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사소송에 있어서 의무기록의 증거력에 대한 고찰

        김일룡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의생명과학과 법 Vol.30 No.-

        민사소송법상 증거력에는 형식적 증거력과 실질적 증거력의 두 가지가 있다. 형식적 증거력은 민사소송법상 문서의 진정성립 추정규정 즉 공문서의 경우에는 제356조, 사문서의 경우에는 제358조가 있는데, 이 논문은 이에 대한 검토에서 시작한다. 공문서에 대해서는 진정성립에 관한 증명책임 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간단한 추정규정만 존재함에 비하여, 사문서는 증명책임에 관한 규정이 존재할 뿐 아니라(동법 제357), 추정규정의 내용도 공문서와 다르다. 이처럼 민사소송법이 공문서와 사문서의 형식적 증거력에 대하여 달리 규정한 이유는, 공문서는 사문서에 비하여 위조가능성이 낮다는데 있고, 이는 형법이 공문서위조죄를 사문서위조죄보다 무겁게 처벌한다는 점에서 일응 수긍할 수 있지만 현대의 첨단위조기술을 감안할 때 그다지 설득력이 없어 보이므로 이제는 양 추정규정을 통합, 재정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욱이 현재의 이 규정들을 의무기록의 진정성립에 대하여 적용해 보면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된다. 동일한 자격과 능력을 지닌 의료인이 동일한 내용의 의무기록을 작성하였음에도 작성주체가 공무원인지 아닌지에 따라 공문서로 분류되기도 하고 사문서로 분류되기도 하여 진정성립의 추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문서의 진정성립을 형식적 증거력과 동일시하는 다수설 및 판례의 입장에 의하면, 의사표시가 해당 사건의 요건사실인 처분문서의 경우에조차 의사표시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심리 없이 곧바로 실질적 증거력을 판단하는 단계로 들어가게 되어 부적절한데, 이는 의무기록 중 처분문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문서의 실질적 증거력에 대해서 살펴본다. 판례는 형식적 증거력이 인정됨을 전제로, 공문서는 처분문서든 보고문서든 가리지 않고 실질적 증거력을 추정하거나 인정하고, 사문서는 처분문서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실질적 증거력을 추정하거나 인정하지만 보고문서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는 공문서에 대하여 허위공문서작성죄가 존재함에 비하여 사문서에 대하여 허위사문서작성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내용의 신빙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왜냐하면 사문서 중 처분문서의 경우에 실질적 증거력을 추정하거나 인정할만한 형법적 제재기반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의무기록에 대해서는 사문서라고 하더라도 허위진단서등의 작성죄가 형법에 규정되어 있고 내용을 위조하면 처벌하는 규정도 의료법에 존재한다. 따라서 의무기록이라면 그것이 공문서이든 사문서이든 처분문서이든 보고문서이든 내용의 신빙성이 담보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일반 문서와 달리 실질적 증거력을 폭넓게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There are two types of credibility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formal and practical credibility. The formal credibility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is Article 356 (Official Documents) and Article 358 (Private Documents). Public documents are less likely to be counterfeited, making it easier to presume than private documents. This is acceptable in that the Criminal Law punishes the crime of forgery of public documents more heavily than the crime of forgery of private documents. However, given modern high-tech counterfeiting technology, it does not seem very convincing, so it now seems necessary to consolidate and reorganize the presumption regulations. Moreover, applying these current regulations to the authentication of medical records leads to unreasonable results. Even though medical personnel with the same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prepared the same medical records, it is not reasonabl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presumption of authenticity because they are classified as public documents or private documents depending on whether the author is a public official. Next, we will look at the practical credibility of the document. The case presupposes that formal credibility is recognized, official documents presume or recognize practical credibility regardless of disposition documents or report documents. but Private documents presume or recognize practical credibility in principle for disposition documents, but not for report documents. It is inappropriate to expla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 in that there is no crime of creating false private documents for private documents compared to the crime of creating false official documents for public document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riminal legal basis for presuming or recognizing practical credibility in the case of disposition documents among private documents. On the other hand, for medical records, even if they are private documents, the criminal law stipulates the crime of preparing false medical certificates and There is also a provision in the Medical Law that punishes counterfeiting the contents of medical records. Therefore, unlike general private documents, medical records should be widely recognized for their practical credibility because they can be said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whether they are public, private, disposition, or report documents.

      • KCI등재

        국제재판상 지도의 증거력

        이태규(LEE Tae-kyu) 대한국제법학회 2012 國際法學會論叢 Vol.57 No.2

        국제재판상 증거로 제출된 지도에 대한 증거력(증거가치, 증명력) 인정 여부 문제는, 연혁적으로 그것을 완전히 부정하는 전통적인 자세에서, 지금은 1차적 직접증거 대신 2차적 간접증거 다시 말해 마지못해 부차적 정황증거로서의 지위까지는 긍정하게끔 되었다. 한편, 지도의 증거력 문제는 승인과 금반언의 원칙 그리고 이른바 후속적 관행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지도증거와 관련된 쟁점에서, 본 논문의 주된 소재인 카시킬리/세두두 섬 관련 사건에서는 두 당사국 중 나미비아의 적극적 공세 입장과 보츠와 나의 소극적 수세 입장이 극명히 대비된다. 당해 사건의 사법적 판단과는 별개로, 판결문 본문과 별개의견 및 반대의견 등을 통틀어 각각의 해당 판사들 마다 증거로 제출된 지도의 증거력을 평가할 때 그 개성의 두드러짐 또한 명확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들어 증거로서의 지도의 증거력에 관하여 의미 있는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데, 이것은 국내법상 지도의 증거력에 대한 전향적 자세와 지극히 정밀하고 비편파적인 전자지도의 등장과 함께하고 있다. The attitude toward how to see the value (=weight or force) of the maps submitted as evidenc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legal proceedings has developed from a total ‘denying’ to reluctantly accepting them as auxiliary and circumstantial ones. Apparently, the problems of recognition including acquiescence, Estoppel principle, and so-called ‘subsequent practices’ are to be considered with ‘the value’. While Botswana took its passive and defensive way, it is observed, in dealing with the issues of evidentiary values of the maps submitted in the Case Concerning Kasikili/Sedudu Island, Namibia chose the opposite way; that is a positive and offensive one. And, besides its Judgement, every ICJ judges have also shown their own more-or-less different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issues’. By the way, a new tendency change in the international level to gauge the weight of map evidence has been being evidently expected somehow in a way of emergence of the currently changing attitude in evaluating‘the value’ in national level of judicial proceedings and of extremely accurate and totally non-biased digital map based upon so-called GPS as well.

      • KCI등재

        야사(野史)와 정사(正史)의 경계: 남이(南怡) 옥사(獄事)

        이도학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80

        역사 기록은 문장이나 체재 이전에 증거력의 우열이 가치를 결정하는 척도였다. 아무리 멋진 문장으로 작성된 기록이라고 하더라도 사실을 증언하는 증거력이 떨어진다면 문학성 외에는 의미를 찾기 어렵다. 일찍이 역사서에 대해서는 국가가 편찬하거나 인정해 준 기록물을 정사라고 하였다.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았기에 신뢰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기록의 주체인 자신의 정서와 의지, 그리고 처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사실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사의 보완재 역할을 한 역사서가 야사였다. 야사는 국가 권력의 통제를 받지 않았기에 저자의 의지에 따라 증거력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개인의 저술인 관계로 자료 활용의 폭이 제한되었기에 증거력에서 정사보다 한계를 드러낼 수 있었다. 서술의 객관성보다는 주관성에 치우칠 수 있는 우려도 보였다.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 정치적 사건이었던 남이의 모반 사건을 다스린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이 사건은 실록의 기록대로 남이는 역모죄로 처형되었다. 그러나 야사의 기록에 근거해 남이는 복권이 되었고 시호까지 추증되었다. 남이가 억울함을 벗는데는 야사의 기록이 절대적으로 기여했다. 이와 관련해 몇 가지 사안을 살펴 보았더니 야사의 증거력이 확인되었다. 역사적 사안에 대해서는 정사 우위의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좀더 탄력적이며 유연하게 접근했을 때 진실을 만나는데 가까워진다고 보았다. 남이가 처형된 사건은 모반의 진실 여부를 떠나 다른 자료를 통해서 정사와는 다르게 인식한 시각이 엄존했음을 반증해 주었다. 본고는 정사 맹신주의에서 벗어나 좀더 유연한 자세와 방법을 갖췄을 때 그 너머의 모습이 보인다는 사실을 환기하는데 두었다. Prior to a sentence or form, historical records were a measure of value determined by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reliability. No matter how wonderful a sentence is written, it is difficult to find meaning other than literature if the evidence to testify to the facts is low. As for historical books in the early days, records compiled or recognized by the state were called officially recognized history. It is true that the reliability is high because it has been certified by the state. However, it can be different from the facts as much as possible depending on one's emotions, will, and environment,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record. Officially recognized history that played a complementary role was an unofficial history. Since an unofficial history is not controlled by state power, the power of evidence is bound to differ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author. However, since the range of data use was limited due to the fact that it is an individual's writing,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power of evidence than the political affairs. There were also concerns that could be biased toward subjectivity rather than objectivity of the description.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case of Nami's rebellion, which was a political cas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case was executed for treason by Nami,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Annals. However, based on the records of the unofficial history, Nami was reinstated and an honorable name given after one's death was proved. The unofficial history record absolutely contributed to Nami's reinstatement. When I looked at several issues in this regard, the power of proof the unofficial history was confirmed. On historical issues, I saw that we were closer to meeting the truth when we broke away from the stereotype of political superiority and approached it more flexibly. The case of Nami's execution disproved that the perspective perceived differently from the political affairs existed through other data,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This paper was aimed at evoking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beyond can be seen when we break away from political blind faith and have a more flexible attitude and method.

      • KCI등재

        電子證據의 證據能力과 證據力에 관한 民事證據法上 考察 : 違法하게 蒐集된 電子證據와 삭제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도훈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8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1

        The infiltration of electronic document and email into the business world has increased the efficiency of conducting business. This change may impact the practice of law, specifically in the litigation arena. Traditional litigation process, however, was not suitable for the changes by electronic evidence.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is totally different from analog information. It has lots of specific characters which may cause many problems in the present litigation process.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is easy to make, use and store efficiently, which in turn make people to use it more frequently. It is also different in volume, accessibility and volatility. Furthermore it is convenient to copy and can be easily restored when deleted. Finally it needs specific machines or programs to read or investigate. With this in mind, we have to rethink about admissibility and competency of the electronic evidence. In the traditional litigation process, there was no general limitation for them because of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But now the electronic evidence need to be limited with some tests considering the electronic evidence's characters. 민사소송법은 자유심증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 증거능력을 인정함에 있어 법률상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증거력에 대한 판단 역시 법관의 재량에 일임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증거의 독특한 특성들은 기존의 소송현실을 변화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민사소송법의 태도나 견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먼저 위법하게 수집된 전자증거와 관련하여, 전자증거의 접근성과 복제성으로 인해 위법수집가능성 증가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증거능력의 인정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경우 전자증거를 위법하게 수집하는 것을 조장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출된 전자증거의 진정성과 무결성에 대한 입증의 어려움으로 결국 증거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전자증거의 복원성으로 인해 삭제된 데이터라 하더라도 복원이 가능한데 이 때, 복원된 데이터의 증거능력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경우 무분별한 증거신청으로 인해 재판이 지연되거나 오판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뿐만 아니라 유동성으로 인해 복원되는 과정에서 훼손 및 변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항상 무결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고, 전문성으로 인해 일반 당사자가 그러한 무결성이나 신뢰성을 입증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자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함에 있어 부분적 혹은 전면적 제한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증거력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절차를 정형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문서의 진정성립’을 통한 문서의 증거능력과 증거력 고찰

        전세영(Jeon, Se-Young),범경철(Beom, Kyung-Chul)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2

        민사소송에서는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의 제한이 없다고 하면서 그 이유로는 민사소송법이 자유심증주의(민사소송법 제202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통설의 태도로 보이며 통설은 이것이 판례의 입장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증거능력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는 형사소송에서도 자유심증주의(형사소송법 제308조)를 택하고 있는바, 과연 자유심증주의가 증거능력에 제한을 두지 않는 데 대한 근거로서 타당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의 고찰을 통하여, 증거 가운데 특히 민사소송에서의 문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살펴보고,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이 공통적으로 문서를 증거로 할 때 사용하는 문서의 ‘진정성립’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민사소송에서의 문서의 ‘진정성립’은 과연 통설적 태도와 같이 증명력의 문제로 형식적 증거력과 동일한 의미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대법원 판례의 태도로 반추해 보겠다. 종래의 통설적 견해는 민사소송에서는 증거능력의 제한이 없다는 전제하에 문서의 ‘진정성립’ 인정을 형식적 증거력의 요건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종래의 대법원 판례들 역시도 판시 내용에 따라서는 우리 민사소송법은 증거능력에는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고 볼 가능성이 농후한 예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민사소송에서도 역시 증거능력의 제한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형사소송에서와 마찬가지로 증거능력의 문제는 증거방법이 아닌 증거자료의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common opinion of scholars said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s a general rule in civil litigation because the Civil Procedure Act adopts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Civil Procedure Act Article 202). They also argue the Court takes the same attitude with them. However,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Criminal Procedure Act Article 308) can be applied in criminal litigation which limitat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till exists. I examine that the adoption of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in the Civil Procedure Act can be valid as a ground to support the common opinion. Through a review as above, based on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cases, I examine the evidence especially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nd probative power of the documents in civil litigation,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s of ‘establishment of genuineness’ of the documents used by the Civil Procedure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meaning of ‘establishment of genuineness’ of the documents in civil litigation, which is a matter of probative power, is the same as formal evidence like the common opinion discussed. According to the common opinion of scholars which argue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the recognition of ‘establishment of genuineness’ is regarded as a requirement for formal evidence. From the existing Supreme Court cases, there are some examples that are likely to be read as having no limitat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he Civil Procedure Act. However, I assert the limitat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hould be made in civil litigation and the matter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evidence material rather than means of evidence as in criminal litigation.

      • KCI등재

        전자문서에 있어서의 법제의 동향과 증거력에 관한 연구

        한삼인(Han Sam-In),정창보(Jung Chang-B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1

        The rapid and wide-spread growth in th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s caused many a number of cases which could not properly be addressed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As the traditional centerpiece of communication, the paper documents give way to the emerging electronic documents, new sets of laws are being introduced to address them. To support this shift to electronic documents, the government is also trying various options to facilitate the usage and spreading of the electronic documents. But the existing regulations and practices are still heavily centered on the paper documents, which is hindering the growth of the use and circulation of electronic documents. This led to persisting requests of enhancing the legal system that covers these issues, which also evoked the question whether the electronic documents can truly be treated as being equal to the paper documents. With this as the beginning point of the inquiry,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documents, the current trends surrounding electronic documents in Korea and other nations, and finally, the evidential credibilities of theses new type of documents in civil lawsuits. In conclusion, we suggest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at there need to be discussions for revising and improving the existing codes of laws, systematic reviews and discussions to transform various practices and principles that were formed based on the paper documents to fit electronic documents, preparation of legal solutions for the possibilities of damaging or altering the certified electronic signature system, as well as a carefu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a means to specify the arbitrary judgment made by the judges of the courts in terms of the evidential credibilities of the electronic documents. 컴퓨터와 인터넷이용의 대중화는 여러 면에서 기존의 법제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을 불러 일으켜 오고 있다. 중요한 의사교환의 수단으로 되고 있던 종이문서의 자리를 급속히 전자문서가 대처해 나가면서 새로운 법률들이 입법화가 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전자문서 보급ㆍ확산에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종이원본 중심의 관행ㆍ규제로 여전히 전자문서의 유통ㆍ확산 장애가 대두되고 있고 법령개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종이문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위에서 전자문서의 개념 및 특성을 파악하고 전자문서를 둘러싼 국내ㆍ외의 법제의 동향과 민사소송상 전자문서의 증거력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전자문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 논의, 기존 종이문서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가지 원칙들을 전자문서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려는 체계적인 검토 논의, 공인전자서명의 경우 훼손ㆍ변경의 가능성에 대한 법적 대비책 마련과 함께 전자문서의 실질적 증거력에 대한 법관의 자의적 판단을 좀 더 구체화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신중한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시사점을 제시해 본다.

      • KCI등재

        로테르담규칙상 전자운송기록의 증거력에 관한 연구

        최근배(Keun Bae Choi)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5 해양비즈니스 Vol.- No.32

        This study is focused on investigate the evidentiary effect of the ‘electronic transport record’ in Rotterdam Rules. In order to get more meaningful results, I have examined the various related various international rules. And Korean Commercial Law was also examined. Rotterdam Rules regulated that an electronic transport record is prima facie evidence of the carrier’s receipt of the goods as stated in the contract particulars, and also it regulated that Proof to the contrary by the carrier in respect of any contract particulars shall not be admissible, when such contract particulars are included in; (i)A negotiable transport document or a negotiable electronic transport record that is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acting in good faith; or (ii)A non-negotiable transport document that indicated that it must be surrendered in order to obtain delivery of the goods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signee acting in good faith; Finally it regulated that Proof to the contrary by the carrier has not be admissible against a consignee that in good faith has acted in reliance on any of the following contract particulars included in a non-negotiable transport document or a non negotiable electronic transport record. So I consider that Rotterdam Rules has more comprehensive and powerful regulations about evidentiary effect than earlier other international rules, and that Rotterdam Rules contributes to enhance the negotiability and practically usability of the electronic transport record.

      • KCI등재

        형사소송법의 시각에서 살펴본 민사소송법에서의 문서의 진정성립

        김정한 ( Jeong Han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集 Vol.20 No.3

        이 글에서 필자는 형사소송법과 민사소송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문서의 진정성립이라는 개념의 의미와 본질, 진정성과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특히 민사소송에서 진정성립이 증거능력 요건인지 증명력 요건인지, 진정성립과 형식적 증거력은 동일한 것인지 등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문서의 증거로서의 자격 또는 가치 요건으로서 형사소송법과 민사소송법이 공히 진정성립을 요구하고 있지만 그 대상되는 문서가 전문서류에 한정되는지 모든 문서인지, 진정성립 판단을 문서 작성자 또는 진술자 기준으로 하는지 증거제출자의 주장을 기준으로 하는지, 진정성립 입증방법에 제한이 있는지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기초하여 추적한 결과 형사소송에서 말하는 진정성립은 전문서류에 대하여 요구하는 우리 형사소송법 특유의 증거능력 요건이지만, 민사소송에서 말하는 진정성립은 미국 연방증거법이 말하는 진정성 요건과 동일한 것이고 이러한 진정성 요건은 형사소송에서도 해석상 요구되는 또 다른 증거능력 요건이었다. 더욱이 민사소송에서는 증거능력 제한이 없다는 종래의 전통적 견해에 기초하여 진정성립 인정을 형식적 증거력의 요건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민사소송에서도 중대한 위법수집 증거 등에 대하여 증거능력 제한이 인정되어야 하고 진정성립이 인정되어야 증거조사가 가능하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진정성립 인정은 민사소송에서도 증거능력 요건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진정성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는 것이 더욱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금까지 우리 소송법학계나 실무계는 형사소송과 민사소송으로 양분되어 연구나 입법 등에 있어서도 전혀 교류가 없었지만, 미국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법규나 해석, 연구 등이 결코 적지 않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문서의 진정성립이라는 하나의 테마에 대하여만 다루었지만, 앞으로 이러한 방식의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시도되기를 바라본다. At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meaning and essence of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of document, which is used in the criminal and civil procedure law, and the rel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especially in the civil procedure whether the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is the matter of the admissibility or the weight of evidence, the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is identical with the formal weight of evidence. The criminal and civil procedure law require authenticity of the materialization commonly as the requisite of admissibility or weight of document evidence, there are different scope of application that the document is limited to the hearsay document or not, the standard of decide of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is the man who make the document/state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or the man who present the document as evidence, there is some restriction or not in the methode of proof. And the result of pursue, I found that the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of criminal procedure is the matter of admissibility which is necessary to hearsay document through the korean civil procedure law peculiar, but the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of civil procedure is identical with the authentication which is prescribed in the American Federal Rules of Evidence, and that is needed by the construction of law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also. Moreover, in the civil procedure law the theory ``the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is the matter of weight of evidence`` which is based on the former traditional theory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f admissibility in the civil procedure law. But also in civil procedure law the admissibility can be restricted just like the cas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and the evidence investigation is possible only when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is admitted, finally I think the name of ``authentication`` is more suitable than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Till now, Korean academic circles of procedure law and official circles are divided into criminal and civil procedure law, the tow group have no relationship in the research and the legislation. But just like the American case, there is big possibility of practical common use of law, construction, research and the others. I treat only one thema, authenticity of materialization, but I hope that the research of this type is attempted in various field.

      • KCI등재

        독도문제의 주요 법적쟁점에 관한 고찰

        윤영민(Young-Min Youn),이윤철(Yun-Cheol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0 해사법연구 Vol.22 No.2

        독도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은 모두 그들이 독도에 대해 시원적, 역사적 권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실효적 지배, 역사적 권원 그리고 선점이론과 같은 국제법 이론에 입각하여 독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다. 이밖에 Critical Date나 증거력이 있는 지도 등도 독도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 양국의 주요 국제법적 쟁점이다. 한국과 일본의 수많은 학자들과 국제법 전문가들은 이상의 다섯 가지 법적 쟁점에 대해 연구해 오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도에 대한 자국의 영유권을 입증하려 노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상의 다섯 가지 법적 쟁점에 대해 분석하고, 일본이 독도에 대해 주장하고 있는 내용의 허구성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정부와 학자들은 객관적인 국제법적 이론을 바탕으로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여야 할 것이며, 독도에 대한 한국의 권원을 입증하는 증거력이 인정되는 증거들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both claim both their original and historic titles to Dokdo. They claim the title of Dokdo based on international legal theories such as effective possession, historic title and an occupation. In addition, a critical date and maps as a probative evidence are the main legal issues of Dokdo sovereignty between two States. Many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and lawyers have been researching these five legal issues and trying to prove their sovereignty over Dokdo. This article analyzes the five legal issues of Dokdo problem and indicates the legal problems of Japanese claims. In conclusion, the Korean government and scholars need to claim the sovereignty over Dokdo on the basis of rationale legal theories and find the probative evidence relating to the title of Dokdo.

      • KCI등재

        외국법이 준거법으로서 적용되는 민사소송절차에서 증거에 관련된 사항에 적용되는 국가의 법

        이헌묵(Lee, Hunmook)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4

        본 글에서는 본안의 준거법이 외국법인 경우에 증거능력, 증거방법, 증거력, 증명의 정도, 증언거부권에 관하여 어느 국가의 법이 적용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절차에 관하여는 법정지의 절차법이 적용된다. 증거에 관한 법은 통상 절차법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본안의 준거법이 외국법이라도 증거에 관하여는 법정지법이 적용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증거에 관한 사항들이 모두 법정지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증거에 관한 법이 절차법적 성질과 실체법적 성질이 결합된 경우가 적지 아니하고 이때 실체법적 성질을 무시하면 본안의 준거법에 따라서 유효하게 성립된 법률관계가 절차법에 의하여 효력이 상실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절차와 실체의 이분론에 대하여는 상당한 의문이 제기되며 실체법은 ‘실체적 권리관계의 결정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면서도 법원의 절차진행에 혼동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법’이라는 보다 유연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article discusses which country’s law shall apply to admissibility of evidence, modes of proof, weight of evidence and witness privilege where a foreign law applies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court dispute. The procedural law of the country where the court seised seats shall apply to court procedures and, therefore, it could be easily accepted that lex fori would apply to evidences though the governing law of the subject matter is a foreign law because a law on evidence is normally regarded as a procedural law. All the issues regarding evidence, however, are not governed by lex fori. In many cases a law on evidence has both procedural law character and substantial law character and if the substantial character is disregarded it could lead to an unreasonable result that a valid legal relationship under the governing law of the subject matter is made invalid by the procedural law. This fact casts doubt on the procedure-substance dichotomy and, therefore, I am of the opinion that we need a flexible approach that a substantive law is a law that does not cause confusion to the court as well as affects substantial relationship 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