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 경험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 재고(再考)

        장은영(JANG EUN 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본 논문은 전쟁 경험에 대한 종군작가단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을 재고하기 위하여 『전선문학』에 발표된 평론들과 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전선문학』은 종군작가단의 기관지였던 만큼 문학을 무기로 삼아 전시체제가 요구한 반공이데올로기와 조국애, 전우애, 적개심 등을 형상화하여 전쟁에 일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당시 종군 작가들이 보여준 전쟁에 대한 문학적 수용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었으며,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역시 전면적으로 전시체제의 요구에 순응하는 것이라 단정할 수는 없다. 문학을 도구적으로 보는 견해에 따르면 전쟁을 형상화한 작품은 전장에서 싸우는 군인들의 고통을 공감하고 위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문학 자체의 의의는 사라지고 문학은 오직 전쟁이라는 목적에 복무해야 한다. 여기서 한 단계 나아가 문학이 전쟁의 도구가 아니라 국가라는 관념의 도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전쟁의 경험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의 이상과 목표와 같은 관념이 더 우위에 있으며, 문학은 이러한 관념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입장은 승리 이후 도래할 국가가 그 자체로 절대적 정신이자 신성한 영혼이라고 봄으로써 국가를 초월적 대상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 정신의 심급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있다. 이와 달리 전쟁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입장도 있었다. 이 경우 체험한 것을 문학적 경험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형상화를 위한 시간과 거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완성도에 비중을 두고자 하였다. 전쟁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때 훌륭한 전쟁문학이 탄생할 수 있다는 관점은 전시체제의 요구로부터 문학의 독립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담론들을 전제로 전쟁 경험에 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은유를 통해 전장의 비극적 상황을 신성한 임무로 형상화하고 전의를 고취하는 작품들이다. 적을 살상하기 위한 무기를 애국적 인격체로 환원하는데 동원된 문학적 은유는 철저히 도구화된 문학의 전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전쟁의 목표나 궁극적 도달점인 국가라는 관념을 상징화한 수사적 형상화이다. 전쟁 이후 남한 사회가 건설하게 될 국가는 경험되지 않은 세계였기 때문에 구체적 이미지로 제시될 수 없었다. 따라서 전쟁 이후에 도래할 세계는 순수한 이상향으로 그려졌고 여기에 적합한 것이 바로 상징적 이미지이다. 이와 달리 전쟁을 자기서사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은 전쟁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를 중지하고 사건의 형상화에 집중했다. ‘나’라는 시적 주체가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겪은 일을 서술하면서 이해할 수 없는 비극적 상황을 드러냄으로써 전쟁의 의미를 회의하게 하는 작품들은 자신의 전쟁 경험이 하나의 의미로 수렴되지 않는 파편화된 경험이라는 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형상화 방법은 전쟁이 초래한 비극적 삶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환기하고 있으며, 전쟁문학의 의의가 무엇인가를 되묻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the discourse of War Literature and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focusing on Korean army magazine Geonseon Munhak. Geonseon Munhak is an official magazine of the militery service during the Korean War. So the magazine controled by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aimed at making emotional figuration like as love of one"s country, love of brothers in arms, animosity. At that time some writers published critics about how figure war experience as literatury works. First opinion is that consider war experience as a tool. According to this opinion, literature is useful tool for empathizing and comforting the soldiers who fight on the battlefield. Second opinion is that emphasize literary figuration of the war experience. In this instance war is considered literary material. To make war experience as a literary work, it takes time for literary figuration. Third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spirit and soul are superior to the actual war experience. For example the ideals and objectives of the war are predominant, so literature should pursue such ideas. On the basis of three discourse, I Interpreted poems in Geonseon Munhak focusing on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Configuration method dividied into three ways, first way is metaphor, second way is symbol, third way is self-narration. Metaphor and symbol as literary rhetoric is used for making figuration of ideal of the nation. Self-narration as literary rhetoric is expression method for that war is just fragmented experience. Today war literature that express fragmented experience raise awareness of the war against us. We should reconsider value of literary work in war time.

      • KCI등재후보

        “6.25”전쟁과 남북분단에 대한 성찰과 문학적 서사 : 중국문학과 조선족문학을 중심으로

        김호웅(Jin Hu Xio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1 No.-

        “6.25”전쟁이 터진지 지 60년이 되고 휴전이 된지도 57년이 되었지만 이 전쟁의 당위성에 대한 중국정부 측의 견해에는 거의 변함이 없다. 민간에는 이 전쟁의 정의성 여부, 중국의 득과 실 등에 대해 찬반양론이 엇갈리고 있지만 미국의 일방주의논리에 의한 패권주의가 지속되는 한 이 전쟁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접근, 역사적 반성은 유보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정치적인 상황은 문학의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하는 멍에의 구실을 하고 있다. “6.25”전쟁은 중국문학에 “항미원조문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열게 했다. “항미원조문학”은 중국 당대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인정된다. 이 전쟁 초기부터 중국정부는 전국 군민을 단결해 전쟁의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중국 문인들의 협력을 요구했고 중국문인들도 무조건 정치성을 우선적인 자리에 놓고 중국인민지원군과 후방의 인민들이 보여준 애국주의, 국제주의, 혁명적 영웅주의정신을 찬미하는데 주력했다. 1978년 나온 위외의 『동방』은 이러한 정통적인 문학관을 대변한 작품이며 “항미원조전쟁”의 전반 과정을 예술적으로 집대성한 대작으로 평가된다. “항미원조전쟁”에 대한 새로운 탐구는 이 문학의 초창기부터 싹텄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쟁 에 의한 아름다운 것들의 소실, 즉 전쟁의 비인간성을 고발한 로령의 「저지대에서의 ‘전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로령의 “온정주의(溫情主義)”는 “항미원조전쟁”의 현실과 저촉되고 군민의 의지와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었으므로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된다. 이는 “항미원조문학”의 한차례 좌절이라고 하겠다. 새로운 역사시기에 와서 “6.25전쟁”에 관한 중국문학은 새로운 탐구의 조짐을 보인다. 작가들은 전쟁과 평화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하며 전쟁으로 인한 인간 운명의 변화, 보통 사병의 정신적 아름다움과 그들의 실존적 고뇌를 다루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냉전체재가 여러 민족공동체에 얼마나 큰 불행을 몰고 왔는가를 고발하면서 항구적인 평화를 갈구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6.25”전쟁을 다룬 중국소설도 점차 세계의 반전평화문학과 대화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쟁문학의 공동 분모를 찾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중국정부 측의 공식적인 입장과 엘리트 및 문학자들 사이에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족문학은 주로 장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 단편소설의 형식으로 “6.25”전쟁과 남북분단의 아픔을 다루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중국의 주류문학에 비해 훨씬 더 깊이 있는 반성과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 작품들은 “6.25”전쟁을 동서냉전체재의 대립에 의한 대리전쟁이고 그것은 동족상잔의 참극이었으며 이에 참여한 자신들을 두고 깊이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랜 분단에 의해 이질화된 남과 북, 그리고 연변의 모습을 생생하게 증언함으로써 인문학적 통합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만남과 대화,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해 혈육의 정에 바탕을 둔 통합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lthough it has been 6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6.25”war and 57 years since the ceasing of the war, it has been consistent view of Chinese government that the war was righteous. There are two opposite opinions on the justice of the war, and on the gain and loss of China among civilians. However, unilateralism caused by the hegemony of the US prevents various perspectives and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war. Such political situation confines freedom of literary expression. “6.25” war opened the new field in Chinese literature--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Concerted efforts of Chinese intellectuals are necessary in order to gain the victory of the war. Chinese intellectuals put political issues at the first place and wrote literary works praising the patriotism, internationalism and heroism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Chinese people. Wei Wei’s Orient published in 1978 is not only the representative work, but also the artistic integration of the process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exploration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from new perspectiv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literature. Lu Ling’s the Campaign on the Depression is an important work, exposing the inhumanity of the war which destroyed the beautiful things. However, it was criticised for its “excessive tenderheartedness” which was conflicted with the reality and shook the will and morale of the soldiers and civilians. So it can be seen as the setback of 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literature regarding “6.25” war demonstrates new aspects in the new era, The authors reconsiders the issue of war and peace, and in their works, they deal with man’s change of fate because of the war, and spiritual beauty and existing affliction of ordinary soldiers. Especially, they expose the misery brought to national community by the Cold War after the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eir yearning for permanent peace. In this regard, Chinese novels concerning “6.25” gradually have dialogue with world’s anti-war literature and seeks for common features with the new war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concerning the war,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Chinese elite and authors. Literature of Korean Chinese deals with the pain of “6.25”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n the form of short stories other than novels. In spite of its limitation, it shows deeper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comparing with main stream Chinese literature. Some works points out that “6.25” war is only the substitute of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it is the war among its own people. The authors reflect on the fact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war. The works depicts vividly heterogenized North and South Korea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over a long period, and they also give a vivid picture of the phase of Yanbian. In this way, they call upon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from the humanity perspective . They seek for a way of integration on the basis of blood ties through repetitive meetings and dialogu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 KCI등재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이상경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8

        Hino Asihei's Mugi to Heitai (Barley and Soldiers) was translated into more than 20 languages at the time. Hino Asihei published the work while participating in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erving as a soldier. In the colonial period, the Joseon Governor-General, planned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work, and it was translated by a veteran Japanese cens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situation. This study revealed its reasons and meaning with a critical mind on this exceptional situation. In colonial Korea, the Korean writers did not intend to translate such war mobilization literature. That's why a Japanese censor was forced to translate it under the title Boriwa Byeongjeong. This book was also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sold at a low price. This is an indirect resistance by writers. It is the pages related to war literature in the Journal Munjang that revealed the traces of this resistance. Founded in February 1939, the Journal has continuously organized a special "War Literature Anthology." There were some reportage, mainly written by Japanese writers, which has been excerpted and published. Although the number of works was small, the Journal also put in some war-related articles written by Chinese writers and an introduction to China's anti-war author's recent situation. There were some articles which claim to be anti-war or non-war literature that intentionally avoids any connection with war. This is a few evidence that Munjang have been to avoid being mobiliz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repressive literary policy. 이 논문은 히노 아시헤이의 중일전쟁 종군기인 『麥と兵隊』가 당시 세계 20여개 국어로 번역되었는데 식민지 조선에서처럼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가 번역 출판을 기획하고 조선총독부의 노련한 일본인 검열관이 번역을 맡아서 출간한 예는 없다는 데 주목하여 그 이유와 의미를 밝혔다. 미국에서 출간된 영어본은 펄벅의 부정적 서평을 일본 신문이 긍정적인 것으로 왜곡 소개하면서 ‘세계성’을 입증하는 데 이용되었다. 중국어본은 중일전쟁의 현장인 상해에서는 전쟁의 실상과 적군의 동향을 짐작하는 자료로 번역되었고 일본 제국의 비공식적 식민지였던 만주국에서는 국책 기관의 기획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번역을 잘할 수 있는 일본 유학생 출신 문인이 많이 있고 경영난을 겪고 있던 출판사 역시 많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검열관이 『보리와 병정』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것을 조선총독부가 직접 발행하여 염가로 뿌렸다.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는 것, 당시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이 이런 전쟁동원문학의 번역에 나서지 않고 우회적으로 저항하고 있었기에 할 수 없이 조선총독부와 검열관이 나서서 번역 출판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한글본 『보리와 병정』이 동아시아 문학에서 가진 독특한 위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저항의 흔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장』지의 전쟁문학 관련 지면이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무한 삼진도 함락된 후인 1939년 2월 창간된 『문장』지는 ‘전선문학선’ 특집을 이어갔는데 히노 아시헤이의 「土と兵隊」, 「花と兵隊」의 일부를 비롯하여 일본 작가의 종군기, 전쟁보고문학을 조금씩 발췌 소개하면서 거기에 슬쩍 중국쪽 작가가 쓴 전쟁 관련 글을 끼워 넣었다. 또 『보리와 병정』을 기화로 벌어진 ‘전쟁문학’ 논의를 빌어 중국의 ‘반전(항일)’ 작가의 근황을 소개하거나 훌륭한 전쟁문학이란 반전문학이거나 아예 전쟁과의 관련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비전(非戰)문학이라는 식의 전쟁문학론을 싣기도 했다. 『문장』이 ‘순문학’, ‘조선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억압적 문예정책에 동원되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피하려고 했던 하나의 증거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마산의 문학매체와 『낙타』

        한정호 ( Jeong Ho Ha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29 No.-

        1950년대 우리문학은 한국전쟁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위에서 전개되었다고 하겠다. 지금껏 전쟁문학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지역문학적 차원에서의 전쟁기 문학담론, 이른바 후방 체험에 바탕한 피난지 문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피난지 지역문학의 됨됨이에 대한 이해야말로 전쟁기 우리문학의 실상을 제대로 비춰줄 수 있는 까닭이다. 한국전쟁기 부산?대구지역과 더불어 주요 피난지였던 마산은 문단의 재편에 따른 새로운 문학환경을 조성했다. 그 당시 마산은 피난 문학인의 유입으로 말미암아 지역 문단뿐 아니라 문학 환경이 다변화되면서 지역문학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특히 마산은 피난지 문단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매체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이른바 많은 문학인들의 저서 발간과 동인지 활동을 들 수 있다. 이에 글쓴이는 먼저 한국전쟁기 마산의 피난지 문학에 대한 실증적 작업으로써 가능한 여러 자료를 통하여, 마산문학의 전통과 자산을 고찰한다는 입장에서 접근했다. 이를 위해 한국전쟁기 마산에서 활동한 문학인들의 면모와 매체 발간, 그리고 문총(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마산지부의 결성과 활동, 특히 동인지 『낙타』의 됨됨이를 통해 마산문학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애썼다. 먼저, 한국전쟁기 마산문단은 문학인들이 대거 피난생활을 하게 됨으로써 풍성한 문학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피난지 마산의 경우, 문단 재편과 새로운 문학환경을 조성했다. 문학인들의 활동과 더불어 개인 저서와 많은 동인지의 발간 등의 매체활동이 그것이었다. 한국전쟁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면 피난지 마산에서 이루어졌던 문학인들의 저서와 매체 발간은 마산의 소중한 문학자산을 이루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한국전쟁기 지역의 문화예술인들로 결성된 문총 마산지부의 활동은 피난지마산의 문학사회 형성과 전개에 중요한 몫을 맡았다. 이와 관련하여 문총 마산지부에서 펴낸 동인지 『낙타』 제2집을 대상으로 서지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로써 한국전쟁기 마산문학사에서 중요한 사실과 정보를 갈무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글은 한국전쟁기 피난지 마산에서 이루어진 지역문학의 지형도, 이른바 문단의 재편과 문인들의 진퇴과정을 통한 문학의 다양한 역장을 찾아가는 작업이라 하겠다. 이 글을 통해 한국전쟁기 피난지 마산의 문학전통과 자산을 이해하는 데 하나의 디딤돌로 마련되기를 바란다.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get accomplished on special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War. So far, The literary study of war period has been made very often. However, literary argument during war on regional literary dimension, what is called, the study of refuge literature on the rear experience was inadequacy. The reason understanding on character of regional literature in place of refuge was that the real facts of Korean Literature during war was shone. The major refuge Masan together Pusan Dagu region in Korean War period created new literary surroundings following reorganization of literary circle. Masan during Korea war brought revitali zation of regional literature by diversification not only regional circle but also literary surroundings because of the influx of refuge literature. especially, Masan go ahead variety media activity with literary circle in refuge forming. what is called, gave an example with publication of many writer`s work and coterie activity. The Writer approach on situation inquiring tradition and asset of Masan literature through various materials as a possible with positive works on refuge Masan literature during Korea war. In order to this facts, organization and activity the Masan branch of the national literary federation, Appearance and publication of literary media of activiting letters in Masan during Korea war, especially the special of Masan literature through character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Nakta(낙타) hard work to make clear. First of all, during Korea war, refuge circle of Masan went to meet the period of prosperity with a man of letters refuge activiting. Masan in refuge formed reorganization of literary circle and new literary surroundings. Medium activity, the publication of writer` work and literary coterie magazine with activity a man of letters told you so. On considerate particularity in Korea war, medium activity and the publication of writer` work forming in Masan region made valuable literature asset. The next, during Korea war, formation and unfolding of literary society of refuge Masan received in trust definitive portion with the Masan branch of the national literary federation of activity gathering as regional culture artists. In despite of seeing complete fac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Nakta(낙타) in the Masan branch of the national literary federation, around the second, watched feeling distinctive quality. With this, could finish important matter and information in history of Masan literature during Korea war. In accordance with, This article kept particularly in meaning special feature of literature through advance and retreat process of letters and in reorganization of literary circle, topographic map forming in refuge Masan during Korea war. Through this article, we wished preparation steppingstone in understanding of culture tradition and asset of Masan in refuge Masan during Korea war.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 하의 문학자와 일본문학보국회, 그리고 전쟁책임

        오성숙 한일군사문화학회 2020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0 No.-

        This paper examines what an effect the Patriotic Association of Japanese Literature launched at the moment in which the Chinese-Japanese War was extended to the Asian/Pacific War had on literary men, literature and the literary history. First, the success of the Patriotic Association of Japanese Literature’s project was thought to depend on the establishment of imperial literary men’s world views, since the nurture of stubborn imperial literary men, who had psychological effects on people, would determine victory or defeat of the Asian/Pacific War to be developed. Second, ‘Japanese Mother Commendation Movement’ and 『Japanese Mother』 indicated that epochal genres including dispatch-, reporting- and rear-literature were formed. Such literary genres reflecting a certain epoch surfaced sharing the sweets and bitters of life with people who remained in the rear as a literary value. Third,『Standard Japanese Literary History』published in the midst of the war can be found to give ground for imperial literary men’s war-cooperative literary activities by encouraging literary men to newly establish literary values, and therefore securing the legitimacy of Japanese literature. 본 논문은 중일전쟁이 아시아・태평양전쟁으로 비화되는 시점에 출범한 일본문학보국회의 활동이 ‘문학자(文学者)’, ‘문학(文学)’, 그리고 ‘문학사(文学史)’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첫째, 일본문학보국회 사업의 승패는 황도문학자의 세계관 확립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국민의 정신적 영향력을 미치는 황도문학자의 양성이야말로 아시아・태평양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일본의 어머니 표창 운동’과 『일본의 어머니』에서는 특파문학, 보도문학, 총후문학이 새로운 시대적 장르로 부상하는 한편, 총후 국민과의 동고동락을 문학의 가치로 삼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한창 전쟁 중에 발간한 『표준일본문학사』는 문학자로 하여금 문학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게 함으로써, 일본문학의 정통성을 확보하여 황도문학자의 전쟁협력적 문학활동에 근거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본문학보국회의 활동에서 볼 때, 일본문학보국회는 전쟁 동력의 추진체로서 동료 문학자의 문학보국을 서로 독려하게 하고, 문학으로써 총후 여성, 총후 국민을 견인하도록 이끌며, 『표준일본문학사』의 집필을 통해 전쟁협력적 문학활동의 명분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전쟁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쟁문학론의 전개와 폭력의 내면화-식민지 말과 한국전쟁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장은영(Jang, Eun-Yo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한반도가 경험한 두 번의 전쟁, 식민지 말의 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은 전쟁의 시기와 주체가 다르다는 점에서 단절되어 있다. 그러나 근대 국가의 권력이 최대로 응집되었던 두 번의 총력전은 당시 문화인들의 인식에서 나타나듯이 연속적 사건이었으며 전쟁에 대한 문학적 대응에 있어서도 연속성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두 시기에 대한 문학사적 단절을 넘어서서 한국 전쟁문학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식민지 말 조선의 문인들이 전쟁문학론을 공론화하기 시작하게 된 계기는 일본의 보고문학 『보리와 兵丁』의 번역본 출간을 비롯한 박영희의 『전선기행』, 임학수의 『전선시집』 출간이다. 전장의 체험을 생생하게 담은 이 작품들은 이른바 보고문학이라고 명명되었고, 이에 대한 조선 문단의 반응은 두 갈래로 나누어졌다. 전쟁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조선인들에게 전쟁을 환기한다는 호평과 달리 보고문학은 예술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문학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며 전쟁을 소재화한다는 비판적 의견도 등장했다. 그러나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조선인 징병제 실시가 발표되자 징병제를 환영했던 일제 협력 문인들은 소극적인 태도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전쟁동원을 도모하는 결전문학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결전문학은 전쟁의 승리와 일본의 대동아공영을 위해서 문학을 비롯한 문화 활동이 국가에 종속되어야 하며 문화인의 창작 행위도 국가가 통제해야 한다며 강력한 국가주의를 드러내면서 문학의 도구화를 주장했다. 결전문학은 일본의 패전 그리고 해방과 함께 사라지는 듯 보였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전시 문단에서 되살아났다. 자발적으로 전시체제에 협력하고자 한 문인들은 전쟁 동원과 선전에 앞장서서 무기로서의 문학을 주장하며 결전문학의 논리를 펼쳤다. 그들의 즉각적인 전시체제 돌입은 식민지 말 총동원체제에 대한 경험 위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문인들은 식민지 시기의 보고문학을 비판하면서도 국가와 민족을 절대 이념으로 삼는 결전문학의 논리는 그대로 수용한 전쟁문학론을 펼쳤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막바지를 향해 가면서 전쟁문학론은 차츰 결전 의지나 전쟁 동원보다는 전쟁의 문학적 형상화 문제로 전환되었고 탈이념화의 목소리도 제기되었다. 문인들은 전쟁의 무기로 전락한 결전문학의 한계를 자각하고 작품성에 의구심을 품으며 전쟁의 문학적 형상화를 위해서는 전쟁에 대한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한국전쟁기에 국한된 전쟁문학론은 사실상 극단적인 국가주의를 근간으로 한 일본의 총동원체제 이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파시즘의 시대’였던 식민지 말의 전쟁문학론은 한국전쟁기 전쟁문학론에서 재생산되어 문학을 초월하는 국가주의로 나타났다. 여기에 국민 통합 이념으로써 반공주의가 결합하면서 전쟁문학은 개인을 국가에 종속시키는 데서 나아가 배제와 선별을 거친 인간, 즉 이념적으로 순수한 반공주의적 인간을 옹호하는 기형적 휴머니즘에 봉착했다. 전쟁문학론은 전시 기간에 일시적으로 등장했던 문학 담론이었지만 전쟁문학의 기반이 된 극단적, 초월적 국가주의는 다른 이념들과 결합하며 전쟁기 한국 문학장의 기저를 형성했다. Koreans remember two wars. But the two wars are remembered as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One is the Pacific War experien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other is the Korean War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ars have been denied and been considered different events. But the two wars are connected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But the two wars are connected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Especially in the literary realm, the two wars are linked. In fact, the starting point for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was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Pacific War. At t he e nd o f 1930s, a f ew t he K orean w riters w ho cooperativ e with Japanese colonial policy began discussing war literature after publishing Hino Ashihei’s Barley and S oldier(a Korean translation), Park Young-hee’s Jeonsun-kihang, Lim Hak-soo’s Jeonsun-sijip. These works, which are close to records, were called ‘Bogo-Munhak’. The reactions of the Korean writer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bout ‘Bogo-Munhak’. Some people think highly of ‘Bogo-Munhak’. while others say that ‘Bogo-Munhak’ does not guarantee artistry and literary value. When the conscription system for Koreans began in 1943,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began to shift to the fascism, extreme nationalism. Some Writers argued that literature should be subordinate to the state and the creative activities of cultural people should be controlled by the state. They argued that literature was needed to win the war. That is a ‘decisive warliterature’.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disappeared with the Korean liberation but was revived again as soon as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Korean writers wanted to be a cultural entity that actively cooperated with all-out efforts through the war. They accepte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the colonial era and advocated war-literature as a weapon. T he d iscourse o f war-literature e mphasized v ictory i n war and mobilization of war, focusing only on content rather than form. But as the Korean War neared its en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had gradually expanded its subject-matter to the literary formalty. Moreover writ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how would themselves make the nation after war. They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war-literature which had degenerated into weapons of war. The writers was able to distance literature from war at the end of the war. In a word the cultural control of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based on fascism an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also was based on fascism. Unfortunately, Korean writers reproduced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Korean War by imitating the discourse of war-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the violence of totalitarian national ideology and identity had spread to Korean war-literature.

      • 전쟁시집 고찰

        한경희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2

        국가의 힘이 반공이데올로기로 개입되자 문학적 자유조차 스스로 검열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고, 전쟁 현실에서 유익한 문학의 길이 무엇인가를 묻는 일도 그치고 만다. 이 고민에 이르자 문학인들은 종군을 통해 보고서 형식의 기행글을 쓰지만 엄밀하게 신문기사의 내용을 벗어나지 못한다. 결국, 전쟁문학이라 호명할 작품은 쓰기 어려운 현실을 토로하게 된다. 전선에서 있었던 인상적인 일을 기록하는 것과 그것을 통해 문학적인 재현을 이루어내는 일은 아주 다른 문제이며, 후자는 많은 시간과 특별한 문학적 글쓰기 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후자의 작업은 전쟁 현실 탓으로 시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한국전쟁을 대표하는 3대 전쟁시집 조영암의 󰡔시산을 넘고 혈해를 건너󰡕, 장호강의 󰡔쌍룡고지󰡕, 조지훈의 󰡔역사앞에서󰡕로 선택하였다. 세 권의 시집 가운데 조영암의 시집은 최초의 종군시집으로 분류될 만큼 전쟁문학에서 그 위상이 남다르다. 그의 전쟁시에는 전쟁의 진상과 전투와 죽음 등으로 빚어진 갈등과 고통이 다양하게 고루 잘 등장한다. 조영암은 시인의식을 강하게 투영한 개인 정서에 묶이지 않고 종군작가에게 요구되는 문학적 필요성을 정확하게 읽어냈다. 현역 대령 장호강은 쌍룡고지를 탈환한 승자이기에 전쟁의 승리의 대명사가 되었다. 모든 종군문학은 전쟁의 수단과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볼 수 있다. 전쟁문학으로서의 역할에 가장 충실한 시집은 장호강의 󰡔쌍룡고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집은 전쟁 승리라는 전공을 알리기 위해 시집으로 엮은 것으로 전쟁의 극한상황을 겪은 병사들의 실제 체험담을 듣는 일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철저한 반공의식으로 무장한 병사들의 체험 언어에는 승전 이외의 목표가 등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전승기념시집 최고 목적은 반공이데올로기 유포를 위한 것이다. 조지훈의 전쟁시에는 전쟁이라는 현실 앞에서 한명의 개인으로서 감내해야 했던 당혹감과 솔직한 심경의 흐름이 고백처럼 자세하게 드러난다. 강요되거나 선택된 이념이 전혀 없었던 것도 아니지만, 전쟁 앞에서 한 존재의 무게란 얼마나 가벼울 수 있는가를 충분히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시인으로서 전쟁을 수행한 그에게 조국과 국가를 향한 사명감은 과도하게 부풀려져 있지 않았다. This essay is written still now about korea war which do not solve a problem of war. Eventually, every a war literature turns towards a anti-war. It is not as like a war in the middle of battle fields. But It is only presents in process war at once disappears. Later a war, literature on war present tragedy of war. This essay focus on during war period creating war poems. How to do think about the relation of war and literature. To put in order this relation, literature is included by a war. A war encroach powerfully all culture. The most savage a war eats literature figure to fall weapon poem. War poem written in Korean war period is said Jong-Gun-Poem. This term is that poet who participates in war writes on war's experience and fighting sprit for winning war. Therefore war poem is similar as like a weapon. As if a soldier participates a war to have a weapon, war poet writing war poem purpose on winner later war. The goal of war poem is clear and accurate. Let's do think about the function and role of a war poem. The first, it gives soldiers to bravery during war time, and They are not afraid of the death in battle to fight militant stand. Exactly, a war poem is different from another literature works. Especially, a war poem is needed on a war time, and it's literary feature is an another issue. It is completed in nationalism of one side direction. It is not different the adminstration policy. A war literature is reflected the government measure. Different from another countries, korean government supports the writer following the army. The second, process to conduct war is necessary justification about a war. Soldier oneself seek to the center in the middle of battle field. A War collection of poem send the battle line to soldier to reading book. soldiers are a mental armament to read war poem. A Role of a war poem is relation to mental situation. The third, at the civilian a war collection of poem is war news. Many people is doubt their husband, father, son how to do fight on battle line. Of course everything person do not know personal news. But this news communicate a symbolic meaning to general person. For 1950-1953 war time, form to start a war to end it, war poem was read by soldiers. Mostly war poem emphasis to peace only south korea. Because of north korea provoking a war, It is always proper that south korea' countermove is right. And war works contained to regard north korea as a absolute robber. All most war work do not include korean war is proxy war. Simply two views only have on a war that south korea is a good people. This period writers became to much more soldier than professional poet. Although special poet go to a war area, the work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writer. All war purpose is same. Poem or literature is not exception.

      • KCI등재
      • KCI등재

        『전선문학』에 나타난 감정 정치

        김옥선(Kim Ok-Su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논총 Vol.25 No.-

        한국전쟁 발발 직후 대전으로 피신한 문인들은 ‘문총구국대’를 결성하여 종군하였다. 1951년 5월 대구에서 결성된 육군종군작가단은 연극 공연, 종군보고 강연회, 문학과 음악의 밤, 문인극 공연, 육군의 밤 방송을 실시하였다. 종군활동이 일부 지역 혹은 일부 문인들에 제한적이고 분산적이라는 인식 하에 좀 더 전반적인 실행을 위해 기관지 『전선문학』을 1952년 4월 창간하기에 이른다. 군 기관지 『전선문학』연구는 그간 전후문학으로 인식해 온 1950년대 문학의 편향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전쟁문학, 전중문학, 전시문학, 반공호국문학으로 연구되어 왔다. 『전선문학』에 게재된 작품들은 반공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과 고착 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군은 그 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종군문인들은 공산주의에 대한 적개심을 바탕으로 전쟁의 정당성을 역설하고 군인을 영웅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장병들의 정신력을 강화코자한 목적성을 띤 작품들을 내놓았다. 이무영, 박영준, 구상, 정비석 등 종군작가들은 휴전 후 반공이데올로기를 고착화시키면서 남한 문단을 재편해 나갔다. 따라서 『전선문학』은 남한 국민국가를 형성하는 강력한 이데올로기로서의 반공주의를 형성하고 확산하는데 적극적으로 실천한 매체인 것이다. 그러나 군 기관지로서 『전선문학』은 반공주의 이데올로기를 확산하고 고착하는 분명한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은 옳지만 반공주의로만 환원해서 볼 수 없는 지점들까지 포함하고 있다. 전쟁의 ‘감정’ 읽기는 『전선문학』을 포함하여 전쟁 중 생산된 문학들에 대해 반공주의라는 일관된 잣대로 평가해 온 데 대한 비판적 읽기이다. 전쟁 중 다양한 감정들이 고백과 반성, 순수의지 강조, 우월한 정신력 등의 통제 과정을 거쳐 위계화한 감정으로서의 반공주의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상태로서의 반공주의가 아니라 감정의 위계화 과정에 관심을 기울일 때, 침묵하는 사적 감정들이 통제의 그물망을 피해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종군작가단의 적극적인 활동 이면에 군 내ㆍ외부에서 종군작가단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들, ‘펜’을 들고 싸우는 종군의지를 꺾는 군장병들의 높은 문맹률이라는 주변적 상황은 물론, 자식을 군에 보내지 않으려는 부모의 마음, 상이군인을 바라보는 불편함, 호전적인 전방과 달리 전쟁이 하루빨리 끝났으면 하는 후방 사람들의 감정들이 그것이다. 따라서 『전선문학』을 선무공작에 의한 반공이데올로기라는 목적지향적인 매체로만 읽을 수는 없다. 특히 『전선문학』을 통해 당대 폐쇄적인 문학장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반성을 시도하는 작업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The magazine 『War Front Literature』 were reflected the ideology of anti-communism in the process and fixation. Campaign-Writers stressed the legitimacy of the war, and embodied the heroic soldiers. And they wrote works to strengthen the spirit. Campaign-Writers was the reorganization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Therefore, the magazine 『War Front Literature』 was the ideology of aggressive media, the formation of nation-state of the South Korea as a ideology spread of anti-communism. But the magazine 『War Front Literature』 is included point of view can not be only anti-communism. As opposed to an active of Campaigners, because the sentiments are that look at the negative attention of them, soldiers of the illiterate, parents like the army did not want, discomfort to look at the injured soldiers, the hope that the end of the war. When the magazine 『War Front Literature』 can not only read purpose-oriented media, we can seriou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about the literature-field closed on contemporary.

      • KCI등재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의 논리와 한계

        장은영(Jang, Eun-Young)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본고는 전쟁과 한국사회의 정치적 환경 그리고, 우익 문단의 정착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등장한 휴머니즘 비평의 논리와 한계를 성찰적으로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의 양상을 보면 첫째, 인간과 반인간이라는 이원구도 위에서 인간의 본질을 구현하는 순수문학의 또 다른 기표로 사용되었다. 인간의 영역에 휴머니즘, 순수문학, 민족문학을 위치시킴으로써 사회주의 문학을 비롯한 정치적 참여 문학을 반인간으로 치부한 김동리는 전쟁이 발발하자 문학이 전쟁을 위한 정신의 무기가 되어야 한다는 모순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인간과 반인간의 이원 구도는 전쟁의 무기를 자처하는 문학마저도 휴머니즘적인 순수 문학으로 간주하는 무차별적 선별조건으로 작동했다. 둘째, 행동적 휴머니즘은 전쟁 동원과 선전을 자처하며, 인간성을 배제와 포섭의 대상으로 삼았다. 곽종원 등이 주장한 행동적 휴머니즘은 반인간적인 것에 대항하는 실천과 행동이 곧 전쟁 승리라는 도식을 설정함으로써 휴머니즘을 도구화하고 전체주의적 논리로 나아갔다. 또한 내셔널리즘적 인간상을 새로운 인간형으로 내세움으로써 인간성을 개조의 대상으로 삼는 인공적 휴머니즘론으로 나아갔다. 셋째, 냉전질서를 세계체제의 보편적 이념으로 수용하는 매개로 등장했다. 미국 주도의 냉전체제가 내세운 휴머니즘을 여과없이 받아들여 공산주의를 견제하는 냉전 시대의 휴머니즘을 보편적 가치로 수용했다. 비평가들은 냉전의 질서를 따름으로써 한국사회가 보다 현대적인 면모를 갖추리라 기대했을 뿐 냉전체제 하 휴머니즘의 편향성을 직시하지는 못했다.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은 전쟁이 초래한 반인간적 폭력에 대항하지 못하고 전쟁을 방관했기 때문에 전시체제의 도구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그 한계의 이면에는 인간을 말살하는 전쟁이라는 실존의 위기가 있다. 이 위기에 대한 두려움은 적과 나를 이원화하고 적을 반휴머니즘적, 반인간적인 괴물로 수사화하여 인간의 범주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럼에도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이 전시의 충격 속에서 문학의 역할과 정신적 출구를 찾고자 한 시도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는 전쟁기 휴머니즘 비평은 전쟁기 문학장의 굴절상을 보여주는 한국 문학의 유산으로써 전쟁이 문학의 자율성을 통제했으며 인간과 인간성마저 왜곡했음을 보여준다. Modern Korean literature has developed a focus on humanism. Humanism is a concept that has many mean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research examined aspects of the criticism of humanity during the war.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riticism of humanity during the Korean war that relevant to this study. First, Humanism was used as another signifier of pure literature. Kim Dong-ri written on humanity, pur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field of humanity. As a result, socialist literature was considered anti-human and he made a quantum claim that literature should be ‘weapon of spirit’ for war. The two-way structure that is both human and anti-human was a criterion that considered literature, which had fallen into use as a weapon of war, as a purely humanist form of literature. Second, behavioral humanism justified the propaganda of war mobilization and used humanity as a target of both exclusion and inclusion. Behavioral humanism claimed that action against anti-humanitarianism is a product of war. Therefore it became the tool of humanity and was characterized by totalitarian logic. Third, some critics accepted the Cold War order as a universal ideology of the global system. They accepted the Cold War’s humanist spirit of acknowledging communism as a universal value. During the war, humanismcriticism failed to show anti-war sentiment and could not resist anti-human violence. Thus, the humanism-criticism during the Korean war is often criticized. Nevertheless, the humanism-criticism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is an attempt to find an outlet for oneself as well as literature amid the shock of war. It is a part of our literary heritage which reflect the reflexibility of our wartime literary field during times of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