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악 무치악 환자에서 골이식술을 선행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안주남,이정진,서재민,김경아,An, Ju-Nam,Lee, Jung-Jin,Seo, Jae-Min,Kim, Kyoung-A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1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수복, hybrid 고정성 보철수복, 임플란트 유지 혹은 지지 피개의치 등이 있으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발음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보인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계획한 경우 발음, 심미, 구강 위생 등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수적이다. 진단 과정을 통해 파악된, 보철물이 필요한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prosthetic-driven)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치조골과 연조직 지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골이식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상실로 인해 치조골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치조골 증대술을 선행하고 임플란트 식립 후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rosthetic treatment using implants in fully edentulous patients includes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mplant hybrid prosthesis, implant retained- or supported-over-denture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has advantages such as psychological stability, pronunciation. If an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is planned, the implants should be placed in consideration of pronunciation, esthetics, and oral hygiene. For this, clinical and radiological diagnosis is indispensable. When placing the prosthetic driven implant at the site determined from the diagnosis, a sufficient amount of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support are required. If these requirements found to be insufficient, a wide range of bone grafting should be performed in advance. In this case, a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due to periodontal disease was treated with a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preceding maxillary sinus graft and alveolar bone augmentation. We report this patient were satisfied with esthetic and function.

      • KCI등재

        전치부 개방교합을 보이는 법랑질형성부전증 환자의 CAD/CAM system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이상훈,이양진,조득원,Lee, Sang-Hoon,Yi, Yang-Jin,Jo, Deuk-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4

        법랑질 형성 부전증은 유전적인 결함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약한 법랑질이 형성되는 질환이다. 이들 환자들은 이른 나이부터 진행되는 법랑질 마모에 의한 시린 증상과 비심미적인 치아를 주소로 치과에 내원하게 되며, 성장기 이후에는 전악 보철 수복을 통해 치아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회복해 주게 된다.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보여지는 전치부 개방 교합은, 구치의 교합면 마모 및 보상성 맹출에 의한 수직적 수복 공간 문제와 결부되어 보철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치 길이의 결정 및 교합 고경의 거상 여부, 전방유도의 설정은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근래에는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이용하여 진단 및 최종 수복으로의 이행이 용이해 졌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방교합을 가지고 있는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CAD/CAM을 이용한 전악 수복을 시행한 후,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melogenesis imperfecta characterized as abnormally formed enamel is caused by a defect of unique group of genes. Patients affected by this disease might have difficulties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due to non-esthetic teeth as well as functional problems caused by enamel detachment and tooth wear from their early ages. Adult patients with amelogenesis imperfecta can be treated with full-mouth restorations, which make functional and esthetic rehabilitations of severely worn tooth. However, the anterior open bite and lack of occlusal clearance for posterior teeth restorations due to compensatory extrusion are the intervening factors in the prosthetic treatment.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anterior tooth lengths, vertical dimension, and anterior guidance should be set carefully. Recently,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techniques help systematic approaches and enable dentists to reduce time-consuming procedur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ull-mouth rehabilitation.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the successful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a CAD/CAM system in a young adult patient with amelogenesis imperfecta and anterior open bite.

      • KCI등재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implant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이신언,이원섭,이철원,이수영,Lee, Shin Eon,Lee, Won Sup,Lee, Cheol Won,Lee, Su Young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1

        과도한 치아 마모는 수직 고경 감소를 초래하고 구강 환경과 저작계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수직 고경과 교합을 회복시켜주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75세 여성환자로 구치부 지지 상실로 인한 치아 심한 마모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재건 수복을 계획하였다. 정확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수직 고경 평가 후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고 임시보철수복을 통해 환자의 적응여부를 평가하였다. 최종 수복은 환자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으며 하악 좌우측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한 개씩 식립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를 보강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후 1년 간의 경과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Excessive tooth wear can lead to de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can cause pathological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and masticatory system. When recover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occlusion,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are essential. This clinical case describes a 75-year-old woman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due to loss of the posterior sup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crement was planned.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occlusal vertical dimension evaluation, and diagnostic wax-up were performed and patient adaptability was evaluated using provisional restorations. As for definitive restoration, considering economic condition of the pati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and solitary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left and right posterior region to increase support and retention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During one year of follow-up, functional and esthetic outcomes were observed satisfactory.

      • KCI등재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3D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한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김세영,신수연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3

        Severe wear of the anterior teeth facilitates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which protects the posterior teeth from wear during excursive movement. Additionally, when treating patients with collapsed occlusion due to multiple tooth loss and tooth wea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vertical dimension loss through accurate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and diagnostic wax-up. The patient of this case is a 44-year-old fe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overall tooth wear and loss of posterior teeth due to bruxism and clenching habits, visited the hospital with the address of restoring masticatory function and improving aesthetic appearance through prosthetic treatment. Through model analysis and diagnostic wax-up, an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was determined, and full mouth restoration with fixed prostheses was planne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vertical dimension was confirmed step by step using an occlusal splint designed with CAD (Computer aided design) software and 3-D (3-Dimensional) printed, and then restor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 and after a 4-month adaptation period, the entire dentition was restored with metal ceramic crowns and implants. Through this procedure, satisfactory treatment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function and aesthetics. 전치부의 심한 교모는 측방운동 중 구치부를 교모로부터 보호하는 전방유도의 상실을 촉진하며, 구치부의 상실은 교합의 부조화 및 수직고경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다수의 치아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교합이 붕괴된 환자 치료시에는 정확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진단용 왁스업을 이용하여 수직고경 상실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44세 여성환자로 이갈이와 이악물기 습관으로 전체적인 치아 마모 및 구치부 상실로 저작기능 및 발음, 심미적 불편감을 호소하였으며, 보철적 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 및 심미적 안모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상, 하악 구치부의 결손으로 감소한 수직교합고경 및 전치부의 심한 수직피개를 보였다. 모형 분석과 진단납형을 통해 수직고경 증가를 결정하였으며,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을 계획하였다. 안정된 치료위로의 적응을 위해 CAD (Computer aided design)소프트웨어로 디자인한 3D (3-Dimensional)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수직고경에 대한 적응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후 임시치아로 수복하여 4개월의 적응기간 후 전체 치열은 금속도재관 및 임플란트로 수복하여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치아 상실과 심한 마모를 보이는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증례

        김현탁,김명주,임영준,권호범 大韓齒科補綴學會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1

        Teeth wear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often leads to symptoms such as irregular occlusal plane and excessive wear of anterior teeth. In such environment, establishing proper posterior support and harmonious anterior guidance and occlusal plane is recommended. In this case, the patient had excessively worn dentition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while denying surgical treatment due to her(his) history of osteoporosis, ibandronate injection, and risk of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 To recover the vertical space needed for prosthetic restoration,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of remaining teeth was decided. Missing teeth in the posterior area were restored with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treatment plan was determined through careful diagnosis, and every step of procedures including tooth preparation, provisional phase with the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and definitive prosthetic phase were carried out accordingly. Once the treatment was completed, the patient was satisfied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Periodic examination of oral hygiene, occlusal stability was conducted. 구치부 치아 상실을 동반한 치아 마모는 불규칙한 교합평면, 과도한 전치부 마모와 같은 특징적인 양상을 보인다. 적절한 구치부 지지를 부여하고 조화로운 전방유도와 교합평면을 설정하는 치료 방법이 추천된다. 본 증례 보고의 환자는 치아의 병적인 마모가 관찰되고 하악 구치부 치아가 상실되었다. 또한, 골다공증 병력과 Ibandronate 주사 치료와 관련된 골괴사증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마모된 잔존치를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로 수복하고, 하악 무치악부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면밀한 진단을 통해 수복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대치 형성 후 임시 보철물 상태로 적응 기간을 거쳐 최종 보철물 제작하였다.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구강 위생관리 및 교합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내원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교합 고경이 감소된 보철물을 가진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정소미,김형섭,권긍록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4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보철 수복은 치과의사에게 큰 도전이다.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해 적절한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85세 남자환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 수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결과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었고, 안면 계측법, 발음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등의 수직교합고경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소구치 부위에서 4 mm 증가하기로 결정하였다. 진단 왁스업을 시행하여 가역적인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을 상, 하악에 장착한 뒤 임상적으로 심미, 발음, 수직교합고경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8주 후 마모가 심한 치아에 근관 치료를 진행 한 뒤 fiber post & core를 접착하였고, 치아를 삭제하여 비가역적인 고정성, 가철성 임시보철물로 바꾸어 주었다. 8주 기간 동안 지켜본 뒤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여 6개월 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였다. It is a great challenge for dentists to do prosthetic restorations of a patient with reduc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Proper determination of the OVD is significant. An 85-year-old male patient came in with missing right maxillary posterior teeth. After diagnostic wax-up, reversible provisional prostheses were used to evaluate the new OV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After that, the patient was evaluated clinically based on the criteria of esthetic, phonetic, and OVD. After 8 weeks, teeth with excessive wear were treated with root canal therapy and fiber post and core and irreversible provisional prostheses were done. After 8 weeks of observation period, final restorations with fixed partial denture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made.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of 6 months, no symptoms related with increased OVD and mechanical complications were observed.

      • KCI등재

        과도한 치아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 증례

        김대성,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大韓齒科補綴學會 202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9 No.2

        Excessive teeth wear can lead to reduced chewing efficiency, occlusal plane collapse, and facial changes.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change in vertical dimension may cause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sticatory muscle and teeth, so a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is required. In this case, a 69-year-old man had excessive teeth wear with a loss of posterior support. We evaluate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the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with the removable occlusal splint and provisional restoration. We report this case because the treatment result has been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actory by providing stable anterior guidance, proper posterior teeth disclusion, and even contact of all teeth in centric occlusion. 치아의 과도한 마모는 저작 효율 감소, 교합평면 붕괴 및 안모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수직고경 변화를 동반한 전악 수복의 경우 측두하악관절, 저작근 및 치아의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진단과 치료 계획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69세 남성으로 구치부 지지가 상실된 상태로 과도한 치아 마모 증상을 보이는 상태였다. 가철성 교합안정장치 및 임시보철물로 증가된 수직고경의 적응 정도를 평가하였고, 임플란트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최종 보철 수복을 진행하였다. 안정적인 전방유도 설정, 적절한 구치부의 이개, 중심위에서 균등한 치아 접촉을 부여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악 완전 무치악 및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보고

        김태형,오경철,문홍석,Kim, Tae-Hyung,Oh, Kyung-Chul,Moon, Hong-Se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4

        넓은 영역의 무치악 부위를 수복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은 의치를 이용한 치료다. 하지만, 임플란트를 활용할 경우 보철물의 안정과 유지, 그리고 지지의 측면에서 더 유리하며, 저작효율이 향상되는 등 기능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같은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크게 가철성과 고정성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치조골의 흡수정도, 악간관계, 환자의 선호도, 사회 경제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접근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한편, 지르코니아의 물성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물의 재료로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가 각광을 받고 있다.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는 지르코니아 코어에 세라믹을 비니어링 한 보철물이나 금속 도재관보다 파절과 chipping의 빈도가 적으며 지르코니아 자체가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어 구조적으로 좋은 물성을 지닐 수 있다. 최근에는 투명도가 증진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도 출시되어, 전치부 보철물을 위한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의 남환은 상악 양측 구치부의 결손 및 다수 잔존치의 중등도 이상의 전반적 만성 치주염 이환으로 인해, 하악 양측 견치 및 좌측 제1, 2 소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를 발치한 후, 상악 8개 및 하악 3개의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전악 수복 치료를 받았다. 보철물 장착 후 1년 간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 conventional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long-span edentulous areas is the use of removable dentures. However, placing implants in these areas results in superior functional outcomes by increasing the stability, support, and resistance of the prostheses and improving the masticatory efficiency. Treatment modalities utilizing implants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either removable or fixed-type prostheses. Several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alveolar bone resorption, inter-arch relationship, patient preferences, and socioeconomic statu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approach. Monolithic zirconia has been considered a suitable material for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because of the drastic improvement in its mechanical properties. It exhibits fewer incidences of fracture and chipping of the prostheses, and has greater bulk of material than metal-ceramic crowns and zirconia-veneered ceramics. Moreover, highly translucent monolithic zirconia is also available in the market, and its appli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for anterior tooth rehabilitation.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 patient who underwent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eight upper and three lower implant placements). All teeth, except bilateral mandibular canines and left mandibular first and second premolars, were extracted after the diagnosis of generalized chronic moderate-to-advanced periodontitis of the remaining teeth. The patient reported satisfactory 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s during the one-year follow-up visit.

      • KCI등재

        치아 마모로 인한 수직고경감소와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전악 수복 증례

        서성용,이나영,강정경,Seo, Seong-Yong,Lee, Na-Young,Kang, Jeong-Ky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1

        구치부 교합의 붕괴는 정상적인 교합평면을 소실 시키고, 과도한 마모를 일으켜 수직고경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수직 고경은 심미적, 기능적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측두하악관절에 과하중을 야기하고 근신경계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붕괴된 교합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수직고경 변경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치료 전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며 새로운 수직 고경에 대한 적응 평가를 함께 하여야 한다. 그리고 과도한 수직피개를 가지는 과개교합 환자는 치아 마모 및 치아정출의 교합 문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해 보았을 때 치아마모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과개교합 환자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보철수복을 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68세 남자환자로 다수 치아의 마모와 상악 구치의 결손부위를 치료하기 위해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 및 상하악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한 증례이다. The collapse of the posterior occlusion destroys the normal occlusal plane and causes excessive wear reducing the vertical dimension. Reduc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causes not only a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but also overloading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abnormalities of muscle nerv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collapsed occlusal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nge of the vertical dimens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precise diagnosis and analysis before the treatment and to evaluate the adaption of patient to the new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 patient with excessive overbite often has occlusal problems of tooth wear and tooth eruption. Considering these considerations, overall prosthodontic restoration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A patient of 68 year old man in this case who suffered major tooth wear and maxillary posterior teeth loss was treated with elevation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y maxillary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mandibular fixed prosthesis.

      • KCI등재

        광범위한 치질 상실로 인해 수직 고경 감소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윤아영,심혜원,안진희,Yun, Ah-Young,Shim, Hye-Won,An, Jin-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1

        광범위한 치아 상실과 마모로 인한 교합면의 파괴로 수직고경이 감소된 경우 안모의 변화, 전방 유도의 상실로 인한 반대 교합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턱관절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합 수직 고경의 증가를 통한 전악 수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환자의 수직 고경 평가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80세의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보철계획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치아상실 및 마모에 따른 전치부의 반대 교합과 교합 수직 고경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진단 모형과 방사선 사진, 임상적 검사를 이용하여 교합 관계를 분석하여 교합 수직 고경 증가를 결정하였다. 진단 wax up을 시행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3개월의 적응 기간 후 상악 고정성 보철물과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최종 수복하였다. 장착 후 8개월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 Decrea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due to loss of teeth structure and destruction of the occlusal plane by severely worn dentition may cause cross bite 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by following change of facial feature or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Full mouth rehabilitation via an increase of the OVD can be considered to avoid this problem and proper evaluation of patient's OVD is essential. An 80 year old male visited for overall prosthodontic treatment, cross bite due to continuous wear and following decrease of the OVD were observed. We analyzed the existing occlusal relationship using the diagnostic cast, the radiographic evaluation and clinical test, and then proper increase of OVD was selected. The new OVD on diagnostic wax up was placed by the temporary restoration. After 3 months of observation period, final restoration with fixed partial dentures and implant overdenture were made.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of 8 months,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 can b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