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자 1인가구 주거공간의 환경요인개선 우선순위 분석

        반승주(Seoung Ju Ban),정희남(Hee Nam Jung),김재태(Jae Tae Kim)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1 부동산융복합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주택개량 및 보수 등이 필요한 노후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의 질을 효과적으로향상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지, 그 순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2018년 조사된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건축연도가 20년초과된 주택에서 혼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주거환경요소의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주택상태의 양호정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전반적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각 환경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환경요인의 중요도와 주택만족정도를표준화시키고, 표준화된 중요도와 만족도의 표준지수를 결합하여 개선우선순위의 표준지수를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분석결과, 주택환경 및 주거만족도는 주택유형(단독주택과 공동주택)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분석되었고,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주택환경요인들 중 “집의 구조물”에 대한 중요도는주택유형에 상관없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다른 환경요인들은 주택유형에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주택상태나 만족정도에 따라 개선행위를 하는 것보다는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중요도를 함께 고려하여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그 순위를 적용한 개량 및 보수 등의 개선행위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도권에 택지의 부족과 각종 규제로 신축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어렵고, 노후화된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주거환경개선우선순위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으며,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환경요인의중요도와 만족도를 함께 고려한 분석은 학술적,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연구는 수도권 거주의 가구만을 대상으로 전체 가구를 대표할 수 없다는 한계점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각 지역권역별 다양한 비교분석을 통해 고령자 1인가구의 주거환경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는 또 하나의 주요한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improved first and what the ranking should be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n old house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repaired. For the study, it was conducted on senior citizens aged 65 older who live alone in a house with a building year of more than 20 year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derived and the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were standardized. The standardiz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combined to calculate the standard index of improvement priority and prioriti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consider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simply applying hous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nly. The priority study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eaningful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houses is being emphasized because of the lack of 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various regul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build, rebuild, and redevelop.

      • KCI등재

        부산지역 매입임대주택의 입지 및 주택 내·외부 특성에 따른 주거평가 분석

        최열,박성호,하규양,Choi, Yeol,Park, Sung Ho,Ha, Kyu-Yang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본 연구는 매입임대주택 거주민의 주거환경 평가를 통해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매입임대 주택은 현재 거주하는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생활이 가능하여 저소득층의 사회적 격리 현상과 슬럼화 방지 등의 사회적 배제현상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택의 매입기준이 주거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매입임대주택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우선,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평가를 위해 주거환경 특성, 주거비 특성, 가구주 특성 등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입임대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결정요인을 주택입지 특성, 주택 내 외부 특성 등으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거입지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공시설, 교육시설, 복지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지시설 접근성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매입임대 주택의 주택입지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 내 외부 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창호상태, 균열, 난방설비, 주택규모 그리고 주택관리 등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purchased rental housing and currently being implemented policy of supporting low-income families are empirically evaluated through the residential evaluation of purchased rental housing residents. Purchased rental housing users are possible to live in currently residing community consistently, have advantages for fewer problems of the phenomenon of social isolation, exclusion and preventing slumism of low-income familie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housing expenses and a head of household were examined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of the residents of purchased rental housing, on the basis of thi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nd external house and residential location are examined each for the determina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purchased rental hous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ial location are public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access to welfare fac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location of purchased rental housing was analyze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house are significant in window status, cracking, heating facilities, housing scale and management.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연구

        정명원,오정석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housing satisfaction evaluation index for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The conten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on the existing literature, the evaluation indexes that are important among the various types of indicators are distinguished and the variables that are commonly identified are derived. Secondly, we evaluated the evaluation indexes which respondents considered important to the common needs and the fitness indexes. We looked at the responses on two scal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dexes by selecting common items. Third, the results are analyzed by IPA analysi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ion indexes from the point of view of experts and residents are analyzed. Since the actua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s the residents, the future evaluation model needs to be improved around the scale that the residents consider important and need.In the future, when creating an evaluation model for new residential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the evaluation indexes that the residents judge to be preferred and worth.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ousing satisfaction index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residents, so that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s can be evaluated in concrete and substantive terms.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만족도 평가지표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기존문헌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다양한 유형의 지표들 가운데서 중요하게 논의된 평가지표들을 구분하고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공통의 필요도와 적합도 평가지표들에 대해서 조사응답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지표를 두 개의 척도에서 반응을 살펴보고 공통된 항목을 골라내어 각 지표들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도출된 결과를 IPA분석을 통하여 전문가와 입주민의 관점에서 평가지표들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거만족의 실수요자는 입주민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평가모델은 입주민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필요로 하는 척도를 중심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새로운 주거만족도에 대한 평가모형을 만들 때는 입주민들이 선호하고 가치 있다고 판단하는 평가지표들을 중심으로 주거만족도를 측정해야 한다. 입주민의 요구가 반영된 주거만족도 평가지표를 개발해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차원에서 입주민의 주거만족도를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시위치와 인구규모에 따른 주거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 20만인 이상 34개 도시의 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장한두(Jang, Han Do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3

        대도시와 수도권 중심의 국토정책으로 인해 비수도권지역 중소도시는 도시문제가 심화되고 있어서 이에 따른 도시관리와 공공사업 방향도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고 주거만족도 조사에 기반하여 도시 인구규모와 수도권 여부에 따른 비교를 통해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도시문제와 주거지관리의 초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로 인구규모와 수도권 여부에 따른 주거환경의 문제와 이슈를 정리하였고 주거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최근의 경험적 연구결과를 요약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와 중소도시로 구분하여 비교 가능한 34개 지자체 775세대에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이 주거환경에서 불만이 높은 요인은 물리적 환경에서 보행안전과 주차편의, 사회적 환경에서 지역경제, 가로의 관리와 안전이며, 도시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높은 주거환경 요인은 대중교통 편의, 의료ㆍ편의시설 접근성, 공공안전서비스 순으로 모두 도시 인구규모가 작을수록 불만이 높았다. 수도권 여부에 따라서는 비수도권 도시에서 공원 이용편리, 보행안전, 대중교통 편의에 불만이 높았다. 둘째, 주거만족에 영향이 높은 요인은 사회적 환경에서 이웃관계와 주거지 평판, 물리적 환경에서 주거밀도와 개방감이며, 도시특성별 영향수준의 차이는 주거밀도와 개방감, 가로관리와 안전, 공공안전서비스, 의료ㆍ편의시설 접근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도시의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높은 물리적 환경의 세부항목은 버스ㆍ택시 등 대중교통 이용편의, 병원까지 거리, 버스노선 수ㆍ운행빈도, 응급실까지 거리, 버스ㆍ기차 등 시외교통수단 접근성 순으로 인구규모가 작은 도시에서 불만이 높았으며 수도권 여부에 따라서는 버스정류장 접근성, 어린이놀이터 접근성, 대기오염 정도, 공원까지 거리 순으로 대기오염만 수도권에서 불만이 높고 모두 비수도권에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mall-and-medium cities of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2015. Participants were total 775 residents who represented 775 households in 34 citie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dis-satisfaction factors of physical environment were the walking safety and the parking facilities. The regional economic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of urban street were the dis-satisfaction factors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s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were the neighboring relationship and the residential reputation. The residential density and the sense of openness were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in physical environments.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ity s population and whether it was metropolitan areas or not.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small-and-medium cities of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make more specific action plans for planning and manag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ities in local small-and-medium cities in Korea.

      • KCI등재

        주거환경에 따른 커뮤니티 만족도 비교를 통한 거주 후 평가

        권오현,최영오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주거환경 중 소규모의 단독주택, 임대아파트 및 분양아파트 등의 주거자들이 느끼는 각 주거지의 다양한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거주후평가를 실시하여 보다 실증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조사를 통해 드러난 의사결정의 방향을 분석하고,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일반 도시생활자의 주거환경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 연구함으로서, 차 후 다수의 대중들이 살고있는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한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코저 한다.

      • KCI등재

        수도권 경사주거지의 분포 현황과 생활환경 특성 분석 : - 경사도 유형을 중심으로 -

        이대일(Lee, Dae Il),장한두(Jang, Han Doo)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1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경사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현황과 문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주택 수요와 개발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8개 경사지를 선정후, GIS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경사도 수준에 따라 4개 유형을 구분한 후 유형별 특성 분석을 통해 경사도 수준별 생활환경의 차이와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경사주거지의 분포 현황을 GIS 분석을 통해 전용 및 일반주거지역의 경사지 개별필지를 경사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포 비율을 파악하고, 경사 유형별로 필지의 규모, 주택유형, 인접도로폭 등의 현황 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사지 845부, 인접평지 175부, 총1,020필지를 2013년에 개별방문 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주민이 주거환경을 평가한 88개 항목을 요인분석을 통해 16개 요인으로 압축하여 설명변수로 하고 주거만족도를 종속변수로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경사 유형별로 주거만족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in hillside residences of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face-to-face interview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ere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from March to April 2013. Participants were total 1,020 residents who were 845 residences representing 28 hillside areas, and 175 residences representing neighboring flat areas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slope type was based on the slope level of the individual parcels of participants’ by using GIS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program.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lope typ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useful evidences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Hillside Residences in Korea.

      • KCI등재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장한두(Jang Han-Doo)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ology with new items and analysis methods. This study classified evaluation items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on both physical and social level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major facto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environmental attributes house size and master bedroom siz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in personal characteristics home ownership, adjustment of house and number of bedroom per person gave large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explained a 42.3%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plan apartments and new town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ology for practical designing.

      • KCI등재

        지방 중소도시의 구도심과 경사지 재생을 위한 주거환경 평가 - 전주·군산을 대상으로 -

        손창희(Son, Chang Hee),이대일(Lee, Dae Il),장한두(Jang, Han Do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1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local small-and-medium cities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face-to-face interviews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Feb 2013. Participants were total 1,040 residents who represented 1,040 households in two cities, Jeonju, and Gunsan cities, in Jelollabuk-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division,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ocial environment was the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economic value of hous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The housing convenience and fac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hysical environments. The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calling for improvement were bicycle safety and parking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road management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gional division, the environmental gap was larger in the old city center than in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gap of physical environment wa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 the environmental gap was larger on the slope than on the flat areas and the gap of physical environment wa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These important or dis-satisfaction factor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local small-and-medium cities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make more specific action plan for planning and manag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mee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 local small-and-medium cities.

      • KCI등재

        이상치 검출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 만족도평가를 대상으로 -

        최정민(Choi JungMin),박동찬(Park DongCha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outliers which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reliability in the current Big Data era. We used the Housing Condition Survey (HC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 as a main dataset. We focused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detected the outliers, and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for impact factors. Although we used the Mahalanobis distance method, which is a common method for outlier detection, we found that this outlier detection method was unreliable. Alternatively, the Naive Bayes Classification method was utilized to detect the outliers and to verify the impact factors. This choice of method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igh correlat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are critical elements in the Naive Bayes Classification. The findings include that firstly, about 2,400 samples (12% of total) of the 2014 Housing Condition Survey were detected as outlier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the tendency of positive over-estimation about questions from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in HCS is common. Thirdly,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outliers in HCS, it is necessary to lessen the stress of respondents by avoiding long questions in table form.

      • 동거가족형태에 따른 공공주택 입주 후 만족도 분석

        김선아(Kim, Seon-Ah),홍경구(Hong, Kyeong),현태훈(Hyeon, Tae Hoon),백유정(Baek, You-Jeong),이가현(Lee, Ga-Hyeon)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2

        Korea’s recent housing stability policy is being implemented as a plan to integrat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expand housing benefit support. This can be said to be a customized approach to consumers in response to diversified changes in values. According to this trend, the needs of consumers must be reflected in the planning and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in particular, it must be possible to predict and respond to changes in demand by space due to changes in family memb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atisfaction level of 3,455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who moved in 2020 by type of cohabiting family, and through this, we aim to suggest a direction for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tailored to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