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환율과 환율변동성의 장기기억에 관한 연구

        조하현,이승국 한국은행 2003 經濟分析 Vol.9 No.1

        본 연구는 원/달러 환율과 환율변동성의 자료에서 장기기억특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시계열의 자료생성과정(DGP)의 특징을 파악하는 작업은 보다 정확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 뿐 아니라 시장의 거래전략을 구축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사전작업이다. 기존 단위근검정과 같이, I(0)와 I(1)과정 사이를 너무 제약적으로 구분하는 패러다임과는 달리 최근의 계량경제학적 연구는 Granger(1980) 등에 의해 처음 제기된 바 있는 분수차분기법에 기반하여 시계열의 장기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분석에서 장기기억특성(혹은 장기지속성)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여러 방법론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달러 환율의 장기기억효과를 검정해본다. 또한 외환시장 참여자들에게 일반적인 사실로 알려져 있는 변동성의 장기기억특성을 실제 확인해보기 위해 EWMA, GARCH모형 등을 이용하여 변동성에 장기기억구조가 존재하는지를 검정하여 보았다. 검정결과, 우리나라 환율과 환율변동성은 모두 장기기억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변동성에서 더 크게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율변동성에 대한 예측모형의 구축시 현재의 GARCH모형보다 장기기억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FIGARCH모형을 선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 시장이자율에 대한 전월세전환율의 조정과정에 대한 연구 -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을 중심으로 -

        이용만,도경수 한국감정원 2015 부동산분석 Vol.1 No.1

        Theoretically the Rent to Cheonsei ratio is determined by interest rate and risk premium related to housing rental market. The Rent to Cheonsei ratio has decreased since 2000s due to the financial deregulation and low interest rate policies in Korea. However, sometimes the Rent to Cheonsei ratio has decoupled with interest rates. We investigate the long-run equilibrium between the Rent to Cheonsei ratio and interest rates, and the short-run adjustment process of the Rent to Cheonsei ratio when there is a disequilibrium. Our results emphasize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between the Rent to Cheonsei ratio and the 3-year treasury bill rate. If the 3-year treasury bill rate increased by 1% point, the Rent to Cheonsei ratio goes up 0.88% point long-termly. And if there was a disequilibrium, the Rent to Cheonsei ratio corrects the error from the equilibrium by 5.9% monthly. Furthermore, our results address that the Rent to Cheonsei ratio has coupled with the 3-year treasury bill rate almost exactly since 2008.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tructural change in 2008. And we find that the Rent to Cheonsei ratio by transaction price data has a lower risk premium than the Rent to Cheonsei ratio by appraisal price data, also there is not a smoothing phenomenon in the Rent to Cheonsei ratio by appraisal price data. 이론적으로 전월세전환율은 시장이자율과 위험 프리미엄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된다. 전월세전환율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2000년대 이후 지속된 금융자유화와 저금리 체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월세전환율은 시장이자율과 달리 움직이기도 한다. 이는 전월세전환율이 장기적으로는 시장이자율과 같이 움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이자율과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월세전환율과 시장이자율이 장기적으로 균형관계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만약 두 변수간에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한다면 단기적으로는 두 변수 간의 격차가 어떻게 조정되어 장기적인 균형을 찾아가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월세전환율은 국고채 3년 수익률과 장기적으로 균형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 국고채 3년 수익률이 1% point 변동할 때 전월세전환율은 0.89% point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월세전환율이 국고채 3년 수익률과의 장기적인 균형관계로부터 이탈해 있을 때에는 이탈 부분의 약 5.9%를 매달 조정해 나가면서 장기 균형을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8년 이후의 경우 전월세전환율은 국고채 3년 수익률과 거의 같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보았을 때, 전월세전환율과 국고채 3년 수익률 간의 장기적인 균형관계는 2008년을 전후로 하여 구조적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한편, 실거래 자료에 기초한 전월세전환율과 호가 자료에 기초한 전월세전환율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보기 위해 실거래 자료에 기초한 전월세전환율 자료와 호가자료에 기초한 전월세전환율 자료를 가지고 동일한 분석을 해 보았다. 분석결과, 두 자료 간에는 위험 프리미엄에 차이만 있을 뿐 국고채 3년 수익률과의 장단기 관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호가 자료에 있을 수도 있는 평활화(smoothing) 현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장기제약 VAR모형에 의한 한국의 실질환율 변동요인과 균형실질환율

        정명철 한국은행 2003 經濟分析 Vol.9 No.3

        본고는 화폐적 충격은 장기적으로 실질환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기본적 가정 하에서 장기제약 구조적 VAR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실물부문에서의 대내외의 거시경제적 충격이 실질환율에 미치는 장기적 성격을 검토하고 이에 입각하여 균형실질환율을 구성한 후 실제의 실질환율이 균형실질환율로부터 이탈하는 불균형적 괴리와 경상수지의 움직임을 비교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실질환율이 대외적 경쟁력의 거시적 기본지표가 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대외적 충격으로서 국가 경쟁력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yen/dollar 환율변화의 실질환율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실물부문에서의 거시경제적 충격으로서 yen/dollar 환율충격, 공급충격 그리고 수요충격을 다루고 있는데 이들 충격요인들은 모두 실질환율의 항구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실질환율의 균형적 변화를 구성하고 또한 실질환율변동의 대부분은 균형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yen/dollar 환율충격과 수요충격은 실질환율의 항구적 상승(depreciation)으로 그리고 공급충격은 실질환율의 항구적 하락(appreciation)으로 귀결된다. 실제의 실질환율과 균형실질환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불균형적 괴리는 실제실질환율의 균형실질환율로의 조정시차와 화폐적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특히 1995Q3-1997Q3의 기간에 실질환율의 불균형적 괴리가 음(-)의 값을 취함으로써 실질환율의 과대평가(overvaluation)를 보이고 동 기간의 경상수지의 적자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실질환율의 과대평가는 균형실질환율의 급격한 상승(depreciation)을 초래하는 yen/dollar 환율충격에 대한 실질환율의 조정시차와 실질환율의 일시적 하락(real appreciation)을 일으키는 화폐적 충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Assuming no long-run effects of the monetary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this paper examines long-run effects of real domestic and foreign macroeconomic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based on the long-run restriction structural VAR methodology. In this paper, especially yen/dollar exchange rate shock is chosen as a foreign shock because of its assumed importance on external competitiveness of Korea during the covered period. The long-run effects of real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become a basis for calculating a kind of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and the devi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from the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are compared to the current account movements. In particular, the devi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in the period of 1995Q3-1997Q3 show overvaluation of the real exchange rate and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current account deficits. Such overvalu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appear due to sluggish adjustments of the real exchange rate to the sharply depreciated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by yen/dollar exchange rate shocks, and also to the monetary shocks that caused temporary appreciation of the real exchange rate.

      • KCI등재후보

        실질주가와 환율 간의 장기관계 분석 : 통화론적 접근 Monetary Approach

        曺正銶 한국국민경제학회 2002 경제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실질주가와 환율 간의 장기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화모형에 실질주가를 설명변수로 추구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을 설정하는 한편, 1980년 이후 독일 마르크화, 프랑스 프랑화, 일본 엔화의 대미달러 환율을 대상으로 환율, 실질소득, 금리 및 실질주가 간에 장기 안정적 균형관계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에 포함된 경제변수들이 세 환율 모두에 있어서 장기적 균형관계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통화보유의 기회비용으로서 단기금리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경제변수에 대한 계수의 부호가 통화모형의 장기 이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모든 경제변수에 대한 계수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의 타당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실질주가의 환율에 대한 효과는 통화보유의 기회비용으로서 장기금리를 이용하든 단가금리를 이용하든 상관없이 세 환율 모두에 있어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장기 환율의 설명에 있어 제외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질주가의 환율에 대한 장기 효과는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모든 국가에서 대체효과가 자산효과보다 우세하게 나타남으로써, 자국의 실질주가 상승은 장기환율과 (+)의 관계를, 그리고 미국의 실질주가 상승은 (-)의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real stock prices and exchange rates, this paper reformulates the monetary model by including real stock prices into the home and foreign money demand functions. We, applying Johansen's multivariate cointegration techniques, tested the validity of our modified monetary model a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for the Deutsch Mark, French Franc and Japanese Yen exchange rates against the U.S. dollar over the period January 1980 through December 1998. We found that the modified monetary model could not be rejected as a long-run equilibrium at the five percent significance level. And all the coefficients ate correctly signed in case that theoretical variables for the opportunity cost of holding money are proxied by short-term interest rates, while those on the long-run interest rates are incorrectly signed in case that the opportunity cost variables are proxied by long-run interest rates. Furthermore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real stock prices d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modified monetary model. Exclusion of real stock prices in the long-run relationship is rejected at the five percent significance level. All three exchange rat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home real stock prices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foreign real stock prices, implying that the substitution effect of real stock prices is stronger than the wealth effect in the long-run.

      • 통화론적 환율모형에서의 실질주가 효과 : 공적분분석

        曺正銶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2 社會科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실질주가의 환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화모형에 실질주가를 설명변수로 추가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을 설정하는 한편, 1980년 이후 독일 마르크화, 프랑스 프랑화, 일본 엔화의 대미달러 환율을 대상으로 환율, 실질소득, 금리 및 실질주가 간에 장기 안정적 균형관계가 존재하는 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에 포함된 경제변수들이 세 환율 모두에 있어서 장기적 균형관계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통화보유의 기회비용으로서 단기금리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경제변수에 대한 계수의 부호가 통화모형의 장기이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모든 경제변수에 대한 계수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질주가 통화모형의 타당성을 완전하게 뒷받침해 주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실질주가의 환율에 대한 효과는 통화보유의 기회비용으로서 장기금리를 이용하든 단기금리를 이용하든 상관없이 세 환율 모두에 있어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장기환율의 설명에 있어 제외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질주가의 장기환율에 대한 효과는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모든 국가에서 대체효과가 자산효과보다 우세하게 나타남으로써, 자국의 실질주가 상승은 장기환율과 (+)의 관계를, 그리고 미국의 실질주가 상승은 (-)의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의 단순통화모형에서 통상적으로 부과하고 있는 계수에 대한 제약조건들 중 일부는 환율에 따라 성립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통화량에 대한 계수가 1이라는 가설은 세 환율 모두에서 기각되었다.

      • KCI우수등재

        통화론적 모형 하에서도 非 통화론적 충격은 원․달러 환율의 장기기대에 영향을 미치는가?

        김윤영 한국경제학회 2019 經濟學硏究 Vol.67 No.4

        independent with the shocks of monetary approach model variables can affect the long-term expectations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For this purpose, we show, employing Kim(2018)’s approach, that a non-monetary shock may affect the long run expectation of exchange rate when a trend of non-monetary shocks is included in the variables of monetary approach model, even if the exchange rate is cointegrated with the monetary variables. We also test the existence of non-fundamental trends and estimate it through the Beveridge-Nelson decomposition and the projection of the monetary model variable shocks to the exchange rate shock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on the data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t a non-fundamental shock trend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rejected at 5% level in all mode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 non-fundamental trend shock showed a greater exchange rate response than the fundamental trend shock.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also showed that the non-fundamental trend overwhelmed the fundamental trend in the variance ratio of the exchange rate’s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ock factors other than monetary model variables are very important in long-term determinants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본고는 통화론적 모형 변수의 충격과 독립적인 충격의 추세가 원․달러 환율의장기기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이론 및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위하여 본고는 Kim(2018)의 접근을 원용하여 통화론적 모형의 펀더멘탈에 非 통화론적 모형 요인에 의한 추세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 환율과 통화론적 모형의 변수들이 장기 공적분 균형을 형성하더라도 환율에 非 통화론적 모형 충격이 환율의 장기기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인다. 또 환율의 Beveridge-Nelson 분해와 환율 충격에 대한 통화론적 모형 변수 충격의 사영(projection)을 통해 이러한비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 존재를 추정하고 이에 대한 검정을 수행한다. 외환위기 이후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분석대상인 모든 모형에서 5% 수준에서원․달러환율에 비 통화론적 펀더멘탈 충격 추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화된 충격반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 충격이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 충격 보다 더 큰 원․달러 환율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분해 결과 환율의 분산 비중에서비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가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를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화론적 펀더멘탈 중에는 장기이자율이 단기(10개월 내외)적으로 원․달러 환율의 충격반응과 분산분해에서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환율이 갖는 거시 펀더멘탈보다 큰 변동성이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 충격 보다 비 통화론적 펀더멘탈 추세에 기인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환율 변동이 이와 같이 비 통화론적 충격에 의하여 주도되는 경우, 통화정책을 통한 환율 개입은 정치․경제적 비용에 비해 실제 목표한 환율 변동을유도하는 데 비효율적일 수 있어 집행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환율변동성의 예측과 장기기억

        김창범(Chang-Beom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원/위안, 원/달러, 원/엔 환율변동성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설정하고 선택함과 더불어 FIGARCH 변동성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환율변동성에 장기기억 속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예측력 비교의 경우 원/위안 환율변동성은 GJR모형, 원/달러 환율변동성과 원/엔 환율변동성은 EGARCH모형이 가장 낮은 예측오류를 보였다. 장기속성 존재여부의 경우 환율변동은 원/위안, 원/달러, 원/엔 모두 안정적인 장기기억 과정을 보였으며, 환율변동성은 원/엔 만이 안정적인 장기기억 과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Volatility is a central role in derivative pricing, portfolio allocation, risk manage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funds. This paper introduces the asymmetric or leverage volatility models (AGARCH, EGARCH, GJR), in which good news and bad news have different impact on volatility. All the models found that negative shocks introduced more volatility than positive shocks. Overall, the EGARCH model is suitable for capturing this asymmetric effect. In addition, FIGARCH model is used to the long-memory property of exchange rate volatility. The estimated values of long-memory parameters, d of FIGARCH model, is from 0.288 to 0.617,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significance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volatility models are useful tools in forecasting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as well as pricing derivatives and hedging risks.

      • KCI등재

        원화 실질실효환율과 기초경제변수

        이성구 ( Sungkoo Lee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6 금융지식연구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1990년부터 최근까지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원화의 종합적인 가치변동을 측정할 목적으로 활용되는 원화 실질실효환율이 어떤추이를 가지고 변동해 왔는지 알아보았다. 원화 실질실효환율이 그동안 균형수준을 유지해왔는지 평가할 목적으로 원화의 실질가치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초경제변수를 선정하였으며, 공적분 검정에 기초한 장기 균형관계 모형을 이용하여 교역조건, 개방도, 정부지출, 이자율 차이 등의 변수와 실질실효환율의 관계로부터 원화의 장기 균형환율을 추정하였다. 이 값을 실제 원화 실질실효환율의 추이와 비교하고, 또 이로부터 실제 환율이 장기 균형환율로부터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지 환율의 괴리율을 측정함으로써 현재 환율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stimates Korea’s long-run equilibrium exchange rate using a set of macroeconomic fundamentals for the period 1990Q1 to 2016Q1. The cointegrating estimation results provide evidence in favor of the presence of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and its economic fundamentals - terms of trade, openness, government spending, and interest rate differential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nd extent of exchange rate misalignment, the Korean Won was undervalued after the Asian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reaching a maximum of less than 20%. The degree of misalignment has been lessened since then, and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does not deviate much from its long-run equilibrium levels in recent years.

      • KCI등재

        통화주의모형 구조 충격은 장기환율을 얼마나 설명하는가? -달러/파운드 환율을 중심으로-

        김윤영 한국국제금융학회 2023 국제금융연구 Vol.13 No.2

        본고는 통화주의 모형 충격이 장기⋅주도적으로 달러/파운드 환율을 결정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공적분 VAR 모형 내에서 Beveridge Nelson (1981) 분해를 통해 환율의 장기추세를 통화주의 모형변수들의 충격 (이하 통화주의 충격) 과 이와는 독립적인 충격 (이하 독립충격, 실물 또는 위험회피 동기 충격 포함)에 따른 것으로 나눈 후 이들을 대상으로 동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달러/파운드 환율에는 독립충격 추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반응 분석 결과, 독립충격추세 충격이 통화주의 충격 추세 충격보다 달러/파운드 환율에 더 큰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분산분해 결과, 환율의 분산점유율에서 독립충격 추세가 통화주의 충격 추세를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립충격 추세 상승은 달러/파운드 환율에 장기적으로 하락방향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독립충격 추세는 VIX 등 시장 위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위험회피 동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비추어 정책당국은 통화 정책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환율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제약적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We test whether the monetarist model shocks determine the dollar/pound exchange rate in the long run. We use the Beveridge Nelson (1981) decomposition within a cointegrating VAR model to decompose the long-run trend of the exchange rate into shocks to the monetarist model variables (hereafter referred to as monetarist shocks) and shocks independent of them (hereafter referred to as independent shocks, including real or risk-averse motivated shock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independent shock trend in the dollar/sterling exchange rate is rejected, an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s that the independent shock trend shocks induce a larger response in the dollar/sterling exchange rate than the monetarist shock trend shocks. In addition, the variance decomposition shows that the independent shock trend dominates the monetarist shock trend in the variance share of the exchange rate. Finally, an increase in the independent shock trend has a long-run downward impact on the USD/GBP exchange rate, and the independent shock trend is estimated to be closely related to market risks such as the VIX, which may reflect risk aversion motives. In light of these empirical findings,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at changes in monetary policy may have relatively limited effects on the exchange rate in the long run.

      • KCI등재

        Exchange Rate Misalignment and Long Run Equilibrium Exchange Rate

        Aldi Yarman,Sammo Ka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행태균형환율(Behavioral Equilibrium Exchange Rate, BEER) 모형을 활용하여 인도네시아 루피아의 환율 불균형과 장기균형환율을 측정한다.BEER 모형은 실질실효환율과 기초 경제 요건 변수에 대한 공적분 백터를 분석하여 산정된다.환율 불균형은 균형실질환율과 실질환율의 괴리로 정의 된다.2006년 1월 부터 2015년 6월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변동환율제를 사용했을 경우에 루피아 환율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장기 균형환율을 따라 움직이는 성향이 강했고, 평균 괴리율은 0.83%이다.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 이후로는 환율괴리율이 증가했으며 실질환율은 저평가 됐다. 루피아는 2009년 2월달에 3.52%로 최고로 저평가 됐었으며, 2010년 7월달에 1.62%로 환율 괴리율이 가장 과대평가된 시점으로 분석되었다.연구 결과로 무역조건(Terms of Trade), GDP 대비 총무역(Ratio of Total Trade to GDP), 총국외자산(Net Foreign Assets)이 루피아의 장기균형환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 됐다.단, 비교역재와 교역재의 상대가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stimate the long run equilibrium exchange rate and the exchange rate misalignment of Indonesian Rupiah using the Behavioral Equilibrium Exchange Rate (BEER) model. BEER model is obtained from the Cointegration vector between the variable of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 and economic fundamentals. Exchange rate misalignment is the deviation between actual real exchange rate and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Based on the observations during January 2006 to June 2015 using monthly data,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under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exchange rate misalignment of Rupiah was relatively small and tends to approach the long run equilibrium exchange rate, i.e. with the average misalignment of 0.83%. The external shock as the effect of the global crisis in 2008 has made the exchange rate misalignment tend to increase and the real exchange rate tend to undervalued. The highest undervaluation of the exchange rate of Rupiah was equal to 3.52%, i.e. in February 2009 while the highest overvaluation of the exchange rate misalignment was equal to 1.62% in July 2010. During the study, we found that three economic variables, Terms of Trade (TOT), Ratio of Total Trade to GDP (Open), and Net Foreign Assets (NFA), respectivel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ng run equilibrium exchange rate of Rupiah. However, variable relative price of non-tradable goods to tradable goods (TNT) d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