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觀光空間構造가 觀光需要에 미치는 效果 : 重力模型의 利用을 中心으로

        양광호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중력모형이 학자들에 의하여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이래, 연구자들의 관심은 주로 공간상의 상호이동을 설명하는 주요 인자로서 거리억제변수의 개선에 집중되었다. 이는 중력모형이 개개인들의 이동 행태를 거주지와 목적지들의 지역별로 집단화, 평균화하여 분석하는 대집단수준의 모형이기 때문에, 거주지와 목적지간에 변화하는 요소는 상대적인 거리요인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절명하고자 하는 중력모형에서 이와 같이 중요한 거리억제파라메타가 편향되었다는 주장이 포더링헴 등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들은 이의 원인으로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에서 다양한 공간구조가 미치는 영향(곧, 공간구조효과)을 고려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용지역간 안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심지어는 직관에 반하는 (+)의 계수가 산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공간구조효과를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의 전통적 중력모형은 현실을 잘못 모형화하고 있어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모형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력모형에 있어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이와 같은 주장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상의 이동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존의 연구결과와 모형의 현실적용에 있어 근본적인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앞으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이동분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모형이 구성되고 분석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관광이동현상은 이주, 통근, 통학 등의 이동현상에 있어 본질상 이동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관광이동의 경우 이동목적 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분야에서 고려된 공간구조효과를 관광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으며, 이를 향후 해결할 수 있는 연구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관광이동현상의 경우, 이동의 대상이 되는 관광지의 명확한 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기회는 모형에서 고려하는 목적지 외에 다른 대안이 되는 목적지들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안 관광지를 어떤 범위로 한정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관광객들의 관광공간 분포에 대한 지각요소를 고려해 저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적으로 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의 관광공간의 지각수준에 따른 영향인자와 지각수준에 따른 연구를 통해 평균적 지각에 의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일 것이다. 셋째, 관광공간 구조효과에 있어서, 기존의 목적지 입지적 분포정도에 따른 입지적 의존성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선호(preference)에 따른 경제적 의존성의 규명과 이들 입지적 의존성과 경제적 의존성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넷째, 목적지간의 상대적인 접근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접근성 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구조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석집단을 보다 세분화하여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 포더링헴과 김성일은 체재일수, 이동 목적 등에 의한 구분 없이 거시적으로 공간구조효과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는 집단을 너무 대집단화 함으로서 연구자들에게 단편적인 행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구조효과에 대한 보다 행태적인 이해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소집단수준의 공간상호작용모형(로짓모형 등)에 의한 형태적 원인 등에 대한 사전 연구와 결과의 축적이 요구된다. 공간상 이동현상간의 인과관계 파악과 예측을 위하여 중력모형이 폭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공간분포하에서 조사된 O/D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당국의 관심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실측 O-D값과 중력모형 재현 O-D값의 일치비율을 이용한 개선 중력모형 개발

        유영근,Ryu, Yeong-Geu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본 논문은 중력모형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개선 중력모형을 개발한 것으로 개선 중력모형은 잔차를 이용한 것이다. 기존 잔차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잔차를 기준연도 실측 값에서 중력모형의 재현 값을 뺀 값으로 하였고, 이를 장래 중력모형 예측 결과 값에 더하여 장래 통행분포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잔차를 중력모형 계수 추정과정에서 산출 하였는데, 산출결과, 이 잔차가 실측 통행분포량을 중력모형에서의 재현 값으로 나눈 값(재현 일치비율)임을 밝혔다. 재현 일치비율을 중력모형에서 산출된 장래 통행분포량에 적용하였는데, 사례분석 결과, 기본 중력모형, 잔차 부가 개선 중력모형 등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예측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eveloped advanced gravity model for higher estimation accuracy, that deals with residuals. Previously studied paper using gravity model's residual, residual calculated that observed O-D value minus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and this residual added to the target year's estimated value from gravity model. In this paper, residuals calculated on gravity model parameter estimation process, and this residual is revealed the same value that observed O-D value devided by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And case study resulted that developed new gravity model that applied accordance rate of observed O-D value and derived O-D value from gravity model has higher estimation accuracy than other gravity models as basic gravity model and residual plused gravity model.

      • KCI등재

        잔차를 이용한 개선 중력모형의 개발

        유영근(Ryu Yeong Geun)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본 논문은 장래 존간의 통행분포 예측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던 중력모형의 예측정도 향상을 위하여 개선 중력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각기 다른 3개 연도의 사람통행실태 조사에 의해 구축된 O-D표를 이용하여, 중력모형에 의한 통행분포와 실제 통행분포간의 차(잔차)의 시계열적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선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로부터 기준연도의 잔차를 기존 중력모형에 더한 형태의 개선 중력모형을 개발하였다. 실제 O-D를 이용하여, 개발된 중력모형에 의한 통행분포량과 기존 중력모형에 의한 통행분포량을 비교한 결과 개선된 중력모형에 의한 결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get more accurate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n improved gravity model. Using three different year's O-D table resulted from person trip survey,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ve between basic year's residuals and target year's residuals by gravity model. And resulted that the two have linear correlation. From this, improved gravity model was developed as adding basic year's residual to present gravity model. Developed gravity model was compared to present gravity model by estimation accuracy, and revealed that distributed trips from improved gravity model was more closer to real O-D than distributed trips from present gravity model.

      • KCI등재

        중력모형을 이용한 해상국립공원 탐방수요 추정

        모수원 ( Soo Won Mo ),이광배 ( Kwang Bae Le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나 지정학적 특성으로 사실상 섬나라와 다름없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섬을 포함하는 해양관광이 힐링과 같은 주제와 결합되고 다각화되면서 틈새관광시장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섬 지역에 대한 여행객의 증가와 도서지역의 소득증대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많은 연구들이 산악 관광에 집중되고 해상관광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또한 GDP와 같은 경제변수나 인구 또는 접근성과 같은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중력모형을 도입하여 해상형국립공원에 대한 탐방수요구조를 분석한다. 중력모형은 무역이론의 실증분석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양 지역의 경제규모에 비례하고 두 지역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그 특성으로 하고 있다. 관광은 서비스교역의 특별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탐방객의 이동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본고는 6가지 중력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는데, 기본적인 틀은 해상형국립공원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대도시를 중력원으로 처리하는 것과 서울시를 중력원으로 처리할 것인가이다. 구체적으로 중력원으로 서울의 지역내총생산, 부산의 지역내총생산, 광주의 지역내총생산, 대전의 지역내총생산을, 마찰력원을 서울과 해당국립공원과의 거리, 부산과 국립공원과의 거리, 광주에서의 거리, 대전에서의 거리로 설정하여 모형을 구성한다. 또한 중력원으로 지역내총생산을 투입한 모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서울, 부산, 광주, 대전의 지역내총생산을 주민수로 대체하여 투입하여 재추정한다. 주민수를 중력원으로 투입하는 것은 소득변수를 중력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이론적 근거가 약하다는 소수의 의견에 대한 검정이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한다. 여기에 4개 국립공원의 탐방객, 인구수,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15년의 자료로 패널자료를 구성 하여 패널공적분검정을 실시한 후 패널공적분벡터를 도출하여 선정된 모형이 안정적임을 밝힌다. 또한 패널분석을 실시하여 인구와 거리가 탐방수요에 영향을 미치나 지역내총생산도 미약하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인다. 또한 인구나 소득보다 거리가 해상관광객 유치에 큰 장애요인이 된다는 것도 밝힌다. Although the gravity model had been neglected by the tourism demand literature for decades, it re-emerged as a way for modeling tourism demand as the role of structural factors on tourism became more essential. Gravity models use the Newton``s universal law of gravitation in order to describe the patterns of international trade. The model considers that the bilateral flows between two countries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untries``economic masses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vity models fit well when it comes to explaining the international flows of trade, migration and foreign investment. Thus, since tourism can be considered as a special type of trade in services, the movement of international travellers and tourists can also be analysed through the gravity approach. In this study, we employed five gravity models for four marine national parks. The gravity models employ either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or population, while the distance between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national parks a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ravity Equations have the form of regressing tourism demand on bilateral distance and two measures of region size. The panel data, which combined the time series and cross-sectional observation, are composed of 4 national parks and 15 years. The gravity model 1 regress visitors on distance between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and Seoul an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of Seoul for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on distance between Odongdo and Seoul and GRDP of Seoul for Odongdo, on distance between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and Seoul and GRDP of Seoul for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and on distance between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and Seoul and GRDP of Seoul for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The gravity model 2 inputs Busan instead of Seoul for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Gwangju for Odongdo and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and Daejeon for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The gravity model 3 and 4 use population instead of GRDP for measuring the region``s economic mass. The panel cointegrating vectors shows that the number of visitor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istance, but show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population of metropolitan cities. GDP and the distance between two regions play a principal role in the gravity model. The pane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opulation of the nearby metropolitan cit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ational park and the nearest metropolitan should be employed. However, neither the GRDP of the nearby metropolitan city, nor the Seoul city, and nor the population of Seoul is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visiting demand for marine parks.

      • 중력모형에서 존내 분포통행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유영근(Ryu Yeong Geun)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5D

        중력모형은 출발 존의 유출통행량과 도착존의 유입통행량 그리고 출발존 중심에서 도착존 중심까지의 교통저항을 이용하여 장래 분포통행을 예측한다. 중력모형에서 존내통행 예측의 경우 교통저항이 “1”로 산정되기 때문에 중력모형에 의해 예측하지 못하고 성장율법과 같은 타 방법에 의해 예측을 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모형에 의한 분포통행 예측시 구축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존내 분포통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제안한 방법은 기준연도의 존내 분포통행량과 유출, 유입통행량을 존간통행에서 구축된 중력모형식에 대입하여 존내 교통저항을 산출하고 이를 다시 중력 모형에 대입하여 장래 존내 분포통행 예측을 행하는 것이다 1988년 O-D표를 기준연도 O-D로 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방법인 성장률법과 회귀모형법의 1992년과 2004년 예측결과들을 실제 O-D와 x², RMSE, 상관계수 등으로 비교ㆍ분석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Gravity Model estimates target year's distributed trips using three variables like as origin zone's trip production, destination zone's trip attraction and traffic impedance between origin zone centroid and destination zone centroid. Estimating inner zone trip by gravity model is impossible because traffic impedance of inner zone has "0" value. So till today, for estimating inner zone trips, other methods like growth factor model are used. This study proposed inner zone trip estimation method that calculates inner zone's traffic impedance using established gravity model and estimates inner zone trips by putting calculated traffic impedance into the gravity model. 1988 year's surveyed O-D as basic year's O-D, proposed method's and existing methods(growth factor method and regression model)'s estimated results of 1992 year's and 2004 year's were compared with each year's real O-D by X², RMS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sult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han other existing methods.

      • KCI등재

        복수 중력모형의 구축과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유영근 대한교통학회 2013 大韓交通學會誌 Vol.31 No.2

        This study developed plural gravity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The developed method initially involves utiliz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to set the target level. Afterwards, the gravity model is created, and if the gravity model'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satisfactory in regards to the target level, the model creation is complete and future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is calculated. I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not on par with the target level, the zone pair with the largest standardized residual is removed from the model until the target level is obtained. In respect to the model, the removed zone pairs a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ides. In each of these sides, gravity models are made until the target level is reached. If there are no more zone pairs to remove, the model making process concludes, and future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is calculated. The newly developed plural gravity model and application method was adopted for 42 zone pairs as a case study. The existing method of utilizing only one gravity model exhibited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 (R2) of 51.3%, however, the newly developed method produced three gravity models, and exhibited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 (R2) of over 90%. Also, the accuracy of the future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existing method. 본 논문에서는 중력모형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복수의 중력모형을 구축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개발한 방법은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목표수준을 결정하고, 중력모형을 구축한다. 구축된 중력모형의 결정계수가 목표수준을 만족하면 모형 구축을 종료하고, 장래 통행분포 예측을 행한다. 만약 결정계수가 목표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목표수준에 만족할 때까지 구축된 모형에서 표준화 잔차가 큰 순서로 죤 페어(Zone pair)를 제거한다.제거된 죤 페어들은 구축된 모형을 기준으로 보면 +영역과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영역에서 중력모형을 구축하고 목표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거해야 할 죤 페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모형구축 작업이 중단되고, 장래 통행분포량 예측을 한다. 사례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을 42개 죤페어에 적용하여 보았는데, 기존방법, 즉 하나의 중력모형으로 구축하면 설명력()이 51.3%였으나, 개발된 방법은 3개의 중력모형을 구축하고, 설명력()이 90% 이상 되었다. 또한, 장래 예측 정확도도 기존 방법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검정 되었다.

      • KCI등재

        수도권 화물자동차 통행분포를 위한 도착지선택모형: 집계중력모형과 실증비교

        김한수,박동주,김찬성,이강대,김경수 국토연구원 2010 국토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proposed destination choice model of truck compared with gravity model for Seoul Metropolitan, Korea. The modeling approach is a discrete choice model based on the random utility maximizing principles. The research estimated destination choice models for two types : linear utility and non-linear utility models. The structure of destination choice model in the analysis takes the form of a non-linear-in-parameters multinomial logit model to accommodate multiple size measures characterizing the number of elemental alternatives within each alternative zone. The sample used in the analysis was drawn from the 2005 Korea commodity flow survey. The models were evaluated for average trip length, 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도착지선택모형은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한 비집계모형으로 개별적인 통행 의사결정자가 여러 대안 중 도착지를 선택하는 행태적 특성을 반영하여 모형화한 것이다. 이 모형은 유연한 확장, 모형해석과 적용이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집계중력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화물자동차의 통행분포를 위한 도착지선택모형을 구축하고 집계중력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예측력과 한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착지선택모형은 통행거리, 종사자수, 산업단지 여부로 구성된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특히, 제조업 종사자수와 도소매업 종사자수의 공간적 분포가 다른 것에 착안하여 종사자수를 구분한 모형과 구분하지 않은 모형으로 구축하여 이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형과 중소형 화물자동차는 도소매업 종사자수 보다 제조업 종사자수의 영향이 더 큰 것을 파악하였으며, 중형과 대형 화물자동차는 도소매업 종사자수에 대한 계수가 유의하지 않으며, 제조업 종사자수로만 추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파악하였다. 집계중력모형과의 비교는 평균통행거리와 통행거리분포의 일치비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평균통행거리에서는 도착지선택모형, 일치비율에서는 중력모형이 관측치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느 한 모형의 예측력이 월등히 뛰어나거나 떨어지는 결과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이는 도착지선택모형이 집계중력모형과 동등한 수준의 현실설명력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로는 개별대안과 집계대안과의 관계를 반영하는 방법, 비선택대안의 표본추출 시 단순무작위 추출보다 층화추출을 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적응 뉴로-퍼지를 이용한 도시철도 분포수요 추정 : 부산 지하철을 중심으로

        김경환(Kim Kyung Whan),김진욱(Kim Jin Uk),유환희(Yoo Hwan Hee)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2D

        도시철도 교통의 노선개통전후의 수요예측과 수요창출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모형보다 효율적인 수요 예측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의 중장거리 통행 특성과 통행거리에 대해 분포수요의 불규칙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도시철도 분포수요 예측모형에 대한 ANFIS를 이용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형구축 및 검정을 위한 자료로는 부산시 지하철 1,2,3호선의 실제 역별 유출량ㆍ유입량과 역간 분포량 자료 그리고 역간 통행거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수화한 역별 유입량과 역간 통행거리를 입력변수로 대수화한 역별 선택비율은 출력변수로 한 ANFIS모형을 구축하고 기존의 기본형 중력모형을 구축하여 두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평균절대오차, RMS오차, 평균오치율, X², r값에서 ANFIS를 이용하여 구축한 모형이 중력모형보다 좋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형의 재현결과인 분포량의 예측치와 실측치간의 비교에서도 ANFIS를 이용한 모형이 중력모형보다 실측치와의 선형관계가 우수하고 분포수요 예측의 정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존의 기본형 중력모형은 통행거리에 따른 분포특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함으로써 모형에 미치는 통행거리의 영향이 적은 반면, 통행거리를 다양하게 함수화 할 수 있는 ANFIS를 이용한 모형에서는 통행거리가 상당히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력모형보다 매우 높은 재현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forecast exactly and induce the demand of urban rail transits, a distribution demand forecast technique of urban rail transits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existing models is required. Thus, in this study a technique of using the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ANFIS) was suggested for the technique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edium and long range travel and irregular trip distribution of urban rail transits. For the data to build the model, those of Pusan subways were used. The ANFIS model has the logarithmic scales of each station's trip production and distance between stations as inputs and the logarithmic scale of station choice rates as output. The ANFIS model and a basic gravity model were tested for suitability. As the results of the test, the ANFIS model is better than the gravity model in the statistics of mean absolute error, RMS error, mean error rate, chi-square and r value. And, in the comparison of estimated and observed station choice rates, the ANFIS model is better than the gravity model for linear relation and forecastability.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ANFIS model considers the travel distance and shows high reappearanceability while the gravity model can not explain the trip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distance.

      • KCI등재

        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의 통행거리분포 분석에 관한 연구

        권혁구,임홍상,김건영,강경우 대한교통학회 2002 大韓交通學會誌 Vol.20 No.2

        도시화물수요예측모형에는 화물기반모형과 트럭통행기반모형이 있는데 화물기반모형은 화물체계가 기본적으로 화물운송과 관계가 있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차량이 아닌 화물의 움직임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반면에, 트럭통행기반모형은 집합화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각 죤(Zone)에 유 · 출입하는 트럭의 통행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럭통행기반모형의 O-D 추정시 화물통행과 트럭통행 사이의 관계식을 산출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통행거리분포함수(Trip Length Distribution : TLD)를 추정함에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교통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서울시 물류조사 및 물류종합계획수립구상(1998)’의 화물 물동량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행거리분포에 따르는 화물 및 차량의 비율을 함수로서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트럭통행기반모형에서 트럭통행거리분포를 이용하여 화물기반모형에서 도출할 수 있는 화물의 통행거리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각각의 통행거리분포는 감마분포를 이용하여 함수식으로 도출하고 상기한 두 가지 분포모형을 하나의 관계식을 통해 재산정할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트럭통행거리분포, 화물통행거리분포 모두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화물의 통행거리분포와 매개함수를 통해 재산정된 모형의 결과 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품목별 적용에서는 잡공업품과 화학공업품은 본 연구의 매개함수식을 통해 화물거리분포 모형이 적합하였으나, 금속공업품과 경공업품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지역별 교육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 : 중력모형을 이용

        권현범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교육연관표를 작성 것이다. 지역별 교육연관표를 통하여 교육인프라 구축 상태, 교육 교역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출지역의 지역별 교육서비스업의 총생산량을, 이입지역의 지역별 인구규모, 공간거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교육연관표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우선 지역별 교육량의 추정과 관련하여 서울·경기 지역이 전국 교육량의 대부분인 76.83%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도’보다는 광역시에서 더 많은 교육량을 지니고 있으며 공업지역 일수록 더 높은 교육량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별 교육량 유출·유입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의미 있는 현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제주도가 가장 유출량이 적었다. 둘째 울산이 가장 교육량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부산으로 교육량이 많이 유출되고 있었다. 셋째 경남과 전남이 가장 높게 교육 교역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론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몇 가지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 우선 모형의 단순한 적용으로 교육의 미세한 부분까지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실제로 파라미터 값을 ‘1’로 하였기 때문에 독립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한 세심한 연구가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행연구는 독립변인의 선택과 그 독립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한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figure out how much an educational quantity flows from one to another city as well as measure the particular area's educational quantity by using Gravity model. And then, this paper's ultimate purpose has to point into making a education-relation table by using the gravity model. In order to make this table, there need three independence variables for applying to the model. One is the educational service outcomes in each city. Another is the population in numbers. The other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cities. This paper's conclusion remarks a major concept, educational quantity. This estimated figures could be used as an index appealing the cities' nature, which means how much educational infra-system each city has built in. According to this conclusion, Ulsan City is relatively needed more educational infra-system than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