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존군(尊君) 의식 고찰

        석승징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2

        Heo Mok(許穆) present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尊君意識)’ as one of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Since Dong Jungseo(董仲舒) in the Former Han dynasty interpreted 『Chunchu(春秋)』 and established the theory of imperial rule,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used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each time by various scholars, including Ga Gyu(賈逵) in the Latter Han dynasty and Jeong I(程頤)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Heo Mok’s perception of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has no differences. Heo Mok’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 aims to strengthen the state by enhancing the position power of monarch. He argues that the power of the monarch can be raised based on the rituals, the order set by heaven. The reason Heo Mok emphasized the order of heaven is to make a kind of checking on the monarch and to elicit the monarch’s subjective and ethical behavior. And, that power of the monarch must be exercised for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Heo Mok thought that the duty of respecting the monarch does not change even if times change and customs was changed, but the rituals of practicing duty can change. It is also true that Heo Mok’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 shows certain limitations on the premise of a discriminatory status order, but three insights can be obtained from his thinking of accepting changes and differences. These can be summarized as maintaining orders, accepting changes, acknowledging differences. 허목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춘다고 하는 ‘존군 의식’을 제시한다. 전한의 동중서가 『춘추』를 해석하여 제국의 지배 이론을 구축한 이래, 춘추대의는 시대를 달리하는 후한의 가규, 북송의 정이 등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해석되어왔다. 허목의 춘추대의에 대한 인식 역시 이와 다를 바 없다. 허목의 존군 의식은 군주의 권위를 높여서 국가를 강성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그는 군주의 권위는, 하늘이 정해준 질서인 예를 바탕으로 높여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하늘의 질서를 강조한 이유는 군주권에 대한 일종의 견제이고, 군주의 주체적이고 윤리적인 행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그 군주권은 백성을 위하여 행사되어야 한다. 한편 허목은, 군주를 높여야 한다고 하는 당위는 시대가 변하고 풍기가 달라도 변하지 않지만, 당위의 실천을 위한 예는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허목의 존군 의식이 차별적인 신분질서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변화와 다름을 인정하는 그의 사고로부터 우리는 세 가지 정도의 통찰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질서의 유지, 변화의 수용, 다름의 인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춘추설(春秋說)」 연구

        석승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study is to find and organize the materials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春秋說, A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o examine what i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he says. Heo Mok wrote 「Gyeongseol(經說, A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by abbreviating old writings he had read for more than 50 years. And he presented it to King Sukjong(肅宗). The meaning of his present of that book contained the expectation that the young king will emulate the teachings of the saints in the old writings and carry out great politics. In 「Chunchuseol」, one of the 「Gyeongseol」, his thoughts on Chunchu(春秋) are completely contained. First, he mentions the fact that Confucius conveys the teachings of the old saints to posterity through Chunchu . And, he explains Chunchu is a sacred discourse to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expose the principles of humanity. He is also says that in an era when the principles of royal politics(王道) disappears and ‘the poetry’ could not play a role, Chunchu can be played the role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Continually, he propose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in three categorie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King(尊君意識), the value of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and the idea of Great unification(大一統)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Chunchu , he argues that the people should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mulate the principles of humanit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stabilize the principles of the earth.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various old writings and checking the context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 I was able to find a glimpse of what kind of situational awareness he had and what kind of responses to the situation at that time he did. In particular, through the expressions that differ slightly from those of the old writings he referred, I was able to confirm that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the Chinese-centered Great unification idea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Great unification ideas of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 challenge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was to overcome the impoverished people’s livelihood due to severe war, constant political turmoil, and frequent natural disaster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e countermeasures of Heo Mok, a responsible intellectual of that period who has to overcome such temporal and spatial challenges. It was the effort to establish a stabl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and ultimately solve the chaotic times situation. 본 연구는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하고, 그가 말하는 춘추대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허목은 그 자신이 50년 이상 읽어 온 옛글들을 축약하여 「경설」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글을 숙종에게바친다. 여기에는 젊은 왕으로 하여금, 옛글에 들어있는 성인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훌륭한 정치를 펼쳐 줄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경설」 중의 한 편인 「춘추설」에는 춘추 에 대한 그의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다. 먼저 그는 공자가 옛 성인들의 가르침을 춘추 를 통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그리고 춘추 는 인의를 닦고 인도를 밝히는 큰 도리라고 설명한다. 또, 왕도가 사라지고, ‘시’가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시대에, 춘추 가 있음으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어서, 춘추대의를 존군 의식, 인의의 가치관, 조선의 특수성을 반영한대일통 사상 등의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춘추 의 가르침에 따라, 인의를 닦아 인도를 세우고, 천도를 이루며, 지도를 평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했던 다양한 옛글들을 찾아 그 맥락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가 어떤상황 인식을 가지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했는지에 대한 일단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참조했던 옛글과 미세하게 달라지는 표현들을 통하여, 그가 춘추시대의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일통 사상으로부터 조선의 개별성을반영한 대일통 사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 조선이 안고 있던 과제는, 혹심했던 전란, 끊임없이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 그리고 빈번한 자연재해등으로 인해 피폐해진 민생을 극복하는 일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것은, 이와 같은 시대적·공간적과제에 대한 당대의 책임 있는 지식인 허목의 대응이다. 그것은 왕권 강화를 통하여, 인과 의를 바탕으로 하는안정적인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혼란한 시대상을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예의(禮義)와 염치(廉恥)의 정치

        윤대식(Youn, Dae 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2 No.1

        이 글은 정치적 텍스트로서『管子』의 분석을 통해 이후 등장한 유·법 정치교의에 내재한 합리성의 원형질을 재고하는 작업이며, 이로부터 정치적 패러다임으로 유법 정치교의가 어떻게 겸전가능한지 단서를 찾는 것이다. 『管子』에 내포된 정치교의는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된다. 첫 단계는 『管子』의 법치적 요소를 담고 있는 법치론이다. 여기에서 『管子』는 역사와 인간에 대한 성찰로부터 법 개념을 규구, 승묵의 측정기능을 지닌 불변하는 상도(常道)로 제시함으로써 법치의 실질이 애민(愛民)임을 밝힌다. 이로부터 법치의 관건은 군주가 수신하는 승(勝)의 덕목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며, 그 의무를 수행한 군주의 존법은 신민의 존군을 이끌어 내는 합리적 선택이다. 바로 이 점이『管子』법치론이 제시하는 패왕(覇王)의 규범성이다. 다음 단계로『管子』예치론의 예와 덕, 예치는 법과 률, 법치와 논리적 일관성에 놓여 있다. 이로부터 예치 역시 군주-신민 관계의 합리성을 도출하는 규범적 장치로 기능하며 그 초점을 군주의 실천지에 맞추고 있으며 존군의 여부 역시 군주의 도덕적 완성에 따른 명실상부한 질서 구축에 달려 있다. 바로 이 점이 『管子』예치론이 제시하는 성왕(聖王)의 법제성이다. 따라서 예와 법, 예치와 법치는 구조적 동일성 명제이다. 마지막으로 『管子』의 예법겸전은 우선 정치와 경제의 일원성을 통해 부국(富國)과 부민(富民)의 논리적, 실천적 연장이 평천하이고, 존법과 존덕을 조화하는 새로운 표준으로서 패왕의 출현을 전망하며, 최종적으로 군주-신민을 포함한 모든 정치 행위자들이 예의염치를 습속화한 무위의 정치를 제시한다. 바로 이 점에서 『管子』는 정치적 텍스트로 읽혀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Guanzi as a political text, and reconsider archetype of rationality within confucian-legalist political teaching. Guanzi proceeds 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contains legalism. From the view of history and men, Guanzi explains fundamental rule of government such fa(laws) as scale and compass. So, contents of ruling by law consist of the safe and convenience for people. The crucial point is to abide by law. Then who first should abide by law? The answer is just a King. Law-abiding king can introduce people obey to the law, namely obey to king himself as a legislator and executor. The king is just a Pa. He is not a despot but a normative monarch as a winner who would prevent himself from breaking law. At next stage, it contains confucian benevolence and moral. From the sam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galism, Guanzi explains fundamental rule of government such te(virtues) as courtesy, justice, rite, wisdom. So, the crucial point of ruling by virtue is to make moral perfection. Then who should be a virtuous man first. The answer is just a King. Virtuous king can make people respect him, n amely obey to k ing himself. T he k ing is j ust a S age King. He i s not a saint but a new standard of life such as law. At final stage, Guanzi provide us a monism as the crossing between moral and law. What is new? It contains the harmony politics with economy, accord obeying to law with respecting virtue. Finally a new prince will be emerged. The prince is Pa-Wang who will make people with manners and customs as a courtesy and honor. That is the reason why should read Guanzi as a political text.

      • KCI등재

        상앙의 법치주의에 내재한 정치적 의무

        윤대식(Dae Shik Youn)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3

        본 논문은 상앙의 법치주의가 군주와 신민간의 정치적 의무를 인식시키고 이행하기 위한 기제로 제시되었다는 사실을 검토하는 것이다. 상앙의 법치는 시대의 변화를 긍정하고 현 상황에 가치를 부여하는 변고적 역사관으로부터 출발해서 인간에 대한 경험적 추론에 기초하고 있다. 즉 과거 사적인 인간관계의 규범으로서 예제가 더 이상 사회 발전으로 인한 복잡성과 다양성에 대응할 수 없으며 공적 기준의 요구가 증대되었기 때문에 법치야말로 시의에 따른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이기적 성향으로 인해서 예제가 과거와 같은 규범적 구속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형벌체계로 구성된 법제의 구속이 요구된다는 논리로 전개된다. 역사의 시의성과 인간의 이기성을 전제로 상앙은 통치의 합리적 구조화의 가능성을 찾았고 법에 의한 지배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상앙의 법 개념은 인간의 이기성을 합리성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현실변화에 조응하는 규준의 의미를 지니며 모두에게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공정무사한 성격으로서 율로 명명된다. 이에 따라 군주와 신민 모두가 법 적용대상이 되기에 법치는 일률적으로 집행된다는 신뢰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법치의 실행은 법을 통해서 측정하고 판정하는 행위자, 곧 권력의 행사자로서 군주의 존재를 정당화한다. 따라서 상앙의 법치는 법이 지닌 일률성과 대공무사성의 이념이 존군의 관념과 결합된다. 상앙은 군주의 정치적 권위야말로 법을 통한 보상과 처벌의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신민의 생존을 보장하고 그들의 신뢰를 획득함으로써 신민의 자발적인 복종과 순응을 유도할 때 정당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로 인해서 상앙의 법치주의는 군주의 의무선행이 신민의 의무이행을 유도하며 양자간의 정치적 관계가 의무이행을 통한 쌍무적 관계로 유지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상앙의 법치주의는 일상일형의 객관적 규준에 의해서 운영되는 국가야말로 군주-신민간 자발적인 의무의 이행이라는 상호성에 기초해서 부국강병이라는 내포의 심화를 이루고 자연스럽게 패권경쟁의 승리라는 외연으로 확대되는 통치기제로의 구축을 의도한 것이다. 상앙의 최종적인 목표는 법치에 기초한 통치기체의 확립과 규범화 이후 무상무형의 평화상태, 곧 왕천하의 실현이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ake clear the political implication in Shang Yang’s legalism called Change-Law. That was a reform program to acknowledge and perform political obligation between prince and subjects. Shang Yang’s reform program departed from his view of history oriented change and development in real world. He recognized empirically that men were egoistic. So he judged that ruled by law would be the best response to increasing normative demand in the process of shift from private relationship to public relationship. Because Li(rite) was not overwhelmed norm can be adapted the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containing complexity any more. In this premise, Shang Yang found rational mechanism of government and proposed the alternative as a Fa(law) by legalism. Shang Yang’s concept of law is the objective standard to not turn away rationality of human conduct and to corresponding real change. Therefore his law was the law as fairness and equity under which prince and subjects had to conform. Consequently subjects would believe the law and recognize the authority of prince. Shang Yang’s legalism combined ideology of law with holiness of prince. In Shang Yang’s legalism prince had a right to reward and punish in the limit of law. Before whirling his power, prince had to fulfill his own mission which conserved lives and saves of subjects. The right to reward and punish of prince had to be executed for this aim. After carrying out prince’s obligation, subject trusted on their prince ruled by law and conformed to his prince volunteerly. So Prince could get his political legitimation successfully. Shang Yang’s legalism suggested that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prince and subjects should be a reciprocal through executing obligation of prince first to induce subject’s. That is obedience to law. The final stage Shang Yang expected would be state of peace named Kingly Government.

      • KCI등재

        한비자는 효를 부정하는가?

        朴晋佑(Park Jinwoo)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6

        한비자는 仁과 義를 비롯한 유가가 주창한 가치들을 부정하며, 인과 의와 같은 도덕 가치를 정치의 영역에서 배제하고자 시도한다. 그러나 한비자 내에는 仁義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한 부분들 또한 존재하며, 인의에 대한 긍정적 서술을 유가의 영향을 수용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유가의 영향을 수용한 결과가 아니라, 군주의 권위 강화라는 목표 아래 재해석한 결과다. 이때, 한비자가 효라는 개념을 긍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효를 긍정한다는 것은 효의 내용 가운데 자신의 사상과 부합하는 부분이 있거나, 자신의 사상에 유용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한비자는 유가의 인의와 같은 맥락으로 효를 尊君이라는 맥락에 맞추어 재해석한다. 이때, 한비자가 언급하는 효의 실제 내용은 새롭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며, 고대부터 존재한 효의 본래 내용이다. 그가 효를 비판한 지점은 정치 영역 상에 있다. 한비자는 인재론을 통해 공적 영역으로 편입된 효를 재해석하여 효를 사적 영역으로 분리해 군주의 권위를 세우고자 하였다. 한비자는 충과 효의 대립 상황에서 충을 기준으로 효라는 가치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다. 『한비자』 「오두」에 나타나는 효와 충의 대립 문제에 대한 한비자의 관점은 한비자가 효라는 가치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한비자의 효 논의가 효의 정치화 시도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an Feizi has no interest in utilizing ethical virtues in his political scheme. Han Feizi denies the value of ren 仁 (benevolence) and yi 義 (righteousness), which are emphasized by Confucian scholars, and attempts to exclude moral ideas from his political pursuit. Even so, some passages of the Han Feizi seem to approve the value of ren and yi and it was understood as the Han Feizi’s reception of Confucian ideas. This is not the case and it should be deemed as a way to reinforce the authority of the ruler. Here, it is noteworthy that the filial piety is described as a positive concept. Han Feizi’s approval of filial piety means that he regards filial piety is in line with his thought or it is useful in fulfilling his political ideals. Han Feizi reframes the concept of filial piety in order to enhance the power of the ruler. But he does not add his own elements to filial piety. Han Feizi’s concept of filial piety basically adopts the original sense of filial piety which is to revere ancestors. His criticism on filial piety is related to political issues. His prime aim is to absolutize the power of the ruler by eliminating the public elements of filial piety and limiting the role of filial piety to the private sector.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Han Feizi negates xiao 孝 (filial piety) under the slogan of zhong 忠 (loyalty) when xiao and zhong are in conflict. The dilemmas of filial piety and loyalty in the “Wudu” 五蠧 chapter of the Han Feizi demonstrate that Han Feizi does not negate filial piety and his filial piety discourse is focused on rejecting the attempt to introduce filial piety into the political area.

      • KCI등재후보

        선진 법가철학의 내적 발전경로

        윤대식(Youn Dae 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앙과 한비자로 이어지는 선진 법가철학의 이론적 완성과 정치적 실천과정을 법가철학이 지닌 내적 발전경로로 파악하고, 이로부터 선진법가철학이 지닌 논리적 일관성을 찾아서 정치교의로서 법가철학의 계보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상앙과 한비자의 법치론은 양자 모두 그 이론적 전제로 법치실행의 필연을 위한 발전적 역사관과 역사의 필연성을 이끌 합리적 인간을 상정한다. 그것은 법의 제일성과 공정무사함에 기초한 법치의 객관성에 의해서 상호이익의 보장이라는 실천을 통해 규범화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점에서 한비자는 상앙을 계승한다. 상앙과 한비자는 법 인식에서 분기한다. 상앙은 법의 제일성과 공정무사성을 일률적인 법 적용을 통해 률로 전환시킨다. 반면 한비자는 법을 질서의 본질로서 도의 구현으로 규정한다. 순수한 ‘법’에 의한 지배의 일원성을 신뢰했던 상앙의 비극적 종말은 한비자로 하여금 ‘법’에 의한 지배의 순수성을 보존하기 위한 통치술의 보완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개된다. 최종적으로 상앙의 법치론은 존법과 존군의 균형을 시도하고 한비자의 법치론은 존법과 독존의 양립을 시도한다. 따라서 상앙과 한비자는 군주의 통치술로서 위세와 술수를 권고하지만, 상앙의 경우 법에 의한 지배만으로 지극한 경지로 도달한다는 기대에 의해서 위세와 술수의 보조적 기능에 국한시킨 반면 한비자는 법에 의한 지배와 군주의 지배를 양립하는 결정적 관건으로 위세와 술수의 적극적 기능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의 교화조차 필요없다는 상앙의 이상과 무위의 통치라는 한비자의 이상 모두 지극한 통치의 상태를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makes my position clear that the legalist philosophy from Shang Yang to Han Fei-tzu in ancient china suggested inner path of theorec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like the geneology of Confucian School. Shang Yang and Han Fei both assumed the growing history and rational man as a theorectial premise. They suggested that ruling by law(Fa) should guarantee mutual aid through uniformity and impartiality of law. So they are called Legalist(Fajian). But both diverged whether ruling by law only or statecraft was the best way. Shang Yang chose law and suceeded change-law(Bian fa). Han Fei chose statecrafts(ShuㆍShi) and achieved a synthesis of legalist philosophy. Nevertheless their political vision coincided with moving toward supreme state of idleness.

      • KCI등재

        『관자(管子)』에서의 법률사상 검토 -“존군(尊君)”관과 “중법(重法)”관을 중심으로

        전순재 중국사학회 2019 中國史硏究 Vol.0 No.122

        “존군(尊君)”과 “중법(重法)”은 중국 고대 법가 법률사상의 양대 특색임과 동시에 중점이 두어진 부분이다. 법가 사상 가운데서 한결같이“존군”은 최고의 정치적 목표였으며, “중법”은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는 유일한 효과적인 수단인 것으로 천명되고 있다. “존군”과 “중법”은 법가 학설을 판단하는 주요 표준이다. 이러한 표준에 근거하여 볼 때, 『관자(管子)』는 분명하게 법가의 색채를 띄고있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유가 등 기타 학파의 학설도 융합하고 있다. 곧 『관자』는 “존군”을 견지하고 있지만, 백성의 가치와 이익도 중시하고 있다. 법치를 견고히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또한 도덕 교화의 기능도 부정하지 않고 있다. 군주와 법의 관계에 있어서도 『관자』는 “군주에 대한 저항, 법에 대한 군주의 복종” 등도 강조함으로써 상앙(商鞅)이나 한비자(韓非子) 등 다른 법가 사상가들과는 차별적인 의식을 갖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Monarchy and legalism ar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Legalists' theories, always playing important roles in Legalists' legal thoughts. Maintaining the monarchy is the primary political target of Legalist, while a rule by law is the only effective means that attains this target. We can find that Guan Tzu contains typical Legalists' thoughts, and it is deeply affected by Confucianism. Guan Tzu advocates absolute monarchy, but it also have concern to the people's value and benefits. Guan Tzu insist a rule by law, but it values the function of moralization. As for the conflict of monarch's will and law, Guan Tzu usually insists that monarch obey the law,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inions in Shang-chun Shu and Han-fei Tzu.

      • KCI등재

        사상 : 맹자 "민귀"(民貴)설에 있어서 "존군"(尊君)의 실질

        류청평 ( Qing Ping Liu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5 No.-

        맹자의 "민귀" 관념은 역대로 매우 높게 추종되어 왔다. 일부 현대학자들은 이것이 "민주성의 정화"를 포함하고 있다고까지 하였다. 그런데, 일단 그 구체적인 언어적 표현의 관련성에서 특히 맹자 사상의 전체 구조에서 놓고 볼 때, 이 관념은 전통 유가에서 견지해온 "민본"관념과 같다. 또한 이는 민중을 군주 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한 도구적 근본이지 스스로가 존엄한 가치를 지닌 목적적 근본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 정신적 실질에서 보면, 이는 "존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Mengzi``s idea of "people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mingui) does not contain any cream of democratic values as some modern scholars have declared. Just like the traditional Confucian ides of "people as roots" (minben), it does not regard people as the ultimate end that should be respected by the ruler and officials, but mainly as the necessary means whose minimum interests should be concerned in order to secure their autocratic monarchy. In this sense, the essence of this idea is still to honor the supreme position of the ruler.

      • KCI등재

        중국철학 : 한비자(韓非子)의 존군(尊君)사상 -인(仁), 의(義), 예(禮)의 법가적(法家的)해석을 통해서-

        양순자 ( Soon Ja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한비자의 정치 철학은 엄격한 법치를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유가적인 도덕에 의한 통치는 배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런 견해는 한비자가 인의(仁義)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데에서 기인한다. 한비자는 법에 의한 엄격한 통치를 옹호하면서 군주의 인의의 시행을 비판한다. 그러나 『한비자』에는 인의에 대해 부정적인 언급이 있는 반면에 동시에 인의에 대해 옹호하는 부분도 있다. 학자들은 한비자가 인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언한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양계웅은 법가인 한비자가 인의를 옹호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위작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한비자가 그의 스승인 순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본다. 기존 견해의 공통점은 『한비자』에서 나타나는 인의에 대한 옹호적인 부분을 유가와 연관시킨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한비자는 인의를 옹호하지만 그 개념들을 유가와 다른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의를 법치에 맞게 재구성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기존에 유가의 전유물이라고 알려진 인, 의 등을 왕권강화라는 목적에 맞게 재해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의 구별·차별이라는 속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비자는 본질적으로 구별·차별의 역할을 하는 예를 인·의보다 우선시함으로써 인·의를 왕권강화와 위계질서 유지라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다.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Han Feizi`s major political goal is to accomplish a rich and powerful state by means of the strict enforcement of law and as a result is to criticize a moral government. This interpretation is caused by anti-Confucian statements in the Hanfeizi. In fact, some parts of the work advocate rule by law, but criticize rule by a moral ruler. However, the Hanfeizi holds affirmative views of ren and yi while criticizing the virtues at the same time. Scholars have presented several interpretations with regard to the favorable parts of the virtues. For instance, Liang Qixiong states that they are unauthentic since Han Feizi as a legalist would not have advocated ren, yi and so on. On the other hand, other scholars argue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Han Feizi`s teacher, Xunzi, who is one of the prestigious Confucian philosophers. These traditional views associate the advocacy of the virtues of the Hanfeizi with Confucianism. In my view, Han Feizi supports virtue-related terms in his theory, but uses them in a different connotation for his theory of law. In other words, he reinterprets ren and yi in order to secure the sovereignty and in the process li with the function of differentiating or discrimina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Han Feizi offers li as the guideline for the virtues of ren and yi and reinterprets them in order to solidify the sovereignty and maintain a social hierarchy.

      • KCI등재

        韓非子의 尊君 사상 − 仁, 義, 禮의 法家的 해석을 통해서 −

        양순자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한비자의 정치 철학은 엄격한 법치를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유가적인 도덕에 의한 통치는 배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런 견해는 한비자가 인의(仁義)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데에서 기인한다. 한비자는 법에 의한 엄격한 통치를 옹호하면서 군주의 인의의 시행을 비판한다. 그러나 『한비자』에는 인의에 대해 부정적인 언급이 있는 반면에 동시에 인의에 대해 옹호하는 부분도 있다. 학자들은 한비자가 인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언한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양계웅은 법가인 한비자가 인의를 옹호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위작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한비자가 그의 스승인 순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본다. 기존 견해의 공통점은 『한비자』에서 나타나는 인의에 대한 옹호적인 부분을 유가와 연관시킨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한비자는 인의를 옹호하지만 그 개념들을 유가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의를 법치에 맞게 재구성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기존에 유가의 전유물이라고 알려진 인, 의 등을 왕권강화라는 목적에 맞게 재해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의 구별⋅차별이라는 속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비자는 본질적으로 구별⋅차별의 역할을 하는 예를 인⋅의보다 우선시함으로써 인⋅의를 왕권강화와 위계질서 유지라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다.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Han Feizi's major political goal is to accomplish a rich and powerful state by means of the strict enforcement of law and as a result is to criticize a moral government. This interpretation is caused by anti-Confucian statements in the Hanfeizi. In fact, some parts of the work advocate rule by law, but criticize rule by a moral ruler. However, the Hanfeizi holds affirmative views of ren and yi while criticizing the virtues at the same time. Scholars have presented several interpretations with regard to the favorable parts of the virtues. For instance, Liang Qixiong states that they are unauthentic since Han Feizi as a legalist would not have advocated ren, yi and so on. On the other hand, other scholars argue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Han Feizi's teacher, Xunzi, who is one of the prestigious Confucian philosophers. These traditional views associate the advocacy of the virtues of the Hanfeizi with Confucianism. In my view, Han Feizi supports virtue-related terms in his theory, but uses them in a different connotation for his theory of law. In other words, he reinterprets ren and yi in order to secure the sovereignty and in the process li with the function of differentiating or discrimina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Han Feizi offers li as the guideline for the virtues of ren and yi and reinterprets them in order to solidify the sovereignty and maintain a social hier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