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도시공간의 상장례 문화

        김시덕(Kim Shi-dug)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이 글의 테마는 도시공간의 상장례문화(Funeral culture)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관 등 철학적 관점보다는 현대 도시공간에서 행해지는 상장례문화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상장례문화는 매장(埋葬)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The Period of Chosun Kingdom)에 형성된 유교적 전통이다. 그러한 조선시대의 전통은 도시공간에서 행해지는 현대 상장례와는 외형상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전국 평균 화장률이 이미 46.3%에 이르렀고, 66%가 앞으로는 화장(Crematory)을 하겠다는 설문조사에서 보듯이 이제 화장은 혐오스러운 장법(葬法)이 아니라 선호하는 장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화장한 유골을 봉안하는 봉안당(奉安堂, Charnel house)이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봉안당에서 행하는 새로운 성묘문화가 탄생하고 있다. 현대 상장례문화를 변화시키는 원인은 ‘가정의례준칙’과 장례식장의 등장이다. 우선 장례식장이 등장함으로서 장례의 공간이 집에서 공공적인 장소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 사회에서는 비정상적인 죽음으로 간주되었던 객사(客死, 집이아닌 장소에서 죽는 일을 금기시함)가 정상적인 죽음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상례의 절차, 진행방법, 상복의 양복화, 상장례 용어의 변화, 상례의 쇠퇴, 염습의 변화 등 외형적으로는 상당한 부분에서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장례식장에서 의례를 행함에 따라 상장례 용품을 비롯한 제사음식, 접대음식 등을 대행해 주는 업체가 성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적 현상이 등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장례 식장의 운영, 예식의 접수 및 관리 등을 위한 전문직종인 장례지도사(Funeral Director)가 등장하여 이들이 또 하나의 직종(職種)은 물론 소문화집단(Folk Group of culture)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상장례문화의 전통이 완전히 바뀐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상여 대신 캐딜락으로 시신을 운반하고, 전통상복 대신 검은색 양복을 입는 것을 두고 전통의 단절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수단과 형식은 바뀌었다 하더라도 상복을 입는 일, 부조를 전하는 민속, 염습, 시신을 정중히 운반하는 전통 그 자체는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외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적인 문화적 전통은 형식의 변화라는 수단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enior Curator,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is would be an analytic study of funeral culture in contemporary Urban Area. Factual aspect of the funeral culture would be mainly discussed rather than philosophical aspect. The core concept of the present funeral culture in Korea was established in the Joseon kingdom according to its Confucian tradition. The presentations of funeral culture in contemporary Urban Areas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ones in the Joseon kingdom. As a funerary method, crematory has been selected as much as 46.3% in average. A survey shows that 66% of the surveyed prefer crematory that used to be detested. The appearance of charnel houses result in establishing a new pattern in visit to worship of the deceased. The main influences on the changes in funeral culture are ‘The Simplified Family Ritual Standards(家庭儀禮準則)’ and the appearance of ‘funeral home(葬禮式場)’.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of funeral home, the funerary rite came out to public spaces from private places. It also caused conceptual changes of an idea of death: Gaeksa(客死), dieing away from home, used to be a taboo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now it is accepted as normal. There also are substantial changes in many features of funeral culture with the declination of its rite: process of funerary rite, adoption of western clothes as funeral costumes, changing in shrouds, and the terminologies. Funerary rites in public funeral home developed a new funeral culture. Commercial service agents provide all ritual wares and foods and they serve visitors. Further more professional funeral directors manage the whole process of funerary rite in place of families. The funeral directors created a new category of profession and they make a subculture by themselves. These phenomena may seem show the drastic change of funeral culture. A Cadillac carries corpse instead of a bier and people wear black suites rather than traditional costume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tradition is ceased. Although the appearances and means are changed, the essential tradition succeeds in wearing funerary costumes, condolence money(扶助), shrouding corpse, and carrying it with a solemn ritual. Therefore the spirit of cultural tradition is maintained transforming its way of presentation assimilating with contemporary urban atmosphere.

      • KCI등재후보

        장례문화콘텐츠 개발 가능성과 한계 -실버산업을 중심으로-

        송현동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9

        이 글은 고령화 사회 속에서 전개될 실버문화콘텐츠와 장례문화의 관계를 점검해보고 이를 토대로 장례문화콘텐츠 개발 가능성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최근 한국의 죽음문화는 전통과는 다른 양상으로 급변하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첫째, 한국 사회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전통적인 장묘문화가 급변하고 있다. 2005년은 한국 장례문화사에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난 해로 화장률이 53%로 급증하면서 매장률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이제 한국의 대표적인 장묘문화는 매장이 아니라 화장이 된 것이다. 한국 사회는 불과 10여년 전만하더라도 ‘매장’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문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이것이 죽음을 처리하는 ‘유일한 방식’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제는 ‘화장’도 죽음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한국 사회는 적어도 매장 이외의 ‘다양한 죽음의 문화’가 공존하게 되었다. 이렇듯 향후 한국 사회는 전통적인 장묘방식이 변화하면서 고인을 추모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자리를 영상문화콘텐츠가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둘째, 장례장소가 집에서 장례식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의례장소의 이동은 단순한 장소이동을 넘어서 의례변화를 수반하며, 장례가 가족과 친지, 그리고 지역공동체 차원에서 집행되던 관행에서 벗어나 상업화된 전문장례업체에게 위임되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례의 상업화는 소비자의 욕구보다는 이윤추구를 위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서 장례문화콘텐츠개발과 보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셋째, 장례의 사사화(私事化, privatization) 현상으로 장례방식이 ‘개인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면서 장례문화 전반에 대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웰빙이 확대된 웰엔딩(well-ending)에 대한 관심은 장례문화의 변화를 넘어서 한국의 죽음에 관한 문화를 변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웰엔딩에 대한 관심은 생전에 죽음을 준비하고 설계하려는 사람들의 증가(pre-need funeral plan)로 이어지면서 한국 사회에 새로운 죽음문화 트렌드를 형성하게 하는 원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로 이러한 부분이 실버산업과 맞물려 장례문화콘텐츠개발 가능성을 밝게 하는 부분이다.이러한 죽음문화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서 실버문화콘텐츠로서의 장례문화콘텐츠 개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할 때에 가능하다. 한국인들이 죽음을 부정적인 것으로 여기고 거부하려는 태도가 계속된다면 장례문화콘텐츠 개발은 어렵다. 죽음을 받아들지 않는 상황에서 생전에 장례식을 위해 자신에 대한 기록과 음성이 담긴 영상을 제작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한국의 장례문화 변동양상을 통해서 볼 때 장례문화콘텐츠 개발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에우리피데스의 『탄원하는 여인들』과 아테네 민주정: 아드라스토스와 페리클레스의 장례연설 비교를 중심으로

        장시은(Jang, Si-Eu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4

        이 글의 목표는 에우리피데스가 『탄원하는 여인들』에서 델리온 사건이라는 시사적 소재를 어떻게 극적인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 작품이 당시 아테네 시민들에게 특별한, 그러면서도 익숙한 장례연설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에우리피데스가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장례연설 및 장례 과정을 이 작품 안에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아드라스토스의 장례연설과 당대 장례연설의 대표적인 예인 페리클레스의 장례연설을 면밀하게 비교 분석한다. 다음으로, 과장된 감정의 표출이 드러난 코로스의 애탄가와 내용의 비일관성으로 비판받는 에우아드네의 자살 장면이 모든 청중이 참여하는 일종의 장례 의식의 부분으로 의도되었음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탄원하는 여인들』이 델리온에서 사망한 아테네인들을 위한 장례 의식을 극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아테네인들을 위로하고 아테네인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작품임을 확인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how Euripides makes use of the subject of the Delion case in a dramatic way in the Suppliant Women. First of al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this work contains a funeral speech, which was a well-established genre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Adrastos’ funeral speech is closely compared with and explained by reference to Pericles" funeral speech,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genre. This article also accounts for the meaning of the scene of Euadne"s suicide and the kommos of the chorus, both of which are criticized for inconsistency and exaggerated emotion. These scenes can be made sense of as a part of the dramatized funeral ceremony. One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Suppliant Women is intended to comfort the Athenians and to enhance the pride of the Athenians by dramatically recreating the funeral rituals for the Athenians who died in Delion.

      • 장례복원메이크업에 관한 고찰

        김미영(Mi Young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21 뷰티산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장례복원메이크업에 관한 고찰연구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국내에는 장례복원메이크업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장례메이크업과 가장 비슷한 행위가 입관 전 장례지도사들이 고인에게 스킨이나 파우더 정도를 발라주는 정도였다. 최근에는 장례문화의 변화와 성장으로 말미암아 장례복원메이크업이 그렇게 생소하거나 낯선 문화가 아니다. 고인에게 수의를 입히는 것만이 과거의 보편적인 장례문화였다면 지금은 고인이 생전에 좋아했던 옷을 입히는 경우도 많아졌다. 또한 수의로 얼굴을 덮던 것에 그쳤던 문화가 장례복원메이크업의 등장으로 새로운 미용전문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고인이 사고로 사망한 경우는 유족들이 장례복원메이크업을 원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2017년 정식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장례복원메이크업전문가가 포함되어 또 하나의 직업군으로 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일반메이크업과 장례복원메이크업은 분명히 차이가 있다. 살아 있는 사람과 고인이 된 사람에게 메이크업을 한다는 건 상황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며 시신이 훼손된 경우 복원하는 기술도 매우 전문적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대학이 있으나 많이 한정되어 있어 체계적으로 높은 완성도의 시술과 교육을 받은 전문가를 찾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장례복원메이크업에 대한 관심과 보다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전문가 배출과정에 관한 관련 교육에 대한 명확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례복원메이크업에 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존귀하고 아름다운 장례문화를 지향하고 고인을 존중하는 분위기를 만들며 장례복원메이크업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미용분야의 일자리 창출이란 점에서도 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One of the thing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an aging society is preparation for death. Death is recognized as a common problem rather than an individual problem that everyone must face at least once, not in isolation or to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life and death. In the early 2000s, there was no such word as funeral restoration makeup in Korea. However, the most similar act to funeral makeup was to the extent that the funeral directors applied skin or powder to the deceased before entering the building. Now, funeral culture is gradually changing, and funeral restoration makeup is not a new culture. If it was a common culture in the past to dress the deceased in a shroud, now it is often seen that the deceased wears the clothes he liked while he was still alive. Similarly, the number of people looking for funeral beauty restoration makeup from covering their faces with a shroud is gradually increasing. If the deceased has died in an accident, the rate of seeking funeral beauty restoration makeup is even higher. Funeral beauty restoration makeup specialist was included in the official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in 2017 and can be called an official occupation.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normal makeup and funeral makeup. Because cremation for a living person and a deceased person are very different. And if the body is damaged, it is necessary to have the technology to restore it.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still universities where technology can be learned, but they are very limited. Based on this fact, interest in funeral restoration makeup and the need for more research are raised. Clear expertise in operator training and discharge process through job analysis is required. This study aims at a beautiful funeral culture, creates an atmosphere that respects the dignity of the deceased, examines the importance of funeral restoration makeup, and furthermore, in terms of creating new jobs in the beauty industry, It s meant to be helpful.

      • KCI등재

        공영장례 조례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윤강인(Yun, Kang In),김종일(Kim, Jong Il),황예음(Hwang, Ye Eum),임시현(Lim Si Hy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장례지원의 직접적인 의무를 갖고 장례과정을 지원 또는 위임의 권한을 가진 지방자치단체의 공영장례 조례를 분석대상으로 특징과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48건의 조례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조례 분석틀을 이용하여 공영장례의 개념 및 권리성, 대상자의 범위, 급여의 종류 및 수준, 전달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영장례 조례는 무연고 사망자와 연고자의 능력부족으로 장례를 치를 수 없는 사망자에 대한 장례지원이 주된 과업이며, 고인의 존엄성 유지 및 사회적 책무이행, 공동체 의식실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무연고 사망자 외에 공영장례지원 대상 선정 문제는 저소득이나 기초생활수급자 등 전제조건을 내세우는 경우를 제외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임의적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급여의 전달체계를 살펴보면 비혈연 관계인도 급여신청이나 급여를 수령하여 장례를 치를 수 있는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으나 급여수준이 평균 장례비용보다 현저히 낮고 장례 문제에 있어 혈연관계를 우선시하는 제도적 현실로 미루었을 때, 상당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제·개정될 공영장례 조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책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ordinances specifically enacted by local governments which bear the responsibility and possess the authority to delegate or support the funeral process under the Ordinance on the Support of Public Funerals. Utilizing the analytical standard of ordinance on social welfare, a total of 48 ordinances have been analyzed.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 is as follows. The major task of the Ordinance on the Support of Public Funerals is to provide assistance to the deceased with no social ties and also to those who lack the ability to carry out the funeral process, and its purpose is to maintain dignity and carry 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deceased, and to fulfill the communal spirit. However, the selection of subjects depends entirely on the arbitrary judgment of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exception of subjects without social ties or special cases with prerequisite conditions such as subjects with low income or recipients of livelihood benefits. Furthermore, there is room for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elivery of fund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ayout and the institutions in charge display a tendency to only recognize recipients with blood ties, despite the ongoing discussions on granting the right to receive payment to persons without any blood relations. Based on these issues, this research provides the desirable direction on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Ordinance on the Support of Public Funerals and discusses the burden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upcoming developments.

      • KCI등재

        장례지도사의 사회적 위치: 전북지역 장례식장 근무자를 중심으로

        유상춘 한국구술사학회 2021 구술사연구 Vol.12 No.1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modern society changed the culture of funeral. The space for the funeral shifted from home to a funerary house, and the person who controls the funeral has also changed to a funeral director. Funeral houses serve as agents relating to the entire funeral procedures and funeral directors have been institutionally produced through national certifications since 2012. Funeral directors are classified as specialized professionals by law. Currently, there are 27,508 funeral directors nationally and 945 of them work in Jeonbuk. They have prid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but also a sense of skepticism and deprivation. Funeral directors repeat the real world and the sacred world every day. They determine their social position through repetitive acts, such as separation, margin, and aggregation, as described in Arnold van Gennep's theory. The social position of funeral director can be seen in two aspects. One is the social perception that avoids the funeral busines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job. The other is made by the interaction of funeral directors’ two identities as ritual actors and professionals, and the ensuing internal conflict. This social position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uneral director's own making and the factors created by the external gaze. 현대사회에서 죽음의 의례인 장례(葬禮)는 병원, 개인이나 법인에서 운영하는 장례식장에서 대부분 이루어진다. 도시화와 핵가족화는 마을 공동체로 지냈던 장례를 새롭고 편리한 공간인 장례식장으로 이동시켰다. 장례식장은 장례와 관련한 모든 절차를대행해주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장례를 치르는 것은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법률이 제정되었고,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도 2012 년부터 국가가 인증하는 전문가로서 장례지도사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 법률에 의해인증된 장례지도사는 하나의 직종이 되어 전문직업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 장례지도사는 전국적으로 27,058명에 달하고, 전북은 945명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장례지도사는 전문직업이라는 인증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천시되는 직업으로 기피하는경향이 많아 직업적 만족감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시선으로 인해 상실감을 갖기도 한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직업으로 분류되어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사회적 인식이 어떻게 표출되고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장례지도사의 일에 대한자존감은 어떤 경우에 경험되는가를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따라서 장례지도사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배경과 직무에 대해 살펴보고, 장례 의식을 치르는 장례지도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통한 사회적 위치를 고찰하며, 이들이 경험하는 갈등이 어떤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연구하였다. 그동안 장례와 장례지도사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 장례문화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장례지도사에 대해서는 자격제도와직업적 정체성,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장례지도사가 직업인이면서 의례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과정에서 내면의 갈등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위치짓고 있는지를 민족지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출상(出喪) 전야(前夜) 상가(喪家)에서 행해지는 장례(葬禮)놀이

        오임숙 ( Oh Im-suk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1

        생을 마감하는 생사의 경계시간에 행하는 의례가 葬禮이다. 우리 전통문화가 가진 독창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화가 喪葬禮문화, 특히 그중에서도 연구자는 `장례놀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인 장례놀이 문화는 거의 찾아 볼 수 가 없다. 본 연구는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여러 유형의 장례놀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장례놀이가 지금까지 어떻게 정착되었고,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왔는 지 유형별로 나누어 살피고, 그 기능들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함의, 또한 장례놀 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담당하는 역할의 의미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장례는 죽음의 의례이고, 亡者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 장례의 주인공이다. 그는 이 세상을 떠나 저승 문턱에 있지만, 수시로 등장하여 장례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 즉 장례놀이에 참여하는 거짓상주나 선소리꾼의 입을 빌려 이승을 떠나는 아쉬움과 서러움, 두려움 등을 마음껏 풀어낸다. 출상 전야는 주검이 집에 머무는 마지막 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상가에 모여 놀면서 굿을 하기 도 하고, 빈상여를 어르며 놀기도 하고, 사위를 달아매기도, 거짓상주가 되어 상 주를 위로하는 등의 요란하고 떠들썩한 여러 형태의 장례놀이를 축제처럼 행한 다. 이처럼 떠들썩한 상가의 분위기, 축제적인 놀이는 엄숙하고 경건한 의례의 형식과 걸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다. 출상 전야에 행해지는 장례놀이는 춤과 음악, 광대짓 등으로 축제처럼 즐기지만 그 속에는 다음날 出喪을 대비하는 예행연습의 기능, 상두꾼들의 역할 분담까지 확실히 하 여 다음날 運柩에 차질이 없도록 점검하는 실제적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장례놀이들은 죽음의 의례이자 죽은 이에 대한 의례이면서도 결국은 삶의 의례 이며 산 자의 의례인 것이다. Funeral is the ritual conducted at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uthor believes the most unique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is funeral rites culture, particularly, the funeral plays. However, traditional funeral plays are barely seen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he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r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o see how the culture was settled and how it was transformed. Also, the study contemplated on the definition of each functions and the role of people participating in funeral plays. Funeral is the ritual of death and the deceased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ritual even though one does not exist. One stands on the door step of afterlife, but plays rol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funeral. In other words, borrowing the mouth of chief mourner or "seonsorikkun" of the play, the sorrow, sadness and fear of leaving this life is unraveled. Eve of the funeral is the last day of the deceased staying at home. Village people gather at the house of mourning to exorcise, play with empty bier, tie up son in law or console the mourner by becoming fake mourner and perform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like a festival. Such aloud mood, such festive play at the eve of funeral is unfit with quiet and reverent ritual which is quiet shocking to us. Funeral play performed at the eve of funeral is enjoyed by people life festival with music and clowning, but it actually contains function reviewing the funeral procession the they before to conduct the procession according to plan. Such funeral play is the ritual of death, the ritual for the deceased, and the ritual of life and the ritual of the living in the end.

      • KCI등재후보

        국가장법의 문제점과 개정방안에 대한 고찰

        김홍석(Kim, Hong-Seog),정진구(Jeong, Jin-Goo)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論叢 Vol.30 No.-

        국가장법은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 서거(逝去)한 경우에 그 장례를 경건하고 엄숙하게 집행함으로써 국민 통합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역대 국장 및 국민장을 치른 현황을 보면 모두 15회를 치렀으며 그 중에서 국장은 총 2회를 치렀고, 국민장은 총 13회를 치렀다. 최근에 치른 3건의 전직 대통령의 장례로 2006년 10월 故 최규하 前 대통령의 장례와 2009년 5월 故 노무현 前 대통령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결정하고 치렀다. 그런데 같은 전직 대통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009년 8월 故 김대중 前 대통령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하지 않고 국장으로 치르게 되었다. 故 김대중 前 대통령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르게 된 사안을 계기로 사회에서는 국장과 국민장의 구분과 대상자의 선정에 대한 원칙과 기준이 모호하고 명확하지 않다는 것에 대하여 형평성을 둘러싸고 논란과 갈등이 발생되었다. 이에 이러한 운영상의 미비점을 보완 및 개선하고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 국장 및 국민장을 국가장(國家葬)으로 통합하면서 법집행의 혼란과 사회적 갈등을 방지하고 국민 통합을 기하고자 2011년 5월 30일 국가장법을 전부개정하였다. 그러나 현재 시행중에 있는 국가장법에서도 불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기준과 미비한 점으로 인하여 앞으로 사회적으로 혼란과 논란을 또 발생시킬 수도 있기에 국가장법의 문제점을 분석함과 더불어 그에 대한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장법에서는 ‘전직ㆍ현직 대통령’ 및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 서거한 때에 즉 ‘현직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국회의장, 대통령영부인 등’이 서거한 경우에 서거한 사람의 지위의 격에 맞추어 장례의 격을 달리 집행할 수 없으며, 또한 서거한 사람의 지위의 격에 상관없이 모두 장례의 격을 똑 같이 하여 ‘국가장’으로 집행하여야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국가장법에서 규정한 국가장의 대상자가 서거한 경우에는 서거한 사람의 지위의 격을 구별하여 장례의 격을 달리해서 국가의 장례를 집행할 수 있도록 현재 국가장으로 통합된 국가의 장례를 ‘국가장’과 ‘공무장(가칭)’으로 국가의 장례 종류를 구분하는 내용으로 국가장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는 현재의 국가장법에서 규정한 국가장의 대상자 중에서 ‘전직ㆍ현직 대통령’ 및 ‘대통령 당선인’에 대하여는 이에 해당하는 사람이 서거한 경우에 국가장법에 따라 국가장을 치르도록 그대로 국가장법에 규정하여 두고, 국가장법에서 규정한 국가장의 대상자 중에서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에 대하여는 이에 해당하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에 해당하는 사람이 서거한 경우에는 ‘공무장’을 치르도록 규정하는 별개의 국가의 장례에 관한 법으로 ‘공무장법(가칭)’을 따로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장법에서는 국가장일에는 장례의식을 경건하고 엄숙하게 거행하고 국민의 애도분위기를 조성하면서 국민적 추모정서를 함양하여야 하건만 국가장일에 관공서는 휴무한다고 규정하지 않은 것은 법에 미비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장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국가장법에서는 국가장일을 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으며, ‘국가장일에 관공서는 휴무한다.’는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장법에서는 고인의 시신에 대하여 관리한다는 규정이 없다는 것은 법의 미비점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장의 대상자가 서거한 경우에는 고인의 시신에 대하여 시신보존위생을 수행하고, 빈소를 설치하기 전부터 안장식을 마칠 때까지 고인의 시신이 일반대중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시신으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는 보건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장법에서는 국가장이 결정되면 고인의 시신에 대한 이상 유무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The State Funeral Law is made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national unification following the death of a person who left a remarkable feat in a nation or a society and became well-respected, by the nation solemnly holding their funerals in reverence. Taking a look at the present condition of successive national and public funerals in Korea, the country has held 15 in total. Among them, there were 2 national funerals and 13 public funerals. The latest three funerals were for former Present Choi Kyu-hah on October 2006,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on May 2009, and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on August 2009. The first two funerals for the former presidents were held as a public funeral. The last funeral was held as a national funeral. Ever since the national funeral was held for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many problems and controversy stirred up due to the vague and unclear rules and standards of classification specifying the persons entitled to a National or Public funeral. As a result, Korea revised the State Funeral Law on May 30, 2011,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the enforcement of the laws and social conflicts, and contribute to national unification. This was to be done by unifying National and Public funerals into State funerals, to make up for operational inadequacy. However, the revised State Funeral Law does not accurately regulate its standards and continues to cause conflict and controversy. Therefore, I will discus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tate Funeral Law and make suggestions for a revised bill. First, the State Funeral Law should determine differently the rank of the funeral according to the rank of standing of the deceased person. Holding a State funeral without considering the rank of standing of the deceased person is problematic.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se the State Funeral Law to divide the nation’s funeral into State funeral and Official funeral,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rank of funeral when persons entitled to a State funeral dies. On the other hand, when a sitting or former president, or a president-elect, who is entitled to a State funeral dies, the law regulates that a State funeral be held as is. When a person other than a sitting or former president, who leaves a remarkable feat in a nation or society, such as a prime minister or speaker, or a president’s wif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fficial Funeral Law, which deals with Official funerals respectively. Second, there is a lack of regulations in the current law, which fails to allocate a day off during the day of the funeral, in order to allow the State funeral ceremony to be solemnly held in reverence, for the people to express their condolences and to cultivate memorial emotion. Therefore, the State Funeral Law requires a new regulation that requires government offices to designate a public holiday on a State funeral day to allow for mourning. Finally, there is no regulation that deals with the management of the deceased body in the current law. Therefore, the State Funeral Law requires a new regulation that requires that the deceased body of the persons entitled to a State funeral be continuously managed in order to prevent hazards compromising the public’s safety and health when the deceased body is exposed to the public by installing a room where the coffin is placed until the final grave-side service is completed.

      • 붓다 시대의 다양한 장례법 고찰

        조준호 ( Cho Joon-ho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고는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장례법 가운데 화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불교의 율장과 경장 등에 화장 다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불교 흥기 당시의 장례법은 대체로 화장, 수장, 매장 그리고 초장 또는 야장과 같은 네 가지 장례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례법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에 의해 비구들의 입적 시에 행할 수 있는 장례법으로 제시된다. 그렇지만 화장이 최선으로 권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구가 죽으면 시신을 길가나 시타림 등에 투기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화장을 하라는 것이다. 붓다는 출가비구의 장례를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화장 ⇨ 수장 ⇨ 매장 ⇨ 초장 또는 야장(野葬)과 같은 차선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출가자의 장례법에서 붓다는 화장의 한 가지 장례 방법만을 고집한 것이 아니다. 또한 초기경전에서 탑을 세울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는 첫 번째는 여래(如來), 두 번째는 벽지불(辟支佛), 세 번째는 성문(聲聞)들, 그리고 네 번째는 전륜성왕으로 나온다. 여기서 성문은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 덕 높은 출가자만을 한정하는 경우로 보인다. 이렇듯 장례의식 후 탑을 세울 수 있는 경우는 모든 출가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일반 재가자는 화장의 경우에 기념탑까지 조성했던 사례가 나타난다. 붓다의 장례는 한역 『유행경(遊行經)』과 이에 상응하는 Mahāparinibbāna Sutta의 빠알리 경전에서 화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붓다의 장례는 전륜성왕의 장례법에 준할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장례는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가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다비식은 일종의 공양의식으로 축제처럼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다비 전통은 현재에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 축제처럼 재연되고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비의식의 규모나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행경』과 『대반열반경』에 나타난 부처님의 다비 화장은 불교가 전해진 모든 문화권의 화장 다비와 사리숭배의 근거가 된 것이다. 모든 불교국가에서 다비의식은 입멸자에 대한 최고로 경의를 표하는 장엄한 장례법의 표본이 된 것이다. Throughout huma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ways to dispose of corpses. Among them, cremation is one method. This paper discussed cremation among the funeral methods fou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how cremation appears in the Vinaya Piṭaka and Sutta Piṭaka of early Buddhism. At the time of the rise of Buddhism, funeral method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four types: cremation, burial at river, burial under earth, and burial under grass, or wild funeral. The Buddha suggested this funeral method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death of bhikkhus. However, the Buddha recommends cremation as the best funeral. When a bhikkhu dies, the body should not be dumped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sītavana), but should be cremated if possible. The Buddha suggests the next best methods for the funeral of a bhikkhu, such as cremation(fire funeral) ⇨ burial at river ⇨ burial under earth ⇨ burial under grass and plant or wild funer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funeral methods of monks, the Buddha did not insist on only one funeral method of cremation. Also, in the early scriptures, the first beings qualified to build a stupa(memorial towers) are Tathagata, the second is paccekabuddha(sk. pratyekabuddha), the third is disciples of the Buddha, and the fourth is the Wheel-turning King. Here, it appear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who can build stupas are limited to highly virtuous monks who have achieved ‘complete nirvana.’ As such, the case where a stupa can be erected after a funeral rites does not apply to all mon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laymen/laywomen even built memorial towers(stupa) in case of cremation. The Buddha's funeral appears as a cremation in the Mahāparinibbāna Sutta in the Chinese and Pali versions. Here, The Buddha's funeral is presented as following the funeral rites of the wheel-turning king. And it appears that laymen/laywomen, not monks or monks, are in charge of funerals. Additionally,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s described as a kind of festival-like offering ceremony. For this reason, this cremation tradition is still being reenacted like a festival in Buddhist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ale and content of cremation rituals differ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cremation of Buddha 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the Pali version of the Mahāparinibbāna Sutta has become the basis for funeral rites and worship of sacred relics in all Buddhist cultural areas whe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all Buddhist countri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become a model of solemn funeral practices that show the highest respect for the dec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