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어 창작동요의 노랫말 분석과 제주어 보존

        강스텔라(Kang Stell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UNESCO에서 제기하고 있는 소멸 하는 언어의 보존을 위해 제주어 창작동요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114곡의 창작동요를 통해, 제주어 창작동요를 확인하고, 주제별로 분류하고,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고, 제주어 창작동요의 한 면인 국악 창작동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결과 첫째, 총 114곡의 제주어 창작동요를 추출하였고, 제목이 제주어인 창작동요는 96곡이다. 둘째, 주제별로 보면, 자연환경 관련이 38곡, 제주 문화와 생활양식 관련은 각 21곡, 19곡이다. 놀이와 관련된 곡은 14곡, 학교와 관련하여 7곡, 제주어 관련은 10곡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빈도 단어로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할머니이다. 자연과 동요의 밝음과 어울림을 표현하는 단어, 놀이와 관련한 표현이 있다. 넷째, 제주어 창작동요 작사가는 총 52명이고, 국악 창작동요는 16곡이 제시되었다.결론 다양한 제주어가 창작동요를 통해 불리며, 초등 음악교육을 통한 제주어 보존의 긍정성을 확인하고, 제주어 사용의 다양성을 위한 제주어 창작 동요의 보급 및 활용으로, 향후 제주어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to preserve the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proposed by UNESCO Methods Through a total of 114 Creative Children s song, We identified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categorized by subject, analyzed frequent words, and investigated and One aspect of Jeju Creative Children s songs, investigated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ongs. Results In conclusion, first, a total of 114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were extracted, and the Jeju-language titled Children s songs were 96. Second, by them, there are 38 thematic song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21 songs and 19 songs for Jeju culture and lifestyle, respectively. It was classified into 14 songs related to play, 7 songs related to school, and 10 songs related to Jeju language. Third, mother were the most frequent words, followed bt grandmother, words that express the brightness and harmony of nature and nursery rhymes, and expression related to play. Fourth, a total of 52 lyricists for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and 16 song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lusions As a suggestion, various Jeju-language are sung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s, confirming the affirmation of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through elementary music education, and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nservation of Jeju-language in the future by disseminating and utilizing Jeju-language Creative Children s songs for diversity in the use of Jeju-language, I think it will do.

      • 제주어 동시를 활용한 정서교육 연구

        김신자 ( Kim Sin-ja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3 백록어문교육 Vol.32 No.0

        이 연구는 제주어 교육 현장에서 제주어 동시를 활용한 제주어 감정과 관련한 정서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 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을 말하며, 제주어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제주어 정서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제주어 감정을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 어휘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정서 표현에 대한 제주어 감정 어휘의 유의어 목록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의미 항목으로 분류하여 일상생활에서 ‘지꺼지다(기쁘다)’, ‘부에나다(화나다)’, ‘□□다(무섭다)’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기본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주어 교육 현장에서, 제주어를 학생들이 차근차근 익혀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을 제주어로 표현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다양한 정서를 개념화하고 정서 개념을 확장하는 데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하다 보면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게 되고, 소멸 위기 제주어를 전승ㆍ보존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emotional education measures related to Jeju language feelings using Jeju-language children’s poem at the Jeju-language education site. The subject of learning refers to third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t is important to clearly convey Jeju-language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order to access Jeju-language more easily and effectively educate Jeju emotional vocabulary. A list of Jeju-language feelings vocabulary synonyms for emotional expression was organized so that learners could express their feelings effectively and communicate smoothly through feelings vocabulary education. And also, vocabul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to be made from the most basic stage where we could express ‘지꺼지다(delighted), ‘부에나다(angry), and ‘□□다(scary)’ in our daily lives by classifying them into meaning items. Students can steadily learn Jeju-language at the Jeju-language education site, express their feelings in Jeju language in daily life, and communicate smoothly. Ultimately, if you use it as meaningful data to conceptualize various emotions and expand emotional concepts, you will be able to broaden your understanding of your emotions and contribute to the passing down and preservation of Jeju-language in danger of disappering.

      • KCI등재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을 위한 제주어 육성 정책의 진단과 향후 과제

        김세중(Se Jung Kim)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6 No.-

        제주도 발전을 위해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 사업은 반드시 성공해야 하지만 정체성을 잃은 발전은 의미가 없다는 점에서 제주어 육성은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과제이다. 현재 제주어는 급격히 소멸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중이며 이를 막거나 늦추기 위한 노력은 한시도 지체되어서는 안 된다. 유네스코는 2010년 제주어를 위기에 처한 언어 중에서 네 번째 단계인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규정하였다. 이는 제주어가 소멸 위기에 처해 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한 것이며 제주어 부활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안됨을 의미한다. 제주어를 부활시키는 방안으로 몇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제주어를 보존하고 있는 어르신들을 활용하여 그들의 말을 녹음하고 교육 현장과 연계하여 자라나는 세대에게 제주어를 가르쳐야 한다. 제주어를 자유롭게 들어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제주어마을을 건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학교 정규 교육 과정에서 제주어 교육을 포함해야 한다. 제주어능력 시험을 실시하여 성적 우수자를 우대함으로써 제주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 방송에서 제주어를 더욱 많이 사용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또 기초적인 제주어를 보여주는 상품을 개발하여 제주어를 알리는 일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construction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should be successful, and it must accompany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the Jeju dialetct because develoment with the loss of identity is meaningless. The Jeju dialect is facing the serious crisis and the efforts to survive should promptly be made. In 2010 UNESCO added the Jeju dialect to its Atlas of the endangered languages as a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and it means that we should try to make an effort to revive the Jeju dialect. I suggest some plans to revitalize the Jeju dialed as such. Governmant should collect the speech of senior people well-versed in the Jeju dialect and use them as assistant teachers in the Jeju dialect education Jeju dialect village where people can freely hear and speak the dialed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Jeju province. The Jeju dialed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schools. Jeju dialed proficiency test has to be implemented and the outstanding persons should get benefit from it More programs in televison and radio dealing with the Jeju dialed should be made and various sightseeing goods utilizing the Jeju dialed needs to be developed.

      • KCI등재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김순자(Soon Ja Kim)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6 No.-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쓰는 전래적인 언어다. 이러한 제주어가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학계와 행정기관, 시민단체, 연구자, 뜻있는 도민 등을 중심으로 제주어 보전을 위한 크고 작은 사업들을 펼쳐왔다. 그럼에도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온전히 보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들은 부족한 상태다. 유네스코도 2010년 12월 8일 제주어를 인도의 코로(KORO)어와 함께 사라지는 언어 5단계 가운데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하였다. 유네스코의 이런 진단이 내려진 이후 행정에서는 제주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히고, 교육 당국에서는 제주어 교육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지면과 방송 시간을 늘리는 등 제주어 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각종 상품과 상호 이름으로 제주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주어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일상생활에서 제주어가 생활화할 수 있도록 제주어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어 교사 양성과 연구자 육성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연구자와 교사 양성 등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주어 기금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 제주 사람들의 삶과 정신이 깃는 문화의 정수인 제주어 보전은 제주어 정책을 담당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당국, 그리고 제주도민 모두 에게 주어진 과제다. Jeju language is traditional language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of Jeju people but it is endangered nowadays. So academia, administrative agencies, civic organizations, scholars and other interested citizens engage in various preservation projects of Jeju langu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lternatives conserving Jeju language entirely. UNESCO categorized Jeju language and KORO India language as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which is fourth degree out of five in December 8, 2010. After UNESCO s decision, administrative agencies decided to establish Jeju language Institute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mplemants a policy on Jeju language educati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lso expand their air time and articles. More Jeju language is used for the namas of goods and shops. However, we still need more support. It is important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in preserving Jeju language and keep educating people Jeju language as a part of life. For this, Jeju language teacher and researcher training is needed. First of all, Jeju language funding is need to be found to raise teachers and researchers. Jeju language preservation is the task for the governma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ven all of us.

      • KCI등재후보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통한 제주어 보전방안 연구

        양정철,고영희,고용진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by utilizing Jeju-type vill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we are promoting projects including the Jeju language in the Jeju-styl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eing promoted in Gimnyeong-ri, Gwannaeup, Jeju City. As a result, by promoting a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the region, the Jeju language will b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region, and opportunities for tourists to communicate in the Jeju language will be created. When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biggest problem was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setting up a pl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in Jeju language, the elderly will be able to use Jeju language freely, and young people and touris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Jeju language in real lif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Jeju languag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own development projects and recognized as a tourism product. To that end,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using a two-track strateg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such as Jeju language preservation and usage, and general areas. 본 연구에서는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활용하여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주형 마을만들기 사업에 제주어를 포함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제주어 사용빈도를 높이고 관광객에게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어르신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면서 가장 문제로 삼은 것은 젊은 층과의 소통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줌으로써 어르신들은 자유로운 제주어 사용과 젊은 층 및 관광객은 실생활에서 제주어를 사용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제주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하나의 관광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 제주어 보전과 사용 등 전문분야와 일반분야로 나눠 투 트랙 전략을 활용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제주지역에서 제주어 보전 및 사용빈도를 높이기 위해 마을만들기 분야에 제주어를 포함시켜 어르신들이 마을만들기 분야에 참여하여 제주어가 전수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다양한 언어적 자원을 가지고 있는 제주어를 활용하여 위기의 언어를 보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며, 향후 제주어 보전정책을 수립하는데에도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제주어의 연구 현황과 과제

        양창용(Yang, Chang-Yong)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동서인문학 Vol.0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두 개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제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제주어의 현재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또 다른 하나는 제주 지역 사회에서 시도되고 있는 언어 보전 및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진행되어진 다양한 언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정보가 제공되어 질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제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해 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어인 제주방언과 최근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제주어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무런 언어학적 연구와 검토 없이 전통적인 용어인 제주 방언이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되어진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면 제주어는 사람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언어적인 독자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한다면 제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언어학적으로 그 나름의 독창적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주어의 언어학적 다양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를 종합검토하여 어떤 분야의 연구라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 전체적면에서 연구의 흐름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8-90년대 활발하게 진행되던 연구가 최근에는 다소 주춤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속에서 지역사회에서 제주어 보전과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행정 및 시민 단체의 노력을 중심으로 제주어 보전을 위해 어떤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제주어 보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제주어 보전과 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wofold: The first is in general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Jejueo, the language spoken on the island of Jeju. This will be done on the basis of linguistic research of Jejueo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e second focus deal specifically with the language revitalization and preservation efforts made by the local community. First of all, the paper starts with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term, Jejueo itself, by taking a historical point of view of the language spoken on the island. It is clear from our discussion that the choice of the term Jejueo is recently preferred to the term Jeju dialect in an academic or non-academic context. Then we continued to examine the status of Jejueo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pointing out that a mutual intelligibility test is very usef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a dialect and a language. Next, we look over what"s been done in the study of Jejueo, counting the numbers of academic papers and books written from the very beginning to recent years. This shows us two things: what has been done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how things have been changed in the academic camp on Jejueo. Then, we have a chance to look over some efforts made by the local government, community and civic organizations to preserve and revitalize Jejueo. Especially, it is suggested that serious efforts need to be made within Jeju education towards successfully keeping the language of Jeju preserved for the future. Lastly, some remarks are made to promote the preservation and revitalization of Jejueo.

      • KCI등재

        석주명의 제주어 연구 의의와 과제

        강영봉 ( Young Bong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0

        이 글은 석주명(石宙明)의 제주도총서 가운데 『제주도방언집』, 『제주도자료집』, 『제주도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제주어 연구 의의와 과제를 살펴보는데 있다. 그의 제주어 연구 의의는 첫째 해방 이후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방언집을 출간하였다는 점, ``제주어``라는 명칭을 사용한 점, ``제주어``를 남부어와 북부어로 구분한 점, ``제주어``와 다른 방언 나아가 외국어와 비교한 점, 그리고 ``제주어``를 소재로 한 이른바 언어 수필을 썼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이는 ``해방후 먼저 우리말을 찾고자`` 하는 석주명의 확고한 언어 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비교언어학의 입장에서 제주어를 같은 어족에 속하는 몽골어와 만주어 이외의 언어와 비교한 점은 비전공자가 지니는 한계이며, ``비바리, 심방, ?삐``의 어원이 잘못 되었음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석주명의 제주어 연구는 후학들이 검증과 여러 방법을 통해서 풀어야 할 과제를 남기긴 하였지만 다각적으로 ``제주어``를 연구한 선구자적 의의는 자못 크다. This report focuses on the significance and task of the study of Jeju dialect based on Jeju Island Dialect, Data of Jeju Island and Jeju Island Essays which are parts of A Series of Studies on Jeju Island by Seok, Ju-myeong. He first published a book on dialect as Korean and used a term ``Jeju Language``. Moreover he divided ``Jeju language`` into Southern and Northern Jeju language and compare with other foreign languages. He also wrote some essays on Jeju language. These are why his study is so important and how deeply he was eager to find our language after liberation. As a matter of comparative linguistics, he compared Jeju language with other languages instead of Mogolian and Manchu which are Altaic and it showed his limitation not as a specialist. Etymologies of ``bibari``, ``simbang`` and ``nomppi`` are incorrect as well. These errors are pointed out in this report so it suggests a new task we should take care of. Seok, Ju-myeong, as a pione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Jeju language in many ways even though he left many tasks we have to solve and demonstrate.

      • KCI등재

        제주어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을 중심으로 -

        현명관 ( Hyun Myung-kwan ),장애란 ( Jang Ae-r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본 논문은 최근 유네스코에 의해 5개의 소멸 위기 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된 제주어의 다양한 활용 방안으로써,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제주어에는 한반도의 표준어 및 다른 방언들과는 달리 우리나라 중세 어휘의 원형과 독자적으로 형성된 단어, 차용어 등 다양하고 특이한 특징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특징들 중 쌍아래아(□)·반복되는 표현사용·제주어에서만 보여지는 특이한 어휘를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리듬과 접목시켜 텍스타일 디자인의 모티브를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패턴화로 전개하고 실제 상품에 맵핑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주어가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우리나라 고대 언어의 원형이 고스란히 담긴 타이포그래피적 조형물로서 텍스타일 디자인에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주의 대표성을 상징하는 문양으로서 패션문화 상품 개발에 응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제주어 보존과 활용방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는 제주인의 자긍심 고취는 물론 넓은 의미에서 지역적 한계성을 탈피하여 지역 전통문화의 우수성이 곧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임을 재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역 문화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various utilization plans of Jeju language which was classified at level 4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out of five level of endangerment in language by the UNESCO and to develop textile designs through typographic expression. Different from the standard language and other dialects in the Korean peninsula, Jeju language has kept unique and diverse features such as prototype of medieval words, independently established words and loanwords. Among those special features, this study developed textile design motif by integrating Ssang Arae a(□), repetitive expressions and unique words in Jeju language into visual rhythm of typography. Based on it, the study carried out various patterns and took mapping on actual products so that Jeju language could be used for textile design as typographic artworks with local characteristics as an island and having prototype of ancient language, and also could be applied to fashion culture product developments as representative and symbolic pattern of Jeju in order to suggest a new paradigm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Jeju language. In consequence, this study expects to enhance the concept that the excellence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could improve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beyond the regional limitation as well as increasing pride of Jeju people and could lay a foundation of building up new competitiveness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 KCI등재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강스텔라(Stella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관점에서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주 관련 제재곡과 제주민요의 특징, 제주어의 분포와 표기 및 문화와 축제에 대해 파악하고, 문화 정체성의 바탕 위에 제주문화의 전승, 보존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교과서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다. 방법 초등 3~6학년 총 4개 학년 2015 개정 음악교과서 34권을 분석, 서술하고 있는 제주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추출하였고, 악보가 있는 제주 관련 제재곡, 악보와 무관하게 서술된 제주관련 모든 곡을 확인하고. 제주어를 포함한 제주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추출하여. 현황 및 문제점 도출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과서 한 곳을 제외하고, 제주 관련 내용이 비교적 충실히 수록되어 있고, 일노래가 많으며, 주로 음악적 특징을 규정하지 않고, 제주도 특유의 사투리로 구성된 향토색이 짙은 민요로 서술하고 있다. 다양한 제주어의 쓰임과 교과서마다 제주어에 대한 해석과 표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제주 칠머리당영등굿과 제주해녀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결론 다름을 인정하고, 다양성의 관점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부정적인 역사적 고립이 아닌 보존에 있어 긍정적이었던 다양한 제주문화의 교육적 의미를 생각하며, 향후 음악교과서 편찬에서의 제주어, 제주민요, 제주 신화를 명확히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Objectives From a regional perspective, Jeju-related songs and Characteristics of Jeju folk songs included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notation of Jejueo, culture and festivals. Based on cultural identity, we seek the direction and tasks of textbook revision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Jeju culture. Methods Analysis of 34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a total of 4 grades from 3rd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ll contents related to Jeju being described were extracted, Jeju-related songs with musical scores, and all songs related to Jeju described regardless of musical scores were checked. By extracting all contents related to Jeju including Jeju language. It was analyzed by concentrating on deriv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Results Except for one textbook, Jeju-related contents are relatively faithfully recorded, there are many work songs, mainly musical characteristics are not defined, and they are described as folk songs with a strong local color composed of Jeju-do's unique dialect, and various Jeju words are use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and notation of Jejueo in each textbook and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and Jeju Haenyeo culture. Conclusions Differences must be acknowledged, education must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Thinking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various Jeju cultures that were positive in preservation, not negative historical isol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scribe Jejueo, Jeju folk songs, and Jeju myths in the compilation of music textbooks.

      • KCI등재

        복사 매커니즘을 이용한 한국어-제주어 기계번역

        박다솔,차정원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8 No.3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re isare a lot of overlapping vocabulary in the Jeju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we used a copying mechanism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characteristic of word substitution in the Korean-Jeju language. The copying mechanism used a pointer generation network, which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by selecting an input sentence or word in the dictionary. In addition, it was decided to select the token of the target language as a priority and applied a reward was applied using this it [오전1] . Fordata, JIT (Jejueo Interview Transcripts) built by Kakao Brain was used, andperformance per eojeol was measured through BLEU. In the Korean-Jeju language experiment, the validation data was 47.85, → and the test data was 47.12, and in the Jeju language Korean experiment, the validation data was → 69.01, and the test data was 68.54. 본 논문에서 한글로 표기하는 특성상 제주어와 한국어에는 겹치는 어휘가 상당히 많다는 점에 집중하였고, 한국어-제주어의 단어 치환이라는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복사 매커니즘을 이용한다. 복사 매커니즘은 포인터 생성 네트워크를 사용했으며, 이는 입력 문장 또는 사전 내 단어를 선택하여 생성할지를 결정한다. 또 타겟 언어의 토큰을 우선순위로 선택하게 결정하며 이를 이용한 보상(reward)을 적용하였다. 데이터는 카카오브레인에서 구축한 JIT(Jejueo Interview Transcripts)를 이용하였고, BLEU를 통해 어절 단위 성능을 측정하였다. 한국어→제주어 실험은 검증 데이터는 47.85, 평가 데이터는 47.12를 보였고, 제주어→한국어 실험은 검증 데이터는 69.01, 평가 데이터는 68.54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