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지석(誌石)의 찬자(撰者)에 대한(大寒) 일고찰(一考察)

        오임숙 ( Oh Im Su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誌石은 喪·葬禮의 절차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장례용구로, 被葬者 의 인적사항이나 그 墓에 대한 기록을 새겨서 땅 속에 묻는 板石이나 陶板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지석에는 피장자의 신분이나 系譜, 婚姻 등을 포함한 기록 등을 포함하여, 피장자의 生沒에서 埋葬에 이르기까 지의 많은 정보들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즉 피장자의 출생에서 사망 후 매장에 이르기까지 피장자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어 지석은 한 개인의 기록이자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지석이 등장하지만 誌石文化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민중들이 상당 부분 그 제작에 참여하는 등, 본격적으로 꽃이 핀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지석 중 국립중앙박물관과 전국 국·공립박물관, 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 문중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지석 가운데 撰者를 알 수 있는 298건의 지석이 분석의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지석의 작성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 는 피장자의 일생에 대한 기본적인 글인 行狀을 먼저 작성하여 그것을 제3자에게 請託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족 이나 자손들이 전 과정을 완성하는 경우이다. 지석의 내용을 토대로 撰者를 분석한 결과, 왕을 비롯해서 남편, 사 위, 본인, 친구, 형제, 문장가, 시아버지, 삼촌, 조카, 아들과 후손 등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여러 유형의 사람들이 지석의 찬자로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文獻資料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지석의 찬자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 등을 밝혀낼 수 있었고, 더 하여 조선시대 지석의 찬자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 요한 근거가 됨을 확인하였다. Memorial stone is a funeral equipment to be positioned last in the funeral process which is referred to tablet type stone or plate that ha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buried or the recording of the tomb. The recording on the memorial stone include the position, family lineage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buried and many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uried from birth and death to the burial thus the memorial stone is a personal recod and history. The memorial stone appears as early as Three Kingdom Era in Korea but the memorial stone culture flourishes in Chosun dynasty when people involved in majority parts in produc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in the research are 298 memorial stones from Chosun dynasty which the compilers are known and own by National Museum of Korea, private museums, university museums, clans and by persons. Generally the process of memorial stone can be divided in to two ways. One is to prepare the basic writing about the behavior in lifetime of the buried and ask a 3rd person for production and the other is to complete the entire process by familyor descenda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mpiler based on th contents of the memorial stone,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Koryo dynasty, Chosun dynasty had many types of people as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such as a king, a husband, a son in law, the own-self, a friend, siblings, a writer, sons and descendants. Also discovered were new facts related to the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e literary works until now moreover, confirmed were these facts become essential basis to understand overall trends on the compilers of the memorial stone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자기제(磁器製) 기물형(器物形) 지석(誌石)연구

        오임숙 ( Im Suk Oh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3

        誌石은 장례절차 마지막에 埋納하는 장례용구의 하나이다. 여기에는 被葬者의 生沒에서 埋葬에 이르기까지 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기에 한 개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나면 언제가 한번은 죽기 마련이다. 사후, 생전의 흔적을 남기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 흔적을 남기는 수단의 하나로 誌石을 들 수 있다. 誌石은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지만 체계를 갖추고 보편화되기 시작한것은 고려시대 부터이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지석을 남긴 계층은 대부분 관리나 귀족계층이었다. 조선시대로 접어들면 儒敎式 喪葬禮제도가 보편화되면서 전국적으로 엄청난 양의 磁器製誌石이 등장을 한다. 시기적으로 18세기는 지석의 재질이나 형태, 수량에 있어 최고 절정기라 할 수 있다. 특히 일반인들이 상당부분 지석제작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지석문화의 꽃이 피는 시기이다. 이 시기부터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생활용기와 유사한 형태의 器物形誌石이 대거 등장을 하는데, 位牌形을 비롯해 圓筒形, 沙鉢形, 접匙形, 硯床形, 多角甁形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沙鉢이나 접匙등에 급하게 墨書를 하거나 陰刻을 한 경우가 많다. 이처럼 器物形은 독특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내용구성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기록하며 글자체도 粗惡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磁器製誌石의 적극적인 사용 권고와 더불어 지석이 일반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관직자들에 비해 장례기간이 짧고, 장례형태가 간소하였던 일반인들이 전형적인 지석의 형태를 제대로 갖추기 힘들었기 때문에 생활용기 등에 급하게 새겨 埋納했을 것으로 보여 진다. Epitaph tablet is one of funeral equipments that is buried in the last stage of funeral arrangements. Many information including buried person birth and death and burial, which can be said to be the history of a person. Human definitely dies once born. There are people who want to leave a trace, after death. One of the means to leave a trace is Epitaph tablet. Epitaph tablet appear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it was organized and generalized since Goryeo period. However, the classes that left Epitaph tablet in Goryeo period were mostly governmental officers or noble men. In Joseon dynasty, as Confucian bier funeral system was generalized and nationally great quantity of Porcelain Epitaph tablet appeared. The 18th century was the crest of Epitaph tablet in respect of material, shape, and quantity. Particularly, as most of general people participated in manufacture of Epitaph tablet, Epitaph tablet culture became prosperous in earnest. Since this period, Utensils type Epitaph tablet appeared in a similar shape to living vessels in a large quantity mainly with general people, which showed various shapes, e.g. wipae type, cylindar, bowl type, dish type, yeonsang type, polygonal bottle type, etc. Particularly, in many cases they were hurriedly written with ink stick or engraved in bowl or dish, etc. This way, Utensils type appeared in unique and various types, in respect of content composition, in many cases they were briefly recorded in shoddy letter form.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Epitaph tablet as the general phenomenon along with recommendation for active use of Porcelain Epitaph tablet at the national level. Also,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 general people were hurriedly buried by urgently engraving letters in living vessels, etc., since their funeral period was shorter than governmental officers and funeral style was simple, accordingly, they could not be prepared with proper shape of typical Epitaph tablet type.

      • KCI등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지석(誌石) 연구

        오임숙 ( Oh Im-suk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지석은 피장자에 대한 인적사항이나 묘에 대한 기록을 판석이나 도판 등에 새겨 장례절차 마지막에 무덤 속이나 그 언저리에 매납하는 장례용구를 말한다. 출생을 비롯하여 계보, 혼인, 사망, 매장 등 피장자에 대한 생생한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는 지석이야말로 한 개인의 기록이자 역사라 할 수 있다. 이를 잘 분석하면 당대의 사회상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지석이 등장을 한다. 이후 고려시대는 지석의 형태와 재질이 다양하지 못하며, 지석 수요층 또한 귀족 등에 한정적이다. 지석은 조선시대에 비로소 재질 및 형태가 다양해지며 전국적으로 엄청난 수량의 지석이 등장을 한다. 특히 유교식 상장례 제도가 보편화되면서 장례용구인 지석 제작에 일반인들까지 대거 참여하면서 지석문화의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본 연구는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지석 13건 45점에 대한 자료 소개 및 분석이다. 먼저 종류별로 분류한 후, 시기별로 나타나는 지석의 형태ㆍ재질ㆍ시문기법을 분석해 보았다. 지석의 형태는 조선시대 전 시기동안에 걸쳐 가장 유행했던 장방형을 비롯하여 말각방형, 정방형, 연상형, 대접형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질에서는 석제, 자기제(白磁), 토제가 모두 나타나고 있다. 시문기법은 음각, 음각+목탄분, 청화, 철화, 묵서 등으로 표현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석의 내용을 토대로 내용구성, 편수표기, 제작시기, 그리고 유사한 지석들도 비교ㆍ분석하였다. 제작시기는 15세기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지석의 수요자 또한 고위 관직자가 많다는 점도 주목된다. 특히 이들 지석 중 몇 건은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고, 그 기초적인 조사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하루빨리 이루어져 관련 분야 학자들의 연구자료로 제공되길 바라며, 본 연구가 그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 memorial stone is a kind of funeral equipment buried in a grave or near it at the last stage of funeral rites and displays personal information or a record of the grave of the buried person carved in a flagstone or plate. The reason why a memorial stone is buried in the ground this way is it is possible to preserve achievements and records of the buried person long. Besides, probably, it is much safer than a tombstone on the ground. A memorial stone showing vivid information of the buried person(the dead), such as birth, pedigree, marriage, passing and burial is a person’s record and history. Elaborate analysis of these records can be highly helpful in figuring out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In Korea, memorial stones appeared starting the era of Three States. During the following Goryeo Dynasty, the consumption of memorial stones was limited to the aristocracy, because there was an absence of various forms and materials of memorial stones. The forms and materials of memorial stones began to diversif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 vast number of memorial stones appeared across the country. Especially, with the universalization of Confucian funeral rites, a lot of normal people were engaged in the manufacture of memorial stones used as funeral equipment, and they started to come to fruition of the memorial stone cultu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simply analyze the data regarding 45 forms of 13 memorial stones, which were manufactu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re owned by the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Firstly, after introduction of the data, the forms and materials of memorial stones from different times were classified.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diverse forms of memorial stones, such as a rectangular form, which prevailed the most over the who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 square form, a Yeonsang form, a Malgakbang form and a Daejeop form. With regard to materials, stone, porcelain and soil were all found. Based on the contents of memorial stones, the ways of recording, composition of contents, numbering methods, production periods and similar memorial stones were briefly analyzed as well. It was found that memorial stones were manufactured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it is also interesting that many of memorial stone consumers were high-ranking officials. In particular, some of these memorial stones have not been reported to the academic world yet, and even there has been no basic research on them.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relevant basic studies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scholars in the field.

      • KCI등재후보

        출상(出喪) 전야(前夜) 상가(喪家)에서 행해지는 장례(葬禮)놀이

        오임숙 ( Oh Im-suk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1

        생을 마감하는 생사의 경계시간에 행하는 의례가 葬禮이다. 우리 전통문화가 가진 독창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화가 喪葬禮문화, 특히 그중에서도 연구자는 `장례놀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인 장례놀이 문화는 거의 찾아 볼 수 가 없다. 본 연구는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여러 유형의 장례놀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장례놀이가 지금까지 어떻게 정착되었고,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왔는 지 유형별로 나누어 살피고, 그 기능들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함의, 또한 장례놀 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담당하는 역할의 의미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장례는 죽음의 의례이고, 亡者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 장례의 주인공이다. 그는 이 세상을 떠나 저승 문턱에 있지만, 수시로 등장하여 장례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 즉 장례놀이에 참여하는 거짓상주나 선소리꾼의 입을 빌려 이승을 떠나는 아쉬움과 서러움, 두려움 등을 마음껏 풀어낸다. 출상 전야는 주검이 집에 머무는 마지막 날이다. 마을 사람들은 상가에 모여 놀면서 굿을 하기 도 하고, 빈상여를 어르며 놀기도 하고, 사위를 달아매기도, 거짓상주가 되어 상 주를 위로하는 등의 요란하고 떠들썩한 여러 형태의 장례놀이를 축제처럼 행한 다. 이처럼 떠들썩한 상가의 분위기, 축제적인 놀이는 엄숙하고 경건한 의례의 형식과 걸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다. 출상 전야에 행해지는 장례놀이는 춤과 음악, 광대짓 등으로 축제처럼 즐기지만 그 속에는 다음날 出喪을 대비하는 예행연습의 기능, 상두꾼들의 역할 분담까지 확실히 하 여 다음날 運柩에 차질이 없도록 점검하는 실제적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장례놀이들은 죽음의 의례이자 죽은 이에 대한 의례이면서도 결국은 삶의 의례 이며 산 자의 의례인 것이다. Funeral is the ritual conducted at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uthor believes the most unique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is funeral rites culture, particularly, the funeral plays. However, traditional funeral plays are barely seen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he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performed at house of mourning at the eve of funeral procession to see how the culture was settled and how it was transformed. Also, the study contemplated on the definition of each functions and the role of people participating in funeral plays. Funeral is the ritual of death and the deceased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ritual even though one does not exist. One stands on the door step of afterlife, but plays rol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funeral. In other words, borrowing the mouth of chief mourner or "seonsorikkun" of the play, the sorrow, sadness and fear of leaving this life is unraveled. Eve of the funeral is the last day of the deceased staying at home. Village people gather at the house of mourning to exorcise, play with empty bier, tie up son in law or console the mourner by becoming fake mourner and perform various types of funeral plays like a festival. Such aloud mood, such festive play at the eve of funeral is unfit with quiet and reverent ritual which is quiet shocking to us. Funeral play performed at the eve of funeral is enjoyed by people life festival with music and clowning, but it actually contains function reviewing the funeral procession the they before to conduct the procession according to plan. Such funeral play is the ritual of death, the ritual for the deceased, and the ritual of life and the ritual of the living in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