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Scale in a Sport Organization

        한진욱(Jin Wook Han),전중환(Jung Hwan Jeon),정태욱(Tae Wook Chu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1

        직무에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 조직 내 정치지각은 조직효과성과 조직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oon, 2003). 조직 내의 합리적인 권력과 사회적 영향을 대신하여 전략적으로 개인적인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 내 정치행동은 비공식적이고 전형적으로 불화를 일으키는 불법행동이다(Ferris, Russ, & Fandt, 1989). 조직 내 정치행동에 대한 구성원의 정치지각은 개개인에게 유익할 수도 있지만, 유해로울 수도 있다. 그러나 조직 내 정치지각이 조직효과성과 효율성을 감소시킨다는 부정적인 관점이 조직행위론 연구에서 지배적이었다. Hochwarter, Hochwarter, Kacmar, Perrewe, & Johnson(2003)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 내 정치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18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 측정도구의 특이성은 18개의 항목이 위계조직 내에서 정치행동에 대한 인식을 3단계(고위직원, 직속상관, 그리고 동료직원)로 나누어 조사하였다는 점이다. 기존 측정도구와 비교했을 때, 다양한 단계에서 조직 내 정치지각을 측정한 Hochwarter의 측정도구는 연구자에게 위계조직 내에서 각각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정치지각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조직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스포츠경영학에서는 조직 내 정치지각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특히 조직 내 정치지각에 대한 연구의 부재는 정신측정학적으로 적절한 측정도구가 국내 스포츠조직 환경에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조직 내 정치지각에 대한 더 낳은 이해와 정치행위 통제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조직 내 정치지각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기본전제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Hochwarter et al.(2003)의 정치지각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스포츠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판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절차와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은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스키장에서 총 600명의 직원들을 선택하였다. 그 중에서 사용가능한 52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단계에서, Hochwarter et al.(2003)의 정치지각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다양한 통계방법들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표본을 표본A와 표본B로 구분하였다. 표본A(260명)는 교정그룹으로 SPSS 통계프로그램의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에 이용되었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유치(9.429-1.051)는 각각의 요인에 5.84%에서 52.38%의 설명력이 있고, 전체적으로 66.05%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에 포함된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비율인 공통성은 .55에서 .77로 기준치 .50을 충족시켰다. 또한 추출된 3개의 요인은 각각 6개의 항목씩 상대적으로 높은 적재치를 나타냈다. 둘째, 표본B(261명)는 타당성 검증을 위한 그룹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부터 얻어진 측정모형이 현재의 자료에 적합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이 이용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모형은 현 자료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χ²= 316.348, p < .05, RMSEA=.068, CFI=.95, PNFI=.71). 또한 구성타당도를 평가 하기 위해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의 적재치와 평균분산 추출값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8항목에 대한 적재치가 모두 기준치 .707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평균분산 추출값은 .61에서 .69로 기준치 .50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과 제곱한 상관관계계수와 평균분산 추출값을 비교하였다. 구성개념 간의 상관관계계수는 .678에서 .781로 Kline(1998)이 제시한 .85보다 작으므로 구성개념 간에 판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Fornell & Larcker (1981)이 제시한 좀 더 엄격한 판별타당도 검증방법으로 상관관계계수와 평균분산 추출값을 비교하였다. 상관관계계수의 제곱값은 .46에서 .61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된 평균분산 추출값(AVE=.61-.69)보다 작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성개념 간에 판별타당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각 요인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본A, 표본B, 전체표본을 이용한 Cronbach 알파계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표본에 따른 Cronbach 알파계수는 다음과 같다. 표본A는 .864-.905로, 표본B는 .898-.931로, 전체표본은 .904-.913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내 정치지각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 조사를 보조하고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을 정확하게 대변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표본B를 대상으로 한 복합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901-.931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판 Hochwarter et al.(2003)의 정치지각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것으로

      • KCI등재

        조직 공정성이 조직 아노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Jeong, Ye-jee),홍계훈(Hong Gye-H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지각된 조직 아노미 및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직 공정성이 조직 수준 정치지각을 통해 조직 아노미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팀 제도가 만연한 현 시점에서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구성원들에게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현저성(saliency) 과 가시성(visibility)이 높은 팀에 대한 정치지각으로 이어질 개연성 역시 높다고 판단된다. 즉, 분배 공정성과 절차 공정성, 대인간 공정성이 조직 수준에서 확보되었다는 인식은 하강효과(cascading effect)를 통해 조직 정치지각은 물론 팀 수준 정치지각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팀 정치지각은 상승효과(upward spiral effect)를 통해 팀에 대한 태도는 물론 조직에 대한 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즉, 팀 내 비합리적 정치를 높게 지각하는 구성원 들은 소외감과 일탈로서의 조직 아노미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정도는 낮아져서 궁극적으로는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조직 아노미 인식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 정치지각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팀내 정치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각된 조직 아노미를 높이는 반면, 조직몰입의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내 정치지각은 분배 및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특히 분배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 분배공정과 조직몰 입, 대인간 공정성과 지각된 조직 아노미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차 공정성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팀 정치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 으며 따라서 팀 정치지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함의점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specially,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team politic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wo outcomes. We expect that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personal justice will reduce perceived team politics. When an organization distributes fair outcomes according to fair procedures and the authority figure who enacted the procedures treats employees with dignity and respect, employees will think their team could not be managed by organizational politics. Additionally, we expect that while perceived team politics will positively affect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it will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collected data from 671 employees from 3 firms. The sample consisted of 336 males and 313 femal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ibutive and interpersonal justice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team politics. Perceived team politics aggravated the level of per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redu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 expected. Perceived team politics played the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nd commitment and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anomie. Additionally, the effect of interpers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team politics.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경제조직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정치지각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중심으로

        김문준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by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he role of control of job stress among them. For this purpos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elf - interest pursuit, promotion compensation policy, political ac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adopted.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 1-1, the pursuit of self-interes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hypothesis 1-2, the promotion compensation policy and the hypothesis 1-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hypothesis 2, the adjustment effect of job stress(job demand,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partially adopted.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 2-1, job demand, had a moder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politics ‘pursuit of self - interest and political behavior, but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politics’ promotion compensation policy. The hypothesis 2-2, the autonomy of job stres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political behavior of organizational politics, but not on selfinterest seeking and promotion compensation policy. The hypothesis 2-3, the conflict relationship of job stress did not show a moderating role on organizational political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role of control of job stres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i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refore makes a theoretical and academic research contribution,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조직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직무스트레스의 조절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성, 회귀분석 등을 통해 설정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첫째, 가설 1인 조직정치지각(자기이익 추구, 승진보상 정책, 정치행위)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모두 채택이 되었다. 즉, 가설 1-1인 자기이익추구는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관계, 가설 1-2인 승진보상정책과 가설 1-3인 정치행위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가설 2인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 간에직무스트레스(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관계갈등)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즉, 가설 2-1인 직무스트레스인 직무요구는 조직정치지각인 자기이익추구와 정치행위에 조절역할을 나타낸 반면, 승진보상정책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설 2-2인 직무스트레스인 직무자율성은 조직정치지각의 정치행위에만 조절역할을 나타내었다. 즉, 자기이익추구와 승진보상정책에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설 2-3인 직무스트레스인 관계갈등은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조절역할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조직을 대상으로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관계와 이들 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학문적 연구에 추가하였다는 측면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부문이 본연구의 주요 의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요인 관계에서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이근환,장영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consequences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rganizational justice. In general, perceptions of politics (POPs) is related to negative work outcom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ed such as various antecedent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politics in company. Political behavior includes act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that are not a part of the job, and not officially sanctioned by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al politics can exist when rules for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are ambiguous or scarce, or when resources are limites or scarce (Byrne, 200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 that it is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nt to turnov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on effect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nt to turnov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of 1,128 personnels collect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The survey is based on a total of 20 companies including financial companies, manufacturing companies, university hospitals,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ies, public enterprise, retail company etc. This study appears to be a first to empirically test the supposition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n be used t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refore, provide insight into the perceptions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lationship, which has seldom been investigated. We hypothesized that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would tended to negatively (posi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turnov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utcom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of perceptions had negative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il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had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turnover. Furthermor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justi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utcomes,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moderate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actional justice moderated in intention to turnover,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moderated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se results are empirical poin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CEO and TMT (Top Management Team) to try to reduce or control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of members for organizational outcomes. The critical points of this study would be covered by qualitative research for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s) and organizational justice, this surrey has a weakness that variables’ definition in western company and measurement have been carried out in a micro metho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본 연구는 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조직정치직각을 해결하고 감소시키는 방안으로서 조직공정성을 실증 분석하여 기업조직의 조직정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목적이 있다. 구성원이 조직 내 정치를 지각하게 되면 직무태도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받고, 기업조직 환경에서 조직공정성 즉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요인인 조직몰입,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상기업은 제조업, 공공서비스, 금융, 유통서비스, 정보통신, 보건의료 등 6개 업종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기업 20개이며 정규직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 및 2011년 8월부터 2011년 9월까지 1,400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1,12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요인 관계를 보면 구성원이 조직정치를 지각하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이직 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요인과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보면 첫째,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에서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둘째, 이직의도에 대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에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정치 지각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항공사 객실 승무원이 지각한 조직정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

        이명숙,강상묵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2

        조직은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들에 의해 구성되며 조직 내 자원의 유한성 및 제한된 지위 는 구성원들의 경쟁, 갈등 등의 정치적 행동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이러한 조직정치현상이 발생한다면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직에 있어서 조직정치를 경험하게 되는 조직구성원들은 좌절이나 직무불만족 등의 소극적인 반응은 물론 결근, 이직 등의 적극적인 반응을 초래하여 조직유효성에 저해되는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부정적 감정을 지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의 조직관리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관리자들에게 새로운 경영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정치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의 관계에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대형항공사 2곳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5일부터 약 40일간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60부를 배포하여 245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8부를 제외한 총 23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19.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Cronbach's α 계수를 활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립된 가설의 채택과 기각 여부를 판단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첫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이 지각한 조직정치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은 부분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항공사의 인적자원관리와 조직관리 있어 조직정치와 이직의도의 부정적인 결과를 정치적 기술이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An organization is formed by groups of individuals with various interests, and the limited positions and resources of the organization force its members to engage in political behaviors, such as competitions, conflicts, and negotiations. If a political situation occurs between members or teams due to school ties or personal connections, it c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members. Thos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o experience organizational politics are likely to take passive reactions, such as experiencing a sense of frustration or job dissatisfaction, all of which could eventually bring about active reactions including absence and turn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political skill.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turnover intention, political skill of the airline flight attendants. In addition, it trie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that the political skill have contributed to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urnover intention. In total, 2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37 valid and complet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 variate statistics were utilized by using SPSS 19.0 for Windows. At the very first,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s through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Nex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variables. Lastly,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in order to investigat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for the verification of research hypotheses, path analysis was made.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study shows that 1)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has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nd 2) political skill has moderating role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for competitive advantage under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the airline, in addition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management system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he political skill among company members should be built.

      • KCI등재

        조직정치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 및 리더 정치기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성,박세영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2

        본 연구는 조직정치지각,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 리더의 정치기술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조직공정성이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와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공정성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그리고 리더의 정치기술이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2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공정성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고,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조직공정성은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공정성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의 정치기술은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 직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

        조윤형,이한근,강성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구성원들의 조직과 개인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과 조직 기반자긍심의 순차직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376명의 서비스 기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 로 3개월의 시차를 둔 2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지각은 개인의 비윤리적 행 동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지만,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에는 그렇지 않았으며, 또한 직무불안정에는 정(+)의 영향력을, 조직기반자긍심에는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직무불안정은 조직기반자긍심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 를 매개하지는 않았지만, 조직정치지각과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의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반자긍심은 조직정치지각 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 및 개인의 비윤리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직 무불안정과 조직기반자긍심이 순차직렬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정치지각이 비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의 과정을 보다 명확히 하였으며, 서비스기업에서 조직정치가 나타나지 않기 위한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실질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ethical behavior in the workplace, defined as behavior in and by organizations that violates generally accepted moral norms of behavior. In view of the profitable, reputational, and emotional costs of unethical behavior, organizations face the challenge of preventing, detecting, and responding to unethical behavior of employees. So that scholars have increasingl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why employees and their managers engage in costly unethical behaviors. This study’s propose is to shed light on the link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rvice firms’ unethical behavior by highlighting the intervening role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376 service firm employe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a two-stage mediation model is used in terms of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a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in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 job insecurity, which, in turn, reduces their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ultimately increases unethical behavior in both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study attempts d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negatively affects unethical behavior. Also,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진환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작용하여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저해하는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해 보았다. 대상기업은 보험업, 증권업, 은행 등의 금융 분야와 제조업 분야 11개의 정규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일부터 동년 동월 31일까지 총 500부를 배포하여 325부가 회수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30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론자와 외재론자 간에 조직정치지각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지각 뿐 아니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이나 조직 구성원에게 주는 영향 요인의 명확한 규명이 아직 미흡한 실정에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이라는 조직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으며, 동시에 직무스트레스를 매개 변수로 설정하여 그 역할과 영향력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정치지각을 직무와 관련된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조직정치의 역기능적인 면을 최소화하는 것 외에도 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 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조직정치를 적절히 통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자료수집은 응답자의 주관적 지각에 기초한 설문지를 이용한 횡단적 연구에 머무르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조직정치지각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의 효과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매개변인의 효과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