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찬 소설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3

        본 연구는 정찬이 자신의 소설들에서 생태적 비판 인식을 드러내는 의도가 무엇인가를 고찰함에 목적이 있다. 정찬의 소설을 단순히 시장 이데올로기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적 질서와 문명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해석 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시장 이데올로기를 맹신한 자본주의적 사회 구조의 한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제기함에 근본적 의도가 있을 것이다. 머레이 북친은 인간들이 서로에 대한 지배를 당연한 것으로 여겨온 인식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자연에까지 확대되는 오류가 발생했다고 말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정찬의 문학적 고민을 엿볼 수 있다. 정찬은 문명과 자본에 대한 맹신을 권력과 동일시하고 있는 작가다. 그리고 그는 권력을 폭력으로 규정하는 작가다. 정찬은 인간이 지닌 욕망이 권력을 소망할 때, 그 권력은 필연적으로 폭력성을 수반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인간은 타자성을 억압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한다는 바라본다. 여기서 지배 속성이라는 또 하나의 폭력적 권력이 개입될 때 점점 그가 꿈꾸는 구원의 가능성은 희박해질 것이기에,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 더 나아가 자연의 지배로 표출되는 모든 반생태적 현상에 대해 정찬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필자는 머레이 북친의 사회 생태론적 인식과 생태 페미니즘적 사유에 기초를 두고 정찬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plore why Jung Chan reveals his ecological criticism through his novels and what his ecological imagination for alternatives. It is tempting that his novel is a merely mean to reveal his antipathy to market ideology such as capitalistic system and civilization. There are, however, more convincing evidences that his novels try to point out the limits of capitalistic social system mainly pursuing market ideology. Murray Bookchin suggests that humans’ dominance in human society has been mistakenly accepted and this misconception has caused a lot of social and natural problems spreading into natural environment. In the light of this context, Jung Chan’s intention in his novels emerges on the surface. He is the novelist who defines that a blind belief of civilization and capital is same as social power and the social power is violence. He, therefore, conceives when humans’ desire pursues the social power, the power inevitably involves violence, then humans are going to stay in vicious cycle that suppresses others in both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Furthermore, as one more violent power as dominant attribute are added to social power, it decreases the possibility of social and natural redemption which Jung Chan consistently wishes. So that’s why Jung Chan cannot but keep critical perspective to all anti-ecological phenomena like human dominance on other human and nature. Given his perspective of social system and power to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presentation tries to figure out ecological imagination in his novels based on Bookchin’s 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 KCI등재

        정찬 소설의 반문명적 사유와 구원의 가능성

        차봉준(Cha, Bong-jun)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정찬은 삶의 근원과 인간의 본성을 욕망과 권력에 얽힌 비극으로 인식하며, 이로부터의 구원을 탐색함에 작가적 역량을 기울여오고 있다. 특히 이 작가가 부정하고 비판하는 권력이란 타자를 대상화하고 타자를 소유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정찬의 소설은 이러한 욕망과 권력의 메커니즘을 우리 역사의 비극적 사건 속으로 파고들던가, 아니면 문명이나 자본의 폭력성으로 끌고 들어감으로써 타자의 대상화에 내재한 심각성을 노정한다. 아울러 타자성의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 모색에 진력한다. 본 연구는 정찬의 단편소설〈별들의 냄새〉, 〈산다화〉, 〈섬〉에 표상된 근대적 욕망과 권력의 문제성을 작가의 반문명?반자본적 비판 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했다. 이 세 소설에는 현대 사회가 맹신하고 있는 자본과 문명의 폭력성에 희생당한 각각의 인물들이 생동감 있게 그려짐으로써 작가의 문명과 자본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구체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덧붙여 대상화된 타자성의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 모색을 위해 정찬이 반복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샤먼’으로서의 희생 제의에 주목했으며, 이를 작가의 예술가적 소명의식과 결부시켜 보았다. 끝으로 정찬의 단편들이 삶과 생명의 가치 및 존엄성을 생태적 인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 역시 시장 이데올로기와 문명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표상임을 밝히고자 했다. Jung Chan recognizes the root of life and nature of human being as the tragedy involved in desire and power and his writing capability is focused on seeking after redemption of the human from these. He especially disavows and criticizes the power that is a product of the desire to objectify and own other person. Therefore, Jung Chan’s short stories expose the seriousness inherent in the objectification of others by inquiring this mechanism of desire and power in traffic events in our history or in violence of culture or capitalism. Furthermore, he endeavors to restore the identity of other person and find a ways into redemp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esires in modern times and the problems of power represented in his works, odor of stars, Camellia flower and island based on his anti-culture and anti-capitalism. These stories embody his critical attitude with lifelike-description of each character being sacrificed by the violence of capital and culture in which the modern society has blind faith.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sacrifice of Shaman that Jung Chan repetitively projects to restore the identity of person being objectified and find the way into redemption and this paper associated this with his artistic vocation. Lastly, we tried to find that Jung Chan’s short stories are the critical study of market ideology and culture supremacy based on the fact that he approaches the value and dignity of life and living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recognition.

      • KCI등재

        정찬의 빌라도의 예수에 나타난 기독교적 사유

        차봉준 ( Bong Jun Cha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1

        본 연구는 정찬의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 에 나타난 기독교적 사유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찬은 이 소설에서 예수와 빌라도를 비롯하여 유대 역사에 전승되는 여러 인물들을 등장시켜 역사성에 바탕을 둔 허구적 서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를 통해 예수의 신성에 대한 도전적 해석을 시도했다. 예를 들면 예수의 탄생과 부활에 관련된 주류 기독교의 전승에 의심을 시선을 던지거나 또 다른 해석을 가하는 것이 그것이다. 한편 정찬은 이 소설에서 고난과 악의 문제에 대한 고전적 신정론의 입장을 통해 ‘잃어버린 신성을 욕망하는 글쓰기’라는 주제의식을 지속하고 있다. 그는 다수의 소설에서 인간이 당하는 고난과 악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문제인식이 이 소설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음을 통해 기독교적 사유에 바탕을 둔작가의식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찬은 빌라도의 예수 에서 기독교 근본주의에 의해 갇혀버린 신성을 재해석하고 있으며, 나아가 성전 이데 올로기로 훼손된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Christian ideas in JUNG Chan`s Jesus of Pilate. The writer strengthens his fictional description empowering historicity through many characters who were transmitted in Jewish history including Jesus and Pilate. Moreover, he presents an argumentative interpretation of holiness of Jesus in his narrative. For example, on the one hand, JUNG reveals his doubts on some Christian ideas concerning the birth and resurrection of Jesus. On the other hand, he continuously shows a thematic consciousness of “writing that desires for the lost holiness”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traditional theodicy on the matters of hardships and evil in his novel. He deals with the problems of hardship and evil that human beings are facing in many of his novels. It is significant that the writer`s 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with his Christian reflections and portrayed in the novel. In conclusion, in Jesus of Pilate, JUNG trie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holiness free from Christian fundamentalism and have a chance for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 KCI등재

        자유주제 : 신성의 추구와 반역사주의의 논리 -정찬의 소설가 소설-

        황경 ( Kyeong Hw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정찬의 소설가소설은 문학이 어떻게 신성 회복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념적 탐색의 서사이다. 정찬 소설의 신성 추구는 현대 문명과 자본의 물신성에 대한 비판과 부정에서 비롯된다. 궁극적으로 그의 소설은 문학의 언어로 구축하는, 인류 역사가 근대 이성과 문명의 이름으로 퇴출시킨 원초적이고 우주적인 신화적 세계의 가치를 지향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언제나 끝없는 권력 욕망의 연쇄 과정이다. 정찬은 권력 쟁투의 역사를 부정하고 초역사적인 신성의 세계로 회귀함으로써, 훼손되고 타락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학(가)과 예술(가)이 이러한 초월의 주체로 호명된다. Jeong Chan`s novelist novels present a narrative of conceptual investigation into how literature can be the subject of divinity recovery. In his novels, his quest for divinity starts with his criticism and denial of fetishism of modern civilization and capital. His novels ultimately yearn for the primitive and cosmic mythical world liquidated by human history in the name of modern reason and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author, history is a chain process of power desire that never ends. He argues that man can escape from the damaged and degraded reality by denying the history of power struggle and returning to the ultra-historic world of divinity. Literature(literary figures) and art(artists) are called the subjects of such transcendence.

      • KCI등재

        비극적 현실과 해원의 모색 : 정찬의 〈정결한 집〉 분석

        유달상(Yu Dal sa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정찬의 단편소설 〈정결한 집〉은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취함으로써 비극의 시대에 존재하는 소설과 소설가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뜻 있는 질문을 던지게 하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항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패륜의 한 사례를 형상화한다. 다름 아닌, 몇 년 전 어머니와 둘이 살던 고등학생이 성적 조작을 들킬까봐 어머니를 잔혹하게 살해하고 방안에 몇 달간이나 유기하여 우리 사회에 충격을 준 사건이다. 상징적 ‘부친살해’를 통한 ‘사회적 입사(入社)’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개인과 사회는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에 직면한다. 〈정결한 집〉에 발생한 모친살해도 여기에 그 출발을 두고 있다. 소년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가 어머니가 아닌 다른 여자와 살기 위해 집을 나간 후 남편을 잃은 어머니의 꿈은 아들인 소년에게 투사된다. 어머니는 소년의 성적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아들에게 가혹한 폭력을 행사했고, 아들은 마침내 그 폭력을 모방하여 어머니를 살해한다. 그 과정에서 반응적 힘의 유형인 원한, 가책의 내면화, 죄의식이 소년과 어머니에게 형성된다. 본고는 그 내면의 양상들을 분석하고, 폭력의 이면에 놓여 있는 사회구조의 문제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소설가의 상상력에 의해 구상된 명희라는 인물을 통해 이 비극에 대한 위로와 해원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그 위로와 해원의 가능성은 ‘밤하늘에 드믄드문 빛나는 별’처럼 아스라하게 그려지고 있다. 작가 정찬은 비평가들에게서 종종 〈신성이 폐기된 시대의 샤먼〉으로 불리곤 했다. 〈정결한 집〉은 샤먼으로서의 소설가가 서사의 심층에 숨어있다는 점에서 끝내 비극적이다. Jeong Chan’s short story “Pure House” is a work that makes meaningfu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and role of novels and novelists in the era of tragedy by taking actual events as a motive. This novel depicts a case of a obliquity that has made a stir. It was not the case that a high school student who lived with a mother a few years ago murdered her mother cruelly for grades manipulation and shocked our society for several months in the room. When the “Social-growth” through the symbolic “father murder” is not done properly, individuals and society face various pathological phenomena. The murder of a mother in a “Pure house” has its departure here. When a young man’ father leaves his home to live with a woman other than his mother, the dream of the mother who lost her husband is projected to the son. The mother exercised severe violence to the son because of the boy ’s poor performance, and the son finally imitates the violence and murdered his mother. In the process, the type of reactive force, grudge, internalization of guilt, guilt is formed in boy and mother.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nal aspects of the violence and seeks to quantify th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that lies behind violence. In addition, I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willow and ‘Hae-won’ of this tragedy through the person named Myung Hee envisioned by the novelist ’s imagination. The possibility of the willow and ‘Hae-won’ is drawn haze like ‘the star shining in the night sky’. The writer Jeong Chan was often referred to as “the shaman of the era of divinity” by critics. The 〈Pure House〉 is tragically endless in that the novelist as a shaman is hidden in the depths of the narrative.

      • KCI등재후보

        정찬의 「완전한 영혼」에 나타난 5‧18의 의미

        류희식 운곡학회 2023 운곡논총 Vol.14 No.-

        This treatise investigated he meaning of 5.18 in novel 「Complete Soul」 of Jung Chan. First, 1992 year when this novel was expressed, was a period of change of regime. The writer shows Ji, Sung-Soo, a fighter for democracy who finished university and Jang, In-Ha, a typesetter who has not any political thought. He shows the life of persons who became a enemy against state through Jang, In-Ha. They care each other while facing against state violence by becoming a nonsubjective and pre-individual body. In comparision with this, revolutionary subject who was engaged in democratic movement, is shown through Ji, Sung-Soo. They who has the thorough revolutionary thoughts, made sure that their belief and end is absolute. So, they fighted to overthrow a military dictatorship. However, Ji, Sung-Soo was arrested by the police in May 1987 and succumbed to severe torture. Then he loses his faith and falls into despair. In the agony of despair, he realizes that the only way out of that despair is to emulate the life of Jang, In-Ha. The author says that the revolutionary subject trying to change political power through this work should accept a life like Jang, In-ha in 5.18, rather than asserting its own absoluteness. The writer's message of caution that the representative of the movement can be alienated from the public is too important.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Ji, Sung-Soo can become aJang, In-Ha. In other words, as long as one desires to be a“dominating apparatus”, can one become the body of 5.18, the“enemy of the state”? This is because 5.18 is the “extra-state”. 본 논문은 정찬의 소설 「완전한 영혼」에 나타난 5.18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이 소설이 발표된 1992년은 대통령 선거가 있던 정권 교체기였다. 작가는 이 소 설에서 민주주의 투사인 대학 출신의 지성수라는 인물과 어떤 정치사상도 없는 식자공 장인하라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그는 장인하를 통해 5.18 당시 ‘국가의 적’이 된 인물들의 삶을 보여준다. 그들은 비주체적이고 전개체적인 신체가 되어 국가 폭력에 대항하면서 서로의 삶을 돌본다. 이에 비해, 지성수를 통해서는 민주화 운동에 뛰어든 혁명 주체를 보여준다. 투철한 혁명사상으로 무장한 그들은 자신의 신념과 목표가 절대적이라고 확신했다. 그래서 그들은 독재정권을 타도하고자 투쟁했다. 그런데 지성수는 1987년 5월 경찰에 체포되어 지독한 고문에 굴복한다. 그후 자신의 신념을 잃고 절망에 빠진다. 절망의 고통 속에서 그는 그 절망을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장인하의 삶을 본받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정치권력을 바꾸려는 혁명주체는 자신의 절대성을 주장하기보다, 5.18 때 장인하와 같은 삶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운동의 대표가 대중과 유리될 수 있음을 경계하는 작가의 메시지는 너무나 중요하다. 다만, 문제는 지성수가 장인하가 될 수 있는가이다. 다시 말해 ‘국가의 지배장치’가 되기를 욕망하는 한에서, ‘국가의 적’이었던 5.18의 신체가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5.18은 국가의 ‘외부’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8세기 圃隱家門 繼後의 정치사회적 의미

        김학수(Kim Hak-su)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이 글은 영일정씨 포은 鄭夢周 가문의 가계계승의 난맥과 그에 따른 진통의 실상을 잘 보여주는 <乾隆元年六月日禮曺立案)>(1736: 鄭夏濟繼後立案)의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계후의 한 양태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짚어보는데 목적이 있다. 圃隱家門은 숙종 연간에 접어들면서 직계 자손들의 거듭된 단명과 무후가 반목되면서 가세가 크게 위축된 것 같다. 정몽주의 11세손 鄭纘光(1650∼1676)에서 14세손 鄭亮采(1734∼1811)에 이르는 4대 동안 무려 3차례의 출계ㆍ입양이 이루어진 점은 17∼18세기 가계계승상의 어려움을 잘 반영하고 있다. 포은가문의 계후에는 계후 대상자의 물색과 선정, 대 국왕 건의, 立案의 발급에 宋時烈ㆍ閔鼎重ㆍ崔錫鼎ㆍ吳命恒ㆍ李縡ㆍ金在魯ㆍ宋寅明 등 서인[노론 및 소론] 기호학파의 중진들이 깊이 개입하고 있음이 특징이었다. 이것은 포은가의 계후가 家的 영역에서 하나의 정치사회적 현안으로 확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인 동시에 정몽주에 대한 追尊 및 계승의식을 강조함으로써 권력의 기반을 강화하려 했던 서인계, 특히 老論들의 정치적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었다. This work examines an aspect of adop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ts meaning by an analysis of Certificate issued by Ministry of Rites in 1736 (乾隆元年六月日禮曺立案) which shows well the reality and chaotic conditions of adoption in the Poeun Jeong Mong-ju family of the Yeongil Jeong Family. The fortune of the Poeun Jeong Mong-ju family has declined significantly by the era of King Sukjong due to repeated short life and continuous sonlessness of the direct descendants, and the fact that there were 3 incidents of adoption for 4 generations between Jeong Chan-kwang(1650-1676), the 11th descendant, and Jeong Yang-chae(1734-1811), the 14th descendant of Jeong Mong-ju, well reflects the chaotic conditions in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in the adoption in the Poeun Jeong Mong-ju family, leading figures of the Giho School of the Westerners like Song Si-yeol, Min Jeong-jung, Choi Suk-jeong, Oh Myung-hang, Yi Jae, Kim Jae-roh, Song In-myung were deeply involved in the form of searching for and selecting the candidates for adoption, making propositions to the king, and issuing certificates. This means the adoption in Poeun Jeong Mong-ju family expanded from an affair in a family to a political and social question. At the same time, it was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strongly reflected the political positions of the Westerner school, particularly the figures who belonged to the Old Doctrine, who tried to consolidate their hold of power by emphasizing the reverence for Jeong Mong-ju and the sense of succession of the family.

      • KCI등재

        니산(尼山) 남정찬(南廷瓚)의 삶과 지향 - 의령 사족으로서의 위상과 관련하여 -

        김남이 ( Kim Nam Yi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이 논문은 경남 의령 지역 사족인 尼山 南廷瓚(1850-1900)의 문학의 특질과 지역사에서 위상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만큼 남정찬의 연대기를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둘째, 『니산집』에 수록된 시를 분석하였는데 그의 삶에서 경남 단성의 신안서사, 개인 정자인 유연정, 그리고 의령 남씨 가문의 공동공간인 경모재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곳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공간에서 남정찬은 가문의 당론인 노론의 春秋大義를 외치고, 사족으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학문적·윤리적 수련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였다. 중앙-서울의 정계와 학계에서 소외된 상태였지만 지역의 교유망을 충분히 활용하여 사족으로서 자기 책무를 향촌에서 다하고자 했다. 셋째, 『니산집』의 체재와 구성을 통해 의령 사족으로서 남정찬과 의령 남씨 가문의 위상을 추적해 보았다. 1950년대 중반 『니산집』을 편찬한 후손들은 작품배치를 통해 남정찬과 의령 남문이 노론의 자장에 여전히 속해 있음을 드러내었다. 그러면서도 문집은 영남 남인들에게 익숙하게 전수되어 오던 체재대로 편차하였다. 문집 구성 자체에서 남인의 체재와 노론의 지향을 모두 보여준 것이다. 이같은 자연스러운 혼효는 의령 지역의 학문적·사상적 특색이다. 이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영남의 사족들이 처한 환경이 만든 것이다. 즉 영남의 사족들은 몇 차례의 심한 정치적 굴곡을 겪으면서 중앙-서울의 학계·정계로부터 소외되었다. 조선은 일본이 침탈 야욕을 가시화하면서 외부 세력의 각축장이 되어 있었다. 이런 시대에 향촌사족으로 살면서 좁은 지역에서 당론과 당색으로 상호 대립·배제하는 것은 계층적 안정성에 심각한 위협이었다. 그래서 가문과 당론의 전통을 견지하는 한편, 한문학 전통 자산을 매개로 사족으로서 정체성과 동질성을 공유했다. 『니산집』은 그와 지역 사족의 생태적 삶의 조건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life and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Nisan Nam Jung-Chan who is sajok in Uiryeong, Gyeongnam and Nam Jung Chan’s status in history of mentality of Gyeongha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when Nam Jung-Chan lived was a period of upheaval in history of Korea and also a period of transition of civilization. Korean studies in the 20th century have described the history of this period centering on the metadiscourse in central-Seoul region. But the recognition that this does not reflect the actuality of history wholly is now shared sufficiently. This is proven by the fact that‘regionalism’ or ‘locality’is now an important topic in Korean studies and being addressed as practical research topic. This paper is a result of the study sketching the history of mentality of Gyeongnam region based on such problem recognition. The main data is 『Nisan Collection』 published by Nam Jung-Chan’s descendants in Uiryeong in 1955. The main contents of the bo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ronicle of Nam Jung-Chan was briefly summarized as he was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The life of an intellectual who had lived the period of upheaval of Daehan Jeguk in Chosun was reconfigured. Next, the poems in 『Nisan Collection』 were analyzed.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ce where he pursued and shared studies with teachers, friends, and juniors. The space that had an important meaning in his life included Sinanseosa(Danseong, Gyeongnam), hyanggyo of Uiryeong, Yuyeonjeong (Nam Jung-Chan’s private villa), and Gyeongmojae (community space for Uiryeong Nam family). In such spaces, Nam Jung-Chan professed Noron’s strong and conservativ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and expressed his willingness for academic and ethical training to have dignity as sajok. He tried to do his duty as an intellectual in the region where he was living by utilizing academic, blood-related, and regional networks although he is alienated from the political and academic world of Central-Seoul. In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sajok(or class that controlled farmers in rural community society in late Chosun Dynasty) in Youngnam region became alienated perfectly from the academic and political world in Central-Seoul after several serious political upheavals. Japan’s plot to invade the South Korea was realized and Chosun became the arena of the struggle among the external forces. Nam Jung-Chan kept his identity and family as sajok while living as an intellectual who adhered to the value of traditional era in Gyungnam region in that period and desperately tried to preserve the rural area that was his foundation of life. His literature shows this clearly.

      • KCI등재

        淸初 陸廷燦의 『續茶經』과 그 價値 ― 陸羽의 『茶經』과 관련하여

        강판권 ( Kang Pankwon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본고는 청나라 초기 육정찬의 『속다경』의 가치를 당나라 육우의 『다경』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했다. 본고에서 중국의 수많은 다서 중에서 『속다경』과 『다경』을 선택한 것은 두 다서가 중국의 차와 관련한 문헌을 집대성했기 때문이었다. 『다경』은 중국차의 시작부터 당나라 중기까지의 자료를 집대성했고, 『속다경』은 당나라 중기 이후부터 청나라 초까지의 자료를 집대성했다. 『속다경』은 『다경』의 체제를 그대로 모방한 작품이지만, 각 항목마다 다서(茶書: 차 관련 글), 문집(文集: 글을 모은 것), 지방지(地方志: 지방에 관한 기록), 기행문 등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수록했다. 『속다경』에서 언급한 자료는 중국의 차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고의 『속다경』에 대한 분석은 중국과 한국 및 일본의 차 연구의 기본이다. 따라서 본고는 다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한국의 차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Yuk Jeong-Chan’s(陸廷燦) “Second Book on Tea(續茶經)” in early Qing dynasty compared to Yukwoo’s(陸羽) “Book on Tea(茶譜). Both of books provide overall content of Chinese tea. Yukwoo’s “Book on Tea” has collected massive contents of tea from beginning of Chinese tea to Tang period. On the other hand, Yuk Jeong-chan’s “Second Book on Tea” has collected it from the middle of Tang period to early Qing period. The style of both books is quite similar to each other. Yuk Jeong-Chan’s book records various categories such as writing about tea, anthology, and chorography. The contents in this book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Chinese tea. Also this study provide a fundamental concept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tea. Up till now, Korean tea has not studied much yet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Korean tea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