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상교통흐름을 고려한 방파제 배치에 관한 연구

        정재용(Jae-Yong Jung),박영수(Young-Soo Park),고재용(Jae-Yong K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3

        선박 조종자는 방파제를 통항할 경우 조선 부담감 느낀다. 방파제를 배치할 때 아직까지 선박 조종자의 조선 부담감을 고려한 적은 없다. 이 연구는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조선 부담감이 발생하는 상황을 재현하여 선박 조종자의 조선 부담감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모델인 환경스트레스모델을 그 재현된 상황에 적용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파제 배치 변화에 의한 조선 부담감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다. (2) 방파제 사이의 항로 폭이 동일하면 선박의 속력에 따라 조선 부담감의 크기가 다르다. (3) 방파제 사이의 항로 폭이 넓어지면 조선 부담감은 감소한다. A mariner feel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when the vessel onboard passes through breakwater. Until now, the shiphandling difficulty of the mariner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in the layout of a pair of breakwater. This paper reproduced such a situation that shiphandling is difficult enough b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it is assessed by using ES Model which is a quantitative model for evaluating the difficulty of shiphandling arising from maneuvering a ship in the restricted or congested wa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 in the layout of a pair of breakwaters has little influence on the shiphandling difficulty. (2) If the width between breakwaters is the same, the speed of a ship affect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3) The increase of the width decrease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 KCI등재

        조선자의 조선부담감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항행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금종수,장운재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9 No.1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the coastal waterways, the navigational safety level must be evaluated from the mariner's perception of safety. So far as human being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types of fuzziness in the evaluation of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order to reflect these fuzziness on this evalu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fuzzy integral suggested by Choquet to represent the fuzzines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ethod for this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ner's operational stress using the fuzzy measure and Choquet integral. In this paper, Korean coastal area is divided into 8 sectors and evaluated the priority for the needs of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The results are found in the order named Mokpo, Yosu, Pohang, Inchon, Busan, Geoje, Gunsan, Donghae coastal area. 최근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대응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연안해역에 항행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항행안전성은 조선자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항행 안전성 평가와 같은 문제에 있어 인간의 사고에는 많은 형태의 애매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평가에서 애매함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척도와 쇼케적분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지척도와 쇼케적분을 이용하여 조선부담감의 관점에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8개로 나누고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 설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목포, 여수, 포항, 인천, 부산, 거제, 군산, 동해근해 해역순으로 안전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 KCI등재

        도선사의 관점에서 본 울산항 도선구의 통항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최계열(Kei-Yel Choi),이동섭(Dong-sup Lee),박영수(Young-soo Park)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5 No.6

        울산항 도선구는 부산항과 더불어 우리나라 도선구 중 도선사가 승선하는 선박이 가장 많은 지역이며, 항로 배치가 단순한 편이지만 항로 주위에 부두가 인접하여 해상교통흐름의 혼잡도가 높은 항만이다. 울산항을 이용하는 선박은 아침저녁 시각대에 집중하여 밀집되어 있고, 지형적으로 길이가 긴 항로와 항로 부근에 인접한 부두, 정박지 등으로 인하여 여러 곳에서의 선박간 교차로 위험이 상존하는 해역이다. 이에 이 해역을 이용하고 있는 도선사의 관점으로 울산항 도선구 현황 및 통항선박의 위험요인에 대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또한 선박운항자의 조선 부담감을 정량화한 환경스트레스 모델을 이용하여 어느 해역에 조선 부담감이 존재하는지를 제시하여 도선사들이 어느 정도의 위험을 안고 도선을 수행하고 있는지 조사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대상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이 지정항법을 따를 수 없는 원인 분석이 가능하게 되어 향후 대상해역 통항 안전 개선방안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Ulsan pilotage is one of the most busy pilots boarding among the korean pilotages. The route layout of ulsan port is simple but the complex degree of marine traffic flow is high because there are many navigating ships from/to piers and anchorages nearby route. So, this paper is surveyed and analysised the navigating dangerous factors as to navigation danger elements in/near the rout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piers at the ulsan waterways. And this research assures the same place where shiphandling bunder is occurred to compare the danger sense of pilot with environment stress to represented the mariner’s shiphandling stress quantitatively at the ulsan route.

      • KCI등재

        부산항내 제트포일 여객선의 항해 속력에 대한 연구

        박영수,전태영,박성용,김득봉,Park, Young-Soo,Jeon, Tae-Young,Park, Sung-Yong,Kim, Deug-B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9 No.4

        부산항내는 시간당 10척 이상의 선박이 통항하고 있고, 일본 왕복 제트포일 여객선이 30 kts~40 kts의 고속으로 항행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고밀도 교통해역으로 간주된다. 더불어 이 항로 내에서는 제트포일 선박의 약 18 %가 고속으로 추월을 하거나 항로 밖으로 이탈하여 운항하고 있어 타 선박과 빈번히 조우하거나 항로 밖 항행 등과 같은 현행 법령을 미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10일간의 해상교통조사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항의 교통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부산항내의 제트포일 여객선의 운항자 허용 가능 속력이 약32노트 이하로 계산되었으며, 제트포일 선박이 항로 내 및 항로 밖으로 통항하는 경우의 조선부담감 발생비율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간당 통항척수가 감소함으로써 조선부담감이 다수 감소하기 때문에 피크타임 시간대 운항을 피하여 통항안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There are more than 10 ships and jetfoil passenger ships with speeds of 30~40 kts navigating between Japan and Busan ports per hour. Busan port has the highest density of traffic among the Korean ports and waterways. Jetfoil ships ar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amongst other vessels and about 18 % of passing jetfoil vessels violated port regul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raffic survey carried out for 10 days, jetfoil vessels often overtook other vessels in route and deviated with high speed. This paper verified a proper speed and how to navigate in or out route of jetfoil ships by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 acceptable navigation speed for jetfoil vessel's mariner was calculated at less than about 32kts in Busan Port. It is a little different that shiphandling difficulty of jetfoil was almost the same whether passing in and out route in Busan Port.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passing time of jetfoil ships should avoid the peak time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in Busan Port.

      • KCI등재후보

        퍼지로직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통항 위험성 평가

        금종수,장운재,Keum Jong-Soo,Jang Woon-Jae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2 No.1

        해상에서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선박의 통항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의 설치에는 막대한 비용과 예산이 든다. 따라서 연안해역에 통항 위험성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하고 통항 위험성평가는 조선자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인간의 사고에는 많은 형태의 애매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애매함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로직과 쇼케적분을 이용하여 연안해역의 선박 통항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지로직과 쇼케적분을 이용하여 조선부담감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8개로 나누고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 설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Th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are considered a,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promote marine safety but they need relatively huge amount of budgets to build. Thus prior to establishing thes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it should be evaluated the navigational risk level in the coastal waterway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So far as human being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types of fuzziness in the evaluation of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order to reflect these fuzziness on this evalu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fuzzy integral suggested by Choquet to represent the fuzzines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ethod for this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ner's operational stress using the fuzzy logic and Choquet integral. In this paper, Korean coastal area is divided into 8 sectors and evaluated the priority for the needs of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 KCI등재

        퍼지측도 및 쇼케적분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통항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금종수(Jong-Soo Keum),양원재(Won-Jae 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5

        해상에서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통항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이 적극 검토되고 있으나 막대한 비용과 예산이 든다. 따라서 연안해역에 통항 안전성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하고 통항 안전성평가는 조선자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인간의 사고에는 많은 형태의 애매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애매함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측도와 쇼케적분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지측도와 쇼케적분을 이용하여 조선부담감의 관점에서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8개로 나누고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 설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Th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promote marine safety but they need relatively huge amount of budgets to build. Thus prior to establishing thes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it should be evaluated the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the coastal waterway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So far as human being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types of fuzziness in the evaluation of navigational sagely level. In order to reflect these fuzziness on this evalu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fuzzy integral suggested by Choquet to represent the fuzzines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ethod for this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ner’s operational stress using the fuzzy measure and Choquet integral. In this paper, Korean coastal area is divided into 8 sectors and evaluated the priority for the needs of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 퍼지측도 및 쇼케적분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통항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금종수(Jong-Soo Keum),양원재(Won-Jae 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해상에서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항행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이 적극 검토되고 있으나 막대한 비용과 예산이 든다. 따라서 연안해역에 통항 안전성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하고 통항 안전성평가는 조선자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인간의 사고에는 많은 형태의 애매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애매함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측도와 쇼케적분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지측도와 쇼케적분을 이용하여 조선부담감의 관점에서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8개로 나누고 연안 VTS와 항행보조시설 설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Th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promote marine safety but they need relatively huge amount of budgets to build. Thus prior to establishing thes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it should be evaluated the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the coastal waterway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So far as human being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types of fuzziness in the evaluation of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order to reflect these fuzziness on this evalu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fuzzy integral suggested by Choquet to represent the fuzzines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ethod for this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ner's operational stress using the fuzzy measure and Choquet integral. In this paper, Korean coastal area is divided into 8 sectors and evaluated the priority for the needs of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