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蔚山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小考

        황대일 영남고고학회 2010 嶺南考古學 Vol.- No.52

        최근 울산지역의 대규모 발굴조사가 증가함에 따라 구릉부나 충적지에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가 단독 또는 복합유적으로 조사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지만,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는 없다. 본고에서는 울산지역에서 조사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86동을 평면 형태와 내부시설에 대해 고고학적인 형식 분류와 시기 구분을 통해 시간적인 변화와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수혈주거지의 입지는 구릉부와 충적지로 구분되며, 대부분 구릉부 사면에 입지한다. 평면 형태는 원형계와 방형계로 분류되며, 비율은 균등하게 분포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 시간적인 분포는 15C 전반~17C 전반에 해당되며, 원형계 주거지가 방형계 주거지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내부시설은 난방․ 취사시설, 주혈, 벽구 등이 확인된다. 난방․ 취사시설은 竪穴式爐址, 壁爐, 溫突施設을 갖춘 주거지로 분류된다. 주혈은 無柱穴式, 1柱式, 4柱式, 多柱式으로 분류된다. 내부시설에 대해 형식 분류를 시도하여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으나, 시간적인 밀집형태는 파악할 수 있었지만, 형식 간의 시간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문헌에 기록된 자료와 공반된 유구,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수혈주거지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유적 내에서 분묘와 함께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는 분묘와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편년, 주거지와 분묘의 입지적 위치 등을 통해 墓幕址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적 내에서 생산유구와 함께 확인된 주거지는 임시거주지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문헌에 기록된 자료에 土室, 움집, 초막 등의 용어와 주거지 내에서 출토된 철촉, 어망추 등의 유물로 볼 때 해당 주거지의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적은 하층민 집단의 생활유적(定住形 聚落)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남한 청동기시대 서북한양식 주거지에 대한 고찰

        김현식 영남고고학회 2013 嶺南考古學 Vol.- No.66

        Residence cornerstone and stove that was spread around the stone of the Bronze Age in South Korea has been installed, can be classified Misari type house, Dunsan type house, Youngam type house. It is the earliest Dunsan type house and Misari type house, C formula residence, that was the transition ofDunsan type house. This houses are provided in a residential style of North Korea standing, but North Korea style house is a dwelling that is suitabl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North region standing standing. In South Korea,changeisari type house, Dunsan type house, and in dwellings →Youngam type house → Gwansanri type house is a phenomenon that emerged in the course of North Korea Geographical Location to adapt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South Korea to stand for that. 남한 청동기시대 위석식노지와 초석이 설치된 주거지는 크게 미사리식주거지, 둔산식주거지, 용암식주거지로 분류할 수 있다. AMS연대와 토기문양을 통해 이 주거지들을 편년한 결과 크게 Ⅰ~Ⅴ단계로 편년이 가능하고 각 단계별는 미사리식주거지, 둔산식주거지, 용암식주거지, 관산리식주거지의 병행관계에 의해 구분된다. 전체적인 변화상은 미사리식·둔산식주거지가 가장 먼저 출현하고 다음에 용암식, 관산리식이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데, 형식학적인 관점에서 둔산식-용암식-관산리식은 계통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유사성에서 미사리식과 둔산식은 서북한지역 위석식노지 주거지의 직접전파로 인해 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파된 시기는 기원전 14~13세기 무렵으로 추정되며, 전파의 배경에는 14~13세기 무렵 중국동북-서북한지역의 사회문화적·자연환경적인 변화가 있다고 생각된다. 서북한지역의 위석식노지 주거지는 청동기시대 전시기에 걸쳐 확인되며 양적으로도 가장 많기 때문에 위석식노지와 초석식기둥은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양식적인 특징이이다. 이런 양식적 특징은 서북한지역 자연환경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북한지역 주거지의 직접전파(이주)로 출현한 남한 위석식노지 주거지에‘서북한양식 주거지’라는 양식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토광식노지·세장방형·수혈식 기둥 등을 특징으로 하는 관산리식주거지의 출현은 남한에서 서북한양식 주거지가 완전히 소멸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북한 주거양식의 소멸과 관산리식주거지의 출현은 서북한양식 주거지가 남한의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한 결과이다.

      • KCI등재

        大田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一硏究

        吳焌赫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촌락은 전통적 생활공동체의 최소단위로 국가의 지배체계가 미치는 말단의 행정단위이다. 촌락 내에는 양반·상민·천민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거주하며, 家垈의 크기와 집의 間數, 장식 등을 나라에서 계급별로 한정하는 강한 家舍規制의 체계 내에 있었다. 고고학적으로 조사·보고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家舍規制에서 제외된 주거형태로 동시기의 기와집이나 초가집과 같은 일반적인 거주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혈주거는 家舍規制에서 다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역사에서 배재되어 있었으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평면형태나 구조에서 규칙성이나 규격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이전시기에 비해 복잡해진 사회상을 고려한다면 주거지의 내부공간이 너무 협소하다. 상부구조를 이루는 주혈은 확인되지 않거나 정형성을 띠고 있지 않으며,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아궁이는 난방과 취사에 부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수혈주거지로서의 구조적 취약성은 상면에서 온돌이 확인된 타지역의 주거지 사례를 통해 독립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상면의 온돌과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평지에서 확인된 수혈주거지와 대전지역과 같이 구릉지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의 아궁이 형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상면으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로 판단되며,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해 평지에 입지한 수혈주거지 상면의 온돌구조가 양호하게 잔존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릉지의 사면에서 확인된 대전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중 아궁이 시설만 확인되는 경우 문헌에서 보이는 온돌구조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잔존상태는 상부 고래부가 유실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A village is a minimal unit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mmunity, and it is also a terminal administrative unit controlledby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Joseon Period, noblemen, commoners, and the humble resided altogether within the village, but there was rigid regulation to limit size of residence to the social class. Unlike other contemporary houses such as thatched cottages and tile-roofed houses under regulation of house size, semi-subterranean houses of the Joseon Period, archaeologically investigated and reported, seem to be out of the size regulation. Even though semi-subterranean houses were not a matter of concern and even out of the house regulatio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y seem to have been useful enough in actual life to be distributed in the whole peninsular during the period. They do not display any regularity or standard in structure and shape of plan and considering social complexity of that period, inner space of the houses seems to be too small. Also, postholes to support upper structure are not identified or donot display regularity, and fireplaces, commonly identified, have inappropriate structure for heating and cooking. Considering houses equipped with the ondo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above the fireplace reported from other regions, the fireplace of the houses in Daejeon region seems to have been used with the ondol facility rather than independently. Semi- subterraneanhouses constructed in the flat and hillside display som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formof fireplace, and these differences may be related to effective delivery of heat. Topographically, the ondolfacility of the house constructed in the flat seems to be preserved well. The fireplaces identified from the house in the hillside without the ondol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ondol facility of which the upper structure was already missing.

      • 익산 어량리 중발유적 조사개요

        옥창민,김성욱,김승재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4 馬韓, 百濟文化 Vol.23 No.-

        The present paper sums up the excavation research of Jungbal relics in Eoryang-ri, Iksan which were unearthed during construction of an access road to Ik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relics were found on the top and western slope of the two hills stretching westward in Jungbal village, Eoryang-ri, Mangseong-myeon, Iksan city. Jungbal relics were excavated at the site where remains of lot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came into view together with 14 dwelling places, 10 pit remains and 2 jar-coffin tombs. Besides, pit-type abodes of the Proto-Three-Kingdom period, residential areas of Koryo and Chosun Kingdom period were also unveiled at the same site. Excava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two sections: 'A' and 'B' which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bout 200m in the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The settlements of the Bronze Age were gathered in cluster atop the hills or along the middle of the ridge, grouped in 2~5. Pit remains were found close to the south of the dwelling places.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Bronze Age unearthed in 'A' section were arranged in a single line with distance of about 5~10m from each other. Among the remain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found in 'B' section, those located on the summit of the hill were grouped in 2~3 in cluster format in the direction from east to west, while those unearthed on the middle of the ridge had circular and square forms overlapped. The circular form of settlements was found to be dominant compared to the square one. Lots of relics presumed to belong to the middle Bronze Age such as patternless earthenware·red dagger·stone arrowhead with single column·stone axe·ring-formed stone axe·triangle stone dagger· dolmen of various forms were found inside of the remains of settlements and pits. Since Jungbal relics showed that residential areas and pits coexisted as a residential-centered type of village, they seemed to be a nice base for studies on culture of the Geumgang river basin during the Bronze Age. The present excavation investigation could help us conclude that the area in Mangseong- myeon, Iksan city near Geumgang River was one of the main dwelling sites during the Bronze Age. 본고는 익산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내 유적인 익산 어량리 중발유적에 대한 조사개요이다. 유적은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중발마을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2개의 구릉 정상 및 사면에 해당된다. 중발유적은 청동기시대 주거지·수혈유구가 다수 확인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으로 주거지 14기·수혈유구 l0기·옹관묘 2기 등이 조사되었다. 이외에 원삼국시대 수혈유구, 고려~조선시대 주거지와 수혈유구·토광묘 등이 조사되었다. 발굴조사는 ‘가’구역과 ‘나’구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두 구역 간에는 남-북으로 약 200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구릉 정상부 및 능선 중간부분에 2~5기씩 군집을 이뤄서 분포하고 있으며, 수혈유구는 주거지 남쪽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가’구역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5~10m 정도 거리를 두고 1열로 배치되어 있다. ‘나’구역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주거지 중 구릉 정상에 위치한 주거지는 동-서 방향으로 2~3기씩 군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능선 중간부분에서 확인된 주거지는 원형과 방형이 중복되어 있으며, 원형주거지가 방형주거지에 비해서 선행하고 있다. 주거지 및 수혈유구 내부에서는 무문토기·홍도·일단병식석촉·편인석부·환형석부·삼각형석도·지석 등 청동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중발유적은 주거지와 수혈유구가 공존하는 주거지 중심 취락유형으로 금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에 좋은 자료로 판단된다. 또한,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금강과 인접한 익산시 망성면 일원이 청동기시대 당시 주된 생활 터전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잠실 저층주거지 슈퍼블록의 계획과 의미 - 토지구획정리에 의한 근린주구 주거지계획

        김혜영(Kim, Hye-young),이상헌(Lee, Sang-H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5

        잠실 저층주거지 슈퍼블록은 일제강점기 이후 도시개발의 주요수단이었던 토지구획정리기법을 사용하면서도, 서구에서 도입한 근린주구의 물리적 계획을 실현하고자 시도했던 독특한 한국적 도시계획의 사례라 할 수 있다. 근대화과정에서 도시계획을 실현하는 개념과 방법으로서 토지구획정리, 용도지구제, 근린주구론, 슈퍼블록은 시대를 달리하여 등장하여 한국의 주거지계획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쳐왔는데, 잠실지구에서는 종합적 도시계획을 수립하여 도시계획수단들의 통합을 시도하였고 저층주거지 슈퍼블록에서 이들이 하나의 슈퍼블록 단위로 종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잠실 저층주거지 슈퍼블록은 서양의 교외주거지블록과 같은 근린주구계획을 구현한 것은 아니었지만, 당시 현실적인 도시계획의 수단이었던 구획정리방식의 제약 속에서 설계개념을 도입하여 루프형 가로망, 경계의 둘러쌈과 모서리의 폐쇄, 커뮤니티센터와 녹지체계 등 근린주거지 계획적 장치들을 고안하였다. 잠실 저층주거지 슈퍼블록은 구획정리사업 주거지에 종합적인 도시계획에 의한 근린주구계획을 도입한 사례로서 한국적 주거지 슈퍼블록의 진화과정을 보여준다. Jamsil low-rise residential superblock is a unique instance of Korean urban planning in that it used Land Readjustment technique, a traditional means of urban developmen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le realizing Western-originated physical plan for Neighborhood Unit. The modernization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has introduced urban planning concepts and principles such as Land Readjustment, Zoning, Neighborhood Unit Theory, and Superblock in different times, and they all have influenced on Korean residential planning to some extent. However, they were used fragmentarily and never synthesized in urban planning. In Jamsil district, a comprehensive urban plan was commenced as an attempt to integrate three different urban planning concepts, and Jamsil low-rise residential superblock synthesized these heterogeneous elements within a superblock. Even though Jamsil low-rise residential superblock was not a faithful implementation of Neighborhood plan of Western suburban residential superblock, its design concepts and such devices as loops, closed corners, community centers, and green planning, all planned under the restriction of Land Readjustment had nevertheles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Neighborhood plan. As a Neighborhood residential superblock planned by comprehensive plan and carried out by Land Readjustment technique, which was a realistic method of urban planning of the time, Jamsil Low-rise residential Superblock clearly shows a evolution of Korean residential superblock.

      • KCI등재

        `2열 기둥 주거지`를 통해 살펴본 영서지역 전기 청동기시대 문화교류 및 융합의 현장

        고일홍 ( Ko Il-h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3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보이는 2열의 초석 배치는 어느덧 `둔산식주거지`의 표지적 특징 중 하나로 인식되어, 가락동유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돌대문토기가 출토된 주거지에서 2열 초석이 확인되는 사례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서, 2열 초석 주거지에 관한 실증적 검토와 그 계통에 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열 초석은 물론, 2열 주공이 확인된 `2열 기둥 주거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를 영서지역으로 한정시킨 것은 이 지역에서 非가락동계열의 2열 기둥 주거지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기 때문이며, 또한 2열 기둥배치를 포함해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문화요소들이 역동적으로 어우러진 곳이 바로 이 지역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이루어진 분석의 결과, 화천, 홍천, 정선, 영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장방형에 중심공간과 측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위석식노지를 사용하며 바닥에 초석을 설치한 주거지`가 영서지역 2열기둥 주거지 전통의 초기 모습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원형`에서 변화된 다양한 2열 기둥 주거지 전통들이 춘천과 평창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를 통해 이러한 2열 기둥 주거지의 원형은 이미 기원전 1800~1700년경에 홍천 지역에 등장했으며, 기원전 1400년 이후로 지역적 특색을 보이며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른 형태의 2열 기둥주거지들에서는 돌대문토기 및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는 반면, 공열토기는 대체로 늦은 형태의 2열 기둥 주거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2열 기둥 주거지의 원형은 압록강 중·상류유역의 2열 기둥 주거지와 유사하고, 늦은 형태의 2열 기둥 주거지는 동북한지역의 2열 기둥 주거지와 유사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The use of dual post rows in Bronze Age houses has come to be regarded as an element of the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However, since the turn of the millenium, cases in which dual post rows have been identified in non-Garakdong culture houses have steadily accumulated. Therefore, it may be argued that a detailed study of dual post row houses is presently requi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in its earliest stage, this tradition of erecting two rows of internal posts wa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st footstones that were placed upon the house floor, and that the posts were distributed in such a way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dwelling spaces that had been divided by the post rows. This early form of dual post row use was identified in the Hwacheon, Hongcheon, Jeongseon, and Yeongwol regions, and later vari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Chuncheon and Pyeongchang regions. Radiocarbon dates indicate that this building tradition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Hongcheon re- gion by 1800~1700 BCE and that by 1400 BCE, regional variations had emerged.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is tradition was associated with double- rim pottery and attached band pottery in its early stage and rim-perforated pottery in its later stage.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this tradition of dual post row houses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the houses of the Amnok River region and the northeast coastal reg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경기서북지역 청동기시대 중·소형주거지 검토

        문수균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경기서북지역의 중·소형주거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중·소형 주거지의 시간적인 위치와 변천과정을 검토하고,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였다. 중·소형주거지는 경기 서북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나, 이 글에서는 경기서북지역에 해당하는 소지역권내의 세부양상을 분석하였다. 청동기시대 중·소형주거지는 일반적으로 늦은 시기의 역삼동 또는 송국리단계와 병행되는 주거형 태로 이해되며, 중부지역 중기의 시작은 송국리적 요소의 확인 또는 역삼동유형 자체 변화에 주목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적별 검토 결과 경기서북지역 중·소형주거지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략 BP 2850 이후부터 주거지의 소형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난다. 1기는 이중구연토기, 구 순각목+공렬, 구순각목, 공렬, 무문양 모두가 공반된 시기로, 장방형주거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2 기는 1기의 세트관계에서 이중구연토기만이 탈락된 시기로, 중심기둥구조를 가진 방형주거지가 다양 화되면서 급증하며, 재지요소와 함께 송국리유형의 요소가 발현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 시기를 경기 서북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시작으로 보았다. 3기는 2기의 세트관계에서 구순각목+공렬, 구순각목이 탈락된 시기로서 공렬, 무문양 일색의 공반 양상을 보인다. 주거지 형태의 가시적인 변화는 전기 중엽 이후에 해당하는 장방형계 주거지의 소형화를 시작으로 하여, 중기의 시작인 2기에 방형계 중심주공의 기둥구조를 비롯한 다양한 형식의 주거지 형태변이가 이루어지며, 중산동·도내동 유적과 같은 소형 주거지 중심 취락이 본격적으로 형성된다. 이후 이러한 주거지의 전개와 함께 토기상에서 공렬, 무문양의 양상이 두드러지고, 전기에 유행하던 면적 중·대형 의 세장방형, 장방형주거지는 개체수가 감소하며, 중·소형주거지와 공존한다. 주변 문화와의 관계는 송국리문화의 직·간접적인 유입과 서북한지역 석기상의 잔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재지적 요소의 지속과 함께, 타문화의 중심 분포지와 거리가 있었던 경기서북지 역내에 각 문화의 요소들이 차별적이고 산발적으로 확인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이 경기서북지역의 청동기시대 중·소형 주거지는 전기 중엽 이후에 형성되어, 전기 문화의 지속과 함께 타지역 중기문화의 특징과 혼재되며, 단위 유적의 취락을 대표하는 주거 형태로 이해된다. The small and medium dwellings of the Bronze Age were understood to be dwelling arrangements that ran parallel with the late Yeoksamdong assemblage or Songgukri assemblage. Each archaeological site evidenced chronological features and the processes of changing dwelling patterns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archaeological site. Small and medium dwellings in northwest Gyeonggi region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three periods, and it was shown that the miniaturization of dwellings progressed since approximately BP 2850. The first period was a period where double-rim ware, notched-rim·rim-perforated ware, notched-rim ware, rim-perforated ware, and plain pattern ware were all used interchangeably, and rectangular dwellings constituted a high proportion. The second period was a period where only the double-rim ware was excluded from the set relationship of the first period, square-shaped dwellings rapidly increased and diversified, and geographical factors together with the Songgukri elements that demonstrated a combination of the center-post structure, round dwellings, outward-rim pottery, and grooved-adzes began to be manifested. Based on such a series of drastic changes, this period is seen as the beginning of the middle period of the Bronze Age in northwest Gyeonggi region. The third period was a period where notched-rim·rim-perforated ware and notched-rim ware were excluded from the set relationship of the second period, and demonstrated the interchangeable aspect that was dominantly rim-perforated ware and plain ware. Modified round dwellings existed during this period, and the prior square dwellings coexisted continuously. In other words, the visible changes of dwelling forms began with the miniaturization of rectangular dwellings of the first period- which belonged in the middle of the previous era, then various dwelling form changes such as the post structure of the rectangular central post hole occurred, and finally small dwelling centered settlements such as the Jungsandong and Donaedong sites were established in earnest during the second period that belonged to the beginning of the middle period. During the third period, the appearance of rim-perforated and plain patterns become prominent in earthenware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development of dwellings, and the number of the medium to large sized rectangular and elongated rectangular dwellings, which were popular in the previous period, decreased, while coexisting with small to medium dwellings.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cultures can be summarized as direct and indirect influx of Songgukri culture and the survival of western North Korean region stoneware. These features are an aspect where factors of different cultures within the northwest region of the Gyeonggi, which were distanced from central distribution sites of outside cultures, were verified discriminately and sporadically along with the continuation of geographical elements. As such, the small and medium dwellings of the northwest region of the Gyeonggi were created after the middle period of the previous era, express an aspect that is a mixture of the continuation of the previous era’s culture and middle perio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ther regions, and are understood as dwelling forms that represent settlements of unit archaeological sites.

      • KCI등재

        마한 주거 구조의 지역성

        김은정(Kim Eun J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4

        This article analyzes the structure of Mahan residential settlements in Honam area specifically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The area was subdivided into 18 loci on the basis of natural boundaries, historical literature, previous research, and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ial settlement sites.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was based on the layout, column arrangement, cooking facilities, and elliptical pit-house.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by the eastern (circle type) and the western (square type) Honam area.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River Sumjin, Sooncheon Bay and Gwangyang Bay, the circle-type residential settlement has been predominant, while the western area is predominantly square-type houses, which gradually spread to the east. Up to now, the upstream of River Sumjin has been classified as Honam East with according cultural aspects have been assumed.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residential layout is all square-type, and the excavated artifacts are stylishly similar to that of the west (southern area of River Mangyeong), different from the eastern residential culture. In other words, the Mahan settlement in the upper part of River Sumjin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western part. The squaretype residential structure is sub-divided into square,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types according to the length ratio. The area located near the southwest coast is most likely square type, but the inland area far from the coast is predominantly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houses. The distribution of the square type residential house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cture. It can be assumed that a specific residential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upper structure or the building technology. The pillar and the pot basin are general cooking facili ties and usually found in the Honam area. Jangran-type earthenware was mainly used as a pillar, and is widespread in River Dongjin area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It is believed that both stone and ceramic pottery are used for pot basin, but in the west coast ceramic pottery was preferably used. It has been difficult to define the function of long elliptical pit-houses. Several inferences can be made on the basis of a careful review of settlement data. First, it might have been the lower part of a house to climb to the upper space of the house (shelf or multi-story structure). Second, it might have been an entrance (stairs or ladders) of the pit house. Changes through time in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in Honam area can be observed through the surface dimension, cooking facilities, and the column arrangement. Based on these elements, Mahan residential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hase I is the formation period of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around the mid 2nd century to the early or late 3rd century), e.g., the appearance of the clay wood-burning stove in the western area. Phase II is the period of changes in the residential settlement formed in the first phase, subdivided into Ila, 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and early 4th century; and IIb,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In Ila,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ture appeared in the western area, followed by square type houses in the eastern part of River Boseong area, Yeoja bay and Goheung peninsula. In IIb, four-pillar residential settlements are found in the eastern part. Phase III is a period when the new culture (e.g., stone wood-burning stove and tunnel-shaped heating system) spread into Mahan area through interactions with Baekje, Gaya, and other neighboring areas, and influenced the residential structure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and early 6th century. Four-pillar type houses are spread throughout the eastern area in this period.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구조를 정밀 분석하여 세부권역별 특징 및 변화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세부권역은 자연경계와 문헌자료, 기존의 연구 성과, 주거유적의 분포 및 현황을 통해 총 18개소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주거 구조의 분석은 평면형태, 기둥배치, 취사시설, 장타원형수혈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주거 평면형태는 크게 호남 동부(원형계)와 서부(방형계)로 대별된다. 특히 섬진강중류권, 순천만·광양만권에서는 원형계 주거지가 높은 빈도로 확인되며, 서부지역은 방형계 일색이지만 점차 동부로 확산된다. 섬진강상류권은 지금까지 호남 동부로 분류되었고 문화양상도 그러하리라 단정되어왔다. 하지만 주거 평면형태가 모두 방형이며 출토유물의 양상이 서부(만경강남부권)와 매우 흡사하여, 동부의 주거 문화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섬진강상류권의 마한 주거지는 서부지역과 보다 밀접히 관련된다. 평면 방형계 주거지는 장단비에 따라 방형·장방형·세장방형으로 세분된다. 서·남해안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은 방형이 디수를 점하지만, 해안에서 먼 내륙지역은 주로 장방형·세장방형 주거지가 분포한다. 이와 같은 방형계 주거지의 분포는 4주식주거지 분포권과 유사하며, 이를 통해 주거 세부 평면형태가 상부구조나 건축 기술과 밀접히 관련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지주와 솥받침은 취사시설의 세부 구조물로 호남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지주는 장란형토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호남 서부의 동진강권에서 집중 발견된다. 솥받침은 석재와 토제가 모두 사용되는데, 서해안 인접지역에서는 토제 솥받침을 선호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장타원형수혈은 그 동안 기능을 단정하기 어려웠으나 주거 자료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추측이 가능하였다. 첫째는 주거지의 상부 공간(선반 또는 복층 구조의 시설물)에 오르기 위한 매개체(懸梯)의 하단부가 놓였던 부분(支持穴)으로 추정된다. 둘째는 수혈주거지의 출입을 위한 시설(계단 또는 사다리)이 놓였던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 호남지역에서 마한 주거 구조를 통해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는 평면형태, 취사시설, 기둥배치이다. 이를 바탕으로 마한 주거지는 3기로 분기 설정이 가능하였다. Ⅰ기는 서부지역에 점토부뚜막이 등장하는 등 마한 주거 구조의 형성기(2세기 중반∼3세기 전후)라 할 수 있다. Ⅱ기는 Ⅰ기에 형성된 마한 주거지가 변화·발전하는 시기 이다(Ⅱ a기 : 3세기 전반∼4세기 초반, Ⅱ b기 : 4세기 전반∼4세기 후반), Ⅱ a기에는 4주식주거지가 서부지역에 먼저 등장하고, 방형계 주거지가 동부의 보성 강권과 여자만·고흥반도권에 나타난다. Ⅱ b기가 되면 동부에서도 4주식주거지가 발견된다. Ⅲ기는 백제·가야 등 주변지역과의 상호 교류를 통해 마한지역에 새로운 문화(석재부뚜막, 쪽구들 등)가 유입되고, 주거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5세기 전반∼5세기 말·6세기 초반)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동부 전역으로는 4주식주거지가 확산된다.

      • KCI등재

        全南地域 四柱式住居址의 構造的인 變遷 및 展開過程

        鄭一(Jeong, il)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이 글에서는 마한계 집단의 한 주거형태로 알려진 사주식주거지의 구조적인 변천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전남지역 사주식주거지는 출토유물의 편년을 통해 세분기로 설정하였다. Ⅰ기(3세기 전반~4세기 초반)는 형성기로, 주로 서부지역에서 확인된다. 입지는 구릉 사면에 주로 위치하고, 면적은 평균 20m²이다. 노지는 부뚜막이 성행하고, 주공간 거리는 226~268cm이다. Ⅱ기(4세기 전반~4세기 후반)는 분포범위가 넓어지고, 특히 동부지역에 까지 확산된다. 평면형태는 장방형의 대형주거지가 등장하고, 노지는 부뚜막과 터널식이 공존한다. 주공간 거리는 전 단계보다 커지고, 직경은 작아진다. Ⅲ기(5세기대)는 사주식이 가장 성행하는 시기이다. 입지는 평지로 이동하면서 초대형의 사주식이 등장한다. 노지는 부뚜막과 터널형이 연도를 배가한 형태로 발달한다. 주공간 거리는 커지면서 다양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목심은 16~24Cm로 전 단계보다 더 작아진다. 사주식주거지의 발생은 2~3세기에 기후변화, 건축기술의 발전을 통해 충청도 천안 일대를 중심으로 성립된다. 이후 사주식의 전개과정은 4세기에 판석제 부뚜막이나 온돌시설의 백제계 주거지의 영향으로 차령산맥 이남으로 남하·확산된다. 전남·북 지역은 3세기에 서부의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등장하고, 4세기에는 동부지역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전북지역은 5세기 초반에 백제계주거지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과도기를 겪으면서 사라지게 되고, 전남지역은 사주식이 5세기에 대형고분군의 피장자의 주거로 사용되면서 최고조에 이르고, 6세기에 옹관고분사회 해체와 주거지의 지상화로 사라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사주식주거지의 소멸과정을 백제계 주거지의 등장 즉, 백제의 영역확장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four-pillar type dwelling site was known as a residence of Mahan's people. Four-pillar type found in Jeonnam province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chronology of excavated artifacts. First period is the formative period which is estimated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and the early 4th century, and the sites of this period are found mainly at the west region. The sites are located mainly at hilly slope and the average of its floor area is about 20m². Kitchen range prevailed as the fireplace and the distance between post-holes is 266·268cm. During the second period which is dated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the distribution of sites are extended to the east region. Large rectangular dwelling sites appeared and kitchen range and tunnel type coexisted as the fireplace. Distance between post-holes is larger than the former period and diameter of pillars is smaller than before. In the third period which is estimated as the 5th century, the four-pillar type was most prevailing. As its location was moved to flatland, super sized four-pillar type dwelling sites appeared. The fireplace was developed to the kitchen range and tunnel type attached flue. Distance between post-holes was larger and more diversified. The diameter of post-holes is smaller than the former period ranging 16~24cm long. Four-pillar type dwelling site was built centering around Cheonan in Choongcheong province due to change of weather and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iques during the 2nd?3rd century. The four-pillar type extended to south of the Charyeong mountains under the influence of Baekjae dwelling site including the kitchen range made with flagstone or ondol in the 4th century. Four-pillar type dwelling site appeared in Jeonnam and Jeonbuk province centering around plain area of the west in the 3rd century. It extended to the east region in th 4th period. In Jeonbuk province, temporal transitional period existed by the influence of Baekjae dwelling site in the early 5th century and then it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in Jeonnam region, four-pillar type was used as a residence for people who built large ancient tomb and reached the prosperity in the 5th century. Four-pillar type disappeared due to dismantlement of jar-tomb society and building houses on the ground in the 6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disappearance of four-pillar type dwelling sites is due to the overtake of the Baekjae's dwelling sites, meaning the extension of Baekjae's power.

      • KCI등재

        松菊里遺蹟 54地區 住居址에 關한 檢討

        玄大煥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송국리유적은 한반도 청동기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유적으로 1974년 석관묘가 발굴조사된 이후 수차례의 발굴을 통해 송국리형주거지의 확인과 송국리유형이라는 문화체계를 확립하였다. 송국리유적에서는 환호·목책과 함께 원형과 (장)방형주거지가 조사되었다. 현재까지 54지구의 원형주거지와 (장)방형주거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원형과 (장)방형주거지를 동시기에 조성되고 영위된 것으로 보는 관점과 순차적으로 조성된 유구로 보고 있다. 54지구 주거지의 형태적 측면이나 출토유물, 특히 토기의 형태나 석기의 조합상에 있어서의 차이를 감안하면 동시기성을 가진 취락으로 보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세력집단의 유입과 새로운 집단의 등장으로 인한 취락의 점진적 변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선 주거지의 형태적 측면을 고려하면 장방형의 대형에 해당되는 23호 주거지는 최소 휴암리유형 이전의 단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 조성된 주거지 유형으로는 주거지 형태와 출토유물을 참고하면 방형주거지→장방형A형 주거지·원형주거지→장방형B형주거지 순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방형주거지의 경우 토기형식에 있어서는 Ⅰ~Ⅲ형식까지 모두 확인이 되고 있으며, 석기의 경우 주형석도와 교인이 아닌 삼각형석도, 전기에 발생한 석검의 양식인 단경식석검 등이 출토되고 있다. 장방형A형 주거지에서는 Ⅱ·Ⅲ형식의 옹형토기류·완형토기, 교인이 아닌 삼각형석도가 교인의 삼각형석도와 공반되고 있으며, 장주형석도 등이 출토되고 있어 형식분류상 방형주거지보다 늦은 시기로 보인다. 장방형B형 주거지의 경우 Ⅱ·Ⅲ형식의 옹형토기가 출토되며, 교인의 삼각형석도, 유구석부가 출토되고 있어 54지구 (장)방형주거지의 서열에 있어서 가장 늦은 단계로 보고자 한다. 원형주거지는 Ⅱ·Ⅲ형의 옹형토기와 발형토기, 완형토기 등이 출토되고 있어 형식분류상 장방형B형 주거지보다는 이른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주거지 형식 간 출토유물상의 유사점이 많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각 주거지 유형별로 송국리유적 내에서의 점유기간이 길지 못했으며, 재지세력과 유입세력간의 대립, 신세력의 등장에서 기인한 재지세력간의 갈등 등 급격한 시대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discovery of a famous stone cist yielding a Liaoning type bronze daggerin 1974, the Songgung-ri site, representing Late Bronze Age in Korea, has yielded houses, stone cists, jar burials, wooden palisade facilities along with characteristic artifact assemblage through more than ten field campaigns. Archaeological data from this site come to establish a distinctive culturalpattern, so-called ‘Songgung-ri Type or Pattern’. In particular, tens of semi-subterranean houses with round, square, and rectangular floor plan have been unearthed, and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rchaeologicalresearches focused on typology and chronology of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While some consider that these houses had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simultaneously, others consider that they had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at different time periods. According to detailed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from district No. 54 focusing on house structure and artifacts, including shapes of pottery and composition of lithic tools,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had appeared one after another in the result of influx of population and/or emergence of new popul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structure and shape of the houses, House No. 23, a large house with rectangular floor plan, seems to be ahead of a stage of Heunam-ri. Based on house shapes and artifacts fromthe houses, houses constructed after the House No. 23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and occupied in the sequence of houses with square floor plan, those with rectangular(A type) and round, and those with rectangular(B type).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similarities in the artifacts among houses with different floor plans, and these similarities seems to reflect that occupational period of houses with each floor plan was not long enough and that there had been conflicts between preexisting population and incoming population and among preexisting populations resulted from emergence of new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