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부」의 차 6덕에 나타난 존현(尊賢)사상

        김지현,최송현,이병인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4

        잘 알려진 대로 한재(寒齋) 이목(李穆, 1471-1498)의 「다부(茶賦)」는 한국 차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부」는 한국 최초의 전문 차 관련 저술인 동시에 심오한 정신세계를 드러낸 문학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다부」에 나타난 철학적⋅정신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형편이고, 특히 ‘존현사상(尊賢思想)’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재 이목의 차 정신, 특히 존현사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부」의 서문에 드러난 ‘존현사상’은 ‘차의 6덕(德)’을논하는 단락에서 구체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존현의 대상은 유교와 도교의 성현으로, 요(堯), 순(舜), 공자(孔子), 노자(老子)와 같은 성자뿐만 아니라 백락천(白樂天)과 백거이(白居易) 같은 문인들도 포함되었다. 연구자는 또 연구 과정에서 ‘존현사상’을 바탕으로 ‘5해(五害)’와 ‘8진(八眞)’을 새롭게 해석하려 하였다. 그 결과, 불교의 이론에 입각한 기존의 해석은 오류이며, 유교나 도교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退溪詩에 나타난 書堂과 書院 心象의 존재 양상

        전재강(Jeon Jae-gang)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필자는 서당이나 서원의 심상이 퇴계 시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이 논문을 작성했다. 퇴계시에서 서당은 시적 자아의 일상생활과 학문의 공간적 심상으로 나타났다. 그의 시에는 서당을 둘러싼 인공적 자연적 공간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펼쳐진 생동감 있는 사적 일상과 진지한 학문탐구라는 현재의 삶이 표현됐는데 일상과 관련하여 시적 자아는 새로운 장소를 찾거나 유람하는 행위, 그 과정에서 얻은 정서를 표현하기도 하고, 찾아 간 장소를 낭만적 공간으로 상상하며, 서당에서 사람을 만나는 기쁨과 같은 일상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私的 空間에서의 행동과 정서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심상과 같은 구체적 감각적 심상으로 표현했고 그런 여러 심상들이 모여 시적 자아가 살아가는 현재 삶의 일상적 공간으로서의 서당 심상을 만들었다는 것을 밝혔다.<BR>  학문 탐구와 관련하여 시적 자아는 유교의 모범적 인물을 내용으로 읊거나 그들이 앞서 제시했던 학문을 스스로 실천하며 사물을 유교적 이념으로 해석하는 등의 내용을 작품에 표현했다. 이때 서당은 일상적 공간이 아니라 학문적 공간으로 전환되었다. 작가는 학문하는 선대 인물을 원용하거나 스스로 학문을 연마하거나 사물의 관념적 인식을 전고의 심상 또는 추상적 심상으로 나타냈다. 그리고 서당을 읊은 작품에서 시적 자아가 자신의 일상과 정서, 학문적 수련을 남에게 권유하고 가르치기보다는 이를 표현하는 자체에 자족함으로써 작가가 문학의 자기 표현적 기능을 인식하고 문학 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BR>  그리고 서원을 제재로 하는 작품에서 퇴계는 서원을 尊賢과 講道, 養士의 과업을 수행하는 곳으로 인식함으로써 서원을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시간적 심상으로 그렸다고 보았다. 존현을 내용으로 하는 작품의 경우 성리학적 성향이 강한 인물을 주로 존현의 대상으로 제시하여 구체적 심상을 동원하지 않았는데 전고 인물을 제시하여 전고적 심상을 주로 사용했다. 과거 인물을 회고하고 높이는 행위를 중심 과제로 삼은 서원이라는 공간은 과거를 현재와 연결하는 시간적 심상으로 기능하였다.<BR>  강도와 양사를 내용으로 하는 작품의 경우 서원에 대한 당시 사회의 비난과 그릇된 학문의 풍토, 이상적 학문이 일어나는 모습을 때로는 직설적으로 때로는 비유적 심상을 통하여 읊었다. 여기서 강도, 양사의 장소로서 서원은 사회가 긍정하는, 올바른 학문의 풍토가 확립된 미래를 만들어가는 매개자로 인식되어 현재를 미래로 연속하게 하는 시간적 심상으로 자리 잡았다. 과거에서 현재, 미래로 흐르는 시간적 심상으로 서원이 그려진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시적 자아의 입장 역시 사적 공간인 서당과는 달리 유교 사회 일반의 존현 문제, 당대의 그릇된 학문 풍토라는 객관 현안을 시적 자아가 제자나 타인에게 교시를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퇴계도 조선 시대 일반 유자들과 마찬가지로 문학의 효용론적 기능을 이해하고 문학에 활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증좌가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BR>  서당 관련 시와 서원 관련 시는 상호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는데 이는 서당에서 얻은 휴식과 학문이 서원에서의 공적 교육과 정치 참여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정치참여와 서원 교육은 새로운 휴식과 학문을 위한 서당으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두 유형의 이런 특성을 더 깊이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의 서당, 서원 관련 시가 실제 그 전체 문학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육 관련 퇴계시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고 퇴계시의 전체 특성을 더 명확하게 읽기 위해서이다.   I studied on the image of Seodang and Seowon in Taegye’s poetry. I found out several facts about Taegye’s poetry by this research. First, Seodang was represented by persona as space image of daily life activities and studies. In daily life, Seodang and places around Seodang were used for strolling, welcoming spring season, enjoying watching flowers. Persona expressed these activities and emotions through some specific images, for example visual image, acoustic image, smelling image etc.<BR>  In studies, The main contents of Taegye’s poetry are typical Confucian classic scholar, practicing or studying Confucianism, finding out the new meaning out of nature thing. In this case Seodang was functioned as study space. Taegye didn’t make any specific images in expressing Confucian activities. In the group of these kind of Taegye’s poetry, Taegye self-joyfully expressed his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and studying for himself.<BR>  Secondly, Seowon was represented by persona as time image of honoring Confucian sage,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In the poetry of honoring Confucian sage, Taegye only made abstract images. But in wholesome Seowon made itself the time image. Because the honoring Confucian sage connected with his time.<BR>  In the case of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Taegye sometimes made metaphorical images. But in wholesome Seowon made itself the time image. Because the activities of studying Confucianism and teaching disciples connected with future time. In conclusion, the activities of honoring Confucian sage,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connected the time of the past and the time of the present and the time of the future together so that made Seowon the image of time in Taegye’s poetry.

      • KCI등재

        존현구문과 소유자-대상구문 간의 관계 고찰

        남양우(NAM, RYANG WOO)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 中語中文學 Vol.62 No.-

        A lot of studies claim that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is based on existential construction, in other words,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is an extension of existential construction. Both constructions are obviously associated in the meaning. But there is a formal difference between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has more constraint than existential construction. Therefore, we say that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are different construction, and these constructions are related by inheritance links. We can easily explain syntactic, semantic difference between both constructions through inheritance links of constructions. Also, we can account for the reason that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has more constraints than existential construction.

      • 일반논문 : 안덕문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존현의식과 풍류 -「동유록」과 기행시를 중심으로-

        김종구 ( Jong Gu Kim ) 南冥學硏究院 2016 南冥學 Vol.21 No.-

        본 연구는 안덕문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존현의식과 풍류를 「동유록」과 기행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안덕문은 「三山圖」와「三山圖誌」로 유명한 은일처사이다. 이것을 벽에 걸어 놓고 三山人을 존숭하고 흠모하였다. 안덕문의 산수유람은 구도적 유람과 풍류적 유람으로 나닐 수 있다. 안덕문은 산수유람을 통해 은일처사 및 선경을 흠모하고 조화롭게 되고자 했다. 특히 「동유록」은 三山人추숭 작업과 남명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떠난 유람이었다. 물론 기타 영남 사럼에 대한 존현의식도 내재되어 있었다. 안덕문은 긴장된 유람과 함께 이완된 유람이 함께 나타나고 있었다. 아름다운 仙境에서 소요를 하며 그 즐거움을 시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즐거움은 혼자 한 게 아니라 同人과 함께 하고자 했다. 안덕문은 당대의 현인과 시를 주고받거나 담소를 나누며같이 유람을 즐기고 그 여흥도 함께 나누고자 하였다. 안덕문은 긴장과 이완된 유람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문적 방편과 도구로 삼아 그 근원에 쉽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앞으로 기타 은일처사의 산수유람과 비교 분석을 통해 은일처사 산수유람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pecting the wise,`` and taste for the arts, represented in the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of An Deok-Mun by focusing on travel poetry based on Dongyoo-rok. An Deok-Mun was a recluse who was famous for Samsando 「三山圖」 and Samsandoji 「三山圖誌」.An Deok-Mun adored these pictures by hanging them on the wall. ``Landscape Sightseeing(Sansuyuram), by An Deok-Mun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tour for seeking the truth and the tour for enjoying tasteful arts. An Deok-Mun intended to be a recluse and adore fairyland through Sansuyuram. In particular, ``Dongyoo-rok`` is based on tour for worshiping Samsanin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Namrnyeong. It is certain that the consciousness for respecting Yeongnam Confucian Scholars were implied in his travel poetry. An Deok-Mun showed tension and relaxation in his travel poetry at the same time. He wandered around beautiful fairyland and made a poetic imagery for his pleasure. This kind of pleasure was to enjoy together with his coterie (circle members). He wanted to exchange poems, have a friendly talk, enjoy excursion, and share entertainment with sages of those days. An Deok-Mun tried to approach the source of tour by appropriately using the tension and relaxation, derived from the tour as an academic means or too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travel poetry of An Deok-Mun and other poems of recluses who enjoyed landscape sightseeing will be conducive to identifying the nature of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영천지역 사림과 임고서원

        김학수(Kim Hak-su) 포은학회 2010 포은학연구 Vol.6 No.-

        이 글은 포은 정몽주의 주향처로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액된 임고서원을 문화사적 시각에서 살펴 본 것이다. 임고서원은 이황의 서원보급운동에 힘입어 출현했다는 점에서 창건 과정은 퇴계학의 적용으로 해석할 수 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 과정에서는 장현광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여헌학의 확산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여느 서원과 마찬가지로 임고서원은 존현과 위도의 공간으로서 경향 각처 명사들의 내방이 끊이지 않은 사림의 명소로 기능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관인층의 경제적 지원은 서원의 관리.운영에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임고서원은 17세기 초반까지는 한강.지산.여헌학의 절충지대를 이루면서 지역의 학술과 문화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두 차례에 걸친 『포은집』의 간행은 임고서원이 정몽주의 주향처로서의 역할에 매우 충실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한편 임고서원은 개성의 숭양서원, 용인의 충렬서원, 재경 정몽주 후손들과 소통하는 한편으로 정치.경제.사회적인 연대를 모색하였다. 이런 소통과 연대는 경제적인 지원과 협조는 물론 정치사회적인 어려움을 타개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overview the meaning of the Imgo Seowon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viewpoint. Imgo Seowon was built as a main shrine for Jeong Mongju, Neo-Confucian from late Koryeo kingdom and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royal court of early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Sosu Seowon . But when you think about the process and the beginning of the seowon it can be regarded as the adaption of the school of Yi Hwang but when it comes to the rebuilding after 1592's Japan's attack to Korea, it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spreading of idea of the school of Jang Hyeongwang; because the school of Jang had influence on its rebuilding process. As like other seowons, the Imgo functioned as a community center of literati of the local; it attracted local literati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practice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Neo-Confucians who could be their ideal model in learning the way (tao) and to improve their morality. This human resources and connection was a kind of channel of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Until 17th century had the Imgo Seowon contributed to the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many schools of the Neo-Confucianism such as Hankang, Jisan and Yeohyeon in Gyeongsang area and promoted the cultural and academic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Jeong Mongju showed that it was the main shrine of Jeong both in name and reality. Furthermore, students of the seowon did not forget to communicate with other academic communities like Sungyang, Chungryeol, and even with Jeong's descendents and continued to keep the solid relationship with them financially and politically as well.

      • KCI등재후보

        漢詩에 나타난 智異山 認識의 思想的 外延과 內包

        尹浩鎭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8 No.-

        본고에서는 주로 조선의 사대부들이 남긴 지리산 한시를 통하여 지리산에 대한 그들의 사상적 인식이 어떻게 드러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록 유학자 내지는 유학적 교양과 식견, 그리고 그러한 분위기에 젖어 살았던 사람들이 남긴 시이기는 하지만, 그들이 지리산과 관련지어 말한 사상의 폭은 외형적으로 매우 포괄적으로 나타나 보였다. 하지만 이면적인 성격을 살펴보면 이들의 유가적 인식도 매우 폭이 좁고, 불교나 도교 그리고 민간신앙에 대한 인식은 매우 자신들의 편의에 맞추어져 있음을 볼 수 있는데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유가적인 인식은 '존현' 정신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도가적 인식은 '유선' 사상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불가적 인식은 '향도' 의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민간신앙적 인식은 '불배' 의지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들이 지리산을 가는 동안, 그리고 지리산 위에서 보고 겪은 것에 지리산에 대한 인식이 다양하게 드러나 있는데, 지리산을 다녀온 뒤의 생각에도 또한 유가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한 감회를 피력한 것이 많다. 지리산에 오르거나 다녀오니 현실의 막힌 것 혹은 물든 것이 터지거나 씻어졌다고 감회를 밝혔다. 한마디로 마치 신선세계에 오른 것 같다고도 하였으나, 이들이 현실로 돌아올 때의 사상적 지향점은 역시 유가로 선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유학적 현실에 담갔던 몸을 빼어 지리산으로 향함에 그것에 대한 인식이 유불도 및 민간신앙에까지 미쳤지만 유가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다시 현실로 돌아옴에 유가적 본연으로 회귀함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신선세계의 하나로 일컬어 지고 하고, 가장 많은 절을 안고 있으며, 그 꼭대기에 민간신앙의 대상이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을 읊은 사대부들의 한시들에게서 벗어날 수 없는 한계 그것이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houghts of Chiri Mountain that Li dynasty's confucian scholars have expressed in their poetries. Almost of the writers of Chiri mountain poetry were confucian, and they thank Chiri Mountain concerned with four religions, so there are four models of thinking pattern about Chiri Mountain. The first one of these views is that confucianism concerned with Chiri Mountain, the second is taoism, the third is buddhism, and the last one is superstition. 1. The point of view which confucian have had about Chiri mountain, based on a spirit of expect to a worthy man. 2. The taoism which concerned with Chiri mountain is the thought of genii in the shape of confucian. 3. The buddhism was the very popular region while they said Chiri mountain, but monks were to be estimated just as a leader and as a assistant of hiking. 4. In the traditional society, confucian scholar had not intented to recognize the superstition that was believed to give happiness and poverty by people, and they accepted it as a unjustifiable thought. But the people who visited the Chili mountain, had many limits 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point of thinking about Chili Mountain. They were going to understand to four religions in the category that concerned with their confucian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