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관여 수준에 따라 전형성과 현저성이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성철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Muncy(1990)의 제품관여에 대한 설명에서 전형성은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현저성은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조사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하여 저관여 제품으로 ‘라면’을 선정하고 고관여 제품으로 ‘핸드폰’을 선정하였다. 또한 저관여 제품에서 전형성이 높은 상표로는 ‘김치라면’과 ‘진라면’이 선정되었고 전형성이 낮은 상표로는 ‘수타면’과 ‘스낵면’이 선정되었다. 또한 현저성이 높은 상표로는 ‘진라면’과 ‘수타면’이 선정되었고 현저성이 낮은 상표로는 ‘김치라면’과 ‘스낵면’이 선정되었다. 고관여 제품의 경우에는 전형성이 높은 상표로는 ‘모토로라’와 ‘삼성애니콜’이 선정되었으며, 전형성이 낮은 상표로는 ‘노키아’와 ‘SK스카이’가 선정되었다. 또한 현저성이 높은 상표로는 ‘삼성애니콜’과 ‘SK스카이’가 선정되었으며, 현저성이 낮은 상표로는 ‘노키아’와 ‘모토로라’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성이 높아짐에 따라 상표태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관여 제품보다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많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저성이 높아짐에 따라 상표태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관여 제품보다는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형성이 낮은 경우에 고관여 제품보다는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높았으나, 현저성이 높아짐에 따라 저관여 제품보다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관여제품보다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많이 급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저성이 낮은 경우에는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높았지만 전형성이 높아짐에 따라 저관여 제품과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모두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현저성이 높은 경우에는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높았으며, 전형성이 증가함에 따라 고관여 제품보다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더 급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은 저관여 제품의 상표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현저성이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전현성과 현저성은 모두 저관여 제품과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형성과 현저성이 모두 높은 경우에는 저관여 제품과 고관여 제품의 상표태도가 거의 같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brand typicality and brand salience on brand attitude according to degree of product involvement. Existing study didn't investigate effects of typicality, salience and product involvement on brand attitude. This research was interested in influencing typicality and salience on product involvement in brand attitud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resented two way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involvement and typicality on brand attitude. Typicality positively influenced brand attitude of low and high involvement products, but influenced more low involvement product then high involvement product on brand attitude. Second, there were presented two way interaction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salience on brand attitude. Salience positively influenced brand attitude of low and high involvement products, but influenced more high involvement product then low involvement product on brand attitude. Third, there were presented 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typicality and salience on brand attitude. Typicality and salience positively influenced on low and high involvement product in brand attitude. However, typicality influenced more low involvement product then high involvement product, but salience influenced more high involvement product then low involvement product in brand attitude. This research found almost equal brand attitudes of low involvement product and high involvement product in high typicality and high salience situations.

      • KCI등재

        공정무역제품의 다차원적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민대기,권기대,김동범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4

        Recently many consumers have been concerned about ethical product so called coffee, chocolate, tea, clothes, sugar handicrafts et al., and the real purchasing power on the fair trade of ethical product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and many scholars who have interest in about fair trade product take a prominent figure in the academic cir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ultidimentional consumption valu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customers with fair trade product (food) use/purchase experience. For the theoretical model of consumer’s buying decision making on fair trade, this study is based on the modified theory suggested by Engel, Blackwell and Miniards (1982).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ual model of the hypothetical structur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research and examination of second documentary records and articles. Next follows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among consumers with fair trade product (food) use/purchase experience to question consumption valu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data of 167 samples collected both on line and off line survey from 16 November, 2011 to 8 December, 2011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exception missing data through coding, trimming and refining process of raw material data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functional value, psychosocial value, and aesthetic․ emotional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on fair trade product. However on the other hand,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economic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have a negative impact on consumer’s attitude on fair trade product. Second, consumer’s attitude of fair trade product (food)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rd,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economic value, psychosocial value, and aesthetic․emotional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multidimensional consumption value of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have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irth, from the analysis result of mediate effect of consumer’s attitude to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value, aesthetic․emotional value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to supplement this study, more objective theoretical models that can b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trade product and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ust be cre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of consumer’s purchase behavior theory on the fair trade products for the experts at consumer’s culture studies, consumer’s ethical behavior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An early studied of fair trade mainly have been concerned about unidimentional consumption values. This study are differentiated from multidimentional consumption values perspectives. and for the first time marketing strategy which look into the future focused on consumption value of psychosocial value at the fair trade, and prior marketing strategy for revitalized fair trade have a distinctive superior quality guarantee, design development and reasonable price. The future’s studies with concerned this topics are needed to elaborate the measure of consumption value about fair trade, generation’s lifestyle on fair trade product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fair trade consumption behavior with the quantitative data. 공정무역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16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다차원적 소비가치가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연구의 목적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연관된 구매의사결정이론 검토와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가설 검정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다차원적 소비가치와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기능적 가치, 사회심리적 가치, 미적/감정적 가치요인이 공정무역 제품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제적 가치, 상황적 가치, 진귀적 가치는 공정무역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태도가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다차원적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정한 결과 경제적 가치, 사회심리적 가치, 미적/감정적 가치요인이 공정무역 제품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에 소비가치의 다차원 변수인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진귀적 가치는 공정무역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자의 제품태도가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정한 결과 사회심리적 가치와 구매의도 사이에 태도가 부분 매개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적/감정적 가치와 구매의도 사이에 태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략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그리고 미래연구의 제언은 결론부분에 언급하였다

      • KCI등재

        한정판 제품에 대한 패션소비자의 기대감과 독특성 욕구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희 한국생활과학회 2024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한정판 제품에 대한 기대감과 독특성 욕구가 제품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구모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정판 제품의 기대감, 독특성 욕구와 제품 태도 간 희소성의 조절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연구에서 희소성의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정판 제품의 기대감은 당위적 기대감, 이상적 기대감, 막연한 기대감으로 요인분석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구매 후 만족도 평가, 기대의 조정, 재구매의도에 대한 연구에서의 요인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이유재, 라선아, 2002). 한정판 제품의 기대감이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당위적 기대감과 이상적 기대감이 인지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감정적 태도에서도 당위적 기대감과 이상적 기대감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적 태도에서 당위적 기대감에 대한 회귀값이 높았는데 이는 한정판 제품을 구매하면서 향후 관련 제품을 재판매 등을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한정판 제품의 독특성 욕구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적 태도에는 창의적 선택, 비대중적 선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감정적 태도에는 창의적 선택, 비대중적 선택, 유사성 회피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지적 태도에는 창의적 선택의 영향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정판 제품이 가지고 있는 희소성, 디자인 독특성, 수량의 한계성 등이 한정판 제품을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인지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감정적 태도에는 비대중적 선택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디자인의 특이성, 한정판 제품을 선택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인지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감정적 태도에는 비대중적 선택의 회귀값이 비교적 높았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못할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취향에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비대중적 취향적 요소가 감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셋째, 희소성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정판 제품 기대감과 독특성 욕구와 제품 태도의 사이에서 희소성의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희소성이 조절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정판 제품을 구매할 때 향후 한정판 제품의 희소성으로 인해 재판매나 가격상승 등의 긍정적 기대감이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한정판 제품이 가지고 있는 수량적 희소성, 디자인적 희소성이 독특성 욕구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제품 태도가 행동 의도인 추천 의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결과 인지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가 추천 의도와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ctations of limited-edition products and need for uniqueness there of on product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n terms of the effect of expectations of limited-edition products on product attitude, ought expectations and ideal expectations bo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ttitudes, and ought expectations and ideal expectations were both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factors in emotional attitudes. Seco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uniqueness of a limited-edition product and its influence on product attitude showed that creative choice and non-popular cho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ttitude, while creative choice, unpopular choice, and avoidance of similar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otional attitude.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scarci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for limited edition products, need for uniqueness, and product attitude.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behavioral intentions, cognitive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bo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ch of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스포츠 이벤트 공식스폰서 광고 효과 분석

        이종호(Lee Jong-Ho),최종필(Choi Jong-Pill)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광고유형(월드컵 공식스폰서 광고, 일반광고)과 제품유형(고관여 제품, 저관여 제품)에 따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즉 광고유형과 제품유형에 따른 광고 메시지 수용자의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차이를 분석하고,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가 향후 광고 수용자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층표집 및 임의표집을 통하여 대학생 905명(월드컵 공식 스폰서광고, 457명; 일반광고, 4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윤각(1997), 서희정(2002), 임명옥(1998) 그리고 강신도(1999)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연구의 최종 설문지로 사용하였다(기업이미지 태도 α=.9117: 광고태도 α=.9108: 제품태도 α=.8328: 구매의도 α=.8552).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이원번량분석(twa-way ANOVA), 그리고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 이벤트 공식스폰서십을 통한 광고가 일반광고보다 광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고 메시지 수용자들은 스포츠 스폰서십을 통한 광고의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 제품 구매 의도에서 일반광고보다 긍정적으로 평가(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관여 제품의 광고 효과가 고관여 제품의 광고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고 메시지 수용자들은 저관여 제품 광고의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 제품 구매의도에서 고관여 제품의 광고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고유형과 제품유형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을 통한 저관여 제품 광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고 메시지 수용자들은 스포츠 스폰서십을 통한 저관여 제품에 대한 광고의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 제품 구매의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이벤트 공식스폰서 광고에 따른 광고 수용자들이 평가하는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는 향후 광고 수용자들의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광고의 경우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는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를 통한 저관여 제품의 광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수용자들이 평가하는 광고태도, 제품태도, 기업이미지 태도는 향후 광고 메시지 수용자들의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열한 시장 경쟁구도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홍수 속에서 기업의 생존전략과 소비자들에게 광고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스포츠 이벤트를 통한 광고 및 홍보의 전략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vertisement effects of sport events sponsorship for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attitude toward cooperate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905 university students from five stratified randomly selected universities were surveyed by means of the revised questionnaires.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both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α=.8328-.9117. The questionnaire utilized a seven-point Likert-type scale was employed for ascerta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each respondent attached to each item.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by employing the SPSS 10.0V.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ypes of advertisement. Respondents had better positive estimation about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in case of sports sponsorship advertisement than general advertisement. Second, the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ypes of product involvement, advertisement, Respondents had better positive estimation about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in case of low involvement product than high involvement product. Third,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advisement and product involvement, but the sports sponsorship advisement of low involvement product was more effective than sports sponsorship advisement of high involvement product, general advisement of low involvement and high involvement product such as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inally, the degree of estimation of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corporate image of sports sponsorship advertis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ustomers. And the degree of estimation of product attitude, and corporate image of sports sponsorship advertis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ustomers.

      • KCI등재

        명품의 모방 브랜드, 약인가? 독인가?: 소비자 특성 및 제품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청림(Lee, Cheong-L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최근 명품열풍으로 의류나 장식품, 화장품 등을 비롯한 패션 미용품 시장으로 모방제품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모방브랜드는 불법 복제품과는 달리 명품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명품의 외형이나 테마 등을 모방하고 있다. 독립적인 브랜드를 갖고 있는 제품이긴 하지만, 해당 명품브랜드를 인지하고 있거나 소지하고 있는 고객입장에서는 명품을 모방한 제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을 줄 수 있으며, 더 고급인 제품을 모방했다는 사실은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품브랜드의 모방이 명품브랜드(피모 방브랜드)와 모방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모방정보 노출 전과 후에 명품브랜드와 모방브랜 드의 태도를 각각 측정하여 모방사실 인지로 인한 태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방정보는 명품브랜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모방브랜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과시추구 소비자의 경우 모방정보에 노출이 되면, 모방브랜드 뿐만 아니라 모방을 당한 명품브랜드의 태도도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행추구 소비자의 경우 명품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변하지 않지만,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모방정보 노출에 따른 브랜드 태도 변화가 제품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사적소비 제품과 공적소비제품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모방사실을 알게 되면, 모방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명품을 모방하는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방브랜드는 기업에게 약이 아니라 독이 된다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특히 명품구매의향이 높은 과시추구 소비자들은 모방브랜드보다 명품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기업의 모방이 명품브랜드의 이미지에 타격을 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방은 제품유형에 관계없이 모방한 기업의 브랜드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기업들은 유념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imitation and counterfeiting is a major issue for luxury brands. In addition to illegal counterfeits and fakes, luxury brands are confronted to products that look similar to their own items. These me-too brands, unlike illegal counterfeits, do not simply counterfeit a luxury product but imitates the exterior, themes, etc. Me-too product, although having a distinctive brand, can give the impression that it is nothing more than a luxury goods-imitating product. And the fact of imitating a luxury product can affect the brand attitude or intent to purchase of me-too brand. So, this research has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luxury brand imitation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luxury brand (imitated brand) and the me-too brand(imitating brand). The results show that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e-too brand but in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luxury brand. The effect of consumer typ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nob consumers, that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and me-too brand. However, in the case of bandwagon consumers,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e-too brand but in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luxury brand. In addi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 of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 on the change of brand attitude by product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product typ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due to exposure to imitation information.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generally have negative attitude for a me-too brand, which implies that a me-too brand is not a panacea but poison to companies. In particular, for snob consumers who have stronger intent to purchase luxury goods, there is negative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It means that imitated luxury brand can be hurt their brand image to their target consumers.

      • KCI등재

        명화 차용 형태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주우진 ( Wu Jin Chu ),정보희 ( Bo Hee Jung ),김한구 ( Han Ku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현재, 많은 기업이 제품 디자인에 명화(名畵)를 차용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도 명화 차용 제품의 시장성이 가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경영학 분야에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품 유형(쾌락적/기능적)에 따라 명화 차용 형태(직/간접 차용)가 디자인 태도(미적 반응) 및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명화 차용 제품 디자인의 유형 분류를 위해, 사전에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명화 차용 제품의 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에 차용된 명화의 원본 이미지 변형 여부에 따라 제품의 명화 차용 형태를 직접, 간접 차용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차용된 제품의 유형을 그 속성에 기초하여 쾌락적 제품과 가능적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화 차용을 차별적 제품 디자인 요소의 하나로 간주하고, 명화가 디자인 요소로써 제품에 사용되었을 때, 소비자의 디자인 태도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태도(미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원형성 왜곡 정도를 평가 기준으로 하여(Veryzer and Hutchinson 1998), 제품 유형에 따라 명화 차용 형태가 원형성 왜곡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소비자가 디자인 및 제품을 평가함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유발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제품 유형에 따라 명화 차용 형태는 디자인 태도와 제품 태도에 대하여 모두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기능적 제품에 명화가 차용된 경우, 명화가 본래 가지고 있는 강한 쾌락적 속성이 제품의 기본적 속성인 기능성에 대한 평가를 약화시켜 간접 차용 형태에서의 원형성 왜곡 정도가 직접 차용에 비해 작게 나타났고, 따라서 디자인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쾌락적 제품의 경우, 이와 반대로 명화가 가지는 본래 쾌락적 속성이 제품의 기본 속성(쾌락성)에 잘 부합되기 때문에, 직접 차용 형태의 원형성이 간접 차용의 형태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접 차용 형태에서의 디자인 태도가 간접 차용 형태에서의 디자인 태도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태도는 명화 차용 형태와 제품 태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In recent years, a new way of differentiating product design has emerged-better known as `masterpiece marketing,` this is a strategy where famous art pieces are borrowed on to product designs. Because the recent trends of well-being and LOHAS have encouraged the consumers` desires to enjoy culture and live a more opulent lifestyle, famous and notable paintings have grown to be more of approachable masterpieces" to the public. As a strategy intended to develop a new consumerism, while still prioritizing customers` values and their satisfaction, companies have been drawn to this new type of marketing. The current consumption society has converted renowned art pieces from simply works of `high culture` to a further way of marketing, aimed to differentiate products and dominate the market. Though many products have had masterpieces applied to their designs and have been noticed for their marketability, there has been less systematic research done on the scientific background behind this marketing approach(Hagtvedt and Patrick 2008). In this study, we especially limited our focus to paintings called master-pieces that have passed the test of time and are considered classic exemplars of Western visual art such as Gustav Klimt`Kiss or Vincent van Gogh`s Cafe Terrace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se kinds of visual arts on consumer`s aesthetic response and evaluation of the product. Eventually, the final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est way of using art in product design in real-market.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e collected examples of products which art works` image was used in real-market. Then, we could divide them into two art infusion types (direct vs. indirect), and two product types (functional vs. hedonic). In case of `direct art infusion type`, original art work is used to product as it is. While in `indirect art infusion type`, the image used to product design is something to modify original art work. This study compare the influence of art infusion type(direct vs. indirect) on aesthetic response(design attitude) and product evaluation between two product types: Hedonic and Functional products. We pretested 8 product categories with 47 participants to select stimuli which represented product type(functional vs. hedonic). The pretest revealed that a note book bag and an air conditioner were identified as a functional product, while a chocolate was perceived as a hedonic product. The art infusion type was between factor and the product type was within factor. One hundred and fifty-fiv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ditions in 3(art infusion type: direct vs. control vs. indirect) between subject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oduct type(functional vs. hedonic) and art infusion type(direct vs. indirect). Dependent variables were product evaluation and design attitude. All dependent variables were assessed using scales anchored by one and seven.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revealed that there was no main effect of the art infusion type or the product type on design attitude and product attitude, where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rt infusion type and the product type on design attitude and product effect was significant. Design attitude was predicted by measure of prototypicality distortion (Veryzer and Huchinson 1998). In functional products,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favorably influenced product attitude compared with the direct art infusion type. In this case, prototypicality distortion of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was lower than that of the direct art infusion type, leading to favorable evaluation of design. On the other hand,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favorably influenced product attitude compared with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in hedonic products. In hedonic product, prototypicality distortion of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irect art infusion type.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art infusion type favorably influenced design attitude compared with the indirect art infusion type. Finally, this study also showed that design attitude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art infusion type on product evaluation in both hedonic and functional product cas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type of art infusion can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consumer evaluations of products in the context of product design. However, many unresolved issues remain. For this reason, the phenomenon of art infusion is an area that merits further research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 KCI등재

        그린제품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품질 평가: 환경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상일 ( Sang Il Park ),천사라 ( Sa Ra Cheon ),김미정 ( Mi Jeong Kim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3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많은 소비자들이 제품구매 시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며, 그린제품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제품의 속성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품질지각과 구매의도의 주요한 영향 요인이다. 그러나 그린제품의 관점에서 제품의 속성이나 품질 지각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린제품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린제품의 속성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에 있어 환경관여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그린제품의 속성에 대한 태도는 브랜드, 가격, 환경마크, 성분이고, 이 중 성분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각된 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제품의 속성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에서 환경관여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관여도가 낮은 경우 그린제품의 외재적 속성인 환경마크, 가격에 대한 태도가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환경관여도가 높은 경우 그린제품의 내재적 속성인 포장에 대한 태도가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environmental awareness of consumers heightens, they consider the environmental-friendly aspects and exhibit a high degree of customer loyalty toward green products. The attributes of products and consumers` perception might be important factors that can affect consumers` product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Nonetheless, there are relatively very few studies that investigate consumers` attitude to the green product attributes -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ttributes of green products and their quality evaluation. This research also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involvement on consumers` attitude to the green product attributes-consumers` quality perception relationship. To test the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among female consum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ve purchased eco-friendly dishwashing detergents with environmental labels within the past six months. A total of 510 questionaries were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SPSS 15.0 and AMOS 7.0.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brand, price, environmental label, and ingredi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ived quality. The relative impact of attitude toward the ingredient on the perceived quality was the largest among the attributes of green products. Consumers` perceived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loyalty. Satisfaction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oyalty.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extrinsic attributes - perceived quality relationship were higher for consumers with low level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than those of high environmental involvemen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 a intrinsic attribute - perceived quality relationship were higher for consumers with high environmental involvement than the other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last section.

      • KCI등재

        재활용 방법에 따른 소비자 동기와 장애요인이 재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패션제품의 재활용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

        이민정,이민선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2

        패스트 패션의 유행과 더불어 패션제품의 대량소비행태가 높아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의류 처분양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부의 조사에 따르면 실제 의류폐기물은 오히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제도나 체계의 제공이 필요한 패션제품의 재활용 방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교환 및 거래, 수선 및 리폼, 기부),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와 태도, 그리고 호의적인 태도가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게 하는 장애요인을 조사하고, 그들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제품의 재활용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일에 기여하고자 한다. 20대와 30대의 성인 남녀를 편의표본방법을 통하여 모집하였고, 총 28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반복측정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동기 인식, 태도, 및 의도는 세 가지 재활용 방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은 ‘기부’를 통한 패션제품의 재활용 방법에 대해 다른 두 가지 방법보다 높은 동기인식, 호의적인 태도와 의도를 보였다. 또한, 경제적/자선적 동기와 환경적 동기인식은 모든 재활용 방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호의적인 재활용 태도가 실제 행동의도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지식이 부족해서 또는 귀찮아서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세 가지 재활용 방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태도 및 의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회적 재활용 제도 마련을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제품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론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rst,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of fashion product recycling in terms of their motivations, attitudes, barriers, and intentions, seco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ree different recycling methods (e.g., resell, reuse, and donation), and third, examine the effects of motivations and barriers on recycling attitudes and intentions. Data obtained from young consumers aged 20∼39 were analyzed through SPSS 23.0;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paired sample t-tests, repeated measure ANOVA, and regression.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recycling motivations, attitudes, barriers, and intentions among three recycling methods. Overall, participants showed higher motivations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recycling through donation than resell and reuse. Economic/philanthropic and environmental motivation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all of three recycling methods. Major barriers to three different methods of recycling fashion products were explo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sumers' lack of knowledge on how to use each recycling methods and perceived level of hassl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recycling intentions. This research is a necessary precursor to establish effective and organized recycling programs for fashion products. Public policy makers can use this baseline information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programs, ultimately promoting consumers recycl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신제품 속성의 불일치성과 메시지 주장이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장지나,박기완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ongruent product attributes on new product evaluation. The extant literature has provided evidence for the schema incongruity effect, where moderate incongruity tends to generate increased product evaluation, relative to schema congruity or extreme incongruity.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that examines how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such incongruity and what consequences such facilitation brings about.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 to determine how new product evaluation is influenced by providing message arguments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incongruity of product attribut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research, incongruent (versus congruent) product attributes decreases product attitude. However, such a main effect of incongruity is qualified by the strength of message arguments. When the message arguments are strong enough to facilitate the resolution of incongruity, incongruity (versus congruity) generates enhanced product attitude. However, product attitude is not influenced at all by the strength of message arguments when the attributes are congruent. On the other hand, the data can be interpreted in the way that the effects of message arguments are moderated by incongruity of product attributes. The weak arguments decrease product attitude for incongruity (versus congruity), whereas the strong arguments increase product attitude for incongruity (versus congruity). As suggested by the dual process models and the finding of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ult appears driven by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gnitive elaboration consumers are engaged i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show that strong message arguments can make incongruity more beneficial to product attitude. 본 연구는 신제품 속성의 불일치성과 메시지 주장의 강도가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은 불일치성이 일치성이나 중간정도의 불일치성보다 제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불일치성을 해소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찰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불일치성이 정교화 수준에 미치는 선행 연구결과에 관심을 두고, 불일치성을 해소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메시지 주장의 강도를 다르게 했을 경우 신제품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우유제품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에서 밝힌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불일치성이 제품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메시지 주장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불일치성의 경우 메시지 주장의 강도에 따라 제품 태도가 크게 변화한 반면, 일치성의 경우 메시지 주장의 강도는 신제품 태도에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한편 메시지 주장의 강도가 신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불일치성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약한 메시지 주장을 제공했을 경우 일치성이 불일치성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였다. 반면 불일치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강한 메시지 주장을 제공했을 경우 불일치성이 일치성보다 오히려 더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처리모델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불일치성이 정보처리에 대한 정교화 수준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제품속성이 제품범주 스키마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메시지 주장을 통해 긍정적인 제품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비교광고 상황에서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의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유재,한다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광고연구 Vol.0 No.83

        비교 광고(Comparative Advertising)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자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명시적으로 비교하는 광고이다. 현재까지 비교 광고의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는데, 비교 광고 상황 하에서 브랜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에 아직도 논란이 일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태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인지와 감정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여 제품 유형별로 인지(브랜드 인지)와 감정(광고 태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 광고 태도는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인지 역시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쾌락적 제품의 경우, 기능적 제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때보다, 브랜드 태도 형성 시에 광고 태도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 인지의 영향력은 기능적 제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때나 쾌락적 제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때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advertising compares explicitly or implicitly a product or service with that of a competitor. Recently, the effectiveness of comparative advertising has been the focus of several empirical, studie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yielded mixed results ab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d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on brand attitude in comparative advertising,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d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on brand attitude. Moreover, this study especially compares the relative influence of ad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on brand attitude between two product types: hedonic products and functional produc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d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Research outcomes also illustrate that ad attitude plays a relatively more dominant role in determining brand attitude for hedonic products than for functional products. However, the influence of brand cognition on brand attitud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edonic products and functional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