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당의 환경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지충남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4

        본 연구는 환경문제의 점진적인 중요성 부각, 정당의 환경정책은 국가 환경정책의 근간을 형성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16대 총선에 후보자를 공천한 8개 정당을 보수와 진보정당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 정당을 환경주의와 생태주의의 틀 속에서 정당의 환경 강령, 기본정책과 선거 공약을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 희망의 한국신당, 민주공화국은 보수정당이다. 민주노동당, 청년진보당은 진보정당으로 분류되었다. 보수정당은 환경주의, 진보정당은 생태주의 환경관을 선호한다. 보수와 진보정당은 친환경적 공약을 제시하고 있지만, 분석 결과는 전망의 부재, 민감한 쟁점에 대한 무표명, 원내정당의 공약 다양성, 진보정당의 정책 취약성, 보수정당의 유사한 공약제시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정책정당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 수준의 변화에 비례하는 환경정책의 제시 둘째, 환경문제를 선거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는 선심성 공약의 철회 및 실행 가능한 정책과 공양의 제시 셋째, 소수정당의 차별화 된 환경정책의 제시 넷째, 정당은 정부의 비효율적·반생태적 환경정책의 추진에 대해 강력한 통제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Given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an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Parties' policies in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parties' environment policies. This research analyzes and classifies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platforms of the eight political parties fielding candidates in the 16th Congressional Elections into two broad categories.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and assesses their relative commitment to environmental issues. In broad terms, the Hannara Party, Millennium Democratic Party, United Liberal Democrats, Democratic People's Party, New Korean Party of Hope and Democratic Republican Party may be considered conservative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d the Korea Youth Progressive Party are progressive, Conservative parties prefer environmentalism, and progressive parties prefer to ecologism. Both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ave declared their affinity for public commitment to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the analysis shows no specific, concrete plans or policie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Further analysis reveals a variety of commitments within parties, weak policies of progressive party and similar public commitments of conservative party. Four points appear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 political party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First, That the party's environmental policies reflect the degree of public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e party cease to use environment solely as vote-generating mechanism during elections, and develop practical policies to which the public can commit. Second, That the party use the environment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parties. Third, That the party expose the inefficient and ineffective environmental policies of the sitting government.

      • KCI등재

        정책정당의 부침과 한국 민주주의 30년: 정책정당발전의 역사적, 이론적 제약과 한국정당의 변동

        장훈 한국정당학회 2018 한국정당학회보 Vol.17 No.3

        Party theorists have shared a normative attitude toward the notion of policy-based parties(pbp) for the last 30 years of Korean democracy. Yet such a normative view has not attained a substantive progress toward a policy-base parties due to two main reasons, historical legacy and problem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article focuses on, first, the historical legacies since the authoritarian era on the underdevelopment of pbp, in particular, the lasting impact of strong state-weak parties tradition in Korea. Specifically, Korean parties have had characteristics of personal leadership over party organization, fragile linkage to civil society, and inferior status against the omnipotent state since the authoritarian era. Second, theoretical efforts have not provided substantial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pbp. The so-called ‘strong-party perspective’ borrow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Western European parties which represented solid linkage between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focusing on class conflict structure. Such notion has turned out to be quite irrelevant in Korean realities of weak parties tradition. The concept of “intra-parliament parties” trie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trong-party perspective”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Korean parties after democratization. Yet even with enhanced relevance to Korean realities, “intra-parliament parties” has not been successful in producing meaningful research agenda. Recently, researches have flourished focusing on policy based voting behavior among the electorate. It means that political parties is strengthening its role of policy based electoral mobilization, only in very moderate and volatile senses. All this is calling for our efforts to revisit the notion of pbp, in the context of shrinking role of parties for democratic representation and legitimation. 민주화 30년의 기간 동안 정책정당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한국 민주주의가 당연히 지향해야 할 규범적 목표로 널리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정책정당이라는 목표는 한국정당의 역사적 배경과 정당이론의 문제들로 인해 30년간 큰 진전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이 논문은 먼저 정책정당의 발전이 지체된 역사적 배경으로, 권위주의 시대부터 이어져 온 강한 국가-약한 정당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주목한다. 민주화 이전부터 자리잡은 개인화된 정당 리더쉽, 시민사회와의 허약한 연결고리, 압도적인 국가에 대한 정당의 주변화 등은 민주화 이후에 정책정당의 발전을 크게 제약하였다. 또한 이론적 접근들 역시 정책정당을 뿌리내리게 하는 데에 충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서구의 경험에 기초한 강한 정당론은 차용된 규범성으로 인하여 한국 정당현실과의 적실성이라는 문제에 부딪쳤다. 한편 원내정당론은 한국 정당현실과의 적합성이 높았지만, 정책정당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질문을 충분히 생산해내지는 못하였다. 이어서 최근 활발해진 정책선거에 관한 분석들은 정당정치의 중심이 정책정당보다는 정책선거로 기우는 흐름을 포착하고 있다. 결국 정당이 시민사회와 정부를 연결하는 중심고리라는 정책정당의 관념은 변화해야만 한다. 정당은 여러 경쟁적인 대표기제들과 경쟁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서 정당이 기여하는 민주적 책임성과 반응성 역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변화를 이끌어 갈 구체적인 연구질문들의 생산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에서의 불평등의 정치와 정책 ; 한국의 정당은 불평등에 어떻게 대응했나?: 사회보장법, 비정규직보호법, 조세정책을 둘러싼 정당경쟁

        강병익 ( Byung Ik Ka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한국 정당의 정치행태를 이념과 정책경쟁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정당정치의 중요성은 정당의 정부구성을 중심으로 한 당파성 논의뿐만 아니라 입법과정에서 정책결정자 및 거부권자 역할의 유효성이란 측면에서 제고될 수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발현되는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대표성의 관점에서 대중의 선호를 공공정책의 전환시키는 제도적 장치로서의 정당은 이념과 정책의 차이를 통해 경쟁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구체적인 재분배정책을 통해 드러난 한국의 정당경쟁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국가복지에 대한 이념과 태도를 보여주는 사회보장기본법의 제정 및 개정과정에서 보수주의 정당과 자유주의 정당은 복지공급자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복지다원주의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노동시장정책, 특히 비정규직 보호법 제정과정에서 진보적 제3정당의 존재가 기존 정당체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선거제도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친노동적 문제의식을 갖는 정당의 출현과 제도화는 불평등 쟁점에 대한 경쟁성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복지자본주의 연구에서 권력자원론이 갖는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당정치의 역할과 위상의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함의하고 있다. 셋째, 앞으로 불평등 문제에서 소득재분배 기능과 복지재정 확보수단으로 조세정책이 갖는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재정정책은 그 동안 국가의 일방적 정책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어떤 복지국가를 지향할 것이냐는 경쟁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세정책 중요성이 정당 간 복지경쟁의 핵심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try to analyse that behavior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responding to economic inequality in terms of party competition. Political parties, as institutions for the translation of mass preferences into public policy, have competi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difference of ideologies and policies in inequality of capitalist system and representativeness of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se premises, the competi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showed several features in the relevant law making process. Firstly,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revising the Social Security Law of 1995 and 2012 that revealed the ideology and attitude for state welfare, we could find that the tendency for policies of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party to convergent pluralist welfarism which pursue various welfare provider. Secondly, The process of making the Irregular Labor Protection Laws, one of very important labor market policies, showed the importance of emerging left-wing party on inequality problem. It point out that the form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ro-labor party may help to solve the inequality problem in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despite of the constraint of electoral system. It connote that the theory of power-resources still has importance in Korean political situation although having many limitation in welfare capitalism studies. Finally, it will be hliglighted that the importance of tax policy as income redistribution vehicle and tool for increasing welfare budget. In Korea, the fiscal policy had been belong to the central government area. But, from now on, in party politics, we can anticipate the change of welfare debates from which welfare state we pursue to competition for tax policy that support the expansion of welfare state.

      • KCI등재

        한국 정당정책연구소와 독일 정당재단의 역할과 특징: 2005년 한국정당정책연구소의 성과와 문제점을 줌심으로

        신두철 한국유럽학회 2007 유럽연구 Vol.25 No.1

        Korean political parties call for special policy institutes, so that they may reform themselves to the ‘parties with policies’, and uphold stabilization of party system. On that line, they amended the Political Party Law and Political Fund Law in 2004, whereby establishing the institutes of policy of political parties. Korean institutes of policy of political parties have pursu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as German political party foundations do, and to take the role of ‘think tank’ as the U. S. institutes of policy do. German party foundations do not perform the function of institutes of political parties helping the activities of parties, but are absolutely independent political foundations, which are ‘intimate to the parties’. This research is aimed at reviewing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Korean institutes of policy of political parties in 2005, centered to the functional traits of institutes of policy of political parties. For the same purpose, I also reviewed German political party foundations. I believ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expand a horizon of research in political parties, in view that we can scarcely see the researches on Korean institutes of institutes of political parties. My conclusions are that Korean institutes of policy lack functions of forming agenda and analysing policies, as well as scientific assessment and analysis as professional groups on policy matters, and that they seem to exert little influence on parties' policy framing. In order to make up for such shortfalls, they should carry out medium- or long-term researches, instead of short-term researches on on-going issues. At the same time, parties should develop their policies independently based on their own principle, rather than affected by temporal political environment or popular opinion, through which each party shall reinforce credibility and continuity of its policy. 한국의 정당이 ‘정책 없는 정당’에서 ‘이념정당’과 ‘정책정당’으로 변화함으로써 정당체계의 안정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별도의 전문적인 정책연구소의 설립이 요구되어왔다. 이에 일환으로 2004년도 정당법과 정치자금법을 개정하여 정당정책연구소를 설치하게 되었다. 독일은 이미 1925년에 사민당(SPD)에 밀접한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Friedrich-Ebert- Stiftung)이 설립되어 정당재단의 모범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독일의 정당재단은 소속 정당의 정당 활동을 돕는 정당연구소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당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정당에 밀접한’ 정치재단이다. 한국의 정당정책연구소는 일반적으로 독일 정당재단과 같은 ‘교육연수’ 기능과 미국 정책연구소의 ‘Think Tank’의 역할을 추구하여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정당정책연구소를 정책연구소의 기능적 특성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소를 성과와 문제점을 관찰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독일의 정당재단도 같이 살펴보았다.한국 정당정책연구소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전무하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정당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연구결과 한국의 정책연구소의 정책의제화의 기능과 정책분석의 기능, 그리고 정책전문가로서의 과학적인 평가와 분석이 부족해 보이며 정책과정에서의 영향력 또한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정책개발 분야가 특정분야로 편중되어 있는 점, 연구원의 정책개발 실적이 미비한 점 등을 개선하여 연구역량을 높아야 할 것이며, 또한 운영측면에서 전체 예산에서 불용되는 예산의 규모가 너무 많다는 점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책개발에 있어 현상적 이슈에 대한 단기적인 차원이 아니 중장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시에 정책개발이 일시적 정치 환경이나 여론에 의해서 휘둘리기 보다는 정당의 이념을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각 정당의 정책은 연속성과 신뢰성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ine empirische Untersuchung auf die Rolle und der Wandel der koreanischen Institute für Parteipolitik

        Du-Chel Shin 한독사회과학회 200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8 No.2

        한국 정당정치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정당정책연구소가 2004년에 설립되었다. 정당정책연구소는 정책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의제화(policy agenda setting) 기능을 수행하며, 정책혁신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정당정책 연구소는 정당의 정치이념을 정책과정에 구현하고 위해서는 정책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한국의 정당정책연구소의 활동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전체예산에서 정책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게 나타났다. 둘째, 정책연구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는 정책개발 실적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연구가 특정분야에 편중되어 있으며 연구기간도 중장기적인 연구보다는 단기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연구소의 활동방법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정당정책 연구소는 정책의제화의 기능과 정책분석의 기능, 그리고 정책전문가로서의 과학적인 평가와 분석이 부족해 보이며 정책과정에서의 영향력 또한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정당정책 연구소는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당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정책개발이 일시적 정치 환경이나 여론에 의해서 휘둘리기 보다는 정당의 이념을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각 정당의 정책은 연속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당정책연구소가 정당의 씽크 탱크(Think Tank)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연구 인력의 전문성이 더욱 강화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 좀 더 다양한 정책분야의 전문가의 충원이 요구된다. Dieser Beitrag setzt sich das Ziel, die Leistungen und Probleme der koreanischen Institute für Parteipolitik zu analysieren. Schwerpunktmäßig werden deren funktionsbezogene Eigenschaften untersucht und auch die deutschen politischen Stiftungen in die Betrachtung miteinbezogen. Der Verfasser hofft, damit das Spektrum der Forschung über Parteien zu erweitern, zumal es bislang noch keine wissenschaftlichen Untersuchungen über die koreanischen Institute für Parteipolitik gibt. Das Ergebnis der Aktivitätenuntersuchung der Parteieninstitute zeigt, dass sie ihre Aufgaben wie Aufstellung einer politischen Agenda, Analyse von Politiken und wissenschaftliche Bewertung und Analyse in ihrer Funktion als Fachorganisation nur unzureichend erfüllen, so dass ihr Einfluss auf politische Prozesse als nicht besonders groß bewertet werden kann. Die objektive Bewertung des Einflusses der Institute ist eine Aufgabe für die Zukunft. Es mag zwar angesichts des koreanischen Politikumfelds als übertriebene Forderung klingen, aber damit die koreanischen Parteien sich eine Stufe höher zu Ideologie-Parteien und Politik-Parteien entwickeln können, müssen die Institute eine Führungsrolle übernehmen und die Forschungsergebnisse der Institute müssen als wichtige Grundlage in die Entscheidungsfindung und Politikbestimmung der Partei einfließen. In diesem Sinne ist das übertriebene Eingreifen der Partei in die Angelegenheiten der Institute bedauerlich, denn die eigentlichen Funktionen der Institute können dadurch eingeschränkt werden. Daher muss bei der Entscheidungsfindung Transparenz geschaffen und gewährleistet werden, und zwar durch die Zusammenarbeit mit der Zivilgesellschaft, mit verschiedenen Gruppen von Fachleuten und den politischen Netzwerken der wissenschaftlichen Kreise. Diese Institute sollten keineswegs von Partei-Funktionären als 'Revolving Doors' genutzt werden.

      • KCI등재

        지구화시대의 정당정책연구소 모델과 전략 :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 정치재단과의 비교관점에서

        신두철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3

        21세기 급변하는 지구촌시대에서 정당정책연구소는 국가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정책대안을 만들어내는 핵심기관으로 자리 잡어야 한다. 선진국들은 예외 없이 역량이 출중한 싱크탱크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정책정당'으로서 변화하고 정당체계 안정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싱크탱크로써 2004년도에 정책연구소가 설립되었다.하지만 우리나라 정당정책연구소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독일은 현대 독일의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데에 있어서 정치재단(Politische Stiftung)은 싱크탱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또한 국제사회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그리고 정당민주주의의 바람직한 정치모델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받고 있다.연구결과 한국의 정당정책연구소도 독일 정치재단처럼 당원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정치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치권 및 사회전반의 정치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독일의 정치재단과 같이 특정영역에 대한 자료관을 구축하고 연구역량을 집중하여야 할 것이다. 정책연구소간의 네트워크를 형성. 강화하여 정기적으로 사회 주요 정책 사안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정치적 이념을 공유하는 다른 나라의 정당연구소와 정치재단 등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정책연구소의 국제교류 강화와 네트워크 형성은 대한민국의 국가이미지를 강화시키는 역할도 맡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제교류재단의 일부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책개입의 사회적 정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이해영 ( Hae Yo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3

        개인의 자율적인 판단이나 결정과 행동에 국가가 개입하거나 간섭하는 국가개입주의는 사회과학의 영원한 숙제의 하나이다. 특히 정책을 통한 국가개입인 정책개입과 그의 정당성은 정책학이나 정치행정학 등에서도 중요한 연구과제로 취급되고 있다. 그래서 정책개입을 정책현장에서 정책을 실천하고 집행할 때의 정당성으로 정책의 수용과 실천에 초점을 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개인적 수준이 아닌 사회적 목적과 선의나 정의를 위한 사회적 정당성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특히 정책개입의 정당성은 정책 그 자체의 정당성이 아닌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수용되는 국가행위의 정당성으로 사회적 정의의 감정이나 도덕적 판단작용이 강한 규범개념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따라서 정책개입의 정당성을 정책의 내용과 목표 및 수단 등이 정책의 존재가치를 사회적으로 정당화시킬 수있는가 하는 것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그의 준거기준으로 사회적 선, 사회정의, 사회의 안녕과 질서, 사회적 건강과 행복, 국가의 경제적 이익 등으로 제안해 보았다. 이와 같은 준거기준을 정책현장에 적용하여 정책개입의 정당성을 경험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와 차원을 제안하는 기초연구이지만 정책을 위한 수단적 차원의 이해를 위해서 몇 가지 사례를 예시하였다. State interventionism to the individuals’ autonomous judgment and decisions has been a challenging arguments in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In policy studies, policy interventions and/or interferences to the citizen’s freedom and self-interested decisions have also been argued b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pinnings. More specifically, the reasons that the state-policy interventions are justified have dominated the issues of policy-oriented intervention. In this paper, by confined to the definition of the state policy intervention, the justifying activities in implementation realities to the acceptability and accommodation by policy targets, the socially agreed and accepted justifications not by individually interested and motivated must be explained to the policy domains and arenas. Thus, five criteria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se socially admitted justifications are heuristically suggested by reviewing widely searched on statism and policy interventions in both western and oriental academic communities; social goodness, social justice, social order and stability(peace), social health and happiness, and national economic interest. In the thereafter studies, those articulated justification paradigms can me more scientifically verified in the policy fields.

      • KCI등재후보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도 정책변동에 대한 연구

        박용성,최성구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도의 정책변동 과정을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이론 검증과 정책변동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진정한 지방자치의 실현을 위하여 기초의회의원 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에 대한 존속을 주장하는「존속론 옹호연합」과 폐지를 주장하는「폐지론 옹호연합」간의 논쟁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대립을 중심으로 하면서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 변화와 이에 대한 논의, 각각의 옹호연합간의 정책신념, 논리, 갈등, 그것이 초래한 정당공천제 정책 변화과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기본적인 전제들이 대체로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으며,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를 둘러싼 갈등과 관련하여 유용한 분석틀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정치적 동기가 강하게 작용하는 사안에서 정책중개자가 제대로 역할을 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정당공천제의 정책변동이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의해서 발생한 것이라고 보기가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정당은 불평등에 어떻게 대응했나?: 사회보장법, 비정규직보호법, 조세정책을 둘러싼 정당경쟁

        강병익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28

        이 논문의 목적은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한국 정당의 정치행태를 이념과 정책경쟁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정당정치의 중요성은 정당의 정부구성을 중심으로 한 당파성 논의뿐만 아니라 입법과정에서 정책결정자 및 거부권자 역할의 유효성이란 측면에서 제고될 수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발현되는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대표성의 관점에서 대중의 선호를 공공정책의 전환시키는 제도적 장치로서의 정당은 이념과 정책의 차이를 통해 경쟁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구체적인 재분배정책을 통해 드러난 한국의 정당경쟁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국가복지에 대한 이념과 태도를 보여주는 사회보장기본법의 제정 및 개정과정에서 보수주의 정당과 자유주의 정당은 복지공급자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복지다원주의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노동시장정책, 특히 비정규직 보호법 제정과정에서 진보적 제3정당의 존재가 기존 정당체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선거제도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친노동적 문제의식을 갖는 정당의 출현과 제도화는 불평등 쟁점에 대한 경쟁성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복지자본주의 연구에서 권력자원론이 갖는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당정치의 역할과 위상의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함의하고 있다. 셋째, 앞으로 불평등 문제에서 소득재분배 기능과 복지재정 확보수단으로 조세정책이 갖는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재정정책은 그 동안 국가의 일방적 정책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어떤 복지국가를 지향할 것이냐는 경쟁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세정책 중요성이 정당 간 복지경쟁의 핵심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독일 정치재단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연구

        신두철 한독사회과학회 200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9 No.3

        본 논문은 독일의 정치재단(Parteinahe Politische Stiftung), 특히 현 여당인 기민당에 밀접한 콘라드-아데나워 재단을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정당정책연구소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독일 정치재단이 정당과의 독립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재단의 성격과 구성, 그리고 예산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둘째, 독일 정치재단의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정치재단과 독일의 민주주의 발전이 어떠한 관계에 놓여있는지 진단해 보았다. 셋째, 우리나라 정당정책연구소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정당정책연구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연구결과, 독일 정치재단은 정당 활동을 돕는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당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정당에 밀접한’ 정치재단으로서 정치이념과 정치교육을 통해 민주주의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독일 정치재단은 정당에 대해 법적, 재정적, 구조적으로 독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그 임무수행에 있어서도 개방성 및 정당에 대한 독립적이며, 스스로 책임적 있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또한 국가사회주의의 붕괴이후 현대 독일의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데에 있어서 정치재단(Politische Stiftung)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특히 정치재단은 독일정부의 위탁을 받아 개발도상국에서 과거 나치 독일의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국제사회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그리고 정당민주주의의 바람직한 정치모델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된다. 이에 비해서 우리나라 정당은 기존의 ‘정책 없는 정당’에서 벗어나 정책정당으로서 변화하고 정당체계 안정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2004년도 정당법과 정치자금법을 개정하여 정당 내에 정책연구소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책연구소에 대한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정당정책연구소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1)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정치교육의 실시, (2) 고유한 연구 영역의 확립, (3) 정책연구소간의 네트워크 형성, (4) 정책의제화 기능 강화, (5) 연구인력의 전문성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