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대상자에 따른 제3자 효과 지각 변화의 원인

        정일권(Ir-Kwon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제3자 효과 지각에 초점을 맞춰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수용자와 지각대상자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제3자 효과 지각의 근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 중서부의 오하오주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03년에 실시된 전화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졌다(n=524). 대부분의 제3자 효과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가설을 지지했다. 응답자들은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천주교 신부의 성추문 뉴스보도의 두 경우 모두에 있어 미디어의 효과가 자신들보다는 타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제시된 5개의 연구 가설 모두가 지지되지는 않았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정한 지각대상자와 메시지의 관계가 분명할 경우 수용자의 미디어 효과 예상은 동기적 요소보다는 인지적 요소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사회적 거리는 무시되고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같은 지각대상자 고유의 특성이 중요시 되며 수용자의 관여도는 인지적 요소에 의한 제3자 효과 지각의 강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 결과는, 수용자나 지각대상자가 메시지와 잠재적인 연관성을 지닐 경우, 제3자효과 지각은 그러한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저화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지각이 프라이밍 효과 또는 틀 짓기 효과와 관련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sue involvement and relation of perceivers to comparison targets on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perceptions. The investigation was expected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process of third person effect hypothesis. Data was collected from adult residents in Ohio, United States by telephone survey in 2003(n=524). Like most other third person effect studies,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Respondents perceived more media effects on others than themselves for both 'Negative media portrayals of smokers' and 'News coverage of Roman Catholic priest's sexual scandals'. Results of five hypothesis tests suggest that when relationship between a perceiver and a particular comparison target is present third person perception is explained more by cognitive components than motivational components. In this case, third person perception varies with comparison target's issue involvement while it is independent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ceivers and the comparison target. Also, perceivers' issue involvement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when perceives or a comparison target is involved in a message cognitive processes accounting for the relationship can impact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An important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ird person effect is, to some extent, related with framing effect and priming effect.

      • KCI등재

        지각이질성이 직장 및 고객무례가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상일치효과와 전이효과

        송기륭(Song Gi Ryung),김경석(Kim Kyoung Se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4

        무례는 지난 20년간 연구자들에게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개념이지만, 대다수의 연구가 무례가해 보다는 무례경험을 다루고 있어 연구의 불균형이라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례가해에 초점을 두고 무례가해를 유발하는 요인과 그 중개변인을 발견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연구 결과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논리적 개연성을 바탕으로 지각이질성이 스트레스를 통해 직장무례가해와 고객무례가해 모두로 이어짐을 상정한다. 또한, 지각보완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 분석을 위해,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서비스업 종사자 228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지각이질성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장무례가해와 고객무례가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직장무례가해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고객무례가해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지각보완성의 경우 지각이질성이 직장무례가해와 고객무례가해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시사점들을 갖는다. 첫째, 상대적으로 연구의 수가 부족했던 무 례가해에 대하여 그 유발요인을 상정하고 검증하였다. 둘째, 지각이질성의 부정적 효과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조직 외부로 전이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국내연구에서는 많이 다뤄지지 않은 개념인 지각보완성을 소개하였으며, 지각이질성이 스트레스 및 무례가해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는데, 이질성이 높은 조직의 관리자는 이질성이 자칫 스트레스를 통해 조직의 내외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감시하고, 구성원들이 지각보완성을 기를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Incivility has studied about 20 years by researchers, but there is a problem about biased research stream tha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xperienced incivility than instigated incivility.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instigated incivility and found out antecedent and intervening factors like moderator and mediator.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perceived dissimilarity was postulated as antecedent of instigated inciv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Next, Stress was considered as mediation variable and, moreover,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dissimilarity can have spillover effect to instigated incivility to customer was examined together. Finally, perceived complementarity was considered as moderator and the effect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dissimilar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instigated incivility against both colleagues and customers. In the case of intervening variables, stress ha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instigated incivility and perceived complementarity also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has following academical implications. First, perceived dissimilarity is postulated and analyzed as antecedent of instigated incivility though stress. Second,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dissimilarity can be spillover into the outside of the organization via stress which is mediator of this process. Third,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perceived complementarity, and shows that this concept has moderating effect decreasing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dissimilarity on instigated incivility via stress. Moreover, this study also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managers have to supervise the spillover of negative effects of dissimilarity and lead their members having high level of perceived complementarity.

      •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양서연(Yang Seo Yeon),최한나(Choi Han Na)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0 가족과 상담 Vol.10 No.1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역할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기간이 1년 이상인 부부 458명(229쌍)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도식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개정판 부부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t: APIM; Kenny, 1996)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선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게 나온 반면, 남편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중 자기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간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아내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의 결혼만족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상담 및 결혼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29 couples married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Kenny, 1996). The results indicat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s no relation to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related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perceived marital suppor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regards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when perceived marital support influences on marriage satisfaction. Both genders’ actor effect was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owever, while wives’ partner effect had an impa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usbands’ did not. The results indicated actor effect existed in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riage satisfaction. However, wives and husbands partner effect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indicated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both wives’ and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wives’ marriag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신혼기 부부의 자기침묵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강예나,장재홍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3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 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57쌍의 신혼기 부부를 대상으로 APIMeM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남편과 아내에서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상대방효과는 아내만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매개하였지만, 아내의 자기효과 경로에서는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다. 넷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고, 아내의 상대방효과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모두 매개하였다. 이는 결혼 만족을 위해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침묵을 하지 않도록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남편은 본인과 아내 모두 배우자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아내는 본인이 남편으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hways from self-silencing to marital satisfaction in newlywed coupl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on 157 newlywed Korean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silencing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s and wives. Second, the actor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spouses, while the partner effect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only for wives. Thir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actor effect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only the wife’s actor effect. Fourth,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partner effect an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wife’s partner effect.

      • KCI등재

        한국전통춤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중화의 관계: 가치지각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중심으로

        유안나,원종원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1 No.2

        이 연구는 한국전통춤에 대한 고정관념과 한국전통춤의 대중화와의 관계에 가치지각이 미치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성인 남녀 455 명이며, Google survey 를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표집 하였다. 표집 된 자료 처리는 WINSTEPS 3.65 의 내,외적합지수와 Cronbach’α를 적용하였다. 관련 변인들과 매개 조절 효과는 MANOVA 와 ANOVA, mediatorand moderator variables, Sobel, SPSS 21.0 의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춤 3개 변인에 대한 성별 간의 차이는 MANOVA 검증에서 적은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ANOVA 검증은 대중화 변인을 제외한 고정관념, 가치지각 변인에서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간의 차이는 ANOVA 검증에서 고정관념변인을 제외하고 가치지각과 대중화변인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Stepdown ANOVA 검증은 가치지각 변인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전통춤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중화에 대한 가치지각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전통춤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중화에 대한 가치지각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자가 남자보다 한국전통춤에 대해 긍정적이며, 연령에서는 50대 이상이 50대 미만보다 가치지각과 대중화에 긍정적이다. 고정관념과 대중화에 대한 가치지각의 매개효과는 고정관념이 긍정적일수록 가치지각 수준도 높아지고 높은 가치지각 수준은 대중화에 대한 기대도 증가시킨다. 한국전통춤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중화에 대한 가치지각의 조절효과는 일반 대중의 가치지각 수준과는 관계가 없다.

      • KCI등재

        대학 교양필수 수업에서 지각된 교수자 열정과 학생의 수업 노력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내재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유진,황혜영 대한사고개발학회 2021 사고개발 Vol.17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structor enthusiasm and students’ course effort is mediated by intrinsic value about the course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value is moderated by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a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A serie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02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using PROCESS Macro Model 7 showed that students’ intrinsic value about the course significantly mediated the path from perceived instructor enthusiasm to course effor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structor enthusiasm and intrinsic value about the course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pecifically,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strong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structor enthusiasm and students’ course effort. The results also confirme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instructor enthusiasm on students’ course eff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was also stronger when students had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lleg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필수 수업에서 지각된 교수자 열정과 학생의 수업 노력 간의 관계를 수업에 대한 내재가치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지각된 교수자 열정과 수업에 대한 내재가치 간의 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며, 최종적으로 지각된 교수자 열정이 내재가치를 통해 학생의 수업 노력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소재한 A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20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교수자 열정이 학생의 수업 노력에 이르는 경로를 수업에 대한 내재가치가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또한 지각된 교수자 열정이 내재가치에 미치는 효과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지각된 교수자 열정이 수업에 대한 내재가치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교수자 열정이 수업에 대한 내재가치를 통해 학생의 수업 노력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교수자 열정과 수업 노력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내재가치의 매개효과 역시 높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지는 경우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대학교육에 대한 시사점, 후속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순간 노출되는 표적의 식별과 부적 반복효과에 지각부하가 미치는 영향

        김인익(Inik Kim),박창호(ChangHo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1

        지각부하 이론(Lavie, 1995)에 따르면 지각부하가 높을수록 방해자극의 영향이 감소한다. 지각부하를 다룬 연구들은 문자열에서 표적 문자의 탐지에 걸린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Eriksen과 Eriksen(1974)의 측면자극 과제(flanker task)를 주로 사용하였다. 한편, 순간 노출되고 사라진 문자열 중 보고해야 할 표적이 후단서로 지시되는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에서는 부적 반복효과(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가 관찰된다. 이 효과는 나란히 제시된 두 문자가 서로 다른 경우보다 동일할 때, 표적의 식별률이 더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는 정보처리의 초기지각 단계와 관련한 처리 과정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각부하가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에서 표적의 정확 식별률과 NR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지각부하는 후단서에 의한 강제선택 대상인 두 문자(표적 후보) 사이에 삽입되는 제3의 문자의 유사성(실험 1; ‘ㄹ’, ‘ㅅ’, ‘․’)과 개수(실험 2; 0개, 2개-왼쪽 대각선 배치와 오른쪽 대각선 배치, 4개, 실험3; 2개, 4개)로 조작했다. 실험 1에서 NRE의 경향성이 관찰되었으나 지각부하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NRE가 유의하였으며, 지각부하는 유의하였으나, NRE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3은 부하자극의 위치 변동성을 도입하여 강화된 지각부하의 수준에 따라 NRE가 변화할 것인지를 다시 확인하였는데, 지각부하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순간 노출된 표적에 대한 분리주의과정으로 인해 지각부하가 지각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Lavie’s perceptual load theory (Lavie, 1995) proposes that the influence of distractors would be blocked as the load gets higher. Studies of perceptual load have usually adopted the flanker task, developed by Eriksen and Eriksen (1974), which measures reaction time on the target flanked by distractors. In the post-cueing forced task, participants should report the identity of the target cued later,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has often been observed. NRE means the effect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s worse when the target is flanked by the same nontargets than when flanked by different nontargets. This study has tried to check whether perceptual load has an effect on identification rate and NRE.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imilarity between targets and a distractor, and observed a tendency of NRE, but not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Experiment 2 used 4, 2 (in two kinds of diagonal arrangement), or none distractors of the same identity to burden more perceptual load. NRE was significant and perceptual load showed significance but not a linear trend. Experiment 3 checked again whether NRE would be varied according to two levels of perceptual load strengthened by positional variability of load stimuli, but did not find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It is concluded that perceptual load might have a limited effect on the early stage of perceptual processing due to divided attentional processing of the targets briefly expo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건강신념요인이 모바일 헬스케어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성찬,한용준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신념과 모바일 헬스케어 수용의 논리체계를 살펴보고, 지각된 유용성의매개 효과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건강신념요인과 모바일 헬스케어 수용 간의 영향 관계 및 인지된 유용성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2가지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이 모바일 헬스케어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심각성 및 지각된 민감성이 수용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이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이익과 수용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신념의 개념을 적용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수용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적용함으로써 기술수용 개념까지 고려가 가능함을 제시함에 따라 이론·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gical system of health-related beliefs andtechnology acceptance by identifying how health belief factors affect mobile healthcare acceptance,and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Two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factors and mobilehealthcare acceptance. As a result, research problem 1 was identified by confirming that perceivedseverity, perceived sensitivity, and perceived bene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bile healthcareacceptance. Furthermore,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verity andsensitivity on the acceptance of mobile healthcare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Partial mediatingeffects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s and acceptance. This studyexamined the concept of consumer's health beliefs from technology acceptance and other perspectives,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healthcare acceptance. The results of the studysuggest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can be taken into account by applying the perceived usefulnessto the health belief model, whi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정책 효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준우,박준성,박희준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코로나19의 유행은 국가 경제 및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관광산업은 해외여행 금지 및 격리 정책으로 인해 유례없는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백신 및 치료제 개발로 인해 관광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짐에 따라 팬데믹 이후 개인의 관광의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이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 코로나19로 인해 도입된 방역정책에 대한 지각된 효과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위험지각의 요소인 지각된 심각성, 취약성, 회피가능성이 각각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각된 정책 효과성이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위험지각과 관광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의 분석을 위해 PLS-SEM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은 관광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회피가능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방역정책에 대한 지각된 효과성은 지각된 회피가능성과 관광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정부, 호텔업계 및 타 관광산업 종사 기업은 코로나19에 대한 불필요한 위험지각을 감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방역정책을 철저히 준수하여 향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광수요에 대비해야 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variabl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ext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scale developed in Korea was used for sustainable consumption, focusing on multi-domain perspectives in the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consumers nationwide by quota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616 consum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group of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all sustainable consumption domains. In the domain of sustainable consumption, the environmental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social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economic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sustainable consumption, it showed highly explanatory power. The commonly influential variables in all domain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ere pro-environmental/pro-social self-identity,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environmental value, and time perspective of considering future. Most demographic variables didn't appear to be influential variables in all domains. Third, the variable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in all domains.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mediating effect were pro-environmental/ pro-social self-identity, time perspective of considering futur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self-transcendence value, and in particular,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variable appeared in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domain of sustainable consump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sustainable consumption wer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market-based beliefs on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urther expanded the horizon of the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predictor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consumers which are the main subjects with socio-cultural suggestions. 본 연구는 지속가능소비의 영향변수를 규명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변수들을 선정하였으며 지속가능소비는 환경, 사회, 경제영역의 다영역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국내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국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한 616명의 소비자 응답자료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지속가능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결혼여부, 소득은 모든 지속가능소비 영역에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의 영역별로 보면, 환경영역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직업, 소득이, 사회영역은 성별, 결혼여부, 소득이, 경제영역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직업, 소득이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관련변수들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지속가능소비의 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친환경/친사회적 자아정체성, 지각된 소비자효과, 환경적 가치, 미래지향 시간관점이었다. 대부분의 인구통계변수는 모든 영역에서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매개변수인 지각된 소비자 효과는 독립변수와 모든 영역의 지속가능소비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매개효과가 나타난 독립변수는 친환경/친사회적 자아정체성, 미래지향 시간관점, 기후변화인식, 자아초월가치였다. 넷째, 마음챙김 변수의 조절효과는 지속가능소비의 환경영역과 사회영역에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독립변수는 기후변화인식, 기후변화시장신념이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소비의 예측변수뿐만 아니라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보다 확장시킨 점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주요 주체인 정부, 기업, 소비자에게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