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홍보관의 체험전시 방법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조윤화 ( Yoon Hwa Cho ),최익서 ( Ik 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새로운 홍보수단으로 고객중심의 마케팅전략을 통해 소비자들과 소통하여 그들의 요구를 읽어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고객들과 좀 더 가까워지기 위해 공간을 매개로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는 전시매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이러한 경향을 따라 도심의 곳곳이나 접근이 용이한 관광지 등에 브랜드를 직접 홍보할 수 있는 브랜드 홍보관이 다양한 형태로 생겨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전시를 적용한 홍보관의 공간디자인에 관해 살펴보고,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기획될 브랜드 홍보 공간 연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방법)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체험전시의 유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 자료에서 다양하게 연구된 체험전시의 역할이나 유형에 대해 직접전시와 간접체험전시로 나누어 다시 한 번 재분류 정리 하였다. 또 국내 홍보관 중 체험전시를 적용한 브랜드 공간연출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정량화 하여 이를 통해 관람객에게 접근하는 문화 공간을 브랜드 이미지별로 어떠한 형태와 방법으로 적용 가능한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브랜드 홍보관의 체험전시 방법 및 유형의 분석을 위해 국내 사례를 통해 선정된 6개의 분야별 사례를 체험적 특성에 따라 직접체험 전시와 간접체험 전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서 결론적으로 체험의 요소의 방법과 분포 정도를 나타내는 표를 정리하였다. 직접체험과 간접체험 요소는 분야별 브랜드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강조, 사용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직접전시 체험을 분석한 결과, 관람객들에게 시각적인 전시체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신체 체험과 놀이형 체험 등이 그 다음을 따르고 있었다. 간접체험 전시에서는 모형, 디오라마 전시가 가장 높게 활용되고 있다. 각 분야별 특징에 따라 브랜드가 강조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체험전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각 브랜드별 이미지를 관람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홍보에 알맞은 전시 요소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체험연출은 일반적인 전시보다도 관람객들에게 쉽게 이미지 전달이 가능하고 홍보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다. 전시 체험요소를 복합적으로 관객들에게 활용한다면 브랜드 홍보에 있어서 강력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무형의 전시 요소들이 목적성을 가지게 되면 관람객들에게도 브랜드 홍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는 결론을 추출하게 되었다. 체험적 전시요소들이 미래 지속적이게 관람자들에게 작용하여 브랜드자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society now getting urbanized, companies focus more on customer-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cognition of client needs. They use spatial exhibition media and find a way to get closer to the customer. In line with such a trend, brand information museums are found in downtown and tourist attractions of high accessibility, on a permanent basis or in the form of pop-up store. To be capitalized on in planning brand information museum later on, this study is thus to discuss how to design the brand information museum for first-hand experiences by customers. (Method)To begin with, this study is to involv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brand identity and the first-hand exhibition. This study is to categorize roles and types of brand information museum for first-hand experiences appearing in the previous studies. Conduct case studies of brand information museum intended for first-hand experiences in Korea, quantify of the contents thereof and see how thos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brand information museum by brand image. Analyses of experience elements by museum were done, by type of first-hand experience presentation, by way of Likert Scale and analytic graphs. (Results) A total of six cases were studied for analysis of methods and types of the first-hand experience exhibition in a Brand Information Museum. The database table has been prepared to set forth distribution trend for the methods and types. Different emphases were put in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elements by what the brand features. According to analyses mainly pivoted on museums featuring direct first-hand experiences, the viewers were mostly offered visual means of exhibition, followed by physical experiences and game presentation. Model - Diorama type indirect first-hand exhibitions were preferred compared to others. According to analyses, it is recognized that the brands effectively use exhibitions with first-hand experiences to fit the purposes intended. (Conclusions) Also known by analyses is that brands should capitalize on exhibition elements that fit the purpose of promotion. Brand images are better transferred to the viewers of exhibitions with first-hand experienc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hibitions, for advanced promotional effects. Creating synergies in advertising brands to customers, first-hand experience elements would help the brand promoted in a much more efficient manner. With things going as planned, first-hand experience elements offer sustainable positive influence upon the brand.

      • 시민참여를 위한 홍보관 전시 계획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콘텐츠를 중심으로 -

        손상희 ( Shon Sang Hee ),신내경 ( Shin Nae Kyeo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7 전시디자인연구 Vol.14 No.2

        최근 정부기관은 시민과 소통하기 위해 정책적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관련된 전시공간의 성격을 살펴보면, 기관의 정책적 방향을 알리는 내재적 목적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시민의 참여를 중요하게 여겨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기관의 홍보관은 형식적인 정책의 제시, 정보 전달 패널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시민의 참여도가 저조하다는 평가이다. 기관의 정책 홍보에 치중한 형식적인 전시구성 및 운영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라는 점에서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한계적이었다. 이에 정책홍보라는 내제적 목적으로 운영되는 전시공간은 시민이 참여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참여 홍보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유사 홍보관의 전시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시민이 참여하는 공간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민참여 홍보관 전시구성의 대안을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정부기관의 정책홍보는 역사적 인물, 기념성, 역사성, 정책적 특성이 전시내용과 어떻게 융합 구성되어 차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이다. 문제해결의 하나로 역사적 자료 또는 교육적 내용과 융합한 물리적 전시공간을 도출하는 방법이 있다. 내재적 홍보 가치를 획일적으로 강조하기보다 다양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가치를 강조하는 시도는 바람직하다. 전시 가치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통해 조직의 긍정적인 이미지 구현이라는 부가적인 목적도 부응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정부기관 홍보관의 차별화를 고민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지속적 공간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Recently,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the government agencies are attempting diverse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policies. Reviewing the character of the relevant exhibition space, to practice the inherent purpose of informing the institutional direction of the agency, the participation by diverse citizens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However, most of the promotion centers of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have excessively emphasized the presentation of formal policies and panels to deliver information, so that citizens' participation is very low. It was limited to induce citizens' participation as they were critical of the composition/operation of formal exhibitions focusing on agencies' policy promotion. Thus, it would be advisable to reflect the contents of citizens' participation to promotion centers with the inherent purpose of policy promotion.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civic participation-based promotion centers. Examining the exhibitio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domestic similar promotion centers, it was reviewed if they could be activated into space where citizens participate. Also,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e alternative of exhibition composition of civic participation-based promotion centers was drawn as a result. The differentiated policy promotion of government agencies would be depending on how historical features, monumentality, historic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are converged with exhibition contents. As a solution, it is to draw a physical exhibition space converged with the historical data or educational contents. Instead of uniformly emphasizing the inherent value of promotion, it would be more advisable to emphasize the value of diverse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the effort to improve the exhibition value, the additional purpose such as the realization of positive image of organizations could be achieved as well.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differentiation of promotion centers of government agencies, and also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them into space where citizens continuously participate.

      • 무역전시회의 체험형 전시콘텐츠 분석 연구 : 2015 수입상품전시회 국가홍보관을 중심으로

        박기천,유동환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글로벌 경쟁시대, 무한 정보사회 등 오늘날 현대시대는 세계 각국이 지구촌이라 불리는 긴밀히 연결된 국제사회에서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자유경쟁을 이어나가고 있다. 최근 Mice산업의 발전과 함께 세계 각 도시에서 크고 작은 글로벌 무역전시회가 활발히 개최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들은 자국의 브랜드 상품 홍보 및 판매를 주목적으로 하는 무역전시회에서 국가홍보관을 설치하여 국가와 상품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홍보하여 고객의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자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상품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국가정체성을 차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시도하고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국가홍보관의 공공적 의미의 전시물 및 부스공간 전시연출에 있어서 적지 않은 제한이 따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전시연출에 관한 차별화된 방법의 전략적 적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 연구 :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천아진 ( Chun Ajin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정보통신기술과 디지털 매체가 급속도로 성장하며 정보전달의 지역적 한계가 무너짐과 동시에 다양한 기술과 미디어가 융합된 스마트 공간이 등장했다. 이에 발맞춰 전시관에도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형태를 갖춘 스마트 전시 공간이 나타났으며 특히 기업 홍보관에서는 단순히 제품과 기업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온·오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발전되었다. 이렇듯 앞으로의 기업 홍보관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맞춰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으로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은 더 적극적으로 공간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와 기업 홍보관, 스페이스 마케팅에 관한 이론을 고찰한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적 요소,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분석해 낸다. 도출된 3가지 요소를 토대로, 각 요소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하고 세부적인 연구를 위해 사례선정 기준을 국내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5년 안에 개관 또는 리뉴얼 후 재개관한 대기업 홍보관의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결과) 연구결과, 공간적 요소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요소의 경우, 상징성이 뚜렷한 공간에서 기업과 관람객이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체험전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기업과 방문객의 관계 형성을 유도하고 있다. 기능적 요소의 경우, 디지털 미디어 계획은 홍보관마다 가장 비중 있게 활용되었으며, 미디어와 기술이 융합된 기능적인 공간으로 연출되어 관람객의 적극적인 관람과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소는, 기업마다 자사의 홍보관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이벤트와 같은 문화적 시도를 통해 방문객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관계적인 성격을 띠며, 기업 홍보관은 홍보의 목적을 넘어 일반 관람객을 위한 문화 공간의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기업 홍보관에서 스페이스 마케팅 수단으로서 적용된 디지털 미디어는 이미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도 더욱 비중 있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업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이를 활용한 차별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방문객의 입장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기업 홍보관을 관람하여 얻은 경험이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도 스페이스 마케팅에서 중점적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rapidly-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and the collapse of regional limitation of information delivery, smart spaces, where various technologies are integrated with media, have appeared. Continuing this trend, smart exhibition spaces with integrated types of digital media have also been observed in exhibition halls, which have further developed as communication spaces utilizing online and offline rather than simply delivering products and corporate information unilaterally. Therefore, it seems that corporate exhibition halls will integrate digital media more positively into space as a strategy for space marketing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centering on space marketing. (Method) This study considers theories on digital media, corporate exhibition halls, and space marketing. Moreover, it draw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utilizing digital media and based on this, analyzes spatial,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Based on the three elements drawn, it draws keywords on each element and for detailed study, and selects cases for analysis focusing on the corporate exhibition halls which were reopened or renewed in the recent five years centering on metropolitan areas. (Results) The result indicate that spatial elements were most marked, followed by functional and social elements. In case of spatial elements, corporations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experimental exhibitions where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spaces where symbolism is distinct. This induces relationship form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visitors. In case of functional elements, digital media planning was utilized the most in every exhibition hall, and the functional space where media were integrated with technologies was produced, which encourage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spectatorship more actively. Finally, in case of social elements, every corporation made cultural attempt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events through its own exhibition hall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forming a social relationship with visitors and corporate exhibition hall played a role as a cultural space for general audience beyond its promotional purpose.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digital media utilized as a means for space market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already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and would also be further utilized in the future. Therefore, corporations need to think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differentiation plans utilizing digital media more actively, and the experience from viewing in corporate exhibition halls utilizing digital media from the visitor’s perspective is helpful in forming a positive image about corporations. This will also be used as a central element in space marketing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무역전시회의 체험형 국가홍보관 전시 연출에 관한 연구

        박기천(Park, Gi-Chon),유동환(Yoo, Dong-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7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9

        글로벌 경쟁시대, 무한 정보사회 등 오늘날 현대시대는 세계 각국이 지구촌이라 불리는 긴밀히 연결된 국제사회에서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자유경쟁을 이어나가고 있다. 최근 Mice산업의 발전과 함께 세계 각 도시에서 크고 작은 글로벌 무역전시회가 활발히 개최되고 있다. 세계 각국들은 무역전시회에서 국가홍보관을 설치하여 차별화된 체험형 전략을 적용하여 부스공간을 연출함으로써 국가브랜드와 상품이미지 향상 및 국가정체성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홍보관을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5가지 체험적 요소들을 기준으로 전시회 국가홍보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국제경쟁력 강화 및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무역전시회의 체험형 부스공간 연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전략적 전시연출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In the modern society so called global competition era and unlimited information society, each country continues to compete with others fiercely in the global socie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as the global villag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ice industry, great and small global trade shows have been actively held in the cities all over the world and each country has tried a variety of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 national identity from others as well as to enhance the images of the products and the national brand by establishing national PR centers in the trade shows that mainly aim to promote and sell the national branded products so as to enhance the positive images on the country and the products and to induce the customer’s purchasing. It has not a few limitations in the productions of exhibition contents and booth space of the national PR center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in the fierce competition, and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ed experience type exhibition production is urgently required to overcome these. In this study, th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five experience elements of national PR center including sensible,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al elements, and discussed on its production plans for its implications and enhancement of national brand value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적박물관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임효진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1

        As excavation surveys on buried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ue to active land development, archaeological site museums, which were built in the excavated and later preserved sites, have been also increased. This is a desirable phenomenon in terms of preservation of the sites and expansion of the rights to share cultural heritages. but, Many problems related to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ite and related museum facilities rose as the wide range of archaeological site museums in terms of the size, type and operation scheme without well-established concepts and management regulation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lso, Unlike other general museums, archaeological site museums are built in situ, allowing to provide the public education through field obser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Nevertheless, many archaeological site museums have been poorly managed since their establishment and they fail to play the basic roles of preserving archaeological sites and do the core function of the museum. In this thesis, 36 archaeological site museums with various titles including exhibition halls, exhibition galleries, history galleries, archives, and public information centers, were analyzed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20 first-tiered museums and one second-tiered museums registered under the "Museums and Art Museum Promotion Act," On the other hand, 15 museums, which occupy more than 41% of the total archaeological site museum, are unregistered. Registered museums have minimum standards in facilities and manpower because they have registration requirements, but most unregistered museums lack facilities and manpower structure, exposing various problems. 53% of unregistered museums do not have academic and arts workers, and in some cases, they do not even have administrative personnel and operate only as volunteers. In addition, only 27% of unregistered museums have planned exhibition rooms, 60% do not have storage, and 80% do not have educational facilities. Lack of facilities and professional staff leads to po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useums, with 86% of unregistered museums operating permanent exhibitions without replacing exhibits annually, and about 73% do not operate a single educational program, It is also confirmed that many museums fail to conduct periodic preservation treatment of preserved store cultural properties. As above, the lack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unregistered historical museum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lack of clear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rchaeological site museums. In other words, the museum was established on a minimum basis for the purpose of the later preserved sites after the excavation survey, the reality is that but due to insufficient regulations, follow-up management has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due to financial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which are operating entitie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operation functions of archaeological site museums and revitalize its operation, the current “Museum and Art Gallery Promotion Act” was revised to add the concept of archaeological site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rchaeological site museums’ should be enacted to clarify operational measures, including facilities, personnel, and preservation treatment so that various distinctive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rchaeological site museum for the public to share and explore cultural heritage, are need to be operated. 최근 국토개발 등으로 매장문화재에 대한 발굴조사가 증가하고 있으며, 발굴조사 결과에 따라 보존조치가 이루어진 유적을 기반으로 하는 유적박물관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유적의 보존뿐만 아니라 문화재 향유권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유적박물관의 개념이나 설립과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규정이 미비하여 시설의 규모나 형태, 인력구조 등이 다양한 유적박물관이 급증함에 따라 보존된 유적의 관리나 시설 운영에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박물관과는 달리 현장성이 있다는 특성이 있어서 실감 나는 관람과 체험을 통한 교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는 설립 이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적의 보존이라는 기본적인 역할은 물론이고, 박물관의 핵심적인 기능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전시관․전시실․역사관․자료관․홍보관 등 다양한 명칭으로 설립된 유적박물관 36개소를 대상으로 운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적박물관은「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거 등록된 1종 박물관이 20개소, 2종 박물관이 1개소이며, 전체의 41%가 넘는 15개소는 미등록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등록된 박물관은 등록 요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시설과 인력 등에서 최소한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의 미등록 박물관은 시설과 인력구조가 미비하여 여러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 미등록 박물관의 53%가 학예직 인력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행정직 인력을 갖추지 못하고 자원봉사자로만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미등록 박물관 중 27%만이 기획전시실을 갖추고 있고, 수장고를 갖추지 못한 곳도 60%에 달하며, 교육시설을 갖추지 못한 곳은 80%에 달한다. 시설과 전문 인력의 부족은 박물관의 운영과 관리 부실로 이어지는데, 미등록 박물관의 86%가 연간 한 번도 전시유물을 교체하지 않고 상설전시를 운영하며, 73%가량은 단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적지 않은 박물관이 보존된 매장문화재에 대해 주기적인 보존처리를 실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상과 같이 미등록 유적박물관의 운영과 관리가 부실한 것은 유적박물관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발굴조사 후 보존조치된 유적의 보존을 위한 목적하에 최소한의 기준으로 박물관을 설립하였으나 관련 규정이 미비하여 운영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건 등 사정에 따라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유적박물관 본래의 설립목적을 달성하고,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행「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을 개정하여 유적박물관의 개념을 추가하고, ‘유적박물관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규정’ 등을 제정하여 시설과 인력, 보존처리를 비롯한 운영 방안을 명확히 하여 개별 박물관의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특색 있는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소중한 문화자산을 시민들이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접목시킨 지역 특산물 홍보관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부여 굿뜨래 홍보관을 중심으로-

        최길흥 ( Kil Heung Choi ),장광집(교신저자) ( Kwang Chib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21세기에 접어들면서부터 농산물 수입 시장의 개방이 가속화됨에 따라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자체단체들은 심화된 경쟁 속에서 지역의 농·식품을 비롯한 특산물을 홍보하기 위해 마케팅의 일환으로 다양한 홍보관을 건립해 왔다. 그러나, 시대와 대중의 니즈가 변함에 따라 지역특산물 홍보관에 요구되어지는 역할이 다양해졌으며, 이윤을 추구하는 상업적 요소에서 점차 교육적, 체험적, 감성적인 소통의 장으로 변모해 가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안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고, 그것이 접목된 ``부여 굿뜨래 홍보관``의 사례를 통하여 지역 특산물 홍보관의 전시공간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지역 특산물 홍보관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품 또는 브랜드 가치를 응집한 메시지와 주제 도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2)도출된 메시지와 주제는 기획 의도를 반영한 ``플롯(Plot)``에 의해 서사적 구조로 완성되는데,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논리적, 시간적 전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3)플롯에 의해 완성된 홍보관의 스토리텔링은 각각의 공간에서 여러 개의 소주제로 구분되는데, 일정한 위계 질서를 갖춘 병렬적 나열 방식 속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4)이렇게 완성된 스토리텔링에서 상품의 노출과 홍보의 적극성을 배제시킴으로써 가치와 이념 전달에 집중하는 것이 더 좋은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As agricultural imports accelerated market opening, People are becoming more concerned about the food of the country. Municipalities have erected a pavilion as part of marketing to promote local food including specialties. However, while times and the needs of the public has changed, role of the local produce exhibition also became diverse. It has changed into the educational, experiential, emotional factors from the commercial element. This study presents a storytelling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ese issu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orytelling and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case of "Goodtrae Agricultural Products Museum" that combines storytel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ly, It should derive the messages and theme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product or brand first. Secondly, the Derived message and subject is completed the narrative structure by "PLOT" reflecting the planning intention.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select a logical or temporal deployment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 Third, when the storytelling completed by the plot is divided into several sub-themes in each space, it is effective to expression through various media in parallel lists. Fourth, focusing on the value and philosophy of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better brand image by excluding the aggressiveness of the commodity exposure and publicity.

      • KCI등재
      • 전시연출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특성에 관한 연구

        장현하(Jang, Hyun-Ha),한혜련(Han, Hae-Ry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The development in modern world media made information expansion and conversion much easier. Thes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required a lot of companies to quickly respond to the overall environment and come up with new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pplying digital media communication tools such as Digital signage to space can lead to network building and display technology developments which lead to changes in the process of space recognition.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mpany image, suggest the need of Digital signage as a tool of hands-on exhibition halls in the corporate display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as a spatial mechanism. The research method is using cases those corporate exhibition halls which recently applied Digital signage and tools that can analyze digital signage as both hand-on display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and expression attributes of Digital signage so that the typical types of Digital signage can be extra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s spatial features and application effects of typical types of Digital signage and offers the attributes of Digital signage for hand on display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through research review and case studies.

      • KCI등재후보

        기업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전시공간특징에 관한 연구

        신혜진 ( Shin Hye-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8 전시디자인연구 Vol.5 No.1

        In a strategy for revitalization of companies' brands, an exposition space will deliver companies' images in three dimensions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agent for a direc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Considering it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we can know that it is an effective means. Therefore, its importance is being extended gradually and its number is increasing gradually in reality since companies also recognize its importance. However, Korean exposition industry is still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s a transition period and its level is still not enough by absence of interest and inves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that exposition media is more effective means than other media for revitalization of brand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hereafter of domestic preview centers of companies by making its necessity recognized. Therefore, companies recognize importance of exposition media for revitalization of company's brand and so revitalization of exposition will be realized gradually by extending interest and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