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과 이동하지 않은 사람 간에는 소득 및 자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로 약간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이동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은 이동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소득 및 자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은 보다 높은 소득 및 자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people who mov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fter being born and grown non-metropolitan area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people who had not made a move. Here non-metropolitan area refers to the Gangwon, Honam, Chungcheong, Daegyung, Dongnam.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compared income gap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movers whose hometown are Gangwon, Chungcheong, and Honam did not make a huge difference to income than the movers from Daegyung and Dongnam greater regions. And people who mov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higher assets than people who did no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A variety of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otherwise more people are likely to move out from the areas as there exist better economic and educational benefits in the metropolitan cities.

      • KCI등재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직자의 지역간 이동 특징 분석

        전바울 ( Paul Jeon ),최문정 ( Moon Jung Choi ) 한국경제학회 2024 한국경제포럼 Vol.16 No.4

        많은 지역에서 인구 순유출로 인한 인구감소가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간 인구이동 중 직업사유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최초로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내·지역간 이직의 특징을 분석한다. 2018~21년 중 사업장가입자의 개인 및 사업장 특성에 따라 이직확률과 지역내 이직 대비 지역외 이직확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이직 대비 이직확률과 역내이직 대비 역외이직 확률은 연령, 성별, 소득수준, 사업장 규모 및 업력, 산업, 지역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석결과는 역외이직이 지역의 청년 인재유출을 심화시킬 수 있어 지역내 다양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e investigate the pattern of job mobility across regions using the big data of National Pension Service. Our results from Logit regressions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of interregional job mobility i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young-aged, male, high income earners or those who employed in large or aged establishments. Also, the probability is higher in service than manufacturing sector, and in regions other than Seoul. Our findings imply that interregional job mobility exacerbates population decrease and brain drain in local area. To alleviate the population imbalance across regions, more decent jobs should be provided in local area.

      • 인구이동과 인적자본의 지역 간 불균형

        박동규 ( Dongkyu Park ),홍성효 ( Sunghyo Hong ) 충남연구원 2022 충남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인구주택총조사를 이용해 충남을 중심으로 인구이동을 통한 인적 자본의 변화를 살펴보고, 충남사회조사를 이용해 충남에 계속 거주하고자 하는 의향이 개인의 속성들 간 얼마나 상이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충남은 2015년과 2020년 두 시점 간 인구이동에서 순유입지역에 해당하며 이는 충남의 인구증가가 자연적 요인에 기인하지 않고 사회적 요인에 주로 기인함을 제시한다. 하지만, 충남으로의 유입인구와 충남으로부터의 유출인구 간 학력수준은 전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 인적자본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얻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결과는 도민들의 향후 10년 이후 충남에 계속 거주할 의향이 고학력일수록 낮음을 보여주는 회귀분석결과와 일관된다. 그럼에도, 이주시 배우자를 동반하거나 생산가능인구에 해당할 확률이 유입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자연적 요인에 의한 인구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human capital through population movement centered on Chungnam using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intention to continue living in Chungnam is different across individual attributes using the Chungnam Social Survey.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Chungnam corresponds to a net inflow region in the population movement between 2015 and 2020, suggesting that the population growth of Chungnam is mainly due to social factors, not natural factors. Howeve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net inflow h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the quality of human capital because the educational lev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with the inflow to than with the outflow from Chungnam.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ing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lower the intention to continue living in Chungnam after the next 10 years. Nevertheless, the probability of accompanying a spouse when moving or belonging to the working-age population is relatively high in the inflowing population, which is belie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population increase by natural factors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김현아 ( Hyun A Kim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9 응용경제 Vol.10 No.2

        주민들의 지역간 인구이동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학업, 취업, 결혼, 기대소득, 교육 등과 같은 시장에서의 주요 변수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재정정책이 수도권 인구 집중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의 광역지자체간 및 기초지자체간 인구이동의 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기초지자체간 인구분석의 경우 Boadway and Flatters(1982) 모형에 입각한 순재정편익(Net Fiscal Benefit)이 지역간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택은 이주에 따른 투자 수단임이 확인되었고, 전세가격은 비수도권 지역에 한하여 지역간 이동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의 순재정편익이 인구유입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비수도권에 대한 이전재원이 이러한 인구 유입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regional migration is influenced by two major forces: market mechanism and government policies. Many previous studies on this issue have focused on market mechanism. In this empirical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oth market variables and fiscal variables. In particular, we estimated the effect of net fiscal benefit (NFB) a la Boadway and Flatters (1982) and found that the NFB of Seoul attracts migration while intergovernmental transfers play a countervailing force. We also found that housing costs is more related to investment value rather than living costs.

      • KCI등재

        청년층 이동 동인 분석과 지방소멸 위험 대비의 함의

        신휴석 국토지리학회 2024 국토지리학회지 Vol.58 No.1

        인구 총조사 자료 및 MDIS 자료 분석 결과 청년인구는 1980년대부터 급격하게 수도권 및 일부 지방 대도시로 집중되어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중심으로 편중 분포되었고 청년층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분포의 변화는 과거 1980~2000년의 변화보다 최근 20년간(2000년~2020년)의 변화가 더욱 두드러졌다. MDIS의 지역 전출입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해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의 동인을 분석한 결과 청년인구가 증가한 지역에서는 고용 매력도, 판매시설 접근성, 수도권 여부, 전세 가격, 지역 안전성 등이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일자리와 주거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판매 서비스 시설과 지역 안전성 관련 어메니티(amenity)의 중요성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청년인구의 감소가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고용 매력도, 주택 시장의 안정성 등이 청년인구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alysis of census data and MDIS data shows that since the 1980s, the youth population has rapid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some provincial big cities, resulting in a skewed distribution centered around these areas. The change in population distribu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youth population has been more pronounced in the recent 20 years (2000 to 2020) than in the previous period from 1980 to 2000. Applying spatial regression models based on MDIS's regional migration data, the study found that factors such as employment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to sales facilities, being in the metropolitan area, lease prices, and regional safe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attracting the youth population to settle in an area. This reaffirms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and housing factors, while also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amenities related to sales services and regional safety. In regions experiencing a decline in youth population, factors like employment attractiveness and housing market stabil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youth migra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