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PU 냉각 팬 제어 기법을 이용한 서버 시스템 전력 관리
오진수(Jinsoo Oh),임성수(Sungsoo L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0 No.3
데이터 센터와 같은 서버 시스템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전력 관리와 열 발생 관리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열 발생 관리의 경우 대부분 기존 연구들이 시스템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열 발생 관리에는 많은 전력이 사용된다. 따라서 전력을 고려한 열 발생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열 발생 관리를 전력 관리라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즉 열 발생 관리 중에 CPU 냉각 팬에 사용되는 전력과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전력을 고려해서 전력을 최소화하며 열 발생 관리를 해주는 냉각 제어 기법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냉각 제어 기법은, 실험 결과 기존의 냉각 기법과 비교해서 전력 소모량을 각각 12%, 28%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naging power consumption and temperature of server systems has bee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as the servers become large.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 on preventing system failures through decreasing temperature of target system. Howeve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system typically require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o perform cooling of the system and increased temperature of system naturall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even under the same system loads.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power consumption minimization method considering both the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by cooling and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through high temperatur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cooling control method saves power consumption up to 12% and 28%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oling control method.
저전력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자료 재생을 위한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최정완(Jungwan Choi),원유집(Youjip Won),정원민(Wonmin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3 No.3·4
최근에, 휴대용 컴퓨터와 모바일 장치(Smart Phone, PDA, MP3 Player 등)의 보급 증가로 인하여 모바일 환경에서의 전력 관리 기술의 필요성은 매우 증가하고 있다. 왜냐하면, 전력 관리 기술은 모바일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한편, 하드 디스크는 가격에 비하여 용량이 크고 속도가 빠르며 최근에는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하게 작게 만들 수도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에 사용하기 적당하나, 모바일 장치에 사용하기에는 소모 전력이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디스크에 저장된 연속적인 멀티미디어 자료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하였다. 모바일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엄격히 제한하는 것은 모바일 장치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실시간 멀티미디어 재생이 기존의 텍스트 서비스와 다른 점은 디스크가 저장된 데이타 블록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디스크 드라이브가 멀티미디어 데이타 전체를 재생할 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해야 하게 하므로, 전력 관리 측면에서는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전형적인 모바일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력 관리 기능은 디스크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과도한 입출력 요청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의 품질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력 소모 형태를 세밀히 분석하고,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을 덜 사용해 재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읽어야 할 데이타 블록의 수와 활성화/대기 상태의 길이를 계산한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모바일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타 블록의 연속적인 재생을 보장하는 최적의 스케줄링을 한다. 기존에 공개된 MPEG 재생기에 본 알고리즘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만들었다. 이 재생기는 전체 재생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60%의 전력 소모량을 절약하였고, 전력 관리 모듈이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재생할 경우에 기존의 재생기와 비교하여 38%의 전력 소모량을 절약하였다. In the recent years,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and MP3 Players causes rapid increasing necessity of power management technology because it is most essential factor of mobile devices. On the other hand, despite low price, hard disk has large capacity and high speed. Even it can be made small enough today, too. So it appropriates mobile devices, but it consumes too much power to embed in mobile devices. Due to these motivations, in this paper we had suggested methods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while playing multimedia data in the disk media for real-time and we evaluated what we had suggested. Strict limitation of power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has a big impact on designing both hardware and software. One difference between real-time multimedia streaming data and legacy text based data is requirement about continuity of data supply. This fact is why disk drive must persist in active state for the entire playback duration, from power management point of view; it may be a great burden. A legacy power management function of mobile disk drive affects quality of multimedia playback negatively because of excessive I/O requests when the disk is in standby state.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power consumption profile of disk drive in detail, and we develop the algorithm which can play multimedia data effectively using less power. This algorithm calculates number of data block to be read and time duration of active/standby state. From this, the algorithm suggested in this paper does optimal scheduling that is ensuring continual playback of data blocks stored in mobile disk drive. And we implement our algorithms in publicly available MPEG player software. This MPEG player software saves up to 60% of power consumption as compared with full-time active stated disk drive, and 38% of power consumption by comparison with disk drive controlled by native power management method.
모바일 멀티코어 시스템을 위한 동적 전력관리 프레임워크
안영호(Youngho Ahn),정기석(Ki-Seok Chu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7 No.7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시스템을 위한 동적전력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멀티코어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Intel Centrino Duo를 사용한 경우와 ARM11 MPCore를 사용한 경우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프로세서의 종류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된 기술에 차이가 있으며 아직까지는 멀티코어 임베디드 프로세서에 동적 전압 관리와 같은 정밀한 제어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제안하는 동적전력관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이 운영체제를 통한 멀티 프로세싱을 지원하는 환경에서는 다수의 프로세서가 소모하는 불필요한 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야한다. 필요한 만큼의 프로세서 성능을 결정하고 실시간으로 프로세서의 성능을 변경함으로써 각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을 위한 최소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자동화시키고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정의하였다. 대표적인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범용프로세서에 제안하는 전력 관리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본 논문이 제안한 동적전력관리 프레임워크가 응용프로그램의 최소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면서 가능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power management framework for multi-core systems. We reduced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core processors such as Intel Centrino Duo and ARM11 MPCore, which have been used at the consumer electronics and personal computer market. Each processor uses a different technique to save its power usage, but there is no embedded multi-core processor which has a precise power control mechanism such as dynamic voltage scaling technique. The proposed dynamic power management framework is suitable for smart phones which have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multi-processing capability. Basically, our framework follows an intuitive idea that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idle core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save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a multi-core processor. We could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used by idle cores with application-targeted polic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workloads. We defined some properties of an application to analyze the performance requirement in real time and automated the management process to verify the result quickly. We tested the proposed framework with popular processors such as Intel Centrino Duo and ARM11 MPCore, and were able to find that our framework dynamically reduced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core processors and satisfied the performance requirement of each program.
공동주택의 전기료 산정방법에 관한 관리규약의 효력 - 연구대상판결 : 대전지방법원 2015. 6. 9. 선고 2013나20760 판결 -
최은석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5
The standing rules for the management rules by each local governments state on the way of deciding the electricity bills in condominiums that it is calculated by terms and conditions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based on monthly usage of each resident, and those standing rules serve as a real management rule with or without slight modifications in many cases. It is prevailing that the electricity fees of each occupant are calculated and levied per rate of residence low voltage contract by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or management entity, whereas the signed contract with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is the residence high voltage contract. This decision appears to be the leading case on the validity of such management rules. This decision ruled that the said management rule was not in effect because it violated the housing act and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by altering the contract without the consents or confirmations of individual occupants who, the court held, were the party to that contract, not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and it was only within the scope of communal electricity bills that was allowed to be prescribed in the management rule. While I basically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decision, I take this case as one of the conflicting situations between the majority decision inside an organisation and the volition of each member, and show that we can lead to the equal end in this case through the review on the axiomatic proposition that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and the management rules formed on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can be laid down solely pertinent to the matters among sectional owners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use of communal section or criteria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multi-family housing. Moreover I demonstrated by mathematical method that there is no justifiable interests in intervening in the name of self-governance of organisations with use of electricity made in privately occupied area. I think the trial and appellate court decisions, including this judgement, kept veering off the track without noticing the aforementioned restriction sign on the regulations and the management rules, so that they either came to an improper destination or had a logical redundancy in their routes as in this case.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의 공동주택 관리규약준칙은 세대 전기료의 세대별 부담액 산정방법을 ‘월간 세대별 사용량을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급약관에 따라 산정한다’는 취지로 정하고 있고, 많은 경우에 그 준칙이 그대로 또는 일부 변경되어 실제의 공동주택 관리규약으로 쓰이고 있다. 그런데 한국전력공사와는 주택용 고압요금을 적용하는 이른바 단일계약방식으로 전기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세대별 전기료는 종합계약방식인 주택용 저압요금으로 산정하여 청구하는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단일계약방식 하에서는 전기를 많이 쓰는 세대가 아파트 단지 전체의 평균사용량을 증가시켜 아파트 단지 전체의 전기료가 많이 발생하도록 하므로, 그들에게 좀 더 많은 전기료를 부담시켜 아파트 단지 전체의 전기료를 감소시키는 동기가 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내용을 정한 입주자대표회의 의결이 무효임을 확인하는 판결은 대상판결 이전에도 있었으나, 그와 같은 내용을 정한 관리규약이 유효한지를 다룬 것은 대상판결이 최초로 보여진다. 대상판결은 입주자대표회의가 아니라 개별 입주자들이 전기공급계약의 당사자이며, 위와 같은 관리규약은 납부대행자에 불과한 입주자대표회의가 계약당사자인 개별 입주자들의 동의나 승인 없이 계약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되어 주택법령 및 사적 자치의 원칙에 위배되고, 관리규약상 필연적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청구요금보다 더 많은 전기료를 입주자들로부터 징수하게 되므로 입주자들의 재산권을 침해하여 무효이며, 관리규약으로 정할 수 있는 범위는 공동전기료의 산정방법으로 한정된다고 보았다. 이 논문은 기본적으로 대상판결의 결론에 찬성하면서, 이 사안을 단체자치와 개인자치의 갈등 문제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논리의 전개에 있어 전기공급계약의 당사자를 확정하지 않더라도,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규약 또는 공동주택관리법상의 관리규약이 정할 수 있는 대상은 공용부분의 관리 또는 사용에 관한 구분소유자들 사이의 사항 내지 공동주택의 관리 또는 사용에 관한 준거가 되는 사항에 한정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함으로써 대상판결과 동일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전유부분에서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는 다른 입주자들이 단체자치에 근거해 개입할 정당한 이익이 없다는 점을 간단한 수학적 예시을 통해 밝혔다. 대상판결을 포함한 우리 하급심 판결들은 (관리)규약으로 정할 수 있는 대상이 위와 같은 단체자치의 영역에 한정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여 개인의 자치에 맡겨진 영역도 규제할 수 있다는 부당한 결론에 도달했거나, 대상판결과 같은 논리적 잉여가 있다고 생각한다.
전력 위기의 학습과 재난 거버넌스 - 9.15 전력대란과 8.6 전력위기 비교를 중심으로-
조성은 ( Sung Eun Cho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유사한 전력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전력 위기를 관리한 2012년 8.6 전력위기와 그렇지 못했던 2011년 9.15 전력대란을 비교 분석했다. 그래서 전력관리를 위한 요인을 재난 학습(비전 공유, 지식 창출, 제도 개선, 체계적 사고)과 재난 거버넌스(공식적, 비공식적 네트워크) 시각에서 고찰했다. 분석 결과 비전이 공유되고, 제도 개선 및 체계적 사고가 이루어질수록, 또한 공식적,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호혜성을 지니면서 확장될수록 전력 위기가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9.15 전력대란 이후8.6 전력위기의 각 부문에서 위기가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부분도 있지만, 한계 또한 함께 노정되어 지속적인 학습이 요구된다. 지식창출과 관련하여, 전력 예측 모델링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부 주도보다 시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실질적 절전 네트워크 구축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compared 8.6 electrical power crisis in 2012, which effectively managed the power crisis, with 9.15 broadband outage in 2011, which could not manage it in the similar crisis situation. For comparison, factors for power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learning (vision sharing, knowledge creation, system improvement, and systematic thinking) and disaster governance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when vision was shared, and system improvement and systematic thinking were achieved, and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were extended to having reciprocity, power crisis was managed effectively. However, although crisis was managed effectively in each sector of 8.6 power crisis after 9.15 outage, continuous learning is required owing to the limitations revealed. Related to knowledge creation, improvement of power prediction modeling is necessary, and building of substantial power saving network l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rather than led by the government, is required.
노철우(Cheul-Woo Ro),김경민(Kyung-M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
전력관리는 전력상태 전환과 시스템 부하 (workload)에 의존성이 있다. 시스템 모델은 전력상태 전환과 시스템 큐에 대한 추계적 모델들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력관리 기법을 위한 추계적 모델들을 개발한다. 추계적 프로세스에 기반한 전력관리 모델은 시스템 큐와 다양한 모델링 기능을 표현할 수 있는 페트리 네트의 확장형인 SRN (Stochastic Reward Nets)을 이용하여 개발된다. 적응적 타임아웃기반 전력관리 SRN 모델을 개발하고 기존 전력관리기법인 greedy, N-Policy 기법과 전력소모 및 성능비교를 수행한다. Power management (PM) depends on the power state transition and system workload. The system model is composed of corresponding stochastic models of the power state and system queue. In this paper, stochastic models which can handle various PM techniques are developed. SRN (Stochastic Reward Nets), an extended Petri-Net, has facilities that represent system queue and various modelling functions. The SRN is employed for developing PM models. An adaptive timeout PM model is also intro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this model are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PM techniques models such as greedy and N-Policy techniques.
데이터 센터 전력 관리를 위한 부하 기반 전력 분석 모델 및 저비용 전력 예측 방법
최장호,강동오,이형직,배창석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4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0 No.2
대부분의 데이터 센터는 평균적으로 총 자원의 20% ~ 30%만이 사용되고 있고 50% 미만의 전력 효율을 갖고 있 다. 유연한 전력 관리 정책을 적용하면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동적 부하에 따른 정확한 전력 소비량을 예측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부하에 따른 서버의 전력 소비량 예측은 시스템 구축비용 및 컴 퓨팅 비용이 매우 높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한 서버 전력 측정 방법을 소개하고 간편 한 구축과 저렴한 컴퓨팅 비용으로 시스템 부하에 따른 전력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스템 부 하를 분류하고 부하 별 전력 모델을 도출하여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서버 환경을 구축하여 평가를 진행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양준모 ( Joon Mo Yang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0 응용경제 Vol.12 No.3
본 연구는 전력수요관리의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에 의해서 추정된 전력수요관리 효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전력수요관리효과에 대한 추정은 합리적인 전력공급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필수적인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수요관리의 효과를 측정할 수 없는 은닉된 상태변수로 설정하고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하여 수요관리효과를 추정하였다. 상태공간모형에서 수요관리효과를 식별하여 추정하기 위해서 정부의 수요관리정책과 각종 전력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변수들을 이용하였다. 추정된 수요관리효과는 정부가 발표한 수요관리효과와는 다르게 추세적으로 작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요관리정책 수행시 철저한 평가를 통해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suggests an estimating method for electricity demand management effects, and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estimated effects. The estimation of demand management effects is essential for forecasting peak load, because the peak load forecast is used for planning the future supply capacity. The state space modelling technique is very helpful for extracting an unobserved effect from the observed data with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The paper also provides a couple of models and compares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models. The empirical results turn out to be relatively stable across the different models. The effects become relatively smaller, so the government should address the issue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mand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evaluation.
김인호 법무부 2015 통상법률 Vol.- No.120
전력소비증가는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이나 그 증가율이 소득증가율이나 1차 에너지소비증가율을 상회함으로써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에너지사용의 전기화는 근본적으로 낮은 전기요금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합리적 에너지수급에 장애가 되어 에너지안보를 위협할 수 있고 나아가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온실가스의 배출을 통한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가중할 수 있다. 우선 과도한 전기화는 전기요금의 시장기능에 의하여 규율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력산업 구조개편이 진행되어 발전비용을 반영하는 전력가격으로 전력거래가 이루어지는 등 제한적인 경쟁시장체제가 도입되었다. 제한적인 경쟁체제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공기업과 규제감독을 하는 행정당국의 기능을 간과하여서는 안된다. 전력공급체인인 발전사업자, 전력공급자, 전력거래소는 물론 행정당국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전력산업운영이 필요하다. 전력산업 구조개편은 전기요금을 현실화하여 발전비용을 반영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전기요금이 기본적으로 현실적인 발전비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요금체계를 합리화하고 발전소 주변지역 보상, 온실가스 감축, 원자력발전의 안전 등에 관한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반영하여 내부화함으로써 합리적 가격을 통하여 시장이 기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기요금의 결정에 있어 여론수렴 과정 등 절차적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세제개편을 통하여 에너지원별 가격의 체계를 바로잡아 전력가격이 그 생산에 소요된 1차 에너지의 가격보다 낮은 왜곡된 에너지가격구조를 개선하여 지나친 전기화를 차단하여야 한다. 공급측면에서는 국가간 계통융통이 불가능하여 안정적 공급예비력의 확보가 필요하고 효율적인 전원구성비를 유지하여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수요측면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전력공급정책의 범주에서 벗어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 기술개발과 소비자의 참여를 진작하여 합리적인 전력소비를 유도하는 수요관리정책을 함께 추진하여야 한다. 전기요금의 합리적 현실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효율적 전력수요관리와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생산자물가 및 소비자물가의 상승으로 인한 산업과 가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보완정책을 개발하여야 한다. 나아가 전력가격의 합리화를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실현하여 국제전력거래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심승배,홍수민,윤웅직 광운대학교 방위사업연구소 2018 선진국방연구 Vol.1 No.1
The force support system can be defined as various elements such as equipment, parts, facilities, and software except for the weapon system, and it occupies most of the military products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The armed forces have developed military technology in the field of force support systems or has introduced commercial products and technologies from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perational concept of information system to support the project management of force suppor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life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jor points. First, there are complex constraints in the R&D(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of force support system, and transparency and efficiency during project management are also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orm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force support system in a effective wa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ngineer the business process before building the information system related to the force support system.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consensus within the milit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siness process and inform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policy alternatives to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z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the project management. 전력지원체계는 무기체계 외의 장비, 부품, 시설, 소프트웨어 등의 제반요소로 정의하고 있고, 품목 수를 기준으로 군수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군에 특화된 군용기술과 더불어 민간의 상용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업무 영역이다. 군은 전력지원체계 분야에 대하여 군용기술을 연구개발 하거나 민간의 상용제품과 기술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 군차원에서 전력지원체계의 사업관리를 총수명주기 관점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운영개념을 정립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사업은 군별로 복잡한 제약사항이 존재하며 투명성과 업무 효율성도 필요하기 때문에, 전군 차원에서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전에 업무 절차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전력지원체계 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효율성 제고에 대한 군 내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며, 공감대 형성 이후에 관런 제도를 정비하고 전력지원체계 업무를 지원하는 조직과 인력에 대한 전문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 정보화에 대한 정책적 대안은 전력지원체계 사업관리업무의 효율성과 두명성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