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구 친지 방문 호스팅을 통한 장소감 형성 - 베트남 이주 한인을 중심으로 -

        장해리,이준영,최서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3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8

        In the context of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this paper explores how migrants’ hosting of friends and relatives affect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in the receiving count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bout the sense of place of migrants and VFR hosting, this study integrates these two research s treams. Korean migrant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a re the study subject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place of the migrants through VFR hosting. Nar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rpret how the interviewees constructed their experiences that led them to form a sense of pl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is importantly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in Vietnam that enable them to feel a sense of ‘home’ there. The hosting processes including preparing for hosting and spending time with the guests in Vietnam enable the hosts to build a sense of both ‘home’ and ‘away’ through experiencing new about Vietnam and rediscovering their everyday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s the formation processes of a sense of place through the lens of VFR and in the context of Vietnam. 본 논문은 이주민의 친구 및 친지 방문(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VFR) 호스팅이 이주 지역의 장소감 형성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주민이 이주 국가와 지역에서 형성하는 장소감에 집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VFR 관광호스팅을 통해서 형성되는 장소감을 탐구하였다. 베트남 호찌민에 거주 중인 한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이주민 호스트의 장소감을 중심으로 친구 및 친지 방문 호스팅에 따른 감정 및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개별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시공간적 요인과 동질감과 같은감정, 편리함과 같은 경험이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VFR 관광 호스팅을 통한 장소감 형성은 공간, 감정, 경험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이주민은 호스팅을 위해 의도적으로 다양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는 새로운공간 인식으로 이어지며, 이주민들의 소비 및 여가 공간의 확장의 계기가 된다. VFR 관광객을 통해 느낀 ‘집’과 ‘멀리’, 이주 지역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과 같은 감정적 부분 또한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VFR 관광 호스팅을통한 이주 지역에 대한 긍정적 기억 형성, 일상 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험, 거주 지역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같은 경험들 역시 이주민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존 이주민 연구에서 개별적인 키워드로 다뤄지던 이주민의 장소감과VFR 관광 호스팅 경험을 복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VFR과 장소감을 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 한인으로 VFR 연구의 지역적 맥락을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장소감 연구

        김소라(Sora Kim),이병민(Byu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2

        최근 미디어 프로그램의 배경이 방송국 세트장 안에서 벗어나 일상생활 공간이 무대가 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미디어 프로그램에 표현된 장소는 주체와의 관계 속에 형성되는 장소감이 중요하다. 미디어 공간에서 실제의 장소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장소감이 드러난다. 장소감은 주체가 강조된다는 측면에서 장소성과 구별된다. 본 연구는 미디어 프로그램를 통한 장소감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삼시세끼>에 드러난 장소의 의미를 분석한다. 출연자들이 공간을 경험하던 층위에서 장소를 체험하는 층위로 옮겨가면서 시청자들은 장소에 대해 간접체험을 하게 된다. 이때, 공간과 장소의 의미교환과 경험과 체험의 행위교차를 통해 장소감이 드러난다. 미디어 프로그램에 나타난 장소감 연구를 통해 차이의 공간의 생산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e background of real variety programs has turned from a television studio to the space of everyday life. Places are an important aspect of TV programs, as is the ‘Sense of Place’ that i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human perception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moving to a place in the space of the media reveals the ‘Sense of Place’. Human perception and experience are distinguished ‘sense of place’ from ‘placenes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through media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meaning of place in real variety programs. Performers turn from experience of space into perception of place, and viewers indirectly experience this process. At this point, ‘Sense of Place’ is revealed through the exchange of meanings from ‘space’ to ‘place’ and the combination of the acts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which are necessary for this exchange to occur. The study seeks the possibility of the production of the space of difference through researching ‘Sense of Place’ as it appears in media programs.

      • KCI등재

        마을 탐사 활동을 통한 장소감의 발달 특성

        박니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3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ense of place over villages to shed a light on the process and aspect of developing the sense of place in students of lower grades as part of action research. The program for developing the sense of place mainly with village exploration activit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for action research. On the basis of Shamai's 7 scale, the themes of the first to third action programs were ‘Objective perception of a village’, ‘Perception of relationships with villagers’, and ‘Imparting a meaning to my village’, respectivel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ults from learning activities and those of applying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nse of place, the program including village exploration enhanced students' sense of place.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process of students's development of the sense of place and aspects of relevant changes. 본 연구는 마을에 대한 장소감에 초점을 두고 실행 연구의 방법으로 저학년 학생들의 장소감 발달 과정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교육과정에 바탕을 두고 마을 탐사 활동을 중심으로 한 장소감 발달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장소감 발달 프로그램은 Shamai의 장소감 발달 단계에 입각하여 각 실행 프로그램의 주제를 ‘마을의 객관적 인식’, ‘마을 사람들과의 관계성 인식’, ‘우리 마을에 대한 의미 부여’로 설정하여 구성하였다. 장소감 측정 도구의 적용 결과와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활동의 결과물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장소감 이해 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저학년 학생들의 장소감 발달 과정과 그 변화 양상을 파악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촌락지역 초등학생의 마을 장소감 형성 연구: 아파트 거주경험을 중심으로

        김영현(Kim Yo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rural areas of today rapidly change into apartments and affect the formation and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place formation.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moved to an apartment in a rural areas were selected, and a sense of place for the village was confirm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mental maps. and the same rural area, 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 not live in apartment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apartment residences in rural areas changed the psychological ext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pressed the apartment as an independent place in the village.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non-residential apartm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at their apartments had some changes in their feelings about the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complex view of apartments is needed to teach the sense of place in a village in a rural area. 본 연구는 오늘날 촌락지역의 급속한 아파트화가 초등학생들의 마을 장소감 형성과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그것이 초등 사회과교육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촌락지역에서 같은 아파트로 이사한지 1년 이내의 초등학생 12명을 선발표집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심상지도 그리고 질문지를 활용하여 마을에 대한 장소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촌락지역에서 살지만 아파트에 거주하지 않는 초등학생 17명의 장소감을 질문지로 측정하 여 아파트 거주가 마을 장소감 변화에 변인으로 유의미한지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촌락지역에서 아파트 거주는 초등학생의 마을에 대한 심리적 범위를 변화시키고 아파트를 마을에서 독립적 장소로 표현하는 장소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 비거주 초등학생들도 아파트로 인해 마을에 대한 장소감이 일부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촌락지역에서 온전한 마을의 장소감을 가르치기위해서는 아파트라는 장소에 대한 복합적인 관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서울에 대한 어린이들의 인식 비교: 장소감 형성과 관련하여

        김혜진(Kim Hy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어린이는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주변을 탐색하게 된다. 어린이는 다양한 장소를 탐색하고 경험하며 어린이들은 세계를 보는 관점을 가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세계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며 성장해가며, 자신이 속한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된다(Relph.1976; Tuan,1977). 최근 어린이 지리에 대해 관심이 늘어나면서 관련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어린이들의 장소감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교육에서는 어린이의 장소감과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 장소감의 측정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어린이들의 장소감이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 또 어떤 요소와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부족했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elph(1976)와 Sreels(1981)의 모형을 기반으로 내부자로서의 장소 인식과 외부자로서의 경관 인식의 차이와 관련한 장소감 형성 모델을 만들고 이와 관련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 연구는 서울에 대한 서울과 경기도의 초등학생의 인식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의미분석법과 Mind map을 통해 서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서울시 대표경관과 이를 인지하게 된 경로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장소 인식과 장소감을 형성하는 토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Children explore environments as subjects in their lives. Children acquire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through exploration and experiences on various places in surrounding world. In this way, they expand knowledge on the world, grow up, and form attachment to places where they belong(Tuan, 1977; Relph, 1978). Children geography gains recent attentions and a growing number of studies explore routine places of children and focus on them. In addition, mor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re conducted to identify what they think and how they feel about places. Although there have been phenomenological studies associated with their senses of place and studies on the assessment of sense of place in pedagogy, it can be said that studies on how their senses of place have been formed, factors, and relevance remained inadequate. Thu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place as an insider 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as an outsider, and further examine where this perception has been derived. By doing so, its purpose lies in identifying how children perceive places and what basis forms a sense of place.

      • KCI등재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김혜진 ( Hye Jin Kim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으로서의 ‘장소감’과 교육과정ㆍ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소감’을 비교하여 적실성을 살피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학문의 발전은 학교에서 가르칠 내용의 변화로 이어진다. 교육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은 학문적 지식은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으로 학교에서 가르칠 자식이 된다. ‘장소감(sense of place)’ 역시 이와 같은 절차로 2015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였다. 공간과 장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인간의 실존주의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장소감’이라는 개념은 지리교육에 있어 중요한 연구 주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관련 연구는 지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폭넓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학문 분야에 따라 장소감에 대한 의미와 범주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장소정체성, 장소애착, 장소의존성 등 하위개념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장소감이라는 개념이 명확히 정립되었다기 보다는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장소감을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생각이나 느낌으로 정의하고, 사적 지리의 측면에서 개인마다 장소감이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sense of place by examining divers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nd verify the relevance by comparing with curriculums and textbooks. Academic development leads to a change in contents to teach at school. For the contents to teach at school, an academic research result must be credited for validity of its educational value. One of noticeable transition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the emergence of ‘sense of place’. A discussion on place has been established as a crucial topic in geography education, since it was researched by Yi-Fu Tuan and Edward Relph in earnest. In recent tim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lace, and research on a ‘sense of place’ is being widely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geography. Bu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in meaning and category of sense of place depending on academic fields, and the emergence of related concepts, such as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is bring about confusion. On the other hand,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sense of place to teach at school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dvancement in place-based education and private geography, and children’s geography, based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sense of place by examining diverse studies on a sense of place and verify the relevance by comparing with curriculums and textbooks.

      • KCI등재

        옛이야기 감상에서 장소감의 활용과 교육 방법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는 장소감을 활용하여 옛이야기의 감상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옛이야기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양하기 활용되고 있으나, 간혹 옛이야기를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 교훈적인 이야기로 간주하고 특정 학습 목표를 위한 읽기 제재로 다루기도 한다. 그러나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동안 이어져 오면서 인간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옛이야기를 즐겁게 향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장소감’을 활용하여 옛이야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장소감이란 인간이 장소에 대해 느끼는 특별한 감각이다. 즉, 주체가 장소감을 인식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방식과 존재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곳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장소감은 자신의 주변 세계를 탐색하고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옛이야기의 공간이나 장소는 크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옛이야기의 공간이 ‘옛날 어느 마을에’와 같이 제시되고, 자세한 설명이나 묘사를 생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옛이야기의 공간은 집이나 산, 바다, 산속 등 자연과 같이 어린이들의 일상과 관계된 공간이다. 이는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공간에서 어떠한 장소감을 느끼느냐에 따라 자신의 일상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1-1학기 (나)의 수록 제재인 『호랑이 형님』을 분석하고, ‘장소에 따른 인물의 행동 인식하기’, ‘인물의 장소감 상상하기’, ‘자신의 삶에서 장소감 형성하기’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옛이야기를 감상하는 것은 일상공간에 대한 자신만의 감각을 갖게 되고, 옛이야기에서 삶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며 나아가 어린이들에게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appreciating old story by utilizing the sense of place. Old story is used in various way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owever, in textbooks, old stories are often regarded as easy, fun, and didactic stories and used as a reading material for specific learning goals. However, since old stories have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and contain in-depth meanings for human lif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children to enjoy the old story happily.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sense of place'. A sense of place is a special sense that humans feel about a place. In other words, when the subject recognizes the sense of place, it means that he realizes his own way of life and meaning of exist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since they do not pay attention to where they live, a sense of place for children can help them explore the world around them and make their own way of life. Until now, the space or place of the old story has not been dealt with largely. The reason is that the space of the old story is presented like ‘in an old village,’ and detailed explanations or descriptions are omitted. However, the space of old stories is a space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children, such as the house, mountain, sea, and nature. This also means that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look at one's daily life anew depending on what kind of sense of place he feels in the space that appears in the old story. In this study, we analyzed 『Tiger Brother』, the sanction of the Korean textbook 1-1 (B)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method of 'Recognizing a person's behavior in different places’, ‘Imagine the character's sense of place’, ‘Applying it in your own life’ was proposed. Appreciating an old story through such a method is meaningful in that it gives a sense of one's own sense of the everyday space, discovers the meaning of life in the old story, and can b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grow up.

      • 남해 금산의 문학지리와 장소 상상력

        한정호 한국지역문학회 2015 한국지역문학연구 Vol.4 No.1

        I am writing to place poetry snatching material of Kumsan in Namhae-gun Gyeongnam. Of course, there is not much poems associated but I want to how the image in poems to the sense of place of Kumsan where go everything in any regional image. To this end, I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natural geography shape, human geography imagination, and journey experience of Kumsan in the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s, and I saw approaching them. The First, there were Kumsan 38 view and natural geography shape.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allowed Kumsan 38 view to the main material. Thus, the sense of place of poets for Kumsan put landscape description at its heart. for this reason, Kumsan for this shrinking reiterated the idea for customary, or vague inspiration and there was poems speaking about scenery faraway. That being so, it is not easy to find works in the place for specific and original and getting about Kumsan. but poems of this type Kumasn's external appearance is concentrated therefore, their eyes, it has failed to show to specific places and unique shape. The Second, there were Kumsan stories and human geography imagination.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did not stop in the natural geography shape and was symbolized by creative topophilia in the legend or personal affairs. These poems laid out places of Kumsan. Such talk is a mere place of Kumsan experience and beyond a sense of place through human geography imagination. At these place poetry is a specific place for a specific and individual portraying an intimate memories, but also transmitting the image area of the South-Sea was not so far. The Third, there were Kumsan sightseeing and journey experience. The sense of place on Kumsan has become a place of reflection resting place or touched weary life like journey poetry. And of course, each of poets different embodiment of journey experience but they are recognized as a place where you can refine the mind. But place poetry of the Kumsan kept that did not spread out the places imagination of a new concrete one with personality or natural poetry by people suffering from age and idea to evenly melt and unique experience poetry far apart in history and cultural context. As such, I was able to confirm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ith an overview of the place poetry associated Namhae Kumsan from the literary geographical perspective. An intimate place that remains constant even in the flow of the era and soon the central location be an important symbol exactly the kind of place where regional people was made one of the community. After all, here's a place poetry was not enough new place-shape but I think having a good example also searching the area of the image of Namhae-gun and sense of place or topophilia on Kumsan. To do this, they are giving momentum to Namhae Kumsan once widely informing. 글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의 진산인 금산을 글감으로 삼은 장소시들을 챙겨 보았다. 물론 관련된 시작품은 그다지 많지 않았지만, 금산의 장소감이 시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어떠한 지역 이미지로 다가서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금산의 자연지리 형상화, 인문지리 상상력, 그리고 기행 체험이라는 세 유형으로 나누어 접근해 보았다. 첫째, 금산 38경과 자연지리적 형상화이다. 금산에 대한 시인들의 장소감은 대개 금산 38경을 주요 글감으로 삼고 있으며, 그곳의 아름다운 경관 묘사를 그 중심에 두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금산에 대한 관습적인 생각을 거듭하거나, 막연한 감흥을 앞세우며 건성으로 경물을 들먹거리고 있는 시들도 많다. 따라서 금산에 대한 구체적인 장소감과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형상화에 이르고 있는 작품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은 셈이다. 하지만 이들 시들은 금산에 대한 시인들의 장소사랑을 가늠할 수 있게 했다. 둘째, 금산 이야기와 인문지리적 상상력이다. 시인들의 금산 이야기는 단순한 장소 체험을 넘어 인문지리 상상력을 통해 금산의 장소감을 넉넉하게 펼쳐 보이고 있다. 이들 장소시는 특정 장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친밀 기억을 그려내고 있지만, 남해군의 지역 이미지를 드러내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도 금산의 장소감은 자연지리 형상화에 머물지 않고, 금산에 얽힌 전설 또는 개인적 이야기로 독창적인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금산 탐승과 기행 체험이다. 여느 기행시들과 마찬가지로 금산의 장소감은 지친 삶을 어루만져 주는 안식처 내지 자기 성찰의 장소가 되고 있다. 물론 시인들마다 기행 체험은 저마다 다를지라도, 삶의 여유를 되찾고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는 장소감으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금산의 장소시는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장소 상상력을 펼쳐내지 못함으로써, 개성을 갖춘 새롭고도 구체적인 풍물시나 사람살이에서 겪는 느낌과 생각이 골고루 녹아든 독특한 체험시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글쓴이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남해 금산과 관련된 장소시들을 챙겨 살피면서, 지역문학 연구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한결같이 남아 있는 친밀 체험 공간, 곧 중심 장소야말로 지역 사람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주는 중요한 상징임에 틀림없다. 결국 여기에서 다룬 장소시들은 금산의 재장소화를 이루어내는 데는 모자람이 많았지만, 금산의 장소감 내지 장소사랑, 그리고 남해군의 지역 이미지를 살피는 데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장소로서의 도시와 공간의 장소감 표현 연구

        전은희(Jeon, Eu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2 No.12

        본 논문은 도시에 형성된 주거 장소의 일상적 풍경에서 느낄 수 있는 장소의 감정에 대한 회화 표현 연구이다. 삶의 풍경을 담은 장소들을 먼저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거쳐 작품으로 구현함에 있어, 공적 장소가 아닌 도시에 형성된 타자들의 사적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에서 사회와 사람과 자연이 통합된 이상적인 삶을 지향하는 연구자 본인의 성정에서 기인된 것이라 하겠다. 타자에 대한 관심과 이해에서 비롯된 연구자의 장소에 대한 관심은 장소 상실로 인한 사회적 균형의 파괴와 타자에 대한 관심의 부재가 팽배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주거 장소가 가진 장소감이라는 특수한 감정을 회화로 표현함으로써 평범한 장소에서 만들어지는 삶의 의미와 존재 가치를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또한 현재 도시에서 소외된 장소가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인 재개발로 인해 장소의 불가항력적인 상실이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는 주변부로 밀려나 소외되고 낙후된 장소에서 느껴지는 장소감을 회화로 표현하고 이를 장소의 흔적과 사물들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사물이 부여하는 존재성을 마지막장에서 장소의 흔적과 장소의 사물들을 관찰하고 표현한 작품을 통해 장소에 녹아있는 장소감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사소한 사건들로 흔적이 남은 장소에 대한 감정과 장소에 존재하는 일상적 사물들은 특별한 미의식이 부여된 사물이 아님에도 우리에게 삶의 근원적인 건전함을 재확인시켜준다. 이처럼 장소와 사물에 주목하고 미적대상으로 표현하게 된 것은, 하찮게 여겨져 버려진 사물들을 통해 그 사물들이 만들어내는 장소감이 장소의 감정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사람들의 삶이 있는 장소에 가치와 존재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장소의 감정을 바탕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거장소를 도시의 사회학적인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주목받지 못하는 소외된 장소를 미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얻어지는 장소감을 표현하고자 함에 있다. This paper is going to be discussing about the living place’s usual scene’s daily feeling. I mainly express people’s personal place’s feeling of the place by visually recognizing places those contain the scenery of life and then recognize those in aesthetic subject. This originates from the writer’s nature which has an intention of combination of people, society, and nature. Writer’s interest originates from people’s concern and understanding with current society"s problem which is society’s destruction and losing interest from other people. So from this research, writer is going to show value of existence and meaning of life created from normal places by special feeling of living place’s sense of place. Also isolated place are created from redevelopment within cities creates uncontrollable lose of places. Writer is going to show place of feeling from old and isolated places through trace of a place and an object. Existence given from object will be discussed in the last chapter by pieces containing feeling of place observing trace and objects in places. Although normal objects without trace from events are not objects with aesthetic sense, theory reconfirm the life’s root healthiness. Place and objects are focused and expressed as an aesthetic objects adds more feeling to the place by useless objects those are thrown away, and show existence and value to the places with life. Object for this research is to see common place’s society’s contemplation and reproduce places those are not focused by feeling of the place.

      • KCI등재

        일상공간에서의 어린이의 장소감 - 정서적 측면을 중심으로 -

        박명화 ( Park Myung-hwa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총체적으로 관계 맺는 장소를 파악하고, 어린이 장소의 의미와 장소감을 정서적 측면에 주목하여 탐색해보는 데 있다. 어린이들은 생활 세계에서 경험을 통해 공간과 상호작용하며 장소감을 형성한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공간 인식은 어른들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특히 어린이들은 장소를 인지적으로 인식하기에 앞서 정서적으로 이해한다. 이렇게 형성된 장소감은 자아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초등지리교육에서 어린이 장소감의 정서적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Mental map 조사 및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어린이의 장소와 장소감을 탐색하였다. Mental map에 나타난 어린이들의 장소감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은 다양한 일상적 경험들 중 특히 놀이와 휴식의 공간에서 정서적 의미를 형성한다. 둘째, 어린이들은 타인과의 관계 맺음을 통하여 장소의 정서적 의미를 형성한다. 셋째, 경계가 뚜렷한 공간의 내부에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들은 내부와 외부의 공간에 대해 상이한 정서적 맥락을 형성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laces where children build a holistic relationship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children`s places and their sense of plac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motional aspects. Children establish a sense of place while interacting with spac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their life world. That explains why children`s perception about a space is manifested differently from adults. Children understand places emotionally before recognizing them cognitively. The sense of place formed in such ways affect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identity and helps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therefore, needs to address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s sense of place. This study employs mental mapping and in-depth interviews for fifth graders to explore children`s places and their sense of place. The findings from studies on children`s sense of place through menta mapping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establish emotional meanings especially in spaces for play and rest, among a variety of their everyday experiences. Second, children form an emotional meaning of a place by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ird, children living in a space which has a clear boundary with the outside form different emotional context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