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좀비 소설의 서사와 윤리-­­타자에 대한 사유의 전환과 구원의 모색을 중심으로

        박찬효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8

        스스로 자신이 누구인지 발화하지 못했던 좀비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존재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21세기에 이르러 대중의 관심 속에서 다양한 매체의 서사물에 등장하고 있다. 한국의 소설가는 신자유주의, 전염병, 기술 발전 등 사회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좀비 아포칼립스와 윤리 문제를 고민했지만, 대체로 좀비에 대한 논의가 영상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래서 본고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 좀비 소설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사유와 구원의 모색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영상물이 주로 좀비의 역동성으로써 신자유주의적 공포를 형상화했다면, 소설은 폐쇄적 장소성과 내면의식을 부각해 좀비에게서 살아남는 것과 사회에서 생존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인식이 나타난다. 「록앤롤 싱어」는 단순히 세태를 비판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연대 회복을 통해 고립된 공간을 열린 장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시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형상화한다. 둘째, 21세기 이후 좀비 서사와 전염병의 결합이 본격화되었고, 그에 따라 좀비는 바이러스, 배설물과 같은 위치에 놓인다. 그런데 소설은 이성적 인간/불결한 동물인 좀비의 대립이 해체되는 경향성이 잘 나타나며, 특히 『야행성 동물』은 ‘좀비-유령’이라는 존재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성찰과 저항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셋째, 일반적으로 좀비 아포칼립스 상황에서 사회의 생명 권력은 커지고 그에 따라 배제되는 존재가 생겨난다. 그런데 『화이트블러드』는 좀비처럼 취급되는 사이보그인 ‘백혈인간’을 통해 기존의 법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랑의 진리를 모색한다. 백혈인간의 포스트휴먼 공동체를 상상하면서 유토피아는 가능해지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웹툰 속 좀비 캐릭터의 서사 전략 변화 양상

        오현화 ( Oh Hyun-hw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2

        좀비가 등장하는 웹툰 속 등장인물들의 불안과 공포는 팬데믹 상황에 직면한 현대인의 두려움과 심리적 공황 상태를 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웹툰 속 좀비 캐릭터의 특징을 통해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 대한 대중문화콘텐츠의 문화적 인식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덧붙여 웹툰 속 좀비 캐릭터의 형상화 방식과 서사 전략 양상 분석을 통해 웹툰 연구의 내실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좀비는 전염을 모티프로 하는 기존 괴물 서사와는 다른 차이를 보인다. 좀비는 흡혈이나 물리적 공격이 아닌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전염으로, 도시나 나라 전체를 마비시킬 정도의 무차별적인 양상을 띤다. 좀비는 주체와 타자, 감염자와 비감염자가 실은 우리 가족이고 친구였다는 사실을 통해 인간과 괴물의 모호한 경계를 보여준다. 과거 좀비 웹툰이 묵시록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치열한 생존 경쟁을 재현하고 있다면, 최근 서사는 좀비 사태 이후 인간 실존의 문제나 그들의 트라우마나 상처, 혹은 일상을 통한 가족애를 다루기도 한다. <데드데이즈>가 좀비 캐릭터를 통해 물신주의에 경도된 현대소비사회의 비정함과 묵시록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반면, <좀비를 위한 나라는 없다>는 좀비와 공생할 수 없는 사회와 그로 인한 ‘멜랑꼴리’적 상실감으로 인해, 자기 처벌적 낙인을 반복하는 서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기존 좀비 서사가 생존 경쟁과 살육의 처참한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고 경고했다면, <좀비딸>에 와서는 좀비와 인간, 괴물과 인간의 공존·공생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체가 괴물을 제거하는 기존 괴물 서사와 달리, 웹툰 속 좀비 캐릭터는 인간성 회복과 구원의 문제를 결말부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감염자와 비감염자가 모두 인간 혹은 한 가족이었다는 좀비 캐릭터가 지닌 모호한 경계성과 무관하지 않다. This study calculated the characteristics of zombie characters in webtoons and analyzed cultural perceptions of pandemic situations such as COVID-19. Zombies are different from other monster characters whose motif is infection. Zombies are infections caused by viral infections, not by bloodsucking or physical attacks. Zombies are indiscriminate enough to paralyze a city or an entire country. Zombies show the ambiguous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monsters through the fact that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infected and the uninfected, were actually our family and friends. Early zombie webtoons followed the traditional zombie narrative strategy. Recently, zombie webtoons have gone beyond the clichés of the existing zombie narratives to express a variety of thematic consciousness. The zombie epic of the past recreates the fierce competition for survival between the infected and the non-infec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an apocalyptic worldview. On the other hand, recent zombie narratives deal with the problems of human existence after infection, the underlying trauma or wounds, and daily life and family love. Unlike monster narratives in which the subject eliminates monsters, zombie characters often present the problem of restoration of humanity and salvation at the end. This has nothing to do with the vague boundaries of the zombie character that both the infected and the non-infected were human or one family.

      • KCI등재

        좀비의 기원과 변형: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에서 동시대 대중문화 상징으로

        노민정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3 No.43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zombie from French Caribbean during the Atlantic Slave Trade and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until twentieth-century global popular culture. Particularly, this article illuminates how the latter twentieth-century zombies effectively imported the idea of infection and apocalypse into the concept. In analyzing the recent variant of the zombie, the article utilizes the contemporary assessment of biopolitics and Achille Mbembe (1957~)’s necropolitics. In the fir st half of the ar ticle, I explor e the etymology and ear ly usage of the word “zombie”. I show that the word origina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through the mixture of Central and West African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European religious beliefs. Since its birth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zombie transformed during the French colony of Saint-Domingue(1659~1804), Post-Revolution Haiti(1804~1914), and the US Occupation of Haiti(1915~1934) period. Specifically, Haitian Vodou religious elements and the zombie becam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e popular cultural expression and images of Haitian Vodou and the zombie spread through Hollywood films in the US and to the world. Until 1968, the zombie mainly referred to lethargic and soulless bodies that labored under the spell of a bokor (or houngan, Haitian Vodou religious specialists), which reminded people of the history of slave trade and the regional culture of the Caribbean. However, George Romero’s The Night of the Living Dead(1968) introduced infectious zombies that attacked people, causing mass infection and bringing about the end of the world. Such forms of the zombie dominate the narrative of global popular culture on the zombie.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the post-1968 zombie, especially on the elements of apocalypse and infection. Mbembe’s necropolitics is a concept that again invokes the historical reality of slavery and colonial domination. In addition, necropolitics also refers to the biopolitics of hier ar chy, w hich accompanies a r egime of p ower that selectively chooses whom to live or die. The right to live does not apply to everyone equally; rather, in the management of state and global infectious diseases and the human body, there are hierarchies among the living, deciding who is worth saving or not. The historicity and contemporary idea of the zombie can be seen as a deathly mirror image of the history and legacy of slavery, hierarchy between humans, and discriminatory distribution of the right to live, all of which permeates the contemporary transnational conditions of living. 이 글은 프랑스어권 캐리비안에서 탄생한 좀비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20세기 후반 등장하기 시작한 대중문화 속 좀비가 전염성 및 종말론적 요소들과결합하는 현상을 분석한다. 특히, 이러한 좀비 상징의 변용이 동시대의 생체권력(biopower) 및 네크로폴리틱스(necropolitics)와 관련해 어떤 함의를 가질 수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좀비(Zombie)라는 단어의 어원과초기 용례를 살펴본다. 좀비는 대서양 노예무역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중서부 아프리카와 유럽의 종교문화가 결합하여 탄생한 개념이었다. 좀비는 프랑스식민지 생도맹그(Saint-Domingue)와 미군정기 아이티를 거치며 식민지 상황에서 보두(Vodou)와 연관되어 변형, 대중문화 속 재현을 통해 미 대륙 및 전 세계로퍼져 나갔다. 1968년 이전까지만 해도 좀비는 주술사의 지배 아래 있는 무기력한노예들로, 대서양 노예무역의 역사적 배경을 상기시키는 국지적이고 개별적인주술적 개념일 뿐이었다. 그러나 조지 로메로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 이후 사람을 공격하여 좀비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전염시켜 세계의 종말을 불러오는 좀비가 등장하고, 이후 좀비 내러티브의 주류로 자리잡는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1968년 이후 좀비의 종말론적 요소와 전염성에 주목하여 아쉴 음벰베의 네크로폴리틱스와의 접점을 모색하였다. 음벰베의 네크로폴리틱스는 아이티의 좀비 개념을 논의할 때 등장했었던 노예제와 식민지배의 역사와 직접적으로관련되는 개념이면서, 후기 좀비 상징을 논의할 때에는 전염병을 관리하는 생체권력의 선택적인 적용, 즉 각 개인의 생존의 권리를 차별하는 위계와도 연결되었다. 좀비 개념의 역사성과 변용을 논할 때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노예제, 인간사이의 위계, 그리고 이로 인한 생존권의 차별적인 부여는 대중문화의 흥미로운종교상징을 넘어 동시대 사회에 대한 죽음의 거울상으로도 볼 수 있다.

      • KCI등재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김성범(Kim, Sung-Pum)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최근 Sci-Fi 영화의 주인공으로서 좀비의 첫 등장은 헐리우드 호러영화에서 출연하는 수많은 괴기스러운 것들 중 하나에 지나지 않았었다. 그러나 헐리우드 호러 영화의 황금기였던 70~80년대, 좀비 장르는 전통적인 호러 영화와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나타났다. 이 좀비 장르의 서막은 조지 로메로의 좀비 3부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당시 호러 영화의 특징은 미국의 70~80년대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상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좀비 영화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첫 번째, 내용적인 면에서 표현되고 있는 것을 살펴보더라도 호러 영화는 기존 질서의 회복 또는 회복이 아닌 더 깊은 절망 속으로 빠져들게 했다. 반면에 좀비 영화는 불확실성의 미래에 대하여 지나칠 정도로 극대화시키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종말론적인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어떤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좀비 영화에서 생존자들은 좀비의 공격에 의해 살육당한 죽은자들 보다는 스스로 자유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결코 영화의 해피엔딩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다. 단지 불확정적인 상황의 잠정적인 결말 내지 일시적인 소강상태를 알져줄 뿐이다. 생존자들은 도시를 떠날 차 한 대에 몸을 맡기고 불확정적인 목적지를 향하여 먼 길을 떠난다. 그러나 이런 엔딩 효과는 호러 영화와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써 관객들에게 불확정성의 희망을 갖게 할 수 있었다. 90년대 호러 장르에서 좀비 영화는 시들해진다. 좀비는 다시 호러영화에 등장하는 괴기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전락한다. 그리고 10년 뒤, 대니 보일 감독의 <28일 후>(2002)와 폴 앤더슨 감독의 <레지던트 이블>(2002)을 시작으로 하여 좀비는 호러 영화가 아닌 Sci-Fi 영화에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결코 고어 영화, 스플래터 영화, 그리고 슬래셔 영화에서 죽거나 사라 없어지는 괴물이 아니라 Sci-Fi 블록버스터의 매우 중요한 캐릭터로써 화려하게 재등장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매우 기본적인 의문을 갖게 된다. 왜 다시 좀비영화인가. 21세기 어느 날, 지구에 닥쳐온 절망적 상황이 왜 좀비인가. 이것에 대한 해답을 찾아 볼 것이다. Recently, The First appearance of the Zombie, the main character of Sci-Fi movie was nothing more than just one of the monster things appearing in the Horror film of Hollywood. but At the 70s~80s, the golden age of Hollywood Horror film Zombie genre appeared as distinguished from a conventional Horror fil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orge A. Romero"s zombie trilogy began in earnest. At that times, Characteristic of the Horror film is in close contacts with the politics, the economy and the society of the America’s 70s~80s. Most of all, Zombie film was its unique location. First, Although inspecting closely in an attempt to express an aspect of content, Horror film of the time was descending into the restoration of existing order or not restoring order but an abyss of despair. On the other hand, Zombie film demonstrated excessively the uncertainty of Future World but totally, went into suggesting an possbility able to overcome the apocalyptic situation of the film. For instance, In Zombie film, The Survivors under any circumstances are expressed in appearance being themselves as free will than the dead slaughtered by zombies. This is never supposed to show the happy endings of the film. This is just knowing of a provisional consequence of the uncertain situation or a momentary lull. The survivors would hop on the jeep leaving the city and toward the uncertain destination, hit the road. but the effectiveness of this endings can give the audience a hope of the uncertainty as the obviously different meanings. In the 90s, the zombie film of the horror genre was waning. Zombie was degenerated again as the ridiculous props of monster thing that often appears in the horror film. and then 10 years afterward,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28 Days Later(2002) of Danny Boyle and The Resident Evil(2002) of Paul W. S. Anderson, Zombie was appeared overall on not the horror film but the Sci-Fi film. By no means an dying and disappering monster thing in Gore Film, Splatter Film, and Slasher Film, The Zombie was made a glorious return as the important material and the main character of Sci-Fi blockbuster. At this point of time, we should have a basic question. Why we"re obsessed with the zombie film again. Someday in the 21st century, why we"re changed the zombie from the desperate crisis of come on earth. Henceforth, we"re wanting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

      • KCI우수등재

        한국 사극 속 좀비 캐릭터 연구 : 〈창궐〉과 〈킹덤〉을 중심으로

        최지운(Choi, Ji-Woon)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좀비는 다양한 콘텐츠에서 활용되며 대중들의 일상과 문화 속에 깊숙이 침투한 인기 캐릭터이다. 많은 콘텐츠 제작자와 수용자들이 좀비에 관심을 보인 까닭은 좀비에게서 발견되는 여러 특성들이 현대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형상화 시키며 교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좀비는 각종 콘텐츠에 자주 등장했었다. 다만 서구와 다르게 인간성을 부여하며 차별을 두었다. 하지만 비교적 최근에 제작된 <창궐>과 <킹덤>에서는 이런 한국형 좀비들과 궤를 달리한다. 또한, 좀비가 과학발전의 폐해로 생겨난 결과물로 주로 설정된 까닭에 현대물에 적합한데도 사극 속에 녹여내었다. 한국 사극에 좀비가 소환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와 함의가 담겨 있었다. 첫째, 한국의 전통요괴를 주로 등장시켰던 기존의 판타지사극 및 픽션사극과 차별화를 꾀하고자 했다. 둘째, 좀비를 무자비하게 죽여도 죄책감이나 거부감이 없으며 역사왜곡이나 편협한 민족성을 피할 수 있는 전쟁사극을 만드는데 용이했다. 셋째, 속수무책으로 좀비로 변하는 백성들을 통해 재난의 공포와 위험에 상시 놓여있는 현실을 날카롭게 풍자했다. 마지막으로 좀비의 창궐을 오히려 권력을 획득하려는 수단으로 삼는 안타고니스트들을 통해 국가적 재난을 당리당략에 이용하는 현대 정치인들을 신랄하게 고발했다. 본고는 콘텐츠 속 좀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서술했지만 한국 사극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는 과제가 놓여있다. Zombie is a popular character used in various contents and has permeated deeply into the daily lives and cultures of the public. The reason many content creators and consumers are interested in zombie is becaus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zombie has embody the dark side of modern society and make commune with it. Zombie has often appeared in various contents in Korea as well. However, it was just given humanity and differentiated unlike the West. However, 〈Rampant〉 and 〈Kingdom〉 that have been produced relatively recent have a different tendency from these Korean zombies films. In addition, zombie was mainly set up as a result of the harmful effects of scientific development, so even though it was suitable for contemporary drama, it was depicted in historical dramas. Zombie was summoned in Korean historical dramas for the following reasons and meanings. First, they were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fantasy historical dramas and fiction historical dramas that mainly featured Korean traditional monsters. Second, killing zombies mercilessly makes feel less guilty or repulsive, and makes them easier to create a war historical drama that can avoid history distortions or prejudiced ethnicity. Third, through the people who shiftlessly turned into zombies, they sharply satirized the reality that is always exposed to fear and danger of disaster. Finally, through the antagonists who using the rampant of zombies as a means of obtaining power, they harshly accused modern politicians using national disasters for partisan politics. The study was described as the need for research on zombies in content, but it was limited to focusing only on Korean historical dramas. Therefore, the further task remains to expand the scope of more in-depth research and research subject.

      • KCI등재

        좀비가 자본주의를 만났을 때 ― 영화 〈부산행〉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이 철(Lee, Chul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8

        여러 괴물 중 왜 좀비에 대한 영화가 유독 지속적으로 흥행을 일으키는가? 이는 좀비가 이 시대 사회상과 우리의 자화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좀비의 ‘인간론’과 관계성의 문제를 여섯가지로 나누어 살펴본다. 곧 정상인에서 좀비로의 파격적인 변화, 지독한 개인주의, 공동체성의 부재 및 파괴, ‘피’를 향한 멈출 줄을 모르는 질주, 성가시고 두려운 존재 그리고 종말론적 존재이다. 이런 특성을 배경으로 이 글은〈부산행〉을 분석한다. 특히 좀비라는 존재를 자본주의와 연결시켜 분석한다. 그러나 이 글은 영화에 나오는 좀비들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주인공 서석우에 주목한다. 그리고 서석우는 영화 초기서부터 이미 좀비였다는 주장을 제시한다. 펀드매니저로 그는 좀비같이 오직 돈만 끊임없이 좇고, ‘개미’ 투자자의 삶에 관심이 없으며, 가족 관계를 포함하여 모든 관계를 파탄낸다. 자기가 살린 기업이 사회에 어떤 해약을 끼칠지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작전’으로 살린 회사가 바이러스를 유출하여 결국 좀비가 발생한다. 그런 그가 영화 중반에 자신을 ‘좀비’로 볼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그는 ‘좀비’에서 인간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영화 후반부에서 그는 주위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면서 온전한 ‘인간’으로 돌아온다. 이 영화는 우리 사회와 개인들이 자본주의의 해악에 깊이 빠져 있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영화로 평가될 수 있다. The first question this article raises is why is the movie of zombie among other monster characters like a werewolf, a mutant, a vampire, an alien or a beast that has a great box-office success, and the answer is that the zombie is the closest example revealing our self-portrait and social aspect. Based on the answer,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problems of ‘nature’ and relationships of the zombie. From this, six characteristics of zombie are achieved such as complete metamorphosis from a human being to a monster, violent egoism, destruction of community, unstopping scud to blood, annoying and fearful character and eschatological forecast. With these concep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vie “Train to Busan” that recorded an unprecedented success in Korea film market. The movie is assayed in terms of capitalism and its evil consequence on human being and his/her relationship to neighboring individuals. Instead of focussing on the zombies in the film, this study interests in the role of Seok-woo Soe who is starring in the movie, and makes a deliberate argument that he has already been a zombie before he actually becomes a zombie. As a fund manager he strives after the ‘blood’ money deprived of possession of individual investors and he never stops whatever it costs on the investors, their families and the society, not to mention of environment. In so doing, he has destroyed all the family tie especially with his wife and daughter. However, he has a chance to see himself as a ‘zombie’ in the middle of the movie, and this leads to his transformation from the state of the ‘zombie’ to human being, and finally sacrifices himself to be a real zombie in helping other people including his daughter. At last, He changes from ‘zombie’ to human being. The zombie film is a good mirror of our times where capitalism rages on every aspect of life of individuals, community and environment.

      • KCI등재

        좀비, 엑스 니힐로의 주체와 감염의 윤리

        서동수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3

        본고의 목적은 좀비서사를 대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는 좀비를 후기 자본주의의 영혼 없는 노예-소비자나 사물화 된 노동자로 보는 견해가 많았다. 하지만 여기서는 환멸의 세계의 몰락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도입시킬 주체로 보고자 했다. 첫째, 좀비는 후기 자본주의의 소비주체의 표상을 넘어 체제 외부를 욕망하는 각성한 주체로 볼 수 있다. 언캐니의 관점에서 보았듯이 좀비는 우리가 억압해야 할 그 무엇(thing)이었다. 좀비의 속성은 대타자를 위협하는 두려움의 대상이었으며 그렇기에 반드시 괴물이라는 이름으로 억압해야 했던 그 무엇이었다. 그런 면에서 좀비를 환대하는 것은 내 안의 또 다른 나 곧 ‘인간다움의 근본’을 만나는 것이자 모든 것이 새로 시작되는 엑스 니힐로의 주체로 태어나는 순간이다. 둘째, 좀비로 인한 감염의 사태는 새로운 윤리적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좀비의 식인행위는 산 노동의 피를 빠는 뱀파이어의 이기주의적 사랑과는 다르다. 좀비의 식인행위는 감염이라는 사건과 더불어 기독교에서 말하는 이웃-사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각성의 시간과 순간을 나누는 것이며 연대의 시작이다. 그런 면에서 좀비의 어슬렁거림은 연대를 위한 기다림이며, 인간을 향한 공격성은 적극적인 환대의 다른 이름이다. 셋째, 좀비 서사의 종말론적 상황은 새로움을 향한 또 다른 사건이 시작이다. 좀비의 분노는 단지 괴물성을 드러내는 장치에 멈추지 않고 세계의 파국을 앞당기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좀비들의 분노와 폭력은 기만적인 가상의 세계를 정지시켜 새로운 미래를 가능케하는 메시아적 폭력의 은유이다. 좀비의 출현과 이에 대한 대중의 호응은 대안 주체와 세계의 가능성에 대한 열망이다.

      • KCI등재

        좀비(화)의 폭력 드러내기: 조이스 캐럴 오츠의 『좀비』

        강영아(Kang, Yeong-a)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6

        본 논문은 미국 작가 조이스 캐럴 오츠의 『좀비』가 타자의 은유인 ‘좀비’를 통해 미국 사회의 폭력을 폭로하는 텍스트임을 분석하고자 한다. ‘밀워키의 살인마’로 불리는 다머의 실화가 바탕이 된 『좀비』는 유색인 이주자를 좀비 노예로 만들려고 하는 백인 화자의 욕망을 통해 미국 사회의 불안과 폭력을 극단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좀비는 서구 중심의 인종적ㆍ계급적 타자의 정형화를 체화하는 존재로 서구가 만든 상상물이다. 오츠는 타자의 은유이자 내적 손상을 드러내는 좀비를 통해 인종적 타자에 대한 제도적 폭력을 가시화하는 글쓰기를 실천한다. 『좀비』는 백인 화자가 뇌엽 제거술을 모방해 유색인 청년을 좀비로 만들려다 잔혹하게 살해한다. 오츠는 한때 미국의 의료기관이 환자를 통제하던 수단인 외과수술을 전유하여 사회제도의 폭력을 가시화한다. 게다가 화자가 유색인 이주자들을 좀비로 만드는 가학적인 좀비화를 통해 오츠는 인종적 타자에 대한 폭력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오츠는 『좀비』에서 백인 화자의 좀비 만들기와 유색인 이주자의 육체적 훼손을 시각화하는 글쓰기로 타자화의 폭력을 외면화하는 서사 전략을 모색한다. This paper analyzes Oates’s Zombie in respect of a new radical writing revealing the American institutional violence and otherness on colored people. In the text, the zombies represent a metaphor for those colored immigrants coming to America in 1990s. Desiring the ‘zombies’ as slaves, the Caucasian narrator Quentin damages the colored youth’s eyes and takes the lives of innocent ones while mimicking the ‘frontal Leucotomy.’ As the Leucotomy was such the notorious tool of incapacitating patients in mental hospitals in U.S. that Quentin’s exploiting it for his own zombies highlights the institutional violence on individual lives especially the youth of color. Accompanied by the kidnaps, rapes, tortures and murders, the violent zombification of colored immigrants visualizes the violence of American society towards the racial others. Oates’s Zombi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zombie text as Yves Michaud claims that the violence represents the very nature of the society which yields that violence. Zombie sheds light on the externalization of violence through the physical materiality of the zombie which discloses its internal damage.

      • KCI등재

        웹툰에 재현된 재난 서사의 특성과 의미 - 웹툰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을 중심으로-

        이채영(Lee, Chae-Young)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본고는 재난을 소재로 한 웹툰 중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을 중심으로, ‘좀비바이러스’로 인해 야기된 재난과 이에 대한 대응 양상, 또 재난을 바라보는 개개인의 인식과 태도, 이러한 개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맥락을 고찰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좀비 딸>에 재현된 ‘좀비 서사’를 5단계로 구분하고 <좀비 딸>에서 독자적으로 드러나는 서사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둘째, 재난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재난에 대한 국가의 대응과 개인의 대응의 간극, 그리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웹툰 <좀비 딸>이 제시한 좀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좀비 서사, 나아가 재난 서사의 다양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좀비 딸>에서는 좀비와의 공존, 연대를 다양하게 모색하고 이를 개인 정환의 재난에 대한 대응으로 재현하였다. 한편, 이와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국가의 대응 방식을 함께 묘사하여 좀비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관점, 규정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좀비, 나아가 다양한 ‘재난’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관점과 규정, 그리고 대응 양상과 과정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일시적으로 봉합되었던 재난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논의를 공론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asters caused by a “zombie virus,” analyzed the responses, individual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mse disasters, and analyzed the social context and its profound impact on the characters in disaster-themed webtoons, focusing on “My Daughter Turned Into a Zombi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classified the zombie narratives reproduced in “Zombie Daughter” into five level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that “Zombie Daughter” reveals independently. Second, the transition process of a disaster, the gap between the national and individual responses to the disaster, and its meaning were considered.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w perspective on zombies and zombie narratives presented in the webtoon “Zombie Daughter,”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he diversification of disaster narratives. As a result of the study, "Zombie Daughter" sought various coexistence and solidarity with zombies and reproduced them as a response to the disaster of individual Junghwan. On the other hand, by describing the state"s sharply contrasting response method together, problems were raised in individu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regulations on zombies. These issues played a role in expanding awareness of zombies, individu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regulations on various "disasters", and changes in response patterns and processes, and publicizing discussions on temporarily sealed disaster-related issues.

      • KCI등재

        영화 <반도>에 나타난 좀비 세계관 확장에 대하여 : 인간 주체성의 긍정과 타자들의 연대

        배세민(Bae Se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한국 좀비물은 차별과 계급주의 현실을 강력하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서사를 구축해왔다. ‘K좀비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연상호 감독은 영화 <부산행>(2016)을 시작으로 좀비를 통해 한국 사회의 부조리를 폭로했다. 연상호 감독의 독특한 지점은 서사에서 좀비 아포칼립스는 한국 사회의 문제와 인간을 이야기하기위한 시작에 불과하다. 그는 좀비를 이야기하되 아포칼립스는 서막에 불과하고 진짜 근원적 문제가 그 바닥에 깊이 깔려 있는 인간의 추악함을 폭로한다. 영화 <반도>(2020)는 타국에 사는 ‘반도’ 출신 이방인들이 ‘좀비보다 더 지긋지긋한 인간들의 차별과 혐오’를겪으며 자청하여 반도로 오는 모습을 담는다.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반도’ 사람들이 ‘타자’라는 것이다. <반도>는 타자로 살아온 이들이 자신들을 소외시킨 또 다른 타자들을 용서하고 연대한다는 세계관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리 가족이 같이 있었는데 왜 지옥이에요?”, “제가 있던 세상도 나쁘지 않았어요.”라는 준의 말을 통해 좀비의 난립을 혼돈과 부정적으로 그려낸 기존의 좀비 콘텐츠들과 차별을 이룬다. 이는 좀비와 인간의 공존도 대립도 아닌, 어떤 소외와 폭력도 주인공들을 방해할 수 없으며, 이들은 존재 자체로 어디서든 행복할거라는 주체성을 강력히 드러낸다. 또한 용서와 연대는 ‘신파’를 넘어서 복수의 의무에서 벗어난 주인공들의 선택의폭을 확장하며 다양한 이야기가 형성됨으로써 콘텐츠의 확장을 꾀한다. 본고는 영화 <반도>에 나타나는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 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기존의 좀비물과는 다른, 창조적인 좀비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인간 생명과 주체성에 높은 가치를 두는아렌트의 시각이 영화 <반도>안에서 심도 있게 나타남을 드러냄으로써 이 작품이 기존의 좀비물과는 차별을 이루며 보다 깊이 있고 내밀한 타자성과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좀비물을 통해 보다본질적이고 깊은 시대의 어둠을 드러내고, 나아가 인간 주체성의 긍정을 담는 <반도>에서의 확장된 좀비 세계관은오늘날 혐오의 시대에 그 의미가 크다. Korean zombies have built narratives in a way that strongly reflects the reality of discrimination and classism. Director Yeon Sang-ho, who is considered a “pioneer of K zombies,” revealed the absurdities of Korean society through zombies, starting with the movie “Train to Busan”(2016). Director Yeon Sang-ho’s unique point in the narrative is that zombie Apocalypse is only the beginning of talking about problems in Korean society and humans. He talks about zombies, but Apocalypse is only the prelude and exposes the ugliness of humans whose real fundamental problems are deeply embedded on the floor. The movie “Peninsula”(2020) shows strangers from “Peninsula” living in other countries voluntarily coming to the peninsula through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humans who are more bored than zombies.” What is emphasized here is that the “Peninsula” people are “others.” “Peninsula” is noteworthy in that it captures the worldview that those who have lived as batters forgive and solidarity with other batters who have alienated them. Through Jun’s words, “Why is it hell when my family was together?” and “The world where I was wasn’t bad,” it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zombie contents that portrayed zombies’ turmoil and negatively. This strongly reveals the subjectivity that no alienation and violence, not coexistence or confrontation between zombies and humans, can interfere with the protagonists, and that their existence itself will be happy anywhere. In addition, forgiveness and solidarity go beyond “Shinpa” to expand the range of choices of the main characters who have escaped from their obligations of revenge, and to expand the content by forming various storie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this work shows a creative zombie worldview different from existing zombies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Hannah Arendt’s “Human Conditions” in the movie “Peninsula”. Arendt’s view, which places high value on human life and subjectivity, appears in depth in the movie “The Peninsula,” indicating that the work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zombies and suggests deeper and more intimate otherness and ways to overcome them. The expanded zombie worldview in <Peninsula>, which reveals the darkness of a more essential and deep era through zombies and further contains the affirmation of human subjectivity, is significant in today’s era of hat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