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의료계 종사자들의 전자기장에 대한 위험 인식

        옥민수,임소윤,김화정,류현미,이나리,이무송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5 No.2

        Background: This study assessed the perceptions of healthcare staff of the health risks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s (EMF). Methods: In total, 328 healthcare workers (e.g., physicians, nurses, medical students, and paramedic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assessed the following: risk perceptions of 17 environmental factors as potential health threats; EMF sources; information for the potential risks of EMF; and thoughts on how to protect the public from potential EMF-related health risks. Results: Of the included environmental factors, high-tension power lines and mobile phone handsets were ranked as the second and fourth lowest perceived risk, respectively. Approximately 60% of respond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potential health risks of EMF and dis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they received. The main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The most frequently cited action was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the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on potential EMF-related health risks. Conclusions: Having scientific basis through well-designed researches and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o the public on the potential health risks of EMF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연구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계 종사자들의전자기장에 대한 위험인식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총 328명의 보건의료계 종사자들(의사직, 간호사직, 의과대학생, 의료보조원직)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17개 건강위험 요인에 대한 위험 인식 수준평가, 10개의 전자기장 배출원에 대한 지식 평가, 전자기장의 잠재적 건강위험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및 만족 수준, 정부가 전자기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취하고 있는조치에 대한 평가 및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한물음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결과: 응답자들은 총 17개 건강위험 요인들 중 고압 송전선과 휴대전화를 하위 16번째와 14번째로 건강위험이크다고 생각하였다. 응답자들의 60%는 전자기장의 잠재적 건강위험에 대해 걱정된다고 밝혔으며, 전자기장에 관련된 잠재적 건강 위험에 대하여 들었던 정보에 대하여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만족하지 못한 주된 이유는 전자기장에 대한 정보의 설명이 불충분하였기때문이었다. 또 응답자들은 정부가 전자파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전자기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검토하여야 한다고 밝혔다. 결론: 이번 연구의 결과를 활용했을 때, 전자기장의 잠재적 건강 위험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정확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 SCOPUSSCIEKCI등재

        EFFECT OF PULSING ELECTROMAGNETIC FIELDS COMBINED WITH ANTERIOR MANDIBULAR DISPLACEMENT ON CONDYLAR GROWTH IN THE RAT

        Yang,Sang Duk,Suhr,Cheong Hoon 대한치과교정학회 199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0 No.3

        전기적 자극에 의한 골성장기전의 개념을 이용하여 임상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현재 교정학을 비롯한 치과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전기적 자극의 여러 형태 중의 하나인 전자기장과 하악의 기능적 전방 이동을 유도하는 악기능교정장치가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생후 4주된 Sprague Dawley계 백서 48마리를 대조군 12마리, 실험군 36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다시 전자기장을 가한 군,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장착시킨 군,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시킨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12마리씩 실험동물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실험동물은 15HZ의 특수 전자기장이나 하악전방이동 장치가 하루 10시간씩 작용되도록 특별히 제작한 실험장치 속에 넣어 1주간, 4주간씩 사육하여 희생시킨 후 하악골을 분리하고 연조직을 박리한 후 10% formalin에 보관하였다. 하악골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0.05㎜까지 계측 가능한 캘리퍼를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후연에서 이공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하악과두를 절제하여 0.5M EDTA에 탈회시켜 파라핀포매를 하였다. 표본의 절단방향은 시상평면에 평행하게 하여 6㎛ 두께로 연속절단 하였으며, 그 중 중심의 3절편을 취하여 통법에 의한 H-E 중염색을 시행하였다. 하악골 계측과 H-E 중염색 표본을 통한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주군에서 전자기장만에 노출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악골 길이가 유익성 있게 증가되었다. 2.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한 실험군은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만을 사용한 실험군에 비하여 하악골 길이가 증가되었다. 3. 전자기장에 노출된 실험군은 전구 연골아세포(prechondroblast)의 증식, 비대연골 세포층의 세포간질 및 연골내 골화층의 석회화가 모두 증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15 HZ 전자기장의 주요 작용부위는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지역 중 연골내골화의 석회화 지역이며, 또한 이는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와 병용시 하악과두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 SCOPUSSCIEKCI등재

        EFFECT OF PULSING ELECTROMAGNETIC FIELDS COMBINED WITH ANTERIOR MANDIBULAR DISPLACEMENT ON CONDYLAR GROWTH IN THE RAT

        양상덕,서정훈,Yang, Sang-Duk,Suhr, Cheong-Hoo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199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0 No.3

        전기적 자극에 의한 골성장기전의 개념을 이용하여 임상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현재 교정학을 비롯한 치과영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전기적 자극의 여러 형태 중의 하나인 전자기장과 하악의 기능적 전방 이동을 유도하는 악기능교정장치가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생후 4주된 Sprague Dawley계 백서 48마리를 대조군 12마리, 실험군 36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다시 전자기장을 가한 군,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장착시킨 군,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시킨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12마리씩 실험동물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실험동물은 15 HZ의 특수 전자기장이나 하악전방이동 자치가 하루10시간씩 작용되도록 특별히 제작한 실험장치 속에 넣어 1주간, 4주간씩 사육하여 희생시킨 후 하악골을 분리하고 연조직을 박리한 후 $10\%$ formalin에 보관하였다. 하악골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0.05mm까지 계측 가능한 캘리퍼를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후연에서 이공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하악과두를 절제하여 0.5M EDTA에 탈회시켜 파라핀 포매를 하였다. 표본의 절단방향은 시상평면에 평행하게 하여 $6{\mu}m$두께로 연속절단 하였으며, 그 중 중심의 3절편을 취하여 통법에 의한 H-E 중염색을 시행하였다. 하악골 계측과 H-E 중염색 표본을 통한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주군에서 전자기장만에 노출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악골 길이가 유익성 있게 증가되었다. 2. 전자기장과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를 병용한 실험군은 하악골 전방이동장치만을 사용한 실험군에 비하여 하악골 길이가 증가되었다. 3. 전자기장에 노출된 실험군은 전구 연골아세포(prechondroblast)의 증식, 비대연골 세포층의 세포간질 및 연골내 골화층의 석회화가 모두 증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15 HZ전자기장의 주요작용부위는 백서의 하악과두 성장지역 중 연골내 골화의 석회화 지역이며, 또한 이는 하악골 전방이동 장치와 병용시 하악과두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강섬유를 원주방향으로 배열시킨 원통형 몰탈의 Double Punch 인장강도

        신선철,누르 인다 무카로마,문도영,박대욱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2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일반몰탈과 스틸슬래그 몰탈 내부에 혼입되는 강섬유의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배열시켰으며, 성능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Double Punch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강섬유를 원주방향으로배열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자기장 노출로 인한 강섬유의 배열조정에 따라 인장강도와 파괴 시 변형도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반면 파괴에너지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전자기장이 영향을 미쳐 강섬유의 배열이 조정되는 구간이크지 않은 문제와 사용한 강섬유가 직선으로 되어 있어 균열성장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문제를 보완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전자기장과 열하중을 받는 복합재료 평판의 압전제어에 따른 동특성 변화

        박상윤 ( Sang-yun Park ),송오섭 ( Ohseop Song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6

        본 논문에서 전자기장과 열 하중을 받는 복합재료 평판에 대하여 압전재료를 이용한 압전제어를 수행하였다. 구조물에 가해지는 전자기장과 열 하중, 그리고 구성방정식에서 고려되는 압전효과가 모두 포함된 지배방정식을 FSDT 판 이론에 기초하여 Hamilton 원리에 의하여 유도하였다. 평판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제어력과 제어 모멘트는 비례제어 및 속도제어 로직에 의하여 적용되었다. 전자기장과 열 하중, 그리고 압전효과가 복합재료 평판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 압전효과 및 복합재료의 섬유각 변화를 통하여 복합재 구조물의 동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Structural model of laminated composite plate based on the first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and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and thermal fields is established. Coupled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via Hamilton`s principle on the basis of electromagnetic and piezoelectric equations which are involved in constitutive equations. Proportional control and velocity feedback control logics are applied via boundary control moments and forces. Variations of dynamic chasracteristics of composite plate with collocated piezoelectric sensor and actuators, electromagnetic field and temperature gradient are investigated and it reveals that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utilizing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ply angl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 전자기장과 열하중을 받는 적층 복합재료 평판 구조물의 압전 진동제어

        송오섭,좌비,박상윤,김선홍,강성환,서정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전자기장과 압전효과를 받는 복합재료 적층판의 FSDT 구조 모델을 정립하였다. Hamilton 원리를 적용하여 전자기장과 구성방정식에서 압전효과가 연성된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압전재료의 직접효과와 역전효과를 이용한 비례제어와 속도제어 로직을 통하여 자유진동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전자기장의 크기와 온도구배, 복합재료의 섬유각 등에 의한 자유진동 특성의 변화 경향을 고찰하였다. Structural model of laminated composite plate based on the First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and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electromagnetic and piezoelectric fields is developed. Coupled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via Hamilton"s principle on the basis of electromagnetic equations and piezoelectric equations which are involved in constitutive equations. Proportional control and velocity feedback control logics are applied via boundary control moments and forces. Variations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plate with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 temperature gradient, plate dimensions and ply angles are investigated and pertinent conclusions are derived .

      • KCI등재

        미국의 송전선로 지중화와 공용수용

        허순철(Huh, Soon-Chul)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8 No.-

        소위 ‘밀양 송전탑 사건’에서 발생한 한국전력과 지역주민간의 갈등과 대립은 송전시설의 지중화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송전선을 가공선으로 설치할 때 발생하는 문제 들, 즉 송전탑과 송전선으로 인한 토지 사용의 제약과 토지 가치의 하락, 미관상의 문제및 전자기장 유해성 논란 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지중선의 설치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지중선은 가설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송전선은 대부분 가공선으로 가설되지만,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역 및 주거지역과 같이 가공선의 설치가 곤란한 예외적인 경우에만 지중선이 설치되고 있다. 미국 내 각 주는 일반 적으로 주의 공익사업위원회나 입지선정위원회에 지중선의 설치계획에 대한 승인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지중선을 비롯한 송전선의 설치를 허가하는 절차는 주별로 다양하지만, 송전선 설치의 필요성, 송전선이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미치는 영향, 송전선 설치 신청이 불승인될 경우의 대안 및 환경영향평가 등이 고려된다.지중선의 설치 계획이 승인되면 지중선을 설치하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범위에서 그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 즉 ‘선로권(right-of-way)’을 취득하기 위해, 송전사업자는 대상 토지를 매수하거나 대상 토지에 지역권을 설정하게 된다. 그런데 합의를 통해 지역권을 취득하는데 실패하게 되면 공용수용을 통해 공정한 시장가격(fair market value)을 보상하고 지역권을 취득하게 된다. 한편 송전선의 전자기장이 소아백혈병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야기한다는 주장이 과학적 으로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법원은 전자기장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만으로도 토지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보상금액을 산정할 때 이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실증적인 연구에 의하면 전자기장이 가공선의 경우 약 10퍼센트 정도 토지가치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지중선의 경우 어느 정도 토지가치를 하락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에는 각 주의 공익사업위원회가 송전선의 지중화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으 며, 지중선을 설치하기 위해 대상 토지의 수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정평가사의 평가를 기초로 법원이나 주정부의 위원회 또는 배심원단이 보상금액을 결정하고 있다.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nd the local residents surrounding the power towers and the transmission lines in the so-called “Miryang Transmission Tower Case” has been increasing public concerns ove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The line draws public attention as a remedy for the problems arising from installing overhead transmission lin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imitation on the use of land due to power tower and cable, devaluation of the property, negative aesthetic impacts and adverse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In the U.S., power companies have installed almost all power transmission lines overhead due to high cost of installation and difficulty of maintenance, except for urban area with high dense population and residential area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In general, every State authorizes public utility commission or siting council to permit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project. Although the process of permitting installation of transmission line, overhead or underground, varies state to state, public utility commissions usually consider the factors such as necessity of installation, impact on reliability,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etc.When a proposed project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is approved, a utility usually purchases the property concerned or establishes easement on it in order to obtain right-of-way that enables the utility to build the transmission line and to use the land for maintenance purposes. Then, when the utility fails to obtain easement through negotiations with landowners, the utility exercises eminent domain power to get easement by paying fair market value. In the meantime, it is not scientifically proved that electromagnetic fields cause disease including childhood leukemia, the courts usually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evaluation of the property caused by the fear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According to an empirical study, overhead transmission line causes a 10 percent or so decrease in value, but, until now, there is no literature about how much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lowers real estate value. In sum, in the U.S., state’s public utility commission regulates project for undergrounding transmission lines, and courts, state-appointed commission or jury decide what is just compensation for the property to be condemned according to appraisals’ valuation of the property.

      • KCI등재

        FEF 탐상법을 이용한 상자성체 표면결함 평가

        김훈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4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4 No.5

        전자기장을 유도하는 원리를 기초로한 새로운 비파괴탐상법인 FEF법을 개발하였다. 이 탐상법은 전자기장을 유도하는 유도신과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비접촉 방식으로 탐상을 실시한다. 본 연구는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강과 인코넬 합금강의 재료에 방전 가공한 결함에 대하여 결함 검출 및 결함 길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함이 없는 영역에서의 측정전압은 lift-off에 의존한다. 결함영역에서 텀촉자가 결함에 가까이 접근 할수록 전압은 증가하고, 결함위치에서 최고전압으로 측정되며, 이 최고치는 결함의 깊이에 따라 변화한다. 각 재료에 대한 전압분포는 같은 경향으로 측정된다. FEF(Focused Flectromagnetic Field) technique was newly developed that is based on the induction principle exciting eletromagnetic field. The technique consists of an induction wire and a sensor for detecting electronmagnetic field. and is applied in a non-contact mode. In this study, the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EDM slits in some conductive materials -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and Inconel alloy. The voltage in the non-defect region is depended upon the measurement life-off. The voltage signals on defects are measured with peak values, and the peak values changed with the depth of defects. The voltage distributions for all conductive materials are the same trend.

      • KCI등재

        솔레노이드에 의해 정렬된 강섬유가 휨파괴 거동에 미치는 영향

        이규필,문도영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6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장 노출을 통한 강섬유의 방향 정렬 방법이 휨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강섬유의 방향을휨공시체의 종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는 규모의 솔레노이드를 설계, 제작하였다. 설계강도 30MPa의 강섬유보강콘크리트 휨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전자기장에 노출한 공시체와 노출하지 않은 공시체로 구분하여 휨파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강섬유의 혼입률과 형상비로 하였다. 실험결과, 전자기장에 노출된 시험체의 휨강도, 최대하중에서의 개구변위가 미소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파괴에너지의 증가가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잔존강도의 증가가 파괴에너지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rectional alignment of steel fibers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on the flexural fracture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 speci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solenoid, capable of aligning steel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specimen, was employed for this purpose. Beam specimens with a design strength of 30 MPa were produced, and failure tests were conducted on specimens exposed to electromagnetic fields and those without exposure.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ed the mixing ratio and aspect ratio of steel fiber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revealed a slight increase in flexural strength and 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at the maximum load for specimens expos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Notably,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fracture energy was observed.

      • KCI등재

        축전 결합형 플라즈마원에 대한 전자기장의 2차원 공간 의존성 계산

        김용일,윤남식,Kim, Y.I.,Yoon, N.S. 한국진공학회 2008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7 No.5

        In this study, Two dimensional spatial profile of electromagnetic field for capacitively coupled plasma source is calculated. Based on one dimensional fluid equation, spatial profile for the axial direction of electric field and conduction current density is firstly calculated. The two dimensional spatial profile for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calculated from solution of Maxwell equation that is expanded to power series for ${\omega}r/c$ into the radial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축전 결합형 플라즈마원에 대한 전자기장의 2차원 공간 의존성을 계산하였다. 1차원 유체 방정식을 기반으로 축전 전기장과 전도 전류 밀도의 axial 방향 공간 의존성을 계산한 후, radial 방향으로는 맥스웰 방정식의 해를 ${\omega}r/c$에 대한 power series로 전개하여 전자기장의 2차원 공간 의존성을 계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