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토성 연구

        이일갑 ( Lee Il-gab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부산지역에는 망미동토성, 당감동토성, 교리토성과 관방성인 구랑동성이 있으며 성곽분류에 있어 모두 토성이다. 부산지역 망미동토성, 교리토성, 당감동토성, 구랑동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제형과 타원형으로 분류된다.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고읍성은 평지나 완만한 구릉성 지대에 축조 되어 있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 망미동토성과 배산성에서 보듯이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피난성의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을 가진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부산지역 토성 축조수법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석재를 이용한 기단석을 기저부에 설치한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으로 축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기단에 사용된 기단석은 두께에 비해 길이가 긴 세장방형 성석을 사용한다. 이는 부산지역 토성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남지역 여타 판축토성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시기성을 가진 축조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지역 토성에서 평지 치소성으로 추정되는 망미동토성, 당감동토성, 교리토성 은 비슷한 영정주 간격, 즉 400cm를 기준으로 가감이 이루어진 듯하다. 반면에 보루성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판단되는 구랑동성, 화산리토성, 반구동토성영정주는 각각 550㎝, 520㎝, 450㎝로 치소성으로 파악되는 토성 초축 폭에 비해약 50~60% 절반의 크기로 축조되고 석성 혹은 석축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토축체성의 폭은 감소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경상도지역 가운데 토축, 석축이 혼용되어 나타나는 곳은 부산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시간성과 지역성을 갖춘 부산지역 토성의 특징적인 축조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Busan, there are Myeongi-dong Toseong, Tanggong-dong Toseong, Goryeo Toseong and Chuang-gong, and Toseong in the castle classification. The planar forms of Mt. Myeongdong, Georgi Toseong, Tanggongdong, Toseong, and Gulangdong in Busan are classified into formulations and ellipses. Among the Toseong in Pusan area, Goo-eup is built on a flat or gentle hilly area. As shown in the Doctrine of Toseong, Gyangjang Acid, Myeongyidong Toseong, and Deacidification, it shows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 of strong acidity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rear. A common feature that appears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oseong in Pusan area is that it is constructed as a basement of stonemasoned stonework with stone base. At this time, the gypsum used in the base was three long rectangular stones, which are longer than the thickness, and it is confirmed in Toseong in Busan area as well as in other gypsum in Gyeongnam area. In Mt. Toseong, Mt. Moon, Toseong, Gongryeong, and Toseong, which are estimated to be plainsolite in Toseong in Pusan area, it seems to have been added or subtracted based on the interval of 400m. However, in the case of Gulang-gil, Baeksan-ri and Toseong,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played a role of Boru, 50 ~ 60% of the total width of Toseong is 550cm, 520cm and 450cm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existing athletic body decreases. "Nephrology Dongguk Ryuji Seungam" The Busan area is the only place where pylons and tiles are mixed in the Gyeongsang area. Therefore, it can be identified as a distinctive building pattern of Toseong in Busan area with time and locality.

      • KCI등재

        고령 지산동고분군 출토 철제농구에 대한 연구 -석곽묘를 중심으로-

        강석범 ( Seok Beom Ka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19

        고대에 있어서 철이라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으며 사회변동의 동인(動因) 중 하나로 큰 역할을 해왔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철을 소재로 제작된 농구 중 대가야의 중심지로 생각되는 고령 지산동고분군 자료를 대상으로 그 부장양상을 검토하고 기존연구에서 대가야권역에서만 확인되는 축소모형농구의 부장현상을 살피고자 한다. 자료의 검토결과 지산동고분군의 철제농구 부장은 대가야권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듯 다른 지역과는 달리 축소모형농구가 다량 부장되고 있다. 일반농구와는 다른 인식하에 제작되고 부장된 축소모형농구의 부장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이는 백제지역과 관련한 전통적인 부장습속으로 5세기 중엽을 전후로 대가야 세력의 팽창과 관련해 발전한 것으로 보여진다. 대가야가 활발히 세력을 확대해나가던 5세기 중엽 집중적으로 부장되는 축소모형농구는 6세기 중엽 신라에 의한 병합을 전후로 한 시기까지 그 명맥은 유지되었다. Iron has been always in the centre of the social power and wealth in the ancient time. But iron also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to change the society. In this work, therefore, iron agricultural wares found from Jisan-Dong Tombs sites were chosen to be analy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of burial and findings of small-sized tools. As a result, small-sized tools were found in this tomb site whereas no other areas found in these kind of tools. When it comes to think about the small-sized tools, they were traditional way of burial and also normal agricultural tools were also buried together. This tradition in connection with Beakje seemed to be oriented from the strong influence of Dae-Gaya in the middle 5th century. After Dae-Gaya was dominated by Silla in the middle 6th century, small-sized tools were still buried but the entire numbers were fallen compared to the 5th century.

      • KCI등재

        기장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의 편년 연구

        허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0 文物硏究 Vol.- No.18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蔚山長興庫’, ‘耕負祭’ 등의 명문이 있는 분청사기와 炙??희준?보?고족배와 같은 제기가 발견되어, ??경상도속찬지리지?? 울산군에 기록된 도기소?자기소에서 하품을 생산하던 장안리현으로 추정된다.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며, 부산?경남지역 도자사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장안리 상장안 자기 요지의 제작시기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검토해 보았다. 가장 많이 수습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이며,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하였다. 문양은 확인된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으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의 양상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광주광역시 충효동 요지의 안정된 6개 층위에서 확인된 유물의 양상, 그리고 제기형태의 변화를 통해 제작시기를 판단하였고, 또한 ??경상도속찬지리지??의 울산군조의 도기소와 자기소 기록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 받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1450~1470년대 사이가 요업의 중심시기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Janganri village was discovered ‘Buncheong ware’ that retains inscriptions such as ‘Ulsan Jangheung Go(warehouse)’ and ‘Gyeongbu Je (festival).’ In addition, utensils used in religious services such as ‘Jajeop,’ ‘Hijun,’ ‘Bo’ and ‘Gojokbae’ were confirmed through the Janganri pottery. The place seems identical to ‘Janganri-hyeon’ of Ulsan recorded in ??Gyeongsang-doSokchanJiriji??(geographical book published in Gyeongsang province) where low grade chinaware were produced.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it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it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 (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Yeondang Chomun’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and Daeryong potteries, the ‘Buncheong’ chinaware (with inscription of authorities) from Janganri pottery,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As for the pottery at Janganri, I have surmised its production period through shapes of the remains recovered from 6 stable strata of pottery at Chunghyo-dong, Gwangju city, together with changed forms of religious utensils. I was also given important hint from the records on chinaware potteries at Ulsan county described in ??Gyeongsang- doSokchanJiriji??.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Janganri started ceramic production somewhere between 1450?1470.

      • KCI등재후보

        근대 신중도에 보이는 예적금강 도상 변화에 대한 시론

        김재영 ( Kim Jae-yo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8 文物硏究 Vol.- No.33

        신중도는 의식집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된 불화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새로운 도상들이 추가되기 시작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신중도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보수적인 성격의 다른 불화들과 달리 구성이나 표현 방식이 자유로워 여러 가지 유형의 신중도가 조성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변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는데 일본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일본 불교 포교소가 국내에 세워져 일본 불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밀교 도상이 유입되어 이전에 보이지 않던 부동명왕과 예적금강이 불화에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그 가운데 근대기 예적금강을 중심으로 도상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기 신중도에서 예적금강이 확인되는 작품은 약 25점 가량이다. 특히 예적금강이 표현된 신중도는 20세기부터 활발하게 제작되었는데 영남, 서울·경기, 전라, 충청 순으로 수량이 확인된다. 이러한 근대기 예적금강 도상은 일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토착화된 일본 도상이 국내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한국 신중도에서 보이는 예적금강은 대부분 3목 3면 8비 도상을 하고 있어 유입된 이후 한국적인 모습으로 변모하였다고 사료된다. Sinjungdo (paintings of the guardian deities) are Buddhist paintings made based on ritual guides, but new icons were added as time passed. In particular, those painting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urrounding countries, especially Japan. Buddhist mission work stations from Japan were established in Korea after opening the ports, which increased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Naturally, Japanese Buddhist icons entered Korea, and Buddhist paintings began to feature Acala (Budong Mingwang) and Ucchusma (Yejeok-geumgang) that had not been found before. There are 24 pieces featuring Japanese Buddhist icons in modern Sinjungdo, and 2 of them portrayed both Acala and Ucchusma, while 22 pieces portray only Ucchusma. Ucchusma is a Japanese Buddhist icon that is relatively more emphasized, showing new patterns of layouts, attires and features in the 20<sup>th</sup> century in addition to the many-sided cremation form. These changes are to lay more stress on Ucchusma. Sinjungdo featuring Acala and Ucchusma had been made actively since the 20<sup>th</sup> century all over the nation regardless of region. Most Ucchusma featured in Korean Sinjungdo are many faces and many arms icons, seemingly changed into a more Korean style after the inflow.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Ucchusma of Sinjungdo in the Daegwangjeon Hall of Pyochungsa Temple built in 1930,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depicted almost in the same way as Mahakala of esoteric Buddhism in Tibet.

      • KCI등재

        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

        배보늬 ( Bae Bo Ni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19

        옹기는 우리 민중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기물로써 민중생활과 항상 함께한 용기 중의 하나이다. 옹기는 일반 반상기용의 자기류와 함께 식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용기로써 최근까지 가장 널리 사용된 도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동안 관계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그 시원을 비롯한 전파과정, 용도, 기종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울주군 내 분포하는 조선시대 옹기가마에 관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총 12곳의 유적을 확인하고 이를 정리한 결과이다. 울주군 내에는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동천리 옹기가마를 비롯해서 조선시대 중후반기에 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졌고, 온양읍 외고산 마을 주변에는 현재까지도 옹기조업이 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잿물이 시유된 옹기가 확인된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은 15세기~16세기경에 해당하는 청도 순지리와 나주 우산리유적으로 확인되어 조선전기부터 옹기소성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국에서 약 20여곳의 옹기가마 유적이 발굴조사되었다. 울주군은 지금까지 확인된 12곳 가운데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7세기~18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8세기~19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0곳으로 파악되어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이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7~18세기경의 덕현리유적과 18~19세기경의 천전리 및 방리유적의 조사성과에서 울주군 내 옹기생산 현황이 확인되고, <蔚山邑誌>에 보이는 ‘?營店’, ‘內基店’ 등의 문헌기록을 이번 조사를 통해 그 실체 파악이 가능하여 19세기 이후의 옹기생산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울주군 내 옹기가마의 분포현황을 확인한 부분적인 성과에 지나지 않는다. 추후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좀 더 이루어진다면 울주군은 물론, 인접한 경상도지역 옹기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울주 옹기의 생산과 공급에 관한 사실들도 점차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Onggi is one of the vessels the people used that is deeply related with their everyday life. It is kind of pottery widely used for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s until the modern age with ceramics for tableware but it was very far from pottery studies and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for its origin, types, uses and a process of spread. This study was promoted by Ulju-gun and Onggi from the Joseon Dynasty was investigated about its characteristics and time era through 12 remains in Ulju. In Ulju-gun, Onggi operation was mainly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Dongcheon-ri Onggi klin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e work is still in operation around Oegosan village in Onyang-eup. The earliest grazed Onggi in Korea is from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equivalent to Sunji-ri in Cheongdo and Usan-ri in Naju. Therefore we could know the origin of Onggi is from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about 20 relics in this period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Ulju-gun research, 1 is for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1 is for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nd 10 are for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mong the 12 sites. The findings ascertain that Onggi operation was conducted continuously during the entire Joseon Dynasty. Ulju Onggi production history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verified through results already studied about Duckhyun-ri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Cheonjeon-ri and Banri historical sites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uthermore we do know the substance from literature of 'Guyoungjeom' and 'Naegijeom' in ??Ulsaneupji?? and it is helpful for the study of Onggi production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This time the research was limited to remains' indexes confirming their status of distribution but more archaeological studies are expected to find out about production and supply of Ulju Onggi by comparions with an adjacent region, Gyeongsang-do's Onggi.

      • KCI등재

        금어 일섭의 대구에서 행적 연구

        최은령 ( Choi Eun-ry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금용 일섭(金容 日燮)스님은 한국 근현대기 불교미술사에서 크나큰 족적을 남긴 입지적인 인물이다. 일섭은 불상(佛像), 불화(佛畵), 단청(丹靑) 등 불교미술 전반에서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며 제자 양성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일섭은 자신의 기록이자 작업일지인 『연보』를 오랜 기간 작성하여 남겼다. 『연보』는 그의 작품 활동과 생애, 가족 및 교우,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작품의 소재지와 활동사항을 파악하여 일섭의 작품 연구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섭의 『연보』에 기록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대구에서 행적을 연대별로 정리하여, 일섭이 대구에서 행한 불사내용을 파악하였다. 일섭의 대구지역 행적을 통해 당시 불사의 성격, 작품 제작기간 및 제작과정, 화주, 화원의 구성 등 전반적인 불사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금어 일섭(金魚 日燮)은 1938년부터 1950년대 이전까지 김제 부용사를 거점으로 전라도와 제주도, 경기도, 강원도의 여러 불사를 도맡아 작업하였고. 1950년대부터 말년까지 대구 장수사에 거점을 두고 대구와 부산, 경상도 일대의 불사를 적극적으로 주도하였다. 1950년대 이후 대구 중심의 활동은 일섭이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적인 활동을 가능하도록 작업영역을 확장시켰다는 데에서 의미가 크다. 일섭의 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여러 불사 중에는 점집, 무당집, 수도원, 도덕협회(道德協會)의 신상(神像)제작에 참여한 일이 적지 않았고 또한 석고와 시멘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를 불상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것은 근현대기 화승들이 종교성과 창의성의 경계에서 고민했듯이, 화승 일섭이 1950년대 이후 힘들고 피폐해진 사회상황에서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또 다른 고민의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겠다. Monk Keumyong Ilseob is self-made man who left big footprints in Korean modern Buddhist art history. Ilseob made many Buddhist art works including Buddhist statures, Buddhist paintings, an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did not spare effort to train his followers. He left "Chronology", a work journal recording his works. His "Chronology"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n Ilseob as it helps us to understand his works, life, family, friendship, art world, the location and his activities related to his work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from 1950 to 1970s in his “Chronology” were chronologically summarized to identify what he did in Daegu. Through his activities in Daegu, overall processes of Buddhist servic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ituals at that time, period of production, production process, treasurer of the project and composition of painters could be identified. Keumeo Ilseob worked at various Buddhist services in Jeolla Province, Jeju Island,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based in Gimje Buyong Temple from 1938 before the 1950s. From the 1950s to the end of his life, he led Buddhist service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based in Daegu JangsuTemple. Activities after 1950s based in Daegu are meaningful in that he did not limit his activities to a certain region but to expand it to cover the whole country. Among the Buddhist services Ilseob was involved in, there were statues for shaman’s house, monastery and the Moral Association. He utilized new materials such as plaster and cement to make Buddhist statues. Just as many contemporary and early modern monk painters wondered on the boundaries between religion and creativity, Monk Painter Ilseob had same agony. It seems that those works were result of his agony to come closer to the people in 1950s when life was hard and the neighborhood was war-torn.

      • KCI등재후보

        고대한(古代韓),日출토 유기질제 표비(驃비)에 대한 연구

        장윤정 ( Chang Yoon Ch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9 文物硏究 Vol.- No.16

        삼국시대 유기질제 ??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立聞用金具 외에 銜과 引手 등 다른 부품의 형태 및 조합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ㆍ일본에 걸친 馬具 기술의 전파과정과 지역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古墳時代 초기단계에는 금속제 引手가 동반되지 않고 ?銜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삼한시대 전통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지역적으로도 近畿地域은 출토 수가 적고 岡山縣, 長野縣, 群馬縣, 宮崎縣 등의 지역은 분포하는 고분 수에 비해 출토예가 많다. 따라서 일본에서 ??는 출토된 지역의 사회적ㆍ정치적 환경을 반영하기보다는 출토된 墳墓의 被葬者 성격 혹은 직업을 표현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였다. This work shed light on the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harness production and influences between Korea Peninsula and Japan, focusing on the comparisons of the shapes of bits and handle-connected sticks in the entire bit and bridle structure. Also this study includes the technicians of bit and bridle in both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it is note to remember that metal handle-connected sticks were not identified in the early stage the Kohun period in Japan but snarling shapes had been reported the most. This fact can also be found from Three Han period in Korea Peninsula. Also Kingi Area has rather less examples while Okayama, Nagano, Gunma and Miyazaki areas produced amounts of handle-connected sticks. It is interesting that those areas (from Okayama to Miyazaki) show less numbers of tombs compared to Kingi Area.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bits and bridles are not reflecting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Japan but rather showing personality or occupation of the deceased.

      • KCI등재후보

        출상(出喪) 전야(前夜) 상가(喪家)에서 행해지는 장례(葬禮)놀이

        오임숙 ( Oh Im-suk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1

        생을 마감하는 생사의 경계시간에 행하는 의례가 葬禮이다. 우리 전통문화가 가진 독창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화가 喪葬禮문화, 특히 그중에서도 연구자는 `장례놀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인 장례놀이 문화는 거의 찾아 볼 수 가 없다. 본 연구는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여러 유형의 장례놀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장례놀이가 지금까지 어떻게 정착되었고,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왔는 지 유형별로 나누어 살피고, 그 기능들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함의, 또한 장례놀 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담당하는 역할의 의미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장례는 죽음의 의례이고, 亡者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 장례의 주인공이다. 그는 이 세상을 떠나 저승 문턱에 있지만, 수시로 등장하여 장례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 즉 장례놀이에 참여하는 거짓상주나 선소리꾼의 입을 빌려 이승을 떠나는 아쉬움과 서러움, 두려움 등을 마음껏 풀어낸다. 출상 전야는 주검이 집에 머무는 마지막 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상가에 모여 놀면서 굿을 하기 도 하고, 빈상여를 어르며 놀기도 하고, 사위를 달아매기도, 거짓상주가 되어 상 주를 위로하는 등의 요란하고 떠들썩한 여러 형태의 장례놀이를 축제처럼 행한 다. 이처럼 떠들썩한 상가의 분위기, 축제적인 놀이는 엄숙하고 경건한 의례의 형식과 걸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다. 출상 전야에 행해지는 장례놀이는 춤과 음악, 광대짓 등으로 축제처럼 즐기지만 그 속에는 다음날 出喪을 대비하는 예행연습의 기능, 상두꾼들의 역할 분담까지 확실히 하 여 다음날 運柩에 차질이 없도록 점검하는 실제적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장례놀이들은 죽음의 의례이자 죽은 이에 대한 의례이면서도 결국은 삶의 의례 이며 산 자의 의례인 것이다. Funeral is the ritual conducted at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uthor believes the most unique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is funeral rites culture, particularly, the funeral plays. However, traditional funeral plays are barely seen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he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r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o see how the culture was settled and how it was transformed. Also, the study contemplated on the definition of each functions and the role of people participating in funeral plays. Funeral is the ritual of death and the deceased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ritual even though one does not exist. One stands on the door step of afterlife, but plays rol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funeral. In other words, borrowing the mouth of chief mourner or "seonsorikkun" of the play, the sorrow, sadness and fear of leaving this life is unraveled. Eve of the funeral is the last day of the deceased staying at home. Village people gather at the house of mourning to exorcise, play with empty bier, tie up son in law or console the mourner by becoming fake mourner and perform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like a festival. Such aloud mood, such festive play at the eve of funeral is unfit with quiet and reverent ritual which is quiet shocking to us. Funeral play performed at the eve of funeral is enjoyed by people life festival with music and clowning, but it actually contains function reviewing the funeral procession the they before to conduct the procession according to plan. Such funeral play is the ritual of death, the ritual for the deceased, and the ritual of life and the ritual of the living in the end.

      • KCI등재후보

        러시아 유럽지구 남부스텝지역 하자르시기 매장유구 출토유물에 보이는 세계수 형상에 관한 검토

        이지은 ( Lee Ji Eun ),브도브첸코프Ye.V. ( Vdovchenkov Evgeny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8 文物硏究 Vol.- No.33

        세계수 형상과 관념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라시아 초원지역에 분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러시아 유럽지구 남부스텝지역의 하자르 분묘유적 중 하나인 카스트르스키(Kastyrsky) 제 VI 고분군 제 2호분에서 出자형 문양을 기본 모티브로 하는 골제함이 출토되었다. 골제함에는 출자형으로 도식화된 나무와 새가 표현되어 있고, 나무는 상하단의 문양대와 연결되어 있어, 천상-지상-지하라는 세 개의 세계를 연결하는 세계수 관념과 연관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더욱이 피장자가 여성이라는 점, 대퇴부 골제함과 상감유리구슬과 철제원판이 배치, 골제함에 새겨진 세계수라는 문양은 이 분묘의 주체가 상징성을 가지는 존재이자 종교적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세계수와 여성의 조합은 해당 지역에서 기원 전후한 시기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보건데, 이 지역에서 최소한 기원전 1세기부터는 세계수 관념이 있었으며, 9세기까지 여성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수와 관련된 전통이 이어져 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It is known that the idea of the World tree is distributed in the Eurasian steppe including Korea. From the burial No.2 of the 6th Kastyrysky barrows were found the bone case with the simple geometric patter of tree. On the bone case it was engraved the schematized trees and birds, and the tre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ttern tape. So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related to the idea of the World tree which connects the three worlds : heaven-ground-underground. Because it was found the women skeleton with the bone case, eye beads and iron disk, so it maybe possible to suppose that person buried in this grave might be symbolic meaning and religious role. Due to there are some archaeological cases of evidenc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world tree and female, it was allowed to guess the idea of the World tree appeared not late than 1st century BC and the related tradition to the World tree was continued until 9th century AD by maternal lineage in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