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忘軒李冑의 한시와 문학사적 위상

        정우락(Jeong Woo ra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2 No.-

        망헌 이주의 시문학에 나타난 서정의 세계는 그의 험난한 정치적 경험 및 시적 재능과 맞물리면서 독특한 미의식을 창출하고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이주의 한시에 나타난 의미가 어떠한 방향으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이것이 지닌 문학사적 위상은 또한 어떠한 것인지를 주로 다룬 것이다. 이주는 사물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나 이념적 인식보다 즉물적 인식이 강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사물을 정밀하게 살피고, 여기에 主情主義에 입각한 경험적 사실을 투사하여 그의 시세계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사물에 대한 즉물적 인식에 기반을 둔 이주의 시는 ‘이상의 좌절’, ‘고독과 비애’, ‘울분과 격정’, ‘순수와 자연’이라는 네 기둥으로 시세계가 구조화 되어 있다. 충효라는 유가적 이상을 출사를 통해 실현해 보고자 하였으나 이것은 사화로 인해 좌절되고 말았다. 그는 한시를 통해 소극적으로는 고독과 비애의 정서를, 적극적으로는 울분과 격정의 정서를 표출하였다. 순수와 자연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확보함으로써 이러한 정서가 극복되고 있음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이주의 시문학에는 ‘雅·悲·奇’의 미감이 주로 나타나는 데, 이것은 각각 ‘순수와 자연’, ‘고독과 비애’, ‘울분과 격정’의 의미와 결합되어 있어 특기할 만하다. 이주의 한시가 바로 이러한 요소들을 내포한 唐詩의 출발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문학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고 하겠다. The lyrical world depicted in the poetic literature of Mangheon Lee Ju interconnects with his harsh political experiences and poetic talent, thus creating unique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meanings being structurized in his Chinese poems an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Lee emphasized his realistic perceptions rather than his historical and ideological ones in his works. That is, he closely examined things and projected the experiential facts based on emotionalism into them, thus establishing his own poetic world. In his poems based on his realistic perceptions of things, his poetic world is structurized with four pillars, which include "frustration of ideal," "solitude and sorrow," "pent-up anger and passion," and "purity and nature." He attempted to realize the Confucian ideals of loyalty and filial duty by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but his attempt was frustrated in a massacre of scholars. He then expressed the sentiments of solitude and sorrow passively and those of pent-up anger and passion actively in his Chinese poems. He also overcame those sentiments by securing the new meanings of purity and nature. In his poetic literature, in particular, such senses of beauty as clear, sad, and commendable are usually found. They are combined with "purity and nature," "solitude and sorrow," and "pent-up anger and passion," respectively, thus claiming for special attention. Given that his Chinese poems show the beginning of Tang poetry with those elements inherent in it, it is apparent that they hold a significant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 임진왜란기 대구지역 한강학파의문학적 대응

        정우락 ( Jeong Woo-ra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9 No.-

        대구지역의 한강학파는 김종직 학단으로 대표되는 영남 사림파의 성장, 이황과 조식을 중심으로 한 영남학파의 자장 속에서 성립된다. 채응린 등이 이끌던 대구의 학술계가, 정구가 이 지역에 등장하면서 곽재겸과 서사원 등 초기 제자들을 흡수하게 되고, 이로써 대구지역 한강학파의 성립을 보게 된다. 이것은 조선 중기 이래 정치적, 학문적으로 소외되어 가던 대구지역에 학문적 우월성과 정통성을 부 여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자신감이 의병활동에 깊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에 대한 체험은 일기나 詩歌를 통해 제출되었다. 일기는 서사원의 『낙재일기』가 그러하듯이 대구지역의 전쟁체험을 사실적 기록을 통해 여과없이 보여준다. 시가 역시 전란으로 겪은 충격을 형상하는데 긴요한 구실을 했다. 이들은 주로 팔공산 회맹에 따른 義氣, 전사자나 부상자에 대한 위로, 우국에 대한 정서, 유가사상을 바탕으로 한 평화로운 일상의 복원에 대한 염원, 피란길에서 발생하는 사향의식 등의 주제를 형성하였다. 한강학파의 전쟁에 대한 문학적 대응은 구체적 실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전쟁의 와중에서도 끊임없는 독서와 기록을 강조하였으며, 격문 등을 통해 의병을 일으켜 실제적인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영남학파의 성숙과 한강학파의 학문적 경향이 맞물리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강학이 心學과 禮學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사회적 실천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Hangang School in Daegu region was established within the influence of Yeongnam School,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thoughts of Yi Hwang and Josik, triggered by the growth of Sarim faction represented by Kim Jong- jik and his disciples. The academic circle led by Chae Eung-rin accepted early disciples including Gwak Jae-gyeom and Seo Sa-won with the appearance of Jeong Gu to form Hangang School in Daegu. The school injected academic superiority and legitimacy in Daegu region, which was getting isolat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after the mid-Joseon Dynasty, and the confidence resulting from that had a profound impact on rightous army movement. Experienc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were described in diaries and poems. As shown by The Diary of Nakjae by Seo Sa-won, diaries explicitly show experiences of the invasion in Daegu region using factual information. Poems also played a critical role in demonstrating the shocks from the invasion. Poems at the time had the following themes: public spirit raised by the covenant in Palgongsan Mountain; comfort for those who were killed or injured in the invasion; sentiments of patriotism; desire for the restoration of peaceful daily life based on Confucian thoughts; and refugees`` longing for hometown. Hangang School``s literary response to the war could be practiced concretely because the school constantly emphasized reading and recording amid the war and developed actual experiences into literature by raising rightous army forces with appealing writing. This was the natural result from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turity of Yeongnam School and the academic trend of Hangang School. This result was possible as Hangang School emphasized practicing in society what had been learned while focusing on study of mind and study of ritual.

      • KCI등재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정우락 ( Jeong Woo-rak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구곡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대구의 구곡원림을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기존의 보고에 의하면 대구지역의 구곡은 네 곳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일곱 곳으로 본다. 본 논의를 통해 채준도의 <문암구곡>이 새롭게 발굴되었으며, 기존의 논의에서 다루지 않았던 도석규의 <서호병십곡>과 채황원의 <거연칠곡>을 포함시켜 함께 다루었다. 강을 중심으로 조성된 이들 구곡 역시 구곡문화사 속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는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대구지역 구곡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성에 있다. 이 때문에 대구의 구곡문화는 주자를 그대로 따르고자 하는 정격형보다 이것을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변격형이 더욱 많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도학주의에 입각한 구심력 역시 확보하고 있어, 구곡을 최근까지 조성하는 등 이 문화에 대한 현대적 계승의식도 강하다. 계승과 변용이 맞물린 이러한 현상은 대구 지역의 선비들이 전통을 계승하되 여기에 유연한 자세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대구지역이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여, 좌우를 넘나들고 상하를 오르내리며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갔던 강안학(江岸學)적 역사 전통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mot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ugok culture in the Daegu area.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overall Gugok culture of Daegu and examined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vious reports tell that the Gugok were at four places around the Daegu area, but the present study`s author estimated that there were Gugok in seven places. The author newly excavated "Munamgugok" by Chae Jun-do and newly included "Seohobyeongsipgok" by Do Seok-gyu and "Geoyeonchilgok" by Chae Hwang-won,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author believed that the Gugoks who formed around rivers deserved a discussion in the history of Gugok culture. The utmost characteristic of the Gugok culture in the Daegu area was openness, which explains why there were more creative alterations of following Zhu Xi in the Gugok culture of Daegu than just the standard forms of following Zhu Xi as he was. The Gugok culture of Daegu also had a strong determination for modern inheritance given that it had only recently created Gugok. The mixed phenomenon of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classical scholars of Daegu kept a flexible attitude while transmitting the tradition. The phenomenon appears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tradition of the created a unique culture by living in the Daegu area along the coast of the Nakdong River and traveling right and left and also up and down.

      • KCI등재

        泰村 高尙顔의 현실인식과 그 문학적 대응

        정우락(Jeong, Woo-ra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泰村 高尙顔은 상주 지역에 생활의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한 지식인이다. 본 논의는 이를 인식하면서 고상안이 당대의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인식한 바에 따라 어떻게 문학적으로 대응하였던가 하는 부분을 밝힌 것이 다. 이를 위하여 당대의 시대적 상황과 이에 따른 문학적 반응을 따지는 ‘상 황-반응’의 논리에 따라 그의 현실인식 문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상안은 임진왜란이라는 구체적이고도 험난한 경험을 통해 의병장과 지방관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중농사상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를 함의한 작품을 다량 생성하였던 것이다. 고상안의 문학은 서정의 형상, 향촌의 발견, 경세적 담론이라는 당대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 이면에서 발견되는 특수성은 중농사상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이다. 이 특수성이 그의 문학에서 구심적 요소로 존재한다고볼 때, 고상안의 문학은 원심력이 작동하면서 세 방향의 주제를 형성하고 구심력이 작동하면서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그의 문학은 두 힘의 관계성 속에서 체계화되어 있다고 하겠는데, 이는 그의 문학이 일상생활 위에서 형성된 事上學的 傾向을 지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사상학은 그의 관료적 경험과 임진왜란이라는 당대적 상황, 향촌 상주의 지역성 등이 맞물리는 지점에 정초하고 있다고 해야 할것이다. Taechon Goh Sang-an was an intellectual that built his living base in Sangju and was active in the area. Recognizing the basic f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he perceived the reality of his times and what kind of literary reactions he made according to his perceptions. For that purpose, the study looked into his reality perceptions and issues according to the situation-response logic, which addresses the period situations of times and resulting literary responses. The results show that he created a good number of works that were based on physiocracy and had implications for realism, going through the specific difficult experiences of Imjinwaeran as a general of the Righteous Arm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 His literature had the universal nature of his times including the embodiment of lyricism, discovery of the country, and governing discourse, but the unique quality of his literature was realism based on physiocracy. Given that the uniqueness served as a centripetal element of his literature, it appears that the centrifugal force set the topics of his literature in three directions and that the centripetal force unified them into one. His literature became systemized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forces, which was possible because his literature had a Sasanghak(事上學) tendency based on daily life. His Sasanghak was established at the intersection of his experiences as a government official, the situations of his times due to Imjinwaeran, and locality of Sangju country.

      • KCI등재

        도산서원에 대한 문화론적 독해 - 일기와 기행록을 중심으로 -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본고는 일기와 기행록을 중심으로 한 도산서원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것은 그동안의 서원 연구가 역사학, 교육학, 건축학 방면에서 이루어져왔던 것을 문학적 측면에서 보완하면서 이 분야 연구의 새로운 길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도산서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자 가장 상세한 기록은 퇴계의 <도산기>이다. 퇴계 사후 도산서원을 찾는 이들은 거의 필수적으로 이글을 읽었는데, 퇴계에 대한 존모심은 한결 같다고 하더라도 심방객尋訪客들은 자신이 처한 학문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그 시각을 조금씩 달리했다. 이글에서는 이를 네 가지 방향에서 다루었다. 도산서원을 찾은 선비들은, 상덕사尙德祠에서는 퇴계와 월천 조목의 학덕을 기렸고, 전교당과 광명실에서는 현판을 낱낱이 들며 그 의미를 천착하였으며, 퇴계의 유품이 보관되어 있던 도산서당에서는 퇴계를 지근의 거리에서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탁 트인 천연대와 천운대에서는 우주와 맞닿아 있는 퇴계의 풍의風儀를 상상할 수 있었다. 나아가 도산서원은 위난의 시기를 맞아 퇴계의 위패 보호를 위하여 온갖 힘을 기울인 이운李芸의 이야기 등 다양한 스토리를 갖추고 있었다. 이것은 바로 도산서원이 일정한 문화공간으로 이해되면서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장으로 거듭 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a cultural studies-based approach toward Dosanseowon based on diaries and travel essays in order to supplement previous studies on Seowon focused on the fields of history, pedagogy, and architecture in the cultural aspect and pave a new path of research in the area. It is Dosangi by Toigye that is the first and the most detailed record of Dosanseowon. Everyone that made a visit to the seowon after his death read it almost with no exception. While they all shared respect and yearning for him, those who visited the seowon for in-depth inquiry displayed different views of it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cademic and political situations, which were addressed in four directions in the present study. Visiting the Dosanseowon, the scholars praised the academic virtues of Toigye and Wolcheon Jo Mok at Sangdeoksa, delved into the meanings of signboards one by one at Jeongyodang and Gwangmyeongshil, and felt Toigye at a close distance at Dosanseodang where his articles were kept. They were also able to imagine the presence of Toigye that reached the universe at the open space of Cheonyeondae and Cheonwoondae. Furthermore, Dosanseowon tells a variety of stories including that of Lee Woon, who tried his best to safeguard the ancestral tablet of Toigye in the time of crisis and danger. Those aspects call attention to Dosanseowon as they imply that it can be understood as some cultural space and evolve into a new venue of storytelling.

      • KCI등재

        회당(晦堂) 장석영(張錫英)이 쓴 『흑산록(黑山錄)』의 서술방식과 가치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3

        This paper was conceived to introduce Heuksanrok by Jang Seok-yeong to the academic circles for the first time. His journal claims considerably important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for including the Parisian version of Hoidangbon, which used to be deemed to exist no longer, and holds great potential of utilization in the field of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for recording the process of his being arrested, put in jail, and released for his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details. Although the journal basically takes the format of prose, the author inserts some verse to further enhance emotions. Even though it is a journal, it strongly doubles as his memoirs based on his memory and accordingly achieves the completeness of work in the organization of “introduction-main body-conclusion”. Introduced in the journal, the Parisian version of Hoidangbon maintains an extreme, high, and noble attitud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ich is a reason for it being disqualified as a diplomatic document and being left out of the final selection. When he wrote the journal, Jang Seok-yeong set up a base in Seongju and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explains wh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Seongju people was particularly highlighted in his journal. Since the study first introduced the journal to the academic world, follow-up study should be more meticulous and elaborate by comparison with the findings of researches on other Parisian versions. 본고는 장석영이 쓴 『黑山錄』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하기 위해 집필된 것이다. 이 일기에는 그 동안 현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던 회당본파리장서가 수록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으며, 그의 독립운동으로 인한 체포와 투옥, 그리고 석방의 과정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이 분야 연구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산문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운문을 삽입시켜 정서를 더욱 고양시키고 있으며, 일기이지만 기억에 입각하여 회고록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서사-본사-결사’라는 작품적 완결성도 확보하고 있다. 『흑산록』에 소개되어 있는 회당본 파리장서는 시종 과격 준절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교문서로 결격 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최종적으로 선택되지는 못했다. 특히 이 일기는 당시 장석영이 성주에 거점을 마련하고 독립운동을 하였기 때문에 『흑산록』에는 성주 사람들의 독립운동이 특별히 부각되어 있다. 그러나 본고가 처음 학계에 소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타 파리장서 관련 연구업적과 비교하면서 보다 정치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동계 조형도 시에 나타난 "물"에 대하여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본고는 東溪 趙亨道(1567-1637)의 시세계를 최초로 탐구한 것이다. ‘물’을 특별히 주목한 것은 그가 자신의 시정신을 이를 통해 가장 집약적으로 표출하고 있으며, 연구방법적 측면에서도 그의 시세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할수 있기 때문이다. 조형도 시문학에 나타난 물은 미려한 정경 속의 물, 풍류와 함께 하는 물, 성찰적 도구로서의 물, 역사현실과 결합된 물 등 다양한 양상을 지닌다. 이것은 각기 그의 서정적, 유흥적, 성리학적, 현실주의적 측면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조형도의 시정신은 江湖樂과 廟堂憂 사이에서 구조화되어 있었다. 아름다운 강호에서 생활하면서 詩酒로써 풍류를 즐기거나 자연을 통해 성리학적 심성 이해를 한 부분은 강호락에 바탕한 것이며, 임진왜란과 정묘·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의병 또는 무장으로서 나아가 전공을 세운 것은 묘당우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동계정에 써서 붙인 ‘思親戀君’은 조형도의 시정신이 강호락속의 묘당우로 귀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investigation into the poetic world of Donggye Jo Hyeong-do(1567-1637). It paid special attention to "water" because the poet expressed his poetic spirit most intensively through water. Water is also a means to examine his poetic world effectively in terms of methodology. In his works of poetic literature, water takes various patterns including water in a beautiful landscape, water with a taste for the arts, water as a means of self-examination, and water combined with the reality of history. Those patterns each reflect his lyrical, entertainment, Neo-Confucian, and realist aspects. His poetic spirit was structured between Ganghorak and Myodangwoo. He enjoyed his taste for the arts as a Shiju, living in beautiful Gangho or understood Neo-Confucian nature through nature based on Ganghorak. He fought as a member of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or commander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and distinguished himself in the combats based on Myodangwoo. "Sachinyeongun," which he wrote and put up on Donggyejeong, shows that his poetic spirit concluded as Myodangwoo in Ganghorak, thus deserving some attention.

      • KCI등재

        어문학 : 산중도서관(山中圖書館) "무흘정사(武屹精舍) 장서각(藏書閣)"의 장서(藏書) 성격(性格)과 의미(意味)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 嶺南學 Vol.0 No.20

        본고는 산중도서관 역할을 했던 寒岡 鄭逑의 무흘정사 장서각에 보관되어 왔던 서적에 주목하면서, 이곳의 표정과 장서의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흘정사 장서각은 정구 사후에 그의 제자들과 성주의 선비사회가 중심이 되어 관리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속되면서 관리가 부실해지자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정구의 후손들에 의해 무흘정사가 중건되어 중흥을 꾀한다. 장서각에는 정구의 수택본을 비롯해서 수천 권의 책을 보관하게 되는데, 당시 이곳을 방문한 성섭은 페르시아의 보물가게에 들어온 듯 진귀한 보물로 가득했다며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무흘정사 장서각에 소장된 도서로는 정구가 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책, 정구의 저술과 그의 선조들의 문집, 중국에서 수입하여 조선에서 발간한 책과 조선전기에 발간한 조선 선비의 문집이 대종을 이룬다. 서종은 성리서가 중심이 되면서도 문학서나 역사서 등으로 다양했고, 일련의 목판과 고문서도 보관되어 있었다. 이곳은 제한적이나마 강학·열람·대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장서각이 산중에 있었으므로 독서와 수양을 통해 통찰력을 획득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무흘정사가 그 기능을 거의 상실하자 이진상이 學契를 구성하면서 재건을 꿈꾸기도 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books housed in the Muheuljeongsa Jangseogak, and figure out its impres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Muheuljeongsa Jangseogak was placed in the hands of the scholars community of Seongju as well as the disciples of Jeong Gu(Hangang, 1543-1620) after his death. With time passage, however, the management efforts grew poor. It was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at the descendents of Jeong Gu remodeled and revived the library, which housed thousands of books including the Sutaekbon of Jeong Gu. Seong Seop recorded his impressions of the library, saying that it was filled with rare treasure as if he were in a treasure shop in Persia. The main collections of the library included the books Jeong Gu must have read, his publications, the anthologies of his ancestors, books imported from China and published in Joseon, and the anthologies of Joseon scholars published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Seojong presented a variety of literature and history books with books of Sung Confucianism at its heart in addition to a series of printing blocks and old documents. It also performed limited functions of study, reading, and lending. As Jangseogak was situated in the mountain, it was regarded as a significant venue to acquire insights through reading and cultiv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uheuljeongsa lost most of its functions, when Lee Jin-sang designed a learned circle and dreamt of restoring it.

      • KCI등재

        성주지역 도학(道學)의 착근과 강안학파(江岸學派)의 성장

        정우락 ( Woo Rak Je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1

        본 연구는 성주지역에 道學이 착근하는 과정과 이 지역에서 江岸學派의 중심을 이루었던 寒岡學派가 어떤 시련 속에서 성장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룬 것이다. 성주 유학은 가야산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환경,가야 고토 위의 신라 유학적 전통이라는 역사적 환경 하에서 전개된다. 성주 지역은 낙동강 연안에서 지방의 在地的바탕을 확보한 사림파의 성장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강을 중심으로 상하로는 기호학과 영남학이, 좌우로는 퇴계학과 남명학이 서로 회통할 수 있는 지리적 환경 또한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성씨들이 어울려살았고 또한 수많은 儒賢을 배출하였다. 영봉서원 설립과 이것이 천곡서원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성주지역의 도통확립과 함께 도학이 어떻게 뿌리내리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황준량등 신진 사림파에 의해 이조년 등 충절 성향의 인물이 배제되고 조선 도학의 祖宗이라 할 수 있는 김굉필이 향사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주지역에서 발생한 이창록 사건과 박이립 사건은 당시 정구를 중심으로 한성주 강안학파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진통으로 파악된다. 정인홍 세력의 침투에서 벗어나면서 성주지역은 정구의 학맥으로 단일화되고, 그 학맥은 장현광에 의한 영남 理學과 허목에 의한 근기 실학으로 계승된다. 강안학파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이원조와 이진상 등에 의해 새로운 국면을 맞으며 시대적 응전력을 기르게 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ettlement process of moral philosophy in the Seongju area and what kind of hardship the Hangang School, which made up the central force in the area along with the Gangan School, went through in the process of growth. In Seongju, Confucianism developed in the unique geographical environment around Mt. Gaya and the Nakdong River and in the historical environment of Shilla`s Confucian heritage in Gaya`s native land. The Seongju area provides a geographical environment very favorable to the growth of the Sarims, who secured their foundation as local powers along the coasts of the Nakdong River. There were open communication channels along the river between Giho School and Yeongnam School up and down and between Toigye School and Nammyeong School right and left. In that environment, the area was home to many different families and produced a good number of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The process of setting up Yeongbong Lecture Hall and turning it into Cheongok Lecture Hall gives some clues to understand how moral philosophy took root in the Seongju area. In the process, the new Sarims including Hwang Jun-ryang excluded loyal characters such as Lee Jo-nyeon and pushed Kim Going-pil, the royal ancestor of Joseon`s moral philosophy, to the margin. In addition, the Lee Chang-rok event and Park I-rip event that took place in the Seongju area seem to have been the labor pains origin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Seongju Gangan School centered around Jeong Gu. The Seongju area became unified by the academic connections of Jeong Gu as it grew out of the invasive influence of Jeong In-hong and incubated Geungi Shilhak by Yeongnam Ihak and Heomok by Jang Hyeon-gwang.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Ganganhak was faced a new phase by Lee Won-jo and Lee Jin-sang and increased the abilities to take up a challenge of the times.

      • KCI등재

        종가 문화의 세계유산적 전망

        정우락 ( Jeong Woo-r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경북은 한국에서 종가문화가 가장 발달한 지역이며 동시에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다. 특히 전통적 생활문화의 일환으로 종가문화를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생활문화는 근대의 과학문명을 뛰어넘는 자리에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이 글은 이런 시각에서 구상되고 작성된 것이며, 동시에 이것이 지닌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함께 타진해 본 것이다. 유네스코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는 세계 문화유산의 보존과 재생을 위하여 가치 있고 독창적인 무형유산에 대한 목록을 선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인이 관심을 갖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북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종가 문화를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기준’에 적용시켜 본 결과, 여기에 만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종가문화의 세계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것으로 본다. Gyeongbuk is the region where "jongga," or head family, culture not only has developed the most but has also been preserved well in Korea. Especially, jongga culture needs to be newly understood as part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This is even more so because living culture like jongga can go beyond scientific civilization in modern times, presenting a vision for the future.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and written. Furthermore,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jongga culture is worth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preserve and restore global cultural assets which are in the danger of extinction, UNESCO has created a list of valuable and unique intangible heritages. Through this, UNESCO leads people in the world to have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s and preserve them. It was examined whether jongga culture based on Gyeongbuk, Korea satisfies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results found that the jongga culture satisfies the criteria. Therefore, based on this, it is needed to accelerate the practical efforts to make jongga culture included in the representative list of world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