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안진환,조용진,이용석,신성기,Ahn Jin-Hwan,Cho Yong-Jin,Lee Yong-Seuk,Shin Seong-Kee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의 단기추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 재건술을 시술 받았던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건술후 재 재건술까지의 평균기간은 39$(7\~120)$개월 이었으며, 동종이식건 14예$(78\%)$, 자가이식건 4예$(22\%)$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불안정성이 16예$(89\%)$로 가장 많았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한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16예$(89\%)$, 두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2예$(11\%)$였다. 술전, 술후 및 추시관찰시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 2000 및 방사선학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Lysholm score 및 HSS score를 비교 분석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27$(12\~60)$개월이었으며, 술전 Lachman test 및 pivot shift test는 전예에서 양성의 소견을 보였으나 술후 대부분의 예에서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KT 2000은 술전 7.75$(3.5\~12.5)$mm에서 술후 최종추시시 2.36$(1.0\~6.0)$mm로 안정되었다. Lysholm score 및 HSS score는 각각 술전 72.6$(66\~77)$점, 72.5$(68\~78)$점에서 술후 최종추시 시 89.2$(80\~92)$점, 88.2$(81\~92)$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결과에 만족$(89\%)$하고 있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실패원인으로는 대퇴터널의 부정위치가 11예$(61\%)$로 가장 많았다. 결론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치료로 적절한 이식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함으로서 주관적 및 객관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슬관절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가장 많은 실패의 원인이 수술 수기의 오류임을 감안한다면 정확한 수술 수기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술하는 것이 중요할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was to evaluate the early result of revision of fail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February 2002, this report presents the findings of 18 patients who had revision surgery for failed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an average of 39 $(7\~120)$months from index procedure to the time of revision. Allografts were used in 14 $(78\%)$cases and autografts were used in 4 $(22\%)$cases and the revision procedures were assisted by arthroscopic technique. The majority of chief complaints were instability in 16 $(89\%)$cases. Sixteen $(89\%)$ cases had 1 previous reconstruction, 2 $(11\%)$ cases had 2. Before and after revision, patients were evaluated by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 2000, radiographs, Lysholm score and HSS sco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Results : Average length of followup was 27 $(12\~60)$months. Preoperatively, all cases were positive in Lachman test and pivot shift test. After revision the majority of cases were negative. Objectively improving stability was confirmed by KT 2000 and all average KT 2000 was 7.75 $(3.5\~12.5)$mm preoperatively and 2.36 $(1.0\~6.0)$mm at final followup. Lysholm score and HSS score were also improved from 72.6 $(66\~77)$ and 72.5 $(68\~78)$ preoperatively to 89.2 $(80\~92)$ and 88.2 $(81\~92)$ at final followup. Most $(89\%)$ of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s of failed ACL reconstruction were malposition of femoral tunnel in 11 $(61\%)$cases. Conclusion : Arthroscopic revision ACL surgery with adequate graft for failed ACL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in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improving stability. However, considering the most common causes of failure after ACL reconstruction were errors in surgical technique, it is important that the primary ACL reconstruc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correct surgical technique.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및 내측부인대 동반손상 환자에서 전방십자인대의 조기 재건군과 지연 재건군의 결과 비교

        이동철 ( Dong Chul Lee ),손욱진 ( Oog Jin Shon ),곽해준 ( Hae Jun Kwak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슬관절의 전방십자인대와 내측측부인대의 동반손상이 있는 환자에서 전방십자인대의 조기 재건술과 지연 재건술 간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전방십자인대와 내측측부인대 동반손상이 있는 환자 중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5예(55명)를 대상으로 하여이를 3주 이내에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조기 재건군과 3주 이후 재건술을 시행한 지연 재건군으로 나눠 Tegner 활동도 점수와 Lysholm 슬관절 점수, 관절 운동을 시작한 후 관절 운동이 90˚가 되기까지의 기간, Lachman test 결과와 전방 전위 긴장 방사선 검사, 외반 긴장 방사선 검사, 그리고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Tegner활동도 점수는 조기 재건군의 경우 7.4점, 지연 재건군은 7.6점이었으며,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조기 재건군의 경우 90.5점, 지연 재건군은 91.3점으로 나타났다(p=0.24, p=0.31). IKDC주관적 만족도는 전례에서 거의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다. 관절 운동 회복 기간은 조기 재건군에서, 특히 여성에서 더 오래 걸렸으나, 최종 추시시의 관절운동범위는 양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Lachman test와 전방 및 외반 긴장 방사선 검사 또한 양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방십자인대의 조기 및 지연 재건군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었다. 이는 조기 재건술도 전방십자인대와 내측측부인대 동반손상의 좋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early and delayed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 patients with combined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January 2007, fifty-f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 for combined ACL and MCL injuries and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8 month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Tegner Activity Score,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the interval to recover 90˚ of motion, the Lachman test, the anterior and valgus laxity noted on stress radiograph, and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1993) documentation were recorded and compared between the early reconstruction group, which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within 3 weeks, and the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which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after 3 week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the Tegner score was 7.4 in the early reconstruction group and 7.6 in the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The Lysholom score was 90.5 and 91.3, respectively (p>0.05). All the cases were rated near normal or normal on the IKDC subjective assessment. The early reconstruction group needed a longer time to recover motion and especially in the female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the final range of motion, in addition to the Lachman test and the anterior or valgus laxity. Conclusion: In this study,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the early and delayed reconstruction groups. The early reconstruction of the ACL seems to be one of the surgical options for reconstruction of acute ACL injury combined with torn MCL.

      • 자기공명영상 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연관성

        강재도,김광열,김형천,이성춘,Kang Jae Do,Kim Kwang Yul,Kim Hyung Cheon,Lee Sung Chun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Propose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test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index) for diagnosis of a tea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by means of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 1997 to Feb. 2001, concomita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knee joint arthroscopy were performed in 56 patients of either pain or instability of the kne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and tibial attachment of PCL (X) and the distance from that line to the tip of the arc marked by the PCL (Y) on the sagittal plane images were measured. The quotient of these two parameters (Y/X) defined the PCL index. Results : Using MRI diagnosis, there were 35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and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Using arthroscopy, 32 of the 35 patients diagnosed by MRI showed ACL rupture, and 20 of the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The mean PCL index was 0.40 in the 33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through arthroscopy. The mean PCL index was 0.23 in 23 patients with an uninjured ACL through arthroscopy. In 33 patients with ruptured ACL, this value exceeds 0.31. The index value was 0.31 in 3 patients with uninjured ACL. The value of the index was not above 0.31 with an uninjured ACL. PCL index on MRI had a sensitivity of $91\%$ and a specificity of $94\%$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nclusion : Injury to the ACL changes the PCL index markedly. In diagnostically unreliable MR images, amelioration of the PCL index could help in the diagnosis of ACL injury. 목적 :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MRI상 간접소견인 후방십자인대 곡선값(PCL index)의 통계학적인 의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슬관절 동통 및 불안정성으로 내원한 총 56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소견과 관절경을 이용하였다. 시상면에서 대퇴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와 경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의 거리(X)를 표시한후, 이 선에서 후방십자인대에 내린 가장 큰 수선거리(Y)를 표시하여 Y/X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 35명을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을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진단하였으며, 관절경으로 35명중 32명이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중 20경이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확인하였다. 총 33명에서 관절경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확인하였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40기었으며, 층 23명에서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23이었다. 파열된 33명의 환자에서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은 0.31을 초과하였다.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에서 3명은 0.31이었으며, 그 외에는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이 0 31을 초과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민감도 $91\%$와 특이도 $94\%$이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손상시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에 영향을 주었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은 자기공명영상에서 파열의 직접소견이 보여지지 않을 때 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나는 골멍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정도의 관계

        정화재,신헌규,고천석,김장환,Jeong, Hwa-Jae,Shin, Hun-Kyu,Ko, Chun-Suk,Kim, Jang-Hwan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1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나타난 골멍의 형태 및 크기와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골멍의 발자취(footprint)를 조사해 손상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6주 이내의 급성기에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골멍이 나타나는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멍의 형태는 Costa-Paz 분류에 따라, 골멍의 크기는 Kornaat의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의 전방십자인대 관상사면영상(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oblique coronal view)에서 손상 정도를 등급화 하였다. 결과: Costa-Paz 분류에 따른 대퇴골 외과의 골멍 형태와 전방십자인대 손상 정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 파열군(1, 2 등급)에서 제2형이 많고, 완전 파열군(3 등급)에서 제3형이 많았다(P=0.037). Kornaat 총 골멍 점수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등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P=0.014), 손상기전은 축회전 손상(pivot shift injury)이 가장 많았고 편타 외반 손상 (clip valgus injury) 등이 뒤를 이었다.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골멍의 형태와 크기는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와 관련이 있었고, 골멍의 발자취를 통해 손상기전을 유추할 수 있어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size of bone bruise and severit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urthermore,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ACL injury by analyzing the footprint of bone bruise. Materials and Methods: Sixty-five subjects who was taken an MRI within 6 weeks after acute ACL injury were studied. All MRI showed ACL injury and associated bone bruises. Bone bruises were analyzed using Costa-Paz classification based on appearance and location and also scored using Kornaat bone bruise grading system based on size and location. The severity of the ACL injury was graded using a 4-point system (ie, grade 0-3) with oblique coronal MRI.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sta-Paz classification of bone bruises in lateral femoral condyle and grade of ACL injury. There were more type 2 lesions in partial tear group (grade 1, 2), however, type 3 lesions of Costa-Paz classification in complete tear group (P=0.037).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Kornaat total bone bruise score and grade of ACL injury (P=0.014). Most common ACL injury mechanism was pivot shift injury. Other mechanisms were clip valgus injury, phantom foot injury, and hyperextension injury. Conclusion: It is highly suggested that appearance and size of bone bruise is related to severity of ACL injury after acute ACL injury. The foot print of bone bruise provides valuable clues to identify ACL injury mechanism.

      • 자가 아킬레스 건과 장력 부하 기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이식건의 평가

        서재곤,문영완,유재철,장문종,김승연,김무현,Seo, Jai-Gon,Moon, Young-Wan,Yoo, Jae-Chul,Chang, Moon-Jong,Kim, Seung-Yeon,Kim, Mu-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이식한 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이를 정상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자기공명영상을 검사한 21명 21예(그룹 A)의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그룹 B)은 반월상 연골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관절경적 소견상 정상 전방십자인대가 확인된 5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이식건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정상 십자인대와 비교하였다. 결과: 그룹 A의 평균 전방십자인대 시상면 각도($55.7^{\circ}{\pm}5.6^{\circ}$, 범위, $47.2{\sim}68.8^{\circ}$)는 그룹 B의 각도($58.7^{\circ}{\pm}3.8^{\circ}$, 범위, $50.4{\sim}67.5^{\circ}$)보다 작았다(p=0.036). 그러나 평균 전방십자인대-Blumensaat 선 사이의 각도(그룹 A: $8.1^{\circ}{\pm}4.9^{\circ}$, 범위, $1.7{\sim}22.0^{\circ}$, 그룹 B: $8.6^{\circ}{\pm}3.6^{\circ}$, 범위, $2.6{\sim}18.1^{\circ}$)와 평균 전방십자인대 관상면 각도(그룹 A: $64.9^{\circ}{\pm}9.1^{\circ}$, 범위, $46.9{\sim}76.4^{\circ}$, 그룹 B: $65.9^{\circ}{\pm}4.4^{\circ}$, 범위, $57.7{\sim}75.2^{\circ}$)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8) (p=0.62). 시상면에서 그룹 A의 평균 경골 터널 위치($31.9{\pm}7.1%$, 범위, $22.4{\sim}47.9%$)는 그룹 B의 위치($37.0{\pm}4.9%$, 범위, $18.5{\sim}44.7%$)보다 더 앞쪽에 위치하였다(p=0.005). 하지만 관상면에서의 위치는 두 군(그룹 A: $46.3{\pm}2.8%, 범위, $42.1{\sim}52.5%, 그룹 B: $45.7{\pm}2.8%, 범위, $41.0{\sim}49.1%)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92). 결론: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제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추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통해 이식건이 정상 전방십자인대와 비슷하게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ed with a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knees with a native ACL.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21 postoperative MRI scan of 21 patients (group A) who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 between January 1995 and November 1996. The control group (group B) consisted of 50 patients whose meniscus tear had been operated by arthroscopy and whose ACL was intact. We measured the orientation of the graft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the native ACL. Results: The mean sagittal angle of the ACL angle in group A ($55.7{\pm}5.6^{\circ}$, range $47.2{\sim}68.8^{\circ}$) was statistically lesser than group B ($58.7{\pm}3.8^{\circ}$, range $50.4{\sim}67.5^{\circ}$) (p=0.036).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mean ACL-Blumensaat line angle (group A: $8.1^{\circ}{\pm}4.9^{\circ}$, range $1.7^{\circ}{\sim}22.0^{\circ}$, group B: $8.6^{\circ}{\pm}3.6^{\circ}$, range $2.6^{\circ}-18.1^{\circ}$) and the mean coronal angle of the ACL (group A: $64.9^{\circ}{\pm}9.1^{\circ}$, range $46.9^{\circ}{\sim}76.4^{\circ}$, group B: $65.9^{\circ}{\pm}4.4^{\circ}$, range $57.7^{\circ}{\sim}75.2^{\circ}$)(p=0.88, p= 0.62). In the sagittal plane, the mean center of tibial insertion of the ACL graft in group A ($31.9{\pm}7.1%$, range 22.4-47.9%)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than group B ($37.0{\pm}4.9%$, range $18.5{\sim}44.7%$)(p=0.005). But in the coronal plan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group A: $46.3{\pm}2.8%$, range $42.1{\sim}52.5%$, group B: $45.7{\pm}2.8%$, range $41.0{\sim}49.1%$)(p=0.392). Conclusion: We performed a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we found that the graft orientation in MRI was as good as that of the native ACL.

      •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동반 치료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의 비교

        곽지훈,심재앙,이용석,황철호,이범구,Kwak, Ji Hoon,Sim, Jae Ang,Lee, Yong Seuk,Hwang, Chul Ho,Lee, Beom Koo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동시 치료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시행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동시 시행한 8예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만을 단독 시행한 13예를 비교하였다. 평균 나이는 각각 34.1세(범위: 20-53), 34.9세(범위: 21-50)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2.6개월(범위: 12-35), 20개월(범위: 13-33)이었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양 군간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 Lysholm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2000 관절계 검사, $30^{\circ}$, $90^{\circ}$ 전방 전위 긴장 방사선 검사 등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Tegner 운동 점수, Cincinnati 운동 점수는 각각 근위 경골 절골술을 동반 치료한 군이 각각 4.9점, 57.9점이었고, 단독 치료한 군이 각각 5.6점, 72.9점으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동반 치료한 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동반 치료는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에 비해 일상 생활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 능력에 있어서는 제한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of the results betwee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alone and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for ACL ruptured knees with varus 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 cases of ACL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Group I) and 13 cases of ACL reconstruction alone (Group II) for varus angulated ACL ruptured knees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7). Mean age were 34.1 years (range: 20-53) in Group I, 34.9 years (range: 21-50) in Group II. Average follow up period were 22.6 months (range: 12-35) in Group I, 20 months (range: 13-33) in Group II.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between two groups for IKDC scores, Lysholm knee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2000 arthrometer, $30^{\circ}$ and $90^{\circ}$ anterior drawer stress radiographs. Tegner activity scales and Cincinnati knee ligament rating scales were 4.9, 57.9 in Group I, and 5.6, 72.9 in Group II. Group 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Group II for Tegner activity scales and Cincinnati knee ligament rating scales (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living between ACL reconstruction alone and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tomy for varus angulated ACL ruptured knees. However, ACL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could limit sport activity ability.

      • KCI등재

        슬관절염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조성도(Sung-Do Cho),서재희(Jae-Hee Seo),이채칠(Chae-Chil Lee),정지영(Ji Young Jung),어진(Jin Eo),고상훈(Sang-Hun K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해 조직학적 양상과 정도를 알아보고 환자의 나이,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 및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인공 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80예에 대해 전방 십자 인대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퇴행 변화를 시사하는 조직학적 양상으로 점액양 변성(mucoid degeneration), 액화(liquefaction), 초자 변성(hyaline degeneration), 석회화(calcification), 균열(fissuring) 소견을 보였다. 이들 다섯가지 소견의 각각의 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합산하여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등급화 하였다. 이 결과와 환자의 나이,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과 Knee Society Score를 이용한 환자의 기능적 평가와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은 정상, 비정상(정상에 비해 얇아져 있거나 비후 되어 있을 때) 및 파열로 분류하였다. 결과: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결과는 최하 2에서 최고 10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고 이는 환자의 나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상 정상인 군은 19예(23.8%)로 조직학적 등급은 평균 3.47 (2-6)이었다. 비정상인 군은 57예(71.3%)로 평균 5.95 (3-10), 파열된 군은 4예(5.0%)로 평균 9.0 (8-10)이었다.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과 조직학적 퇴행 변화와는 상관 관계가 있었고(p<0.05), Knee Societe Score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전방 십자 인대의 조직학적 퇴행 변화의 정도는 나이와는 무관하고,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퇴행 정도는 슬관절의 기능 악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degeneration in an arthritic kne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the patient s age and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Histological evaluations of the ACL were carried out on 80 patients who had total knee arthroplasty. Five types of ACL degeneration were noted; 1) mucoid degeneration, 2) liquefaction, 3) hyaline degeneration, 4) calcification, and 5) fissuring. A scoring system for the level of ACL degeneration was made. Each type of degeneration was scored and the degree of ACL degeneration was graded by summing each score. The correlation between ACL degeneration and patient's age, gross appearance,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knee by Knee Society Score (KSS) was analyzed.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was classified as normal, abnormal (thinned or hypertrophied), and tear. Results: The scores for the histological degeneration of the ACL ranged from 2 to 10,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age and the scores (p>0.05).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was "normal" in 19 cases, "abnormal" in 57, and "tear" in 4 with an average score of histological degeneration in 3.47 (2-6), 5.95 (3-10), and 9.0 (8-10) respectively. The score for the histological degeneration of the ACL was correlated with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and a functional evaluation by the KSS (p<0.05). Conclusion: The degree of ACL degeneration was not closely related to the patient s age but there was some relationship with the gross degenerative changes in the ACL and the functional loss of the knee.

      • 전방 십자인대 재재건술의 분석

        박찬희,송은규,선종근,임지현,강경도,이태민,Park, Chan-Hee,Song, Eun-Kyoo,Seon, Jong-Keun,Yim, Ji-Heoun,Kang, Kyung-Do,Lee, Tae-Mi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수가 증가하면서, 재건술의 실패로 인한 재재건술의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이식건 실패의 원인 및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후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2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실패에 대하여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시술받은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건술 후 재재건술까지의 평균기간은 60(5~334)개월이었으며, 처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술 시 23예(63.9%)에서 동종 이식건을, 13예(36.1%)에서 자가 이식건을 사용하였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실패의 주증상으로 불안정성이 가장 많았으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한번 시행 받았던 경우가 35예(97.5%), 두 번 시행 받았던 경우가 1예(2.5%)였다. 임상적 결과는 Lysholm 슬관절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안정성은 Lachman 및 pivot shift 검사와 Telos devic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추시 기간은 21(12~40)개월이었으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실패원인으로는 외상이 19예(52.8%)로 가장 많았고, 대퇴 터널의 부정위치가 13예(36.1%), 경골부 터널의 부정위치가 1예(2.8%), 골융합의 실패 3예(8.4%)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시행할 시 34예(94%)에서 동종이식건을, 2예(6%)에서 자가 이식건을 사용하였으며, 21예에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동반되었다(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14예,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7예).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술전 66.5점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92점으로 호전되었다(p<0.01).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결과에 만족(92%)하고 있었다. Tegner activity 점수는 술전 2.0점에서 술후 6.2점으로 호전되었다(p<0.01). Lachman 및 pivot shift 검사에서 33예, 30예가 Gr I 이하로 호전되었으며, Telos device를 이용한 안정성 검사에서는 양측 차이 정도는 술전 평균 15.5 mm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4.5 mm로 의미있게 호전되었다(p<0.01).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결과에 만족(92%)하고 있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은 1년 이상 추시 결과 약간의 전방 불안정성이 존재하였으나, 임상적 결과 및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As the numbe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has increased, the incidence of revision of ACL reconstruction due to reconstruction failure has been also increased. Therefore, authors analyzed the reason of the failure of ACL reconstruction and the clinical result of the ACL revis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8 to July 2010, we selected 36 cases which was followed at least 12months after the ACL reconstruction failure. Duration from reconstruction to revision, the average duration was 60 months (5~334) and on first reconstruction, we used allograft on 23 cases (63.9%) and autograft on 13 cases (36.1%). For the main symptom of ACL reconstruction failure, instability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35 cases (97.5%) were undergone only one reconstruction and 1case (2.5%) was undergone two reconstruction.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Lysholm knee joint score, pivot shift test, and Telos device. Results: Average follow-up duration of the patients was 21 months (12~40), and the reason for the ACL reconstruction failure, trauma was most common by 19 cases (52.8%), malposition of the femoral tunnel was 13 cases (36.1%), malposition of the tibia tunnel was 1case (2.8%), and failure of osteointegration was 3 cases (8.4%). On performing the ACL revision, we used allograft on 34 cases (94%) and autograft on 2 cases (6%), and 21 cases accompanied injury of the meniscus (medial meniscus 14 cases, lateral meniscus 7 cases). Lysholm knee joint score was improved from 66.5 points, preoperatively to 92 points on last follow-up (p<0.01). In most cases, patients were satisfied (92%) with the operation results. Tegner activity score was also improved from 2.0 points preoperatively to 6.2 points on the last follow-up. On Lachman and pivot sift test, 33 cases and 30 cases were improved to grade I respectively, and on stability test using Telos device, the bilateral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mean 15.5 mm preoperatively to 4.5 mm on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After 1 year follow-up, Revision of ACL had a little anterior instability but it showed satisfactory result on clinical result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 KCI등재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속발된 관절의 변화와 전방십자인대 기능 소실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최영준 ( Young Joon Choi ),안형선 ( Hyung Sun Ahn ),김정환 ( Chung Hwan Kim ),황재광 ( Jae Kwang Hwang ),이기원 ( Ki Won Lee ),최지호 ( Ji Ho Choi ),한희돈 ( Hee Don Han ),이선우 ( Sun W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속발된 관절의 변화와 전방십자인대 기능 소실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815예를 대상으로 하여 굴곡 구축, 대퇴-경골간 각, 경골극의 전위 및 후내측 경골 고평부 마모를 측정하여 이 소견들과 전방십자인대 기능소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의 굴곡구축의 평균은 각각 10.7°, 8.8°로 전방십자인대 소실 유무에 따른 굴곡 구축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대퇴 경골간 각은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의 평균이 각각 내반 7.97°, 4.38°로 기능 소실 유무에 따른 내반 변형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0) 15° 이상의 내반을 보이는 예에서는 77.6%에서 전방십자인대의 기능이 소실되어 있었다. 경골극 전위는 전방십자인대 소실 유무를 예견할 수는 없었다. 후내측 경골 고평부 마모는 전방십자인대가 비정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아서 골 마모와 인대의 소실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p=0.000) 마모가 있는 군의 85%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소실되어 있었다. 결론: 15° 이상의 내반 변형과 후내측 경골 고평부의 마모는 전방십자인대의 소실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hritic changes and a deficiency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 osteoarthritic kne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January 2008, 815 case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hat were due to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lexion contracture, the tibia-femoral angle, translocation of the tibial spine and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were assessed and we tri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ndings and an ACL-deficiency. Results: The mean flexion contracture in the knees with a deficient ACL was 10.7° and this was 8.8° in the knees with an intact ACL,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tibia-femoral angle of the patients with an ACL-deficiency was 7.97° varus on average, and that for patients with an intact ACL was 4.38° varus,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upon the ACL`s integrity (p=0.000). 77.6% of the knees with varus deformity exceeding 15° showed an abnormal ACL. Translocation of the tibial spine doesn`t predict ACL integrity. Bone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was significantly frequent in patients with ACL-deficient knees (p=0.000). For the knees with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85% of these knees showed an ACL deficiency. Conclusion: Varus deformity exceeding 15° and erosion on the posteromedial tibial plateau can reflect ACL de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