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삼남의 虎豹皮 除役과 防納의 위상

        김동진(Kim, Dong Jin) 역사문화학회 201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6 No.2

        본고는 실록과 문집자료, 『묵재일기』에 나타난 제역과 방납의 시행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16세기 삼남에서 시행된 제역과 방납의 역사적 위상을 확인하고, 그 실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의 공납제 운영에서 제역과 방납은 제역 민결(제역호) → (양호) → 담당 색리 및 수령 → 사주인(방납인) → 경각사와 같은 흐름에 놓여 있어 제역과 방납은 일련의 공물 수취 과정에서 각각 위상을 달리하였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에서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였고, 제역과 방납은 대납제에 기반을 두어 민호와 군현과 경각사 사이에서 톱니바퀴처럼 서로 연결되었다. 연대기와 각종 문집의 기록에 나타난 16세기 중엽 제역과 방납의 실상은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호표피의 제역에 대한 기록에 잘 부합 한다. 표피제역은 전결을 기준으로 시행되었고, 국역의 면제를 조건으로 값을 내는 행위였다. 除役戶는 養戶에게 값을 납부하고, 양호는 여러 제역호에게 값을 거두어 고가의 호피와 표피 등을 사들여 수령에게 혹은 수령을 대신해 중앙의 수납기관에 상납하였다. 그리고 방납의 시행과정에서 제역과 양호는 짝을 이루어 시행되었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 지역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고 있었다. 국법으로 엄격히 금지된 방납과 달리 제역은 수령권의 사적 자치가 이루어지던 영역이었으며, 17세기 대동법의 시행으로 수령의 자치권이 크게 제한되고 재정적 측면의 중앙집권화가 더욱 심화하였다.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phase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performed in Samnam Region in 16th century by analyzing execution aspects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appearing in true records, materials of collections of works, Mukjae-ilgi and to explore the real state of affairs. Following are the results summarized. In operation of tributary systemin Joseo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were in a flow like Jeyeok Mingyeol (Jeyeokho) (Yangho) Saekri and Suryeong in charge Sajuin (Bangnapin) Gyeonggaksa. In 16th century, in three provinces of the lower half of the peninsula, most gun hyeon executed exemption from service, and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were connected between minho, gun hyeon and gyeonggaksa based on payment by proxy system. Appearing in records from chronicles and various collections of works, the realty i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copes well with the records of tiger-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 shown in Mukjae-ilgi. 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with the criterion of an arbitrary decision was executed, and it was executed as a behavior of paying the value on the condition of exemption from national service. Jeyeokho paid the value to Yangho, and Yangho collected the value from various Jeyeokho and purchased high priced tiger and leopard skins and delivered them to a local governor or to a receiver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proxy tax payment, jeyeok and yangho were conducted as a pair. Reaching 16th century, most gun hyeon in Samnam region performed exemption from service. Different from proxy tax payment which was firmly prohibited under the national law, exemption from service that was self-governed in a boundary of Suryeong jurisdiction, and along with 17th century Daedongbeop enforcement, Suryeong self-government was greatly limited and centralization in power in terms of financial aspects was deepened the more.

      • KCI등재

        조선시대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提燈의 변천

        설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7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9 No.-

        제등(提燈)은 휴대용 등촉기구를 총칭한다. 발인행렬을 보면 횃불과 제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횃불은 제등 이전부터 자주 소용되었으며 제등이 일반화되기 이전까 지 횃불과 혼용되었다. 횃불과 제등의 장점은 휴대성이다. 이동하면서 불을 밝힐 수 있다는 점은 왕실의 발인행렬에서 필수적이었다. 발인은 어두운 새벽에 일어나기 때문에, 행렬의 모습이 화려한 횃불과 제등(提燈)의 행렬이라 하여도 무방할 것이 다. 제등은 신련과 대여 주변을 집중적으로 밝혔다. 제등은 밤길을 밝히며 다닐 수 있다는 실용성과 왕실의 장엄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하나의 기구였던 것이다. 국장 도감의궤에 수록된 <발인반차도>는 왕실에서 왕릉까지 상여의 이동행렬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역할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본 연구는 첫째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횃불은 거화(炬火)와 망촉(望屬)이 확인된다. 거화는 홰에 불을 붙인 것이며, 망촉은 긴 초 에 불을 붙인 것이다. 제등으로는 등롱과 초롱이 사용되었다. 롱(籠)에 초를 사용하 는 초롱과 등을 사용하는 등롱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행렬 시 소용된 횃불과 제등의 변천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시대에 따라 거화와 망촉의 개수는 점 차 줄어들었으며, 초롱과 등롱은 점차 증가하였다. 이는 시대상황의 변모와 제작기 술의 발전이 밀접한 요인이 되었다.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종류를 살펴 보며 그 흐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발인행렬에 사용되는 기물은 다양하다. 그중 횃불과 제등은 대여와 신련에 집중 되었다. 특정 위치에 존재하였다는 것은 불을 밝힌다는 실용적 기능을 갖추는 동시 에 의물의 하나로서 여겨졌던 것을 의미한다. 발인행렬은 단순히 장례행렬 뿐 아니 라, 백성들에게 왕실의 위엄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행위였기 때문이다. 실록과 국장도감의궤 등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발인행렬에 사용되었던 횃불 과 제등의 종류와 변천을 파악해볼 수 있었다. Funeral lanterns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 light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uneral lantern can light its neighborhood while it is moving can be used most of in royal parades. “Barinbanchado”(Drawing of Starting of a funeral procession) listed in Kukjangdogameuigwe(Illustrated Book of State Funeral Protocols) shows procession of funeral biers from the royal court to the royal tomb. Because funeral procession started in early morning which was still dark, the procession looked like a splendid and festive lantern parade. In the ritual, lanterns were ritual things to show magnificence of royal family and sacredness of fire as well as to light neighborhoods.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in two ways. First, types and meaning of funeral lanterns were reviewed. Second, the number of lanterns in the procession and the places that lanterns were used were identified. Funeral lanterns used in royal family were torches, hanging lanterns and candles. By the middle of JoseonDynasty, torches were mostly used. When King proceeded outside the palace, torches were required. If they were not prepared, retainers might be reprimanded. In late Joseon, hanging lanterns and candles were used. Up to then, hanging lanterns were mainly used in Buddhism and they were produced for Yeondeunghoe(the Lantern Procession) or Palgwanhoe. A funeral procession was to show magnitude of royal family in addition to its original function as moving coffin to the royal tomb. This characteristic made funeral lanterns more necessary. For the procession from 11 p.m. to 1 a.m. enormous number of funeral lanterns was needed. The procession of hundreds lanterns attracted people’s attention easily even from the distance. Sinbaekyoye and Shinyew here the body and spirit of a king were placed were ornamented with 12 three-colored candles and Daeyeo was highlighted with 40 Hwacheolchorong. To add Geohwaand Mangchok around it, you can easily imagine the procession surrounded by 1,000 lanterns. To emphasize the solemn procession, ‘light’was used. In particular, Emperor Kojong executed funeral procession of Queen Myungseong right after the proclamation of Korean Empire, which was postponed. 2,700 funeral lanterns were used to decorate Daeyeo. It is the look of Daehan Empire that Emperor Kojong tried to show to the public and the Japanese military who dreamed of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state rather than being coe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In this paper, funeral lanterns were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Funeral lanterns can be understood as devices for restoration.

      • KCI등재

        GATT협정상 제III조 내국민대우의무와 제XI조 수량제한금지의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길원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3 국제경제법연구 Vol.21 No.2

        The measures subject to Article III:4 and XI:1 under the GATT are domestic regulation and a border measure, respectively. Notwithstanding both measures being a non-fiscal measure, if domestic regulation is enforced in the case of the imported product at the time of import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remains unclear.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III:4 and XI:1,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s rulings with regard to EC-Asbestos and India-Auto. It discover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subject between Article III:4 and XI:1. First, in light of the scope of application, the panel in India-Auto confirmed that the GATT distinguishes between measures affecting the ‘importation' of products, which are regulated in Article XI:1, and those affecting ‘imported products', which are dealt with in Article III. If Article XI:1 were interpreted broadly to cover also internal requirements such as domestic regulation, Article III would be partly superfluous. Second, in light of the scope of the subject, the measure concerned can be divided into cases where the measure applies to both imported and domestic products, and where the measure applies only to imported products. In terms of the former, the panel in EC-Asbestos confirmed that, according to Ad Article III, the measure applicable to an imported product and to the like domestic product at the time of importation is subject to the provision of Article III. In terms of the latter, the measure is subject to not only the provision of Article III but also to the provision of Article XI as it does not fall under Ad Article III. GATT협정 제III조 4항과 제XI조의 규제 대상이 되는 조치가 각각 국내조치와 국경조치로 그 조치의 성격이 다르다 할 수 있지만 모두 비재정적 조치로써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수입 시점에 국경조치와 국내조치를 동시에 부과하는 경우 양자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EC-Asbestos 사건과 India-Auto 사건 등 WTO 분쟁해결기구 입장을 중심으로 양 규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고, 그 적용 범위와 대상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양 규정의 적용 범위와 관련하여, Canada–Administra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Review Act 사건과 India-Auto 사건에서의 패널은 제XI조 1항의 규제 대상이 되는 조치가 상품의 ‘수입’에 영향을 주는 조치이며, 제III조 4항의 규제 대상이 되는 조치는 ‘수입 상품’에 영향을 주는 조치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들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제XI조 1항의 규제 대상을 제III조 4항의 규제 대상인 ‘국내조치’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하는 경우, 제III조의 역할과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다. 양 규정의 적용 대상과 관련하여, 문제의 조치가 수입 상품과 동종의 국내상품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와 수입 상품에 한하여 적용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문제의 조치가 수입 상품과 동종의 국내상품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와 관련하여 EC-Asbestos 사건에서의 패널은 제III조 주해에 따라 관련 조치의 시행 시점과 관계없이 제XI조 1항이 아닌 제III조 4항이 적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반면, 수입 상품에 한하여 적용되는 경우 제III조 주해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제III조의 배타적 적용을 인정할 수 없고 이에 제III조 4항뿐만 아니라 제XI조의 적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가 되고 있는 조치가 수입 상품과 동종의 국내상품에 모두 적용되는 것인지 혹는 수입 상품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인지에 따라 제III조의 배타적 적용 또는 제XI조의 적용 가능성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복합전치사 ‘除(了)’의 문법화 연구

        최재영(Choi, Jae-young),권선아(Kwon, Seon-a) 한국중어중문학회 2018 中語中文學 Vol.- No.72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Chule(除了)” in Mandarin and investigate the grammaticalization, mechanism, and path of prepositions “Chu(除)” and “Chule(除了)” through the total inspection of “Chu(除)” and “Chule(除了)” in 11 types of documents from Han(漢) Dynasty to Qing(清) Dynast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u(除)/Chule(除了)”, which used to serve as a verb in the early days, formed a structure of “S+V除+O1+V2+O2”. It is an important syntactic frame for the grammaticalization of “Chu(除)/Chule(除了)” into a preposition. As for the time of their formation, “Chu(除)” and “Chu-X(除X)” took place during Han(漢) and Wei-Jin and South-North(魏晋南北朝) Dynasties, respectively. “Chu-X(除X)” appeared as “Chuqu(除去)” and “Chuque(除却)” until Song(宋) Dynasty and “Chule(除了)” after Song(宋) Dynasty. Second, there were semantic changes of the subject and object accompanied by “Chu(除)/Chule(除了)”. Since Tang(唐) Dynasty, both actors and non-actors appeared as subjects. Objects expanded from limited components to convey negative semantic colors such as “anger, disease, and worry” to general components with no restriction of semantic colors such as “people, events, and jobs”. Third, these subject and object changes reanalyzed the “S+[V除(了)+O1]+V2+O2” structure and grammaticalized it into the structure of “S+[Pre除(了)+O1(+外)]+V+O2”. After being grammaticalized into a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got to have a meaning of “except for”. It still had a semantic feature of [+disappearance] like when it was a verb, but it meant exclusion(exclude) in an abstract scope rather than extinction(elimination) in a real space. After its grammaticalization into the structure of “S+[Pre除(了)+O1(+外)]+V+O2”, its semantic focus lied in “V+O2”, a predicate of a sentence. Fourth, entering Ming(明) Dynasty, the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grew further grammaticaliz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became mo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adverb in the following clause. Finally, the preposition “Chu(除)” was accompanied by a localizer “Wai(外)” in its early days, creating an independent boundary for “Pre除+O+外” and thus distinguishing the verb “V除+O”. “Pre除+X”, on the contrary, recorded a considerably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in sentences without the localizer “Wai(外)” from the beginning, which is seemingly because the “X” component functions as a boundary against “Wai(外)”.

      • KCI등재

        자치단체 팀 제 운영에 관한 연구 -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서휘석,고경훈 한국자치행정학회 200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No.1

        본 논문은 자치단체의 팀 제 운영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렬별, 직책별, 부서별 팀 제 실시에 대한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인식 및 전제조건, 운영 시 고려기준 등을 파악하여, 팀 제 운영, 분장사무 적정성 및 업무량의 형평성, 의사소통 및 협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팀 제 실시 이전과 이후의 만족도 조사 비교를 통해 팀 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결과 구성원들은 팀 운영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인식 정도가 낮았으며, 그 이유로 구성원 간 협력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팀 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업무의 형평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자치단체 팀 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 간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과 기능재조정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d the study mainly focused on the members' recognition of team based working system in a local autonomy. It also discussed about the propriety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e equity of job and task, and the current level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members by analyzing bureaus' cognizance, presupposition, and rules and policies in the operation the team based working system. This paper also present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iority of policies to successfully settle down the team working system in the local autonomy by comparing the bureaus' satisfaction level of before the team system and after it. According to this survey, bureaus of this local autonomy took a negative position related to operating the team based working system because of th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problems among the members. Moreover,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equilibrium of job and task among members i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operate team based working system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in this organization.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eam based working system, it is required to an effort to improve the relations among members as well as to readjust functions between the teams and their members.

      • KCI등재

        古朝鮮과 齊의 해상교류와 遼東

        박대재(Dae-Jae, Park)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管子』의 기록에 따르면 고조선(發朝鮮)과 중국의 관계는 기원전 7세기 무렵 춘추시대 齊와의 교류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관자』에 전하는 고조선 기록은 춘추시대의 사정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 제와 발조선의 교류는 산동반도 북부 東萊와 요동반도 남단 老鐵山을 연결하는 해상의 廟島列島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춘추시대 산동반도 東萊지역은 齊國과 적대 관계에 있던 萊國의 영역이었다. 동래지역이 제의 영역으로 편입된 것은 춘추시대 말기인 齊 景公 때(기원전 547~490년)이다. 따라서 기원전 7세기 춘추시대에 齊가 동래지역을 경유해 해상으로 발조선과 교류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齊와 교류하였던 發朝鮮은 문피의 산지로 유명하였는데, 제와의 교통로를 고려할 때 遼東의 千山 산간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 설에 따르면 『爾雅』의 斥山은 문피 산지가 아니라 문피가 중국에 수입되던 海口로 登州 文登縣 斥山(赤山)에 비정된다. 하지만 고대의 해로상 춘추전국시대 문등현 지역이 조선과의 교류에서 해구가 될 수 없다. 문등현 지역이 해구로 기능한 것은 황해중부횡단항로가 본격 이용되기 시작한 7세기 후반 이후이다. 『이아』의 斥山은 문피의 산지로 발조선 쪽의 지명이며, 그 위치는 산동지역과 해로로 연결되는 요동반도 지역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관자』의 주요 내용은 齊의 稷下學宮이 흥성했던 宣王ㆍ?王 시기(기원전 319~284)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기원전 282~280년 燕이 朝鮮의 ‘서방’ 즉 요동지역의 發朝鮮(貊國)을 침공하여 齊와의 해상교류가 단절되기 직전에 해당한다. 따라서 산동반도 齊와 요동반도 發朝鮮이 해상 교류하였던 시기는 기원전 5세기 이후~기원전 3세기 초일 가능성이 높으며, 당시 발조선의 특산품인 文皮가 齊에 알려지면서 『管子』에 채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Joseon(古朝鮮) and Chinese dynasties began from an exchange with Qi(齊) at the Shandong area in the seventh century B.C., a time which wa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春秋時代).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l-Joseon(發朝鮮) and Qi in the reign of Duke Huan of Qi(685~643 B.C), indicated from a record of Guanzi(管子). Yet, it is implausible that the record about Pal-Joseon in Guanzi was an account of the circumstance exactl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xchanges between Qi and Pal-Joseon was conducted through Miaodao Archipelago(廟島列島), a series of islands connecting Donglai(東萊) in the northern Shandong Peninsular to Mountain Laotie(老鐵山) in the southern Liaodong Peninsular. Still, Donglai area was a territory of Lai(萊), which had a hostile relation with Qi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time when the area became Qi’s territory was only at the end of the period, the Duke Jing(景公) of Qi’s reign(547~490 B.C.). Thu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Qi conducted a maritime exchange with Pal-Joseon through this area in the seventh century B.C.. Pal-Joseon, a partner of Qi’s maritime exchange, was famous as spotted leather(文皮)-producing area. Considering routes to Qi, it would be the most probable that the country was located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Liaodong. Until now, our academic circle has suggested that Chishan(Mountain Chi, 斥山) from the record of Erya referred to the present Chishan(斥山 or 赤山) in Wendeng county(文登縣) of Dengzhou(Deng province, 登州). This assumption was based on an inference that Chishan was a term for the mouth of a harbor where spotted leather was imported to Chinese mainland, rather than its producing area in Pal-Joseon. Yet, taking sea lanes in the ancient time into consideration, Wendeng county of the southern part of Dengzhou could not be a mouth of a harbor at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For the area introduced as a mouth of a harbor, it had to be after the late seventh century when an “Oblique Route to the Middle of the Yellow(黃海中部橫斷航路)” was used in full-scale. It is more possible that Chishan was a producing area or marketplace of spotted leather, and its location was in the Liaodong area, a place where was connected to Shandong through a sea route.

      • KCI등재

        염상섭 초기 문학의 재인식-「제야(除夜)」 연구-

        김영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6 No.-

        염상섭의 여성 인식 혹은 여성주의에 대한 태도가 산문과 소설에서 서로 차이가 난다는 지적은 옳지 않다. 그가 산문의 경우와 달리 소설에서는 일관되게 가부장적이고 여성에 대한 혐오주의적 태도를 보였다는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제야」의 직접적인 창작의 동인은 1921년 『매일신보』에 번역 연재된 각본 「인형의 가」에 있다. 「인형의 가」의 줄거리를 염두에 두고 나혜석이 그림을 그리고 시를 썼다면, 이를 바탕으로 염상섭은 한 편의 소설을 구상했던 것이다. 「제야」의 이야기 전개 구조는 「인형의 가」의 이야기 전개 구조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인형의 가」와 「제야」는 모두 여주인공이 남편에게 용서받는 ‘기적’을 기대하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정작 그 용서가 선언되었을 때, 여주인공들은 남편의 용서를 수용하는 일을 거부하고 각자 자신의 길을 선택한다. 염상섭의 초기 산문에 나타난 최대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여성 문제였고, 「제야」는 이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접근한 염상섭 최초의 소설이다. 초기 산문의 최대 관심사를 작품화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제야」를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제야」에 반영된 염상섭의 자연주의적 문학관 역시 지금까지 주목받던 것 이상의 깊이가 있다. 작품의 결말에서 정인이 자신의 죽음을 통해 최가의 피가 전해지는 일을 멈출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작가 염상섭이 여주인공 정인의 고통스러운 삶의 요인을 근본적으로는 유전과 환경의 문제로 파악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개벽』 연재본에는 없는 마지막 한 문장이 단행본에 추가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해 보아야 한다. 「제야」의 결말은 역설적으로 염상섭의 인간에 대한 애정과 삶의 다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염상섭은 야차 같은 삶을 살아온 인간에게도 보살의 마음이 숨겨져 있음을 작품의 결말에서 보여 주고 싶어 했다. 「제야」는 정인이 죽음을 앞두고 남편에게 써 보내는 서간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염상섭이 「제야」에서 선택한 서간체 형식은, 작가와 등장인물 사이에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세상 사람들의 비난에 대해 여주인공 정인이 자신을 스스로 변호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서술 형식이었다. 「암야」에서 촉발된 혼인 제도에 대한 심리적 갈등과, 「표본실의 청개고리」에서 시도된 인간의 행태에 대한 자연주의적 이해가 있었기에 「제야」라는 작품이 탄생할 수 있었다. 염상섭의 문학 세계에서 「제야」가 차지하는 위상은 단순히 「만세전」으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소설이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보다는 초기 산문의 최대 관심사를 작품화하고 초기 삼부작에 투영된 인생관을 집약해 표현한 작품으로서의 독자적 가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임진왜란 의병장 諸沫 이야기의 기록과 전승

        조정윤(Cho Jeong-yun)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3 No.-

        본 논문은 조선 중기 의병장 諸沫(1552-1593)에 관한 이야기가 記事로부터 筆記와 野談, 傳 등의 산문 작품으로 전승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제말은 固城 출신의 常民이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熊川·鼎巖 등지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니 戰功이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를 제수받았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전사하고 남겨진 기록도 없어서 그의 공업은 그렇게 묻히는 듯하였다. 그러다가 남구만의 기록에 의해 그의 사적이 처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정석유가 제말 혼령과 遭遇한 이야기가 생산되면서 그의 이야기는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후로 제말 사적과 혼령의 출몰에 대한 기록은 빠르게 확산되어 筆記와 野談, 傳 등으로 재생산되었다. 정조는 제말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시호를 하사하였으며, 사적비를 세우고 치제문을 내렸다. 후손인 諸安國은 전하는 기록들을 바탕으로 家狀을 지어 신도비명을 받고, 제말 관련기록을 모아 『삼충록으로 편찬하였다. 이렇듯 의병장 제말은 임진왜란의 戰功에도 불구하고 남겨진 기록이 없어 잊힐 뻔하다가 남구만의 우연한 기록과 정석유의 기이한 이야기 전승에 힘입어 국왕의 褒彰을 받고 신도비명까지 작성되는 주인공이 되었다. 제말 기록 전승의 특징과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말 기록은 그의 사후 70년까지 전하는 기록이 없다가 우연히 전해지는 이야기와 혼령 출몰담이 기록되면서 필기와 야담, 傳 등의 작품으로 전승되고, 이를 바탕으로 碑誌文까지 작성되는 다소 독특한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정석유의 기록은 기이성을 바탕으로 빠른 파급력을 낳아 여러 유형의 산문 작품을 산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제말 이야기는 신돈복의 奇異 인식 및 창작 능력과 결합하여 서사가 확대되고 편폭이 길어지는 등 서사성이 강화되면서 야담 양식으로 전승되었다. 넷째, 제말 이야기의 기록과 전승에는 기본적으로 ‘忠烈’의 유교적 가치관을 선양하고 묵수하려는 사대부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또 제말 혼령 이야기의 빠른 확산과 재생산은 후세에 길이 이름을 전하고자 하는 인간의 근원적 열망을 바탕으로, 업적이 있는 데도 그것이 실현되지 못했을 경우의 억울함이 귀신과 같은 비현실적 현상을 낳을 수 있다는 기록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보여준다.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and aspects of the record on Jemal, which was passed down from Gi-sa to the prose works such as biography, handwriting, and Yadam, and aims to examine its features and meanings. Jemal, a common people, was born in Goseong. After the outbreak of the Imjin-year war, he raised righteous armies and won a battle in the battles of Ungcheon and Jeongam. His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was known to Royal court and he was ordained a Seongjoo ministry. But he was shortly killed in the war and his achievements seemed to be so buried because there were no records left. For the first time, Jemal’s achievements became known to the world by the record of Nam Gu-Man. Later, when Gi-sa that Jeong Seok-Yu met Jemal’s spirit was written, his story became widespread. Then records for his achievements and appearance of spirit was rapidly spread. It was reproduced with handwriting, Yadam, and biography. King, Jeongjo, who was impressed by the transmitted story, granted him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the Minister of War, and the posthumous epithet, and set up his memorial stone, and issued a praising funeral oration. Hence, his descendant, Je An-guk wrote record of conduct based on the inherited stories. After that, he obtained Shindobimyung from Byun Jong-Un and collected the related records and compiled it as 『Samchungrok』. Like this, Jemal, General of the righteous armies, was almost forgotten in spite of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because there were no records left, but thanks to the accidental record of Nam Gu-Man and Jeong Seok-Yu’s bizarre story, Shindobimyung was written after receiving the king’s help.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story transmission about Jemal. First, there were no records left about his life until 70 years after his death. As an inherited story and the story of the spirit appearing by chance were recorded, works such as writtings, Yadam, and biography were transmitted and then Bijimoon based on these was written. Second, Jemal’s spirit appeared to Jeong Seok-Yu. He appealed his resentment and requested Chimyo, Combined with it, ancient event about Jemal spread quickly. This means that Jeong Seok-Yu’s record produced a rapid ripple effect based on mystery and produced several styles of prose works. Third, the story about Jemal wa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Yadam as narrativity was strengthened, such as the expansion of narrative and lengthening of the content of the work, combined with the awareness and creative ability of Shin Don-bok. Fourth, at the bottom of which the story about Jemal was first recorded and spread, there was basically a consciousness of the gentry trying to admit and embrace the Confucian values of unswerving loyalty. In addition, the rapid ripple effect of the story about Jemal’s spirit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about the fundamental desires of humans to convey their names to future generations and unfortunate unfulfilment of them.

      • KCI등재

        영국의 Disclosure 제도 및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목성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2

        2019년 7월 9일부터 시행되는 특허법에서는 고의적인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 침해에 대해 3배까지 증액배상을 인정하고, 증액배상액 결정에 있어서 고의 또는 손해 발생의 우려를 인식한 정도, 침해행위 로 인하여 침해한 자가 얻은 경제적 이익, 침해행위를 한 자의 재산 상태 등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3배까지의 증액배상제 도가 제대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법원에 ‘고의적인지’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는 사실 및 증거, 각각의 고려요소에 해당하는 사실 및 증거가 주장․제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특허법에 도입되 어 있는 자료제출명령제도, in camera 제도, 비밀유지명령제도 등을 활용할 수 있겠지만 한계가 있다. 현행 증거수집 및 조사절차의 한계로 인해, 미국의 Discovery 제도 를 도입하자는 논의도 있지만 과다한 소송비용과 소송지연 등의 부 작용으로 인해 전면적으로 국내에 도입하는 것에는 회의적이다. 이 러한 측면에서, 영국의 Disclosure 제도에 대한 검토는 의미가 크다. 영국은 영미법계 증거개시 제도가 발생된 곳이지만 1999년 Woolf 개 혁과 최근의 Disclosure 시범제도를 거치면서 미국의 Discovery 제도 보다는 제한적인 ‘Disclosure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영미법계 증거개시 제도의 국내 도입에 따른 시사점 을 얻고자, 영국의 Disclosure 제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동안 시행되어 온 일반적인 영국의 Disclosure 제도, 최근의 Disclosure 시범 제도, 특허소송에서의 Disclosure, 신속심사 및 유연심사제도하에서의 Disclosure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 결과, 적정 · 공평과 동시에 신속 · 경제를 이상으로 삼 고 있는 국내 민사소송절차, 특히 특허침해소송절차에 영미법계의 증거개시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으로는, 적정하고 공평한 소송을 위해, 당사자 등의 증거보전의무, 당 사자의 자료목록 개시의무, 당사자의 자료제출의무, 위반 시의 조치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신속하고 경제적인 소 송을 위해 자료개시 중심의 증거개시, 특권 등에 기초한 자료개시 범 위의 제한, 자료개시절차의 생략 등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이다. 앞으로 이러한 시사점과 다른 국가의 제도에 대한 추가적 검토를 바탕으로 국내 특허침해소송 현실에 부합하는 한국형 증거개시 내지 자료개시 제도를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revised Korean Patent Law, which took effect from September 9, 2019, courts in patent infringement cases may increase the damages up to three times the amount found or assessed in courts’ consideration of an infringer’s profits and the financial status of an infringer etc.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this enhanced damages system, claimants should be able to proffer evidence that substantiates an infringer’s intention and other considerations. However, the evidence collection system in patent law such as a court order for the production of materials has its limits. The limits of the evidence collection system in the Korean civil procedure results in the discussion about the partial introduction of the US discovery system into the Korean civil procedure. Still, many scholars worry about its problems: excessive litigation cost and delay. In relation to this, a study on the disclosure system in the UK is very meaningful in that the UK, the birthplace of the common law discovery system, operates a limited discovery system(the disclosre system) after experiencing the Woolf reform and through the recent disclosure pilot scheme. This thesis h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overall UK disclosure system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rom it: the disclosure system in general, the disclosure pilot scheme, disclosure in patent litigation, and disclosure under the shorter and flexible trials schem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thesis finds that the duty of parties or legal representatives to take reasonable steps to preserve documents in their control, the duty of parties to disclose the list of documents, the duty of parties to produce a copy of documents, and sanctions need to be reinforced in Korean patent infringement cases for just and fair litigation.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disclosure of “documents”, the limitation of the scope in disclosing documents based on privileges and trade secrets, and the omission of disclosu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speedy and low cost litigation. On the basis of these implications and the further study on the advantages of the US discovery system and evidence collection systems of other countries, we are required to design our own system in view of our practice in patent litigation.

      • KCI등재

        왕수인의 心과 帝의 주재

        이종우(Yi Jong-woo)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7

        본 논문은 왕수인이 말하는 心은 몸을 주재하고, 帝는 만유를 主宰한다고 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 라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였고, 그에 대하여 그의 논리로서 규명하였다. 심은 몸을 주재하고 제의 주재로 인하여 만유는 생성되고 인간도 마찬가지로 그로 인하여 탄생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제는 인간에 선천적으로 내재하면서도 외재하고 후직에게 명령한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인격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주관유심론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심의 본체는 양지이고 제를 이룬다고 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양지가 제를 인식하였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제로 인하여 인간은 생성되고 그러한 인간이 제를 인식함으로 인하여 제는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이 대상을 감각으로서 인식한다는 것은 심이 몸을 주재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그것을 감각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다. 그 대상이 유형이라면 감각기관으로서 인식하지만 제와 같이 무형일 때 이성으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양지는 감각 뿐만 아니라 이성적 인식도 가능한데 그것이 바로 양지의 주재이다. 심의 주재로 제는 존재하고 제의 주재로 인간은 존재하게 된다. 이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가 말하는 심의 주재와 제의 주재는 그의 논리에서 보았을 때 정합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Wang Shouren speak mind presiding and god presiding. It examine possible and it is a close examination. Mind preside body and god preside all things in the universe. God is borned mankind. Therefore it is analysis idealism a mistake. He thought that mind essence is intuitive knowledge completion god. It is meaned that intuitive knowledge recognize god. God is borned mankind and mankind is borned god. Intuitive knowledge perceive materiality and it recognize formlessness. God is formlessness. It recognize rationality. Intuitive knowledge is sensibility and rationality. It is presiding. He thought exterior god and god direct mankind. Therefore He speak mind presiding and god presiding on logical sen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