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기여성 강박증의 심리적 갈등의 해소 - 안아주기 이론을 중심으로 -

        문경임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본 연구는 중년기 강박증 여성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중년기여성에 게서는 심리적 갈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 심리적 갈등이 중년기여성의 강박 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는 중년기의 강박증 여성에게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중년기여성에게 강박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인생의 중년기는 삶 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 본 연구는 욕구불만과 심리적 좌절에 초점을 둔다. 욕구불만과 심리적 좌절은 중년기의 여성, 특히 강박증의 여성에게 반복적 행동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미래에 대한 초조감은 중년 기 강박증의 여성에게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심리적 좌절로 인한 미래의 초조감은 신 경증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다. 더 나아가 중년기여성의 강박증은 자기 허탈감으로 심리적 좌절을 겪는다. 이러한 중년기여성의 강박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위니캇의 안 아주기 이론을 적용해야 한다. 안아주기 이론은 중년기여성 강박증을 해결하는 방법 이 되기 때문이다. 안아주기를 통한 존재의 수용과 인정이 중년기여성의 심리적 문제를 치료한다. 이 는 심리적 결핍을 해소하는 원리이다. 안아주기를 통해 새로운 삶의 목표를 발견하는것 또한 가능하다. 안아주기는 중년기여성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다. 더 나 아가 안아주기를 통해 가치관의 재정립도 가능하다. 안아주기를 통해 심리적 갈등이 해소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middle- aged obsessive-compulsive women. Psychological conflict emerges as a serious problem in middle-aged women. This psychological conflict acts as a factor that causes obsessive compulsion in middle-aged women. This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must be solved for middle-aged obsessive-compulsive women. There are several causes of obsessive compulsion in middle-aged women. This is because the middle age of life is the result of the com- plex factors of life.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frustration. This is because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frustration induce repetitive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especially women with obsessive compulsion. The resulting anxiety about the future is dominant in women with middle-aged obsessive compulsion. The anxiety in the future due to psychological frustration causes neu- rosis. Furthermore, the compulsion of middle-aged contributors suffers psychological setbacks due to self-depression. In order to relieve this obsession with middle-aged women, Winnikat's theory of hugging should be applied. This is because hug theory is a way to solve middle –aged women's obsessive compulsion.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existence through hugging tre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iddle-aged women. This is the principle of relieving psychological deficiency. It is also possible to discover new life goals through hugging. Hugging gives middle-aged women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define values through hugging. This is because psychological conflicts are resolved through hugging.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용서와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순자,변상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Having developed defensive and avoidant attitudes from the experiences of desperate childhood with a thirst for survival, women in the midlife stage of a typical life cycle face an identity crisis.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affect anger, moderated by self-forgiveness and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25.0 based on 157 units of the survey collected out of 170 units distributed among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the research found that middle-aged women’s complex traumatic experienc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forgiveness. Second, the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Third, middle-aged women’s self-forgivenes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Fourth, the deleterious effects on the self-system of middle-aged wom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Fifthly, middle-aged complex traumatic experience has no relationship to anger. As a result, it is crucial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for a recovery program from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elements that can relieve anger through self-forgiveness, and this research deems advantages to counseling families of middle-aged women. 생존을 위해 사는 절박한 어린 시절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은 상처, 불안, 긴장을 가지고 자신을 방어하고 회피하면서 굳어진 마음으로 역할상실과 함께 정체성의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 영향요인이 자기용서와 자기체계손상을 통하여 분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서울·경기 소재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1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157부를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용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체계손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용서가 분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여성의 자기체계손상이 분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기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분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분노를 낮출 수 있는 자기용서를 통한 복합외상치유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중년기 여성 가족의 행복 추구를 위한 상담과 교육에 긍정적인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연령범주별 비교분석 연구

        전혜정(HaeJeong Jeon),백주희(Ju Hee Baek)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결혼이주여성의 양적증가와 함께 이들의 이주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년기에 접어든 결혼이주여성의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범주별(성인기 대 중년기) 패턴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2015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성인기 10,886명과 중년기 3,124명을 포함한 총 14,010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참여(비공식적, 공식적) 수준의 차이에서 성인기 결혼이주여성은 모국인친구모임 참여가 중년기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반면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은 지역주민모임, 종교활동이 성인기 결혼이주여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식적 사회참여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은 성인기 결혼이주여성에 비해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이 약 20%가량 높은 편이었으며, 최근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과 비교해보아도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회귀분석에서는 성인기 결혼이주여성은 비공식적, 공식적 사회참여 모든 변수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은 통제변수인 월평균 소득만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연령범주에 따른 의미 있는 사회참여를 발견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s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increase, their local stay is increasing. Accordingly, more and mor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are coming into their middle age. So, to verify the differentiation of the age-specific influence (adulthood vs. middle age) tha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os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exert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this study has performed an analysis on 14,010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including 10,886 of them in adulthood and 3,124 of them in their middle age, based on the 2015 survey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alysis shows that as far as (official or unofficial) social participation is concerned, more of thos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in adulthood participated in the meetings of their fellow persons from their native countries than those in their middle age, whereas those in their middle age were more active in the meetings of local residents and religious activities than those in their adulthood. Also, the rate of those marriage -based female immigrants in their middle age who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through official social participation was about 20% higher than the rate of those in their adulthood, which is a very high level when compared to the latest economic participation rate of South Korean wome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in adulthood, all the variables of official or unofficial soci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 for life statisfaction, whereas for those in their middle age, the control variable of average monthly income alone significantly influenced life st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a plan to increase th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by discovering age-specific meaningful social participation.

      • 중년기 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프로이트 정신분석적 고찰

        이지민 ( Lee Ji-mi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현대의 한국 중년기 여성들은 다른 세대와 달리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급류에 휩쓸리듯 성장해 왔다. 그녀들의 발달과정은 현대의 다른 세대들과 달리 왜곡된 가부장제의 영향으로 표현에 서툴렀던 아버지와 남존여비 사상의 영향을 받은 어머니 아래 양육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원가족 양육 환경은 현대의 많은 중년기 여성들에게 차별과 편애 및 부모화 강요를 경험하게 했다. 수치심은 무엇보다 쉽게 세대 전이될 수 있는 감정이며 특히 여성에게 더욱 취약하다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의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병리적 수치심을 야기시키며 병리적 수치심은 인간의 영혼을 병들게 하는 치명적인 정서이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상태수치심과 달리 대개 유아기부터 중요한 대상들에게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경험된 수치가 내재화 되어 형성된 정서이다. 수치심은 그 어원에 걸맞게 숨기고 가리는 특징이 있다. 이는 정신분석학에서는 ‘억압’된 감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억압된 수치심은 우리의 무의식에 잠재되어 개인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설명할 때 정신분석은 그 어떤 이론보다 수치심의 특징을 뚜렷하게 설명할 수 있다. 프로이트(Freud, 1856-1939)에 의하면 지정학설, 성격 구조론, 불안에 대한 세 가지 정의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수치심이 언급된 바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수치심은 리비도에 의한 추동 과정에서 항문기를 어떻게 부모가 대응하는지에 따라 아동은 수치심이 내재화되거나 혹은 주도성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간의 갈등에서 파생되는 신경증적 불안에서 수치심은 원초아(id)의 욕구 충동을 억제 시키는 기능으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성에게 강렬히 경험되는 수치심으로 남근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시기가 있다. 이는 여아가 남근 선망으로 인해 자신의 여성성을 무시하고, 열등감으로 어머니를 증오하며 질투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 정리하자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의 여성의 수치심은 세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발달과정에서 부모 양육 태도로부터 경험되는 수치심 둘째, 사회 적응을 위해 부적절한 욕구를 억제하기 위한 수치심 셋째, 자신의 존재에 대한 수치심이다. 따라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의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은 먼저 왜곡된 유교 문화와 가부장제의 문화적 영향으로 당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는 과정에서 수치심이 더욱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와 더불어 중년기 여성들은 성장 과정에서 남아선호 사상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아 왔다. 이는 여성 존재 자체에 관한 수치심으로 내재화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결과적으로 중년기 여성들의 수치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은 그녀들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유발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고, 억압된 수치심을 의식화하여 수치심으로 억눌린 자아에 동조적 상담을 제공함으로 치유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것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세대 전이를 예방할 수 있고 가족의 안녕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Unlike other generations, modern middle-aged Korean women have grown as if they were swept away by rapid currents in a rapidly changing era. Unlike other modern generations, their development process experienced parenting under their father, who was poor at expression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patriarchy, and their mother, who was influenced by the idea of male support. This family-of-origin environment has experienced discrimination, favoritism, and coercion into parenting for many middle-aged women toda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lized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the sense that shame is an emotion that can easily be transfer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specially to women. Internalized shame causes pathological shame, and pathological shame is a fatal emotion that makes the human soul sick. When explaining internalized shame, psychoanalysis can explain its characteristics more clearly than any other theory. In summary, women’s shame in classical psychoanalysis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shame experienced from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cond, shame to suppress inappropriate desires for social adaptation, third, shame on one’s existenc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hame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viewed from a classical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was firstly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suppressing and repressing their desires to adapt to the society at the time due to the distorted Confucian culture and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middle-aged women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ference for boys in the process of growth. This suggests that it may have been internalized as a shame about the existence of women themselves. As a result, providing therapeutic help by effectively interpreting the internalized shame that causes their various psychopathologies and providing sympathetic counseling to the self suppressed by shame by making the repressed shame conscious is not only personal growth but also generational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disease and to provide the well-being of the family.

      • 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패턴과 혈청성분함량

        김명숙,안홍석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양상과 혈청성분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BMI,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및 혈압과 혈청성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fp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차상자 66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혈압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고 혈청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비만도에 따라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1) 수축키와 확장기혈압이 모두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고도비만군이 높았다2) 섭식양상에서 식습관 중 아침결식률이 전체 비만군에서 59.18%였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열량섭취량은 경도비만군이 1823.91 kcal, 고도비만군이 1740.97kcal로 각각 권장량의 91.20%, 87.05%로서 권장량보다 낮았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의 1일 영양소섭취량은 단백질 인, 비타핀A, 비타핀B₁, 나이아산, 비타민C의 경우 권장량을 초과했으나 칼슘, 철,비타민B₂는 권장량의 66.28%, 67.38%, 84.23%로 권장량 이하로 유사연령대의 일반여성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콜레스테롤섭취는 두 군이 모두 1일 권장량인 300 mg미만을 초과했다. 3) 혈청성분 중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게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정상보다 높은 수준이었곤, 유리지방산과 ALT는 특히 고도비만군에서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 경도비만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경우 비만도에 따라 유리지방산과 ALT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총항산화능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서 정상범위였으나 낮은 수준에 속하였으며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청성분과 신체계측치 및 혈압과의 상관관계에서 유리지방산이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힙둘레, WHR과 양의 상관성을 보여 AST, ALT가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중년기 복부비민자서 섭식패턴의 문제는 과열량섭취보다 아침결식의 습관에 있으며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평균함량은 정상수치보다 높다 또한 유리지방산과 ALT의 함량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유리지방산, AST, ALT가 체지방 및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신체계측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um component and the nutritional aspects of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who are 30 to 55 years old, in order to find the physiological causes and problems of middle-aged abdominal obese women in Korea.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Results: 1) As for the diet pattern, 51.72% of pre-obese group and 70% of obese group do not have breakfas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average daily caloric intake is 1823.91 kcal and 1740.97 kcal for pre-obese group and obese group, respectively which are 91.20% and 87.05% of RDA. It is lower in obese group than in pre-obese group, bu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intake more protein, phosphorus, vitamin A, vitamin B1, niacin and vitamin C than RDA, but intake less calcium, iron, vitamin B₂, than RDA, corresponding to 66.28%, 67.38% and 84.23% of RDA, respectively. Obese group and pre-obese group exceed RDA of 300mg. 2) Th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are higher in both groups than normal.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is higher in obese group than pre-obese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s means that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ntioxidant, AST, but ALT between two groups. The total antioxidant is low and in a normal range in both groups. 3)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are related with weight, BMI, body fat, abdominal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Conclusion: Comparing pre-obese group with obese group, abdominal obesity of women is related with regularity and with diet pattern such as "skipping breakfast" more closely than caloric intake is.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in abdominal obese women and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is related with abdominal obesity.

      • KCI등재

        중년기 여성들이 저널치료를 통해 인생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장정인(Jung-In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이 저널치료를 통해 인생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기 여성이 인생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크게 ‘제 2의 사춘기’, ‘후회와 희망’, ‘성찰과 실행’으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들이 가장 먼저 느끼는 변화는 신체적 변화였으며, 중년기 여성들은 정신과 육체의 불균형 속에서 힘들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단 몸만이 아니라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 갈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성장의 시기를 살아가고 있는 중년기 여성들은 또 한 번의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며 정체성을 확립하기를 원했다. 또한 중년기 여성들의 삶은 많은 부분이 후회로 얼룩져 있었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자아통찰을 통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찰과 실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을 통해 인생 2막에서 마주 하는 것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년기 여성들이 스스로 삶의 주체가 되어 아름다운 노후를 맞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in-depth what middle-aged women face in Act 2 of their lives through journal therapy. The main results for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middle-aged women face in the second act of life is largely categorized into second puberty , regret and hope , and reflection and execution . The first change that middle-aged women felt was physical change, and middle-aged women struggled with mental and physical imbalances. Middle-aged women also had fears about how to live not only in their bodies but also in a rapidly changing world. Middle-aged women living in the second period of growth wanted to establish identity while experiencing another chaos of identity. Much of the life of middle-aged women was also smeared with regret. In addition, however, middle-aged women were able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practice themselves through self-examination and concentration. This study will help middle-aged women become the subjects of their lives and meet beautiful old age by looking at what they face in Act 2 of their lives through journal therapy experiences.

      • KCI등재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충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이남 ( Lee Nam ),한정란 ( Han Jung R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수준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40세 이상 59세 이하의 중년기 여성 328명(취업여성 200명, 비취업여성 128명)을 대상으로 Hornstein & Wapner(1985)의 네 가지 은퇴 기대 유형과 경제적·정서적·신체적·사회적 노후준비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 모두 은퇴를 `강요된 좌절`로 기대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취업여성이 비취업여성보다 은퇴를 `휴식`, `새로운 출발`, `강요된 좌절`로 기대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그러나 `삶의 연속`에 대한 기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취업여성은 경제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노후준비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비취업여성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노후준비 순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여성이 비취업여성보다 경제적·정서적·사회적 노후준비를 더 잘 하고 있는 반면, 신체적 노후준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은퇴를 `휴식`이나 `새로운 출발`, `강요된 좌절` 등 삶에 중요한 변화를 수반하는 사건이나 계기로 기대하는 경향이 높은 집단에서 취업자와 고학력자, 고소득자 비율이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노후준비도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들이 은퇴를 앞두고 체계적으로 은퇴후 생활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 서비스와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은퇴준비 교육이나 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적은 비취업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 및 지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ctation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in middle age. We survey 328 women in total aged from 40 to 59 (200 employed and 128 unemployed women). The instruments consist of the Retirement Expectation Inventory from Hornstein & Wapner (1985) and the questions on economic, 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The `imposed disruption` is the highest retirement expectation both in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② For `rest`, `new beginning`, and `imposed disruption`, employed women show higher retirement expectation than unemployed women.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continuation`. ③ Employed women show the highest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llowed by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while unemployed women show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in order. And employed women are better preparing for their retirement in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area than unemployed wome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hysical retirement preparation. ④ The subgroups that expect retirement more as `rest`, `new beginning`, or `imposed disruption` are mostly well-prepared for retirement, and composed mainly of employed, highly-educated, and high-income. Finally, we suggest the provision of various welfare servic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in particular for unemployed women with relatively insufficient opportunities of pre-retirement education or planning service.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 학습이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대명 ( Kim Daemyung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이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질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중년기 여성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고, 둘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교육서비스 질, 프로그램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며, 셋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및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교육서비스 질이 매개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년기 여성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른 각 변인간 차이 검증을 통해서 거주 지역, 한달 수입, 학력, 프로그램 영역별, 연령, 직업유무, 결혼여부, 사회 활동여부, 평생교육참여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들은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들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는 교육서비스 질의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교육서비스 질은 그들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만족도와 많은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련 변인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학습자들의 평생 교육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교육서비스 질의 인식과 관련된 포괄적 측면을 고려한 교육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ir satisfaction of the program.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their Self- Directed Learn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ir Program Satisfaction what is the difference? Second, How are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ir Program Satisfaction related? Third, How i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related to Participative Motivati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Program Satisfaction? First, the middle-aged woman on each side of the human individual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rough verification residence, monthly income, education, programs, by region,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social status, life-long learning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respectively. It is a leader in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to operate and when planning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located in any region if the agency, the agency is located where the middle-aged women's economic level, education level,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whether social activities, such as continuing education participat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is allows the learner-centere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to plan and operate a customized training program, it is of utmost importance. Second, middle-aged women'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ir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re closely interrel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education institution thru the use of strategies such as having brand image results to high satisfaction for individual programs. Third, it was proven that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s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variables.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e institution decides the rate of satisfaction. Therefore the center owners should focus on building the learning ambiance for middle-aged women to be able to get high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the institution. This study means educational effort is much needed considering the general side related to the variables to develop the discussion on the satisfaction on the program through prov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building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that can expla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 KCI등재

        중년기 여성 소비자의 자신을 위한 소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40대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송인숙,윤명애,양덕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자신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신세대 중년층이 늘어나는데 대해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바 구체적으로 중년기 여성소비자의 자신을 위한 소비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을 위해 어떤 품목을, 왜 소비하며, 그것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40대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전업주부인 여성소비자는 외모가꾸기를 위한 의복류와 미용품, 체력 및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및 운동용품, 건강보조식품 그리고 자기계발과 취미활동을 위한 강좌수강, 여행과 관람, 각종 가족 외의 모임 후 회식 등 다양한 곳에 자신을 위해 소비하고 있었다. 중년기 소비자들이 자신을 위해 하는 소비가 늘어난다고 주목받으며 주로 안티에이징 품목에 대해서만 사회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소비전체를 파악한 결과 그 밖에도 인간관계나 문화생활을 위해 여행, 강좌수강, 모임 후 회식 등 다양한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신을 위한 소비는 중년기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신체와 외모의 변화에 따라 심리적 변화가 생기고, 정체성이 결여되거나 자신감이 부족해지는 현상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자신을 위한 소비의 직접적인 이유는 가사노동이나 가족 관계 갈등에서 생기는 주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자신의 가사노동에 대해 일정한 보상을 주기 위해, 자신을 존중하고 위로하기 위해, 자신을 위한 투자로서, 그리고 사회적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스스로 설명하고 있었다. 자신을 위한 소비에 대해서 너무 즐겁고 생활에 활력이 되며 행복하다는 만족한 평가와 지나친 소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나 후회를 느끼는 갈등이 병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논의를 하였다. 중년 여성의 소비생활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져 온 데 비해 가족을 위한 가사담당자로서 소비생활이 아니고 중년여성의 삶과 연결 지어 자신만을 위한 소비생활에 대해 파악하였고, 특히 가족을 위한 삶의 비중이 큰 전업주부에 대해 그들이 자신을 위한 소비를 어떻게 왜 늘려가는 지를 탐색한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통합 관리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정덕은 ( Duk Eun Chung ),성경미 ( Kyung Mi S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6주간의 통합 관리프로그램이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건강증진 교육과 운동을 포함한 통합 관리프로그램은 중년기 여성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갱년기 증상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갱년기 증상은 통합 관리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실험군 14.67점, 대조군 12.91점으로 전체 평균 13.80점이었으며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Choi, Oh, & Shim, 2008; Sung, 2000),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실험군의 갱년기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증상을 하부개념인 신체적, 심리적, 성적 증상으로 구분하여 중재효과를 분석하였으나 선행연구에서는 전체 갱년기 증상에 대한 결과만을 제시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논의하는 데 다소 제한점이 있었다. 먼저 갱년기 증상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중 신체적 증상은 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Park, Park, Oh와 Kim (2002)이 온라인 웹을 활용해서 갱년기 증상 관리교육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 증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주었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oi, Oh와 Kang (2007)이 요가와 명상을 이용해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폐경증상 감소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과 달리 본 연구 프로그램은 중년 여성이 많이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을 중심으로 관리방법을 교육하고 호르몬 변화에 따른 전문지식과 함께 올바른 식이요법과 운동을 실천하도록 유도한 것이 페경 증상 감소에 보다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통합 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전후 심리적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전후 평균값의 차이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프로그램 실시 기간이 6주로 짧았고, 연구 대상자들이 자발적으로 지역 여성 문화센터에서 자기관리와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들로 비교적 심리적 증상이 낮은 대상자였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운동의 시작이 대상자의 삶에 변화를 주며 계획 전 단계보다 행동단계나 유지단계에 우울이 더 낮다는 Lee와 Park (2004)의 연구보고처럼 통합 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한 시점이 대상자가 여성문화센터에 등록한 이후인 행동유지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심리적 증상이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세 번째로 성적 증상은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성적 증상 관리를 교육한 여러 선행연구에서 대상자의 건강행위가 변화되고 질 건조증, 성교통, 불면증, 빈뇨 등이 호전되었다는 연구보고와 일치하였다(Lee, 2002; Loprinzi et al., 1994). 일반적으로 갱년기 증상은 성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성적 증상은 성생활이 불만족한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Kim, Ha, & Shin,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관계가 잘 형성되어 폐경기 이후에 나타나는 생리·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성에 대한 재인식과 자유로운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소그룹(4-8명) 단위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성적 증상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폐경기 우울은 중년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로 이 시기의 여성들은 대부분 경증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Moon, 2006).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는 통합 관리프로그램을 시행하기전 우울정도가 평균 14.34점으로 정상범주(15점 이하)에 속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건강한 일반여성이 16.22점(Kim & Shin, 2004), 갱년기 여성이 17.47점에서 18.11점(Kim & Moon, 2006) 등인 것과 비교하면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정도가 상당히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 대상자가 자기계발과 운동수행을 목적으로 여성문화센터에 등록한 여성들로 일반 중년 여성에 비해 우울감이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비교적 우울감이 낮은 대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가 통합 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선행연구에 비해 우울정도가 크게 감소한 것은 한 가지 프로그램만 실시했던 선행 연구와 달리 우울감 다루는 방법, 지정요법, 심상요법, 웃음요법 등 여러가지 중재를 사용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Choi, 2009; Lee et al.,2006; Will & Willa, 2003). 이는 통합프로그램이 한 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보다 우울감소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 외에도 Lee와 Park (2004)이 운동 준비단계보다 운동 유지단계에 우울감소 효과가 더 크며, 개인이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때 심리적 변인이 더 유의하게 작용한다고 설명한 것처럼 본 연구의 프로그램 적용 시점도 여성문화센터 등록 후 운동을 유지하는 단계에 해당하므로 이로 인한 상승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본 통합 관리프로그램 적용이 대상자의 운동 유지단계를 강화하여 우울감소에 보다 효과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운동 프로그램 적용 시 우울 감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 단계 별로 유지전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갱년기 증상 관리교육, 호르몬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지정요법 등을 적용한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통합 관리프로그램은 갱년기 증상 완화와 우울감소에 효과적이었므로 중년기 여성을 위한 간호중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consisted of 65 middle-aged women with climacteric symptoms. The experimental group (n=33)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six 60-min sessions. To measure the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level of the subjects, two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7.0 program. Results: The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the average score of 13.80 in climacteric symptoms, 14.38 in depression. The hypothesis that the climacteric symptoms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3.92, p<.001): physical symptoms (t=4.04, p<.001); psychological symptoms (t=1.80, p=.077); sexual symptoms (t=2.85, p=.006).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the integrated climacteric symptoms management program would be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t=2.30, p=.02). Conclus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limacteric symptoms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ir climacteric symptoms and depression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