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장 변형 지도 연구

        이춘근 우리말학회 2004 우리말연구 Vol.14 No.-

        이 논문은 문장 교육에 대한 여러 연구 가운데 하나로 문장 변형 지도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텍스트에 실제로 사용된 문장은 기본 구조의 문장이 여러 가지로 변형되며 쓰이기 때문에 텍스트 사용 능력의 발달을 위해서는 문장 사용 능력이 발달해야 하고 문장 사용 능력의 발달을 위해서는 문장 변형에 대한 지도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지도 내용은 의미 강화를 위한 변형(도치, 주제화, 평행구성, 되풀이, 덧붙이기)과 경제적 표현을 위한 변형(대용, 생략)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 내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① 의미 강화를 위한 변형→ 경제적 표현을 위한 변형','② 도치→주제화 → 되풀이 → 덧붙이기 → 평행구성','③ 대용 → 생략,'④ 단순 변형→복합 변형'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번역 글쓰기에서 정보성에 따른 결속구조 표현 수단으로서 어순 변형 방법 연구

        김혜영(Kim, Hey-young)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을 대상으로 정보성에 따른 결속구조 표현 수단으로서 어순 변형의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장을 쓸 때는 문장 성분들이 가지는 정보성의 차이에 따른 주제와 초점의 화용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어순을 변형함으로써 결속구조를 강화하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보성에 따른 어순 변형을 주제화와 초점화로 구분하고, 영어 원문에서 주제화 및 초점화의 어순 변형이 나타난 문장을 찾아서 그러한 어순 변형이 번역문에는 어떻게 표현되어 있으며 번역문의 그러한 문장 전환이 정보구조 및 결속구조적 측면에서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또 원문은 기본 어순을 취하였는데 번역문에서 어순 변형이 일어난 예를 찾아 정보성의 재분석에 따른 결속구조 강화 방법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ethods of word order variations as a means to express cohesion related to informativity on English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ed text. When we write a sentence, we tighten cohesion by changing word order to convey the pragmatic meaning of topic and focus related informativity which constituents of sentence have. In this study, I divided word order variation to topicalization and focalization, and I found sentences that have word order variation of topicalization and focalization in English original text, then I analyzed how was translated that word order variations in Korean translated text and whether that sentence conversions are proper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cohesion or not. And I found Sentences that have word order variation in translated text although its original sentences have unmarked word order, then I analyzed methods used to tighten cohesion depended on reanalysis of informativity.

      • KCI등재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 리스트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김유미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음악이론포럼 Vol.29 No.1

        본 논문은 연구자의 박사 학위 논문 중 1장과 3장 2절을 중심으로 발췌 및 번역한 것으로,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B단조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십자가 모티브(cross motive)의 주제적, 표현적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 모티브의 변형을 통해 생성되는 내러티브적 해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십자가 모티브는 그레고리안 성가 ≪신앙의 십자가≫(Crux Fidelis)에서 유래한 선율적 모티브로, 리스트의 작품에서는 기독교에서의 구원을 의미하거나 그의 신앙심이 표현되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 리스트의 소나타에서는 다섯 개의 모토가 주제적 발전의 기초적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그 중 네 번째 모토인 십자가 모티브는 5번에 걸쳐 등장하며 주제적 변형뿐만 아니라 표현적 변형의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은 음악이 진행됨에 따라 음악적 아이디어가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클라인(Michael Klein)의 용어 ‘표현적 변형’(expressive transformation)과 해튼(Robert Hatten)의 ‘표현적 장르’(expressvie genre)의 개념을 연구의 출발 점으로 삼는다. 제시부의 2주제 영역에서의 십자가 모티브의 첫 등장은 화려하고 장대한 반주와 상승하는 십 자가 모티브 선율의 조합으로 인해 D장조에서 종교적인 장엄함을 드러낸다. 반면 발전부에서 제 시된 십자가 모티브는 단조성의 선율, 낮은 음역, 불협화음, 강한 다이내믹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다. 이는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상태가 비극적으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재 현부와 코다에서 등장하는 십자가 모티브는 이전의 종교성, 장엄함, 영웅적 당당함, 승리를 다시 회복하며 기쁨과 환희에 찬 절정의 감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십자가 모티브의 변형은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의 내러티브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헐리우드 영화 ≪레버넌트≫의 정서 구조와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흐름 에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발견했고, 상호텍스트적 맥락의 적용을 통해 본 논문이 제시 하는 해석학적 분석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를 높이고자 했다.

      • KCI등재

        주제극놀이 활동 전개과정에서의 디지털 기록화를 통한 유아의 교육활동과 의사소통 변형

        유구종(Yoo ku 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세 유치원이 디지털 기록화 방법을 실천하고 적용한 참여 실행 연구이다. 주제극놀이 활동에서 디지털 기록화가 유아들 교육활동과 의사소통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 2학기에 3개 유치원 별로 약 3개월 동안 실행연구와 참여관찰,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주제극놀이 활동은 일주일에 1회 실시되었으며 1회 소요 시간은 연계활동을 포함하여 약 50-110분이었다. 디지털 기록화 활동에 따라 주제극놀이는 변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수활동과 유아들의 수업활동 참여와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유아들의 상위 의사소통 맥락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and transformations of educational activity that take place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in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Participants were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in three preschools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ree months. Adopting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irst analyzes contextual circumstance and the meaning of meta-communication in the activity process. In addition,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is qualitative analysis, which adopted the metho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ction research, and interviews, was applied to various cases of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and relational activity. The analysis shows that contextual circumstance and meaning of meta-communication in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differed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The context in which meta-communication appeared in the observed activity process were the modification of roles and impertinent behaviors, decision and re-decision of roles, emergence of readers, resolution of conflicts. The analysis also identifies some desirable transformations in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 KCI등재후보

        생활주제 속에서 발현되는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교사의 역량

        황연욱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6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생활주제 속에서 발현되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유치원에서의 변형적인 교육과정을 계획 및 운영하는 교사의 역량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H유 치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교사면담, 전체교사협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생활주제 속에서 발현되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 활동을 프로젝트 활동으로 연계하 여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변형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을 (1) 지식, (2) 기술, (3) 태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슈만 성격소품의 음악양식적 정의를 위한 시론

        이미배 ( Mee Bae Lee ) 한국음악학학회 2012 음악학 Vol.20 No.2

        슈만의 피아노작품들은 대부분 그 표제적 성격과 음악외적인 연관성 때문에 19세기 성격소품의 대표적인 예들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슈만이 음악에서 추구했던 ``성격``은 그의 언술을 통해 보았을 때, 시적인 것을 음악으로 드러내 는 매우 구체적인 음악 양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성격소품에 대한 정의들을 점검함으로써 음악외적 연관성을 강조하는 일반적 정의가 슈만의 ``성격소품``을 정의하는 데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슈만이 음악에서 추구했던 ``성격``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조명해본다. 구체적으로, 뉴욕 피어폰트 모건 도서관 소장 ≪클라라 비크의 주제에 의한 즉흥곡≫ Op. 5의 스케치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출발점으로 삼아 ≪카니발≫의 <피에로>, ≪어린이 정경≫의 <트로이메라이> 등의 예들을 통해 슈만의 성격소품이 음악외적 연관성 보다는 특정한 음악양식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주제적, 모티브적 반복에 바탕을 둔 음악 적 내용의 변형이 슈만의 성격소품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양식적 특징임을 제시한다. Robert Schumann`s early piano works are usually considered as the prominent examples of ``character piece`` due to its manifestation of programatic idea and the association with extra-musical elements. However, ``character`` Schumann pursued in his music seems more properly explained in terms of his personal musical style, rather than its literary or programatic association.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general definition of ``chatacter piece``, which is problematic to properly explain Schumann`s character piece. Tracing the meaning of ``character`` in Schumann`s music, which is strongly involved with his intent to express ``the poetic idea` through music, I suggest that Schumann`s character pieces can be defined with concrete musical style, as exemplified in the sketches for Impromptus on a theme by Clara Wieck, Op. 5, and other famous miniature pieces such as "Pierrot" in Carnaval, Op. 9 and "Traumerei" in Kinderszenen, Op. 15. As a result, invention of characteristic motivic or thematic idea, and its repetitive entrance and transformation, bringing subtle changes to its psychological quality, are suggested as the definitive stylistic elements in Schumann``s character pieces.

      • KCI등재

        프랑크의 후기 기악 작품에서의 순환조성

        안소영 ( So Yung Ahn ) 서울대학교 음악이론연구 2013 음악이론연구 Vol.21 No.-

        The recent studies on Franck`s music have mainly focused on the cyclic form from the viewpoint of melody, and the discussion on tonal structure has been overlooked. However, the cyclic concept is also applied to tonal structure, especially in some late instrumental music by Cesar Franck (1822-1890). In other words, some tonal relations shown in the opening movement are transformed or developed in the later movements so that the harmonic coherence is formed in Franck`s. The first half of this research explores melodic unity applying the cyclic form from Franck`s late instrumental music such as Piano Quintet in F minor (1879), Violin Sonata in A Major (1879), Symphony in D minor (1888), and String Quartet in D major (1889). This examination leads, in the second half of the study, to the demonstration of a tonal coherence in movements and even in pieces with the cyclic tonality.

      • KCI등재

        19세기 표제음악의 현대적 접근

        박은희(Eunhee Park)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표제음악을 현대적으로 접근하여, 대중을 위한 서양음악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표제음악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써, 특별히 문학의 '각색'을 통해 전달된 다양한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음악적 장르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향곡, 예술가곡, 춤곡, 오페라 등 다양한 음악적 형식이 발전하였다. 특히, 교향시는 문학을 음악가의 관점으로 새롭게 각색하여, 문학의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서양음악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 되었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도 스토리를 각색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이동하며 하나의 새로운 스토리 세계관을 이룬다. 이러한, 스토리의 각색기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표제음악의 콘텐츠 기획을 통해, 대중이 쉽게 서양음악을 접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제음악을 문학의 '각색'과 현대의 융합 미디어 기법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하여, 현대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괴테의 <파우스트(Faust)>를 스토리 설계, 미디어 선택, 콘텐츠 제작, 상연 그리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등의 창작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중도 쉽게 서양음악을 접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창작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and prospects of planning western music content for the public through a modern approach to 19th century title music influenced by literature. 19th-century title music is a representative musical genre that is influenced by literature and expresses various stories conveyed through music, especially through literary 'adaptations'. Based on this, various musical forms such as symphonies, art songs, dance songs, and operas developed. In particular, symphonic poetry is a new adaptation of literature from a musician's perspective, expressing the story of literature in music, which became an easy way to deliver Western music to the public.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also adapts stories and moves them to various contents to form a new story worldview. In this way,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through the content planning of title music using story adaptation techniques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title music as a literary adaptation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 modern convergence media techniqu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 modern approach. By presenting the creative process of Goethe's “Faust,” including story design, media selection, content creation, performance,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at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 KCI등재

        『청구영언』 소재 초중대엽 노랫말 <오□이>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5 No.-

        <Ohnari> is the first lyrics of Jungdaeyeob(중대엽) and has been sung for the most long term, so I think it`s effect is most likely great. I want to certify the aspect of acceptance of <Ohnari> in the three major Gajib.First, in terms of wording and vocabulary. From Cheongguyoungeon(청구영언) to Gagogwonryu(가곡원류) the number of works which accepted <Ohnari> showed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the accepting aspect of Hae-donggayo(해동가요) and Gagogwonryu(가곡원류) were different. The works of Haedonggayo(해동가요) accepted it within Sijo, but the works of Gagog- wonryu(가곡원류) accepted it within Saseol-sijo. Next, in terms of thematic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Ohnari> deals only with the time, but it`s accepting works deal with not oniy the time but also the space. In the relation between Heavenly phenomena and Human affairs(천인관계), while <Ohnari> aimed the unity of the two, it`s accepting works did not. They showed the separation or incompatibility of the two. On the texture of worry and delight, while <Ohnari>`s were individual, it`s accepting works were public.

      • KCI등재

        목적어 있는 피동문에 관한 연구

        이정택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2 No.-

        일반적으로 피동문은 자동사문으로 여겨져 왔고, 이에 따라 피동문에 분포하는 '-를'은 이례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 피동문의 '-를'을 '주제' 등 문법 외적 의미 기능을 하는 요소로 파악하거나, 피동 변형 이후 능동문의 목적어가 잔존(殘存)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모두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피동문과 자동사문을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할 이유는 없다. 타동은 목적어에 가해지는 서술어의 속성이므로 작용과 그 대상인 목적어가 있다면 타동문이 된다. 뿐만 아니라 피동은 타동의 또 다른 표현 방법인 만큼 타동이 될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목적격과 동일한 형태의 '-를'을 피동문에 분포한다는 이유 때문에, '주제' 등의 문법 외적 의미를 갖는 요소로 따로 설명할 필요도 없고, 또 굳이 변형 규칙을 끌어들일 까닭도 없다. 목적어 있는 피동문의 주어는 유정물이거나 유정물과 긴밀히 관련되는 무정물로 제한된다. 그리고 이 구문의 피동 주어와 목적어는 '전체와 부분' 및 '소유주와 소유물'의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통사·의미적 속성들은 이 구문이 갖는 '피해' 의미에 기인한 것이다. Since the passive has been regarded as the in-transitive in general, the particle '-를' in the passive sentence has been classified as extraordinary one. But the intrinsic nature of the transitive is in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object. Therefore every predicate representing an event with object must be transitive. The passive sentence expresses an event as well. Furthermore it is another means representing the active, transitive event. So it is very natural that the passive sentences with objects are classified as transitive ones. Every subject which is in the passive sentence with object, should be animate, or closely related to the animate nouns. The object in the passive sentence has to be a part of the subject, or it's belongings. Thes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s are derived from the sentence's disadvantageous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