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 소장 『잡가(雜歌)』의 성격

        권순회 ( Kwon¸ Soon-hoi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고에서는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에 소장된 가집 『靑邱樂章』 소재 『雜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성격과 유형을 파악하였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靑邱樂章”이라는 제명의 표지에 성격이 다른 가집 2종과 합철되어 있다. 2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서지적 특성에 대해 살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총 52장 104면 분량이다. 글씨는 행초체(行草體)로 면당 12행씩 줄글 형태로 필사되어 있다. 필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단일하다. 1면에서 72면까지는 시조 400수를 수록하였는데 3수가 중복 된다. 이 가운데 173수가 시조창 형식과 같이 종장 말음보가 생략되어 있다. 신출 작품은 총 10수이다. 이외에 악곡이나 작가 등 부가 정보를 일체 수록하지 않았다. 73면에서 104면까지 장가 16편이 수록되어 있다. 3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편집 층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조 400수는 편집 층위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조창 → 여창 가곡 한바탕 → 남창 가곡 한바탕 → 이삭대엽 유명씨/무명씨 → 시조창’ 순으로 노랫말을 배열한 사실이 드러났다. 장가 16편도 갈래 구분 없이 가사와 잡가 작품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사와 잡가에 대한 당대의 시각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했다. 4장에서는 3장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가 어떤 성격의 가집인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를 가곡과 시조, 가사, 잡가의 노랫말을 망라한 종합 가집으로 규정하고 1910년대 집중적으로 간행된 이른바 활자본 잡가집의 선행 형태로 파악했다. 시조창 가집으로 널리 알려진 『남훈태평가』도 이러한 유형의 가집으로 보았다. 그 동안 조선 후기 가집 연구가 가곡과 시조창의 구도로 진행되면서 이러한 유형의 가집이 설 자리가 마땅치 않았다. 하지만 시조, 가사, 잡가가 부상하는 19세기 후반 이후 연행 상황을 고려해 보면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와 같은 형태의 가집이 연행의 실상을 보다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가집을 별도의 유형으로 설정하고 그 개념으로 ‘잡가집(雜歌集)’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잡가’는 특정 갈래나 가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의 성악곡을 모아 놓은 총류의 개념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 songbook 『Japga』 possessed by the McCormick Collection of the Claremont Universit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and types.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combined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ongbooks on the cover of the title “Cheongguakjang(靑邱樂章)”. Chapter 2 examines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a total of 52 sheets and 104 pages. The text is transcribed in the form of lines, 12 lines per page. The handwriting is single from start to finish. From page 1 to page 72, 400 Sijo numbers are recorded, and 3 numbers are duplicated. Among them, 173numbers omitted the last line foot like the Sijo-Chang format. There are a total of 10 new works. In addition, no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music or author was recorded. From pages 73 to 104, 16 long songs are included. In Chapter 3, the editing layer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400th number of Sijo had a variety of editing levels. It was revealed that the lyric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Sijo-chang → Female singer set in Gagok → Male singer set in Gagok → Isaacdaeyeop arranged by writer → Sijo-chang’. In 16 long songs, the works of Gasa and Japga were mixed without any division, and this was understoo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ontemporary view of Gasa and Japga.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Chapter 3, we developed a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lyrics that included the lyrics of Gagok, Sijo, Gasa, and Japga, and was identified as a predecessor to the so-called printed songbook of Gapga, which was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1910s. The well-known Sijo-chang songbook,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was also considered as this type of songbook. In the meantime, as the study of song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ogressed in the composition of Gagoks and Sijo-changs, there was no proper place for this type of songbooks. However, considering the performance situ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en Sijo, Gasa, and Japga emerged, it is judged that a songbook in the form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reflects the reality of performance more broadly. Therefore, in this paper, this type of songbook was set as a separate type and ‘Japgajip(雜歌集)’ was proposed as the concept. Here,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genre or value, but is a concept of a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vocal music.

      • KCI등재후보

        12잡가 형장가 연구

        송은주(Eun-joo, S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본 논문은 <12잡가>중 한곡인 ‘형장가(刑杖歌)’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형장가’’와 ‘현행 ‘형장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12잡가>의 출현은 19세기부터지만 <12잡가> 12곡이 모두 완성된 것은 20세기 중반이며 ‘형장가’ 는 20세기 초에 나타난다. ‘형장가’의 연구를 위해 20세기 초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 20세기 초?중반의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잡가악보집』?, 현행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경기12잡가』가 연구 자료로 사용 되었다. II장에서 ‘형장가’ 사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형장가’ 사설의 내용 변화는 1번 나타난다. 내용 변화의 양상은 ‘가사의 첨삭’과 ‘내용의 순서 변화’이다. 사설의 어휘 차이 양상은 다섯 군데로 ‘고어의 현대어 교체, 종결어미의 교체, 연결어미의 교체, 감탄사의 교체, 어미의 교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형장가’ 어휘 차이의 뚜렷한 규칙성은 없으며, 다만 『?한국속가전집』?의 고어(古語) 표기가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서는 현대어 표기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사설의 내용 변화와 어휘 차이의 양상을 분석해 볼 때, 『?한국속가전집』?에서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 이르기까지 ‘형장가’ 사설의 어휘 차이는 거의 없으며 『?한국속가전집』?에는 없던 사설이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나타난다. ‘가사의 첨삭’으로 내용상으로는 판소리 <춘향가>의 한부분이지만 독립된 곡으로써 <12잡가> ‘형장가’의 완성도를 높였다. III장에서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장단은 모두 두 종류로 사용하는 장단은 ‘느린6박장단’, ‘빠른6박장단’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형장가’ 장단의 종류와 전체 장단수는 같다. 그러므로 ‘형장가’는 장단에 있어서 변화가 없다. 다음으로 ‘형장가’의 말붙임과 말붙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말붙임 유형은 ???, ??? 두 종류이다. ‘형장가’ 각 장단의 첫 박에는 주로 ??? 유형이 나타났다. ‘형장가’는 주로 첫 박과 넷째 박에 말붙임이 있다. 첫 박과 넷째 박은 모두 북편에 해당하므로 ‘형장가’의 말붙임은 북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형장가’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영향을 받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IV장에서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을 살펴보았다. ‘형장가’는 유절형식의 후렴구가 없는 곡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형장가’의 출현음은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의 6음으로 두 가집의 출현음은 같았다. 출현음의 음정은 ‘장2도+완전4도+단3도+장2도+장2도’이다. 중심음은 ‘D<SUB>4</SUB>’이며 종지음은 ‘G<SUB>3</SUB>’로 하행종지 하였다. 두 가집의 출현음, 주요음, 중심음은 모두 같다. ‘형장가’의 주요음은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이다. 주요음의 음정은 ‘완전5도+단3도+장2도’로 진행하며 음간의 도약이 있어 ‘형장가’는 <12잡가>중 다이나믹한 선율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형장가’는 서정적인 선율과 변화 있는 장단으로 엮은 <12잡가>로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사설의 변화가 나타났고 장단, 출현음, 중심음,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 곡 안에서의 장단은 ‘느린6박장단’에서 ‘빠른6박장단’으로 변화했으며 출현음과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는 판소리 <춘향가>중 한 대목을 확대하여 인생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애증(愛憎)의 감정을 장단의 변화로 표현한 절제된 <12잡가>이다. This study examine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a piece of music among <Twelve Japga(十二雜歌)>.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by comparing the early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Twelve Japga> started from the 19th century but 12 songs of <Twelve Japga> were completed in the middle 20th century, and ‘Hyeogjangga’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analysis of ‘Hyeogjangga’, this study used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with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and 『Gyeonggi Twelve Japga(京畿十二雜歌)』 ?with current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In chapter II,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Hyeogjangga’ narration. The changes in ‘Hyeogjangga’ narration are seen once. The aspect of the changes is ‘addition and deletion of lyrics’ and ‘changes of order of content’. The aspect of vocabulary changes of narration is diversely seen as five types such as replacement of archaic word by modern language, replacement of sentence endings, replacement of connective endings, replacement of interjection, and replacement of endings. There is no certain regularity of differences in ‘Hyeogjangga’ vocabularies but archaic word of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has been changed to modern language in ?『Book of Japga(雜歌樂譜集)』 ?and 『Gyeonggi Twelve Japg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tents of narration and differences of vocabularies, the changes of ‘Hyeogjangga’ narration are rarely seen. In chapter III, this study looked into rhythm and malbuchim of ‘Hyeogjangga’. Rhythms in ‘Hyeogjangga’ are two types of ‘slow 6-beat rhythm’ and ’fast 6-beat rhythm’. The type and the number of rhythms of ‘Hyeogjangga’ included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are same.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rhythm of ‘Hyeogjangga’. Next,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malbuchim of ‘Hyeogjangga’ and the types of malbuchim. The types of malbuchim in ‘Hyeogjangga’ are two ???, ???. The first beat of each rhythm in ‘Hyeogjangga’ is mostly ???.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f ‘Hyeogjangga’ are mostly malbuchim.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ccur at bukpyeon so malbuchim of ‘Hyeogjangga’ is in the bukpyeon. Based on this fact, we know that ‘Hyeogjangga’ is affected by the Eodan-seongjang(語短聲長). In chapter IV,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vements of music,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of ‘Hyeogjangga’. ‘Hyeogjangga’ has no stanzaic form of chorus. The tone of appearance of ‘Hyeogjangga’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is six sounds of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 and they are same as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of the two music books. The tunes of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re ‘Major 2nd + Perfected 4th + Minor 3rd + Major 2nd + Major 2nd’. The tone of core(中心音) is ‘D<SUB>4</SUB>’ and the tone of cadence (終止音) of down cadence(下行終止) occurred as ‘G<SUB>3</SUB>’. These two music books show the sam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and the tone of core(中心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of ‘Hyeogjangga’ are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The tune of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is conducted as ‘Perfected 5th + Minor 3rd + Major 2nd’ and there is a jump between sounds so ‘Hyeogjangga’ out of <Twelve Japga> shows a very dynamic melody. ‘Hyeogjangga’ is <Twelve Japga> with lyrical melodies and dynamic beats and shows narration changes by times but there is no change in beats,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core(中心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The be

      • KCI등재

        잡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국문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애경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7 No.-

        국문학계에서 잡가 연구는 가장 혼란스러운 분야라 할 수 있다. 연구 성과가 쌓일수록 잡가의 정체성과 존속 시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이견이 속속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잡가는 19세기 중반 이후 도시 유흥의 장에 등장한 순간부터 1920년대 전성기를 맞을 때까지 상당한 수준의 대중적 파급력을 드러낸 바 있다. 뿐만아니라 잡가는 중세 해체기의 문화적 역동성을 자양분으로 하여 자기부상한 후, 근대 전화기를 거치며 전성기를 맞이 했다는 점에서 중세의 끝에 성장한 서민 예술이 근대라는 시기와 만나며 겪는 변화와 생존 방식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요컨대 잡가는 19세기 문화사와 근대 전환기 예술의 운명과 존재 방식을 가늠하는 척도이며 관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잡가 연구는 그 특수한 위상을 밝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집, 가집, 고악보에 분산되어 있는 잡가 관련 기록을 수집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잡가의 존재양상과 방식을 객관적으로 살핌으로써 잡가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이견을 좁힐 필요가 있다. 셋째, 조선 후기에 형성되어 근대전환기를 거치고 일제 강점기까지 존속한 잡가를 통해 '통속예술에서 대중예술로의 상승'이라는 예술사의 발전 과정을 진단하고, 19세기 도시문화의 역동성을 밝혀낼 필요가 있다. 넷째, 전통적 장르에서 근대 대중예술로 순조롭게 발전한 잡가를 통해 시가에서 근대성이 실현되는 방식을 추적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잡가를 고려가요, 사설시조 등 하위문화의 속성을 지니면서 잡종 장르의 면모를 지녔던 장르 간의 계보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시가에서 장르 복합적인 현상을 해명하는 이론적 틀을 마련해볼 필요가 있다. Study on Jabka is taken as the most chaotic area in Korean literature academics. This is because different views are being raised rather than aligning on identity of Jabka and its duration as study results build up. From the moment of Jabka's introduction to urban entertainment stage in mid 19 century to height of prosperity in 1920s', Jabka demonstrated great deal of public spreading capability. Also, viewed in light of its emergence utilizing cultural dynamics during break down of middle age and having its peak passing through tansit period into modern age, Jabka demonstrates clearly as to how mass art that's developed at the end of middle age went through changes and survival measures by encounter with modern age. Jabka can be standard and gateway to discern 19 century cultural history and art's destiny and existence method during transit period into modern age. Therefore, Jabka studies need to direct towards period its unique phase. This can be illustrated in detail as follows. First, we need to collect and analyze Jabka related records scattered in various collections and music books. Second, we need toi narrow different views on Jabka's concept and criteria reviewing existence appearance and method of Jabka objectively. Third, we need to review development process of art history and to investigate dynamics of 19c urban culture through Jabka that was created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existed through modern transit period and Japanese occupation, that's summed up as rising from popular art to mass art. Forth, we can track its path in which modernity is materialized through Jabka that's developed from traditional gentr to one of modern mass art. Finally, we need to set theoretical frame that explains Jabka's hybrid genre complexity reviewing from genealogy between genres in which shows mixed gentr while maintaining character of sub culture such as Koryo Gayo and Sasulshizo.

      • KCI등재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과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

        권순회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한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를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의 서지와 편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필사본 『유행잡가』의 필사 시기는 1910년으로 활자본 잡가집에 선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록 작품은 총 25편으로 잡가, 단가, 시조, 가사 등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노래들이다. 이 가운데 잡가가 15편이나 수록되어 이 가집이 잡가 위주로 편집된 사실을 말해준다. 3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新舊流行雜歌』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논의 결과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필사본 『유행잡가』에 수록된 작품들이 모두 활자본 『신구유행잡가』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수록 순서가 완전히 일치한다. 이것은 『신구유행잡가』가 필사본 『유행잡가』를 그대로 수용한 바탕 위에 당시에 인기를 끌던 새로운 노래들을 추가해서 편집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4장에서는 1914년 이후 등장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활자본 잡가집의 저자들은 대부분 출판업자들로 이들은 필사본 잡가집을 저본으로 삼고 여기에다 당대에 인기를 끌던 레퍼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활자본 잡가집을 간행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가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이러한 편집 과정을 거쳐 마련된 초기의 활자본 잡가집은 이후에는 이들을 복제하거나 새로 인기를 얻은 레퍼토리를 추가해서 수정․증보하는 방식으로 확대․재생산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의 다양성과 변이 연구 - 콘텐츠로 소비된 근대 대중가요 잡가 노랫말의 한 형태 -

        김지혜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8 No.-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lylics of the Japga Yukjabaegi, which was widely enjoyed by the public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to read of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All of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gramophone records of the time, where the lyrics of the Japgas were contained, were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ose of the Japga Yukjabaegi, which was enjoy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a total of fifty-one Yukjabaegi lyrics consisting of thirty-six ones from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fifteen ones from the gramophone records. In addition, the fifty-one Yukjabaegi lyrics were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content and aspects. First type is the Yukjabaegi influenced by traditional folk songs and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race of the Jeolla-do folk song Yukjabaegi, which became a prototype of the Japga Yukjabaegi, in its lyrics. Thirteen Yukjabaegi lyrics fall into this type and are only found in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Second type is the popular Yukjabaegi of the time and is characterized by largely adopting lyrics from other popular Japgas of the time. Fifteen lyrics fall into this type and are only found in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Third type is the created Yukjabaegi, and a total of twenty-three lyrics consisting of eight ones from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fifteen ones from the gramophone records fall into this type. This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with an addition of some of the lyrics from the Yukjabaegi influenced by traditional folk songs and the popular Yukjabaegi of the time to the newly created Yukjabaegi. Most of the twenty-three lyrics belonging to this type are included in each edition without being overlapped. Moreover, it wa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the social culture of the time through an analysis of the lyrics of the Japga Yukjabaegi enjoyed in modern times in this way. What I was able to get a glimpse of were that the prototype enjoyed earlier was use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Japgas were created to gain popularity among the public at the time, that there were people who led and influenced the flow of the Japgas, popular songs at the time, and that one fixed type did not continue, but a new type of recreation was constantly attempted. The social ans cultural aspects of the time discovered in this way are very similar to the situation where content is created by people toda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n attempt to create new content is made based on the prototype gives many implications for content production using classics. Furtherm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t lets us know the fact that we can understand Japgas only when we look at them as one of popular culture categories of the time. 본 논문은 근대 초 널리 향유된 잡가 <육자배기>의 노랫말을 분석하여 의의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을 수록하고 있는 20세기 전반의 활자본 잡가집과 유성기 음반을 모두 검토하였고 활자본 잡가집에서 36종, 유성기 음반에서 15종, 모두 51종의 <육자배기> 노랫말을 확인·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51종의 <육자배기> 노랫말을 내용과 양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전통민요형 <육자배기>’로 노랫말에 잡가 <육자배기>의 원형이 된 남도 민요 <육자배기>의 흔적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51종 중 13종이 이에 해당하고 이는 활자본 잡가집에서만 발견되었다. 두 번째는 ‘유행가요형 <육자배기>’로 당대 유행한 다른 잡가의 노랫말들을 대거 차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51종 중 15종이 이에 해당하고 이는 활자본 잡가집에서만 발견된다. 세 번째는 ‘창작형 <육자배기>’로 앞서 확인한 ‘전통민요형 <육자배기>’와 ‘유행가요형 <육자배기>’의 노랫말 일부와 ‘새롭게 창작한 노랫말’을 더하여 만든 것이 특징이다. 활자본 잡가집의 8종과 유성기 음반의 15종, 모두 23종이 이에 해당된다. 여기에 속한 23종은 대부분 중복되는 것 없이 각편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대에 향유된 잡가 <육자배기>의 노랫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다양한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이 순차적으로 생성-소멸한 것이 아니라 함께 공유되었다는 것, 1928년을 기점으로 ‘창작형 <육자배기>’가 주류를 이루었다는 것, ‘창작형 <육자배기>’의 흐름을 지속하고 주도한 인물이 있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렇게 발견한 근대 잡가의 노랫말 향유 양상은 지금 우리가 콘텐츠를 창작하는 상황과 많이 닮아있다. 특히 원형(민요 <육자배기>)을 기반에 두고 새로운 콘텐츠(잡가 <육자배기>) 창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은 지금의 고전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나아가 우리가 근대 잡가를 당대의 대중문화로 바라보아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雜歌의 장르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이현정(Lee Hyun jeong) 한국음악문화학회 2016 한국음악문화연구 Vol.9 No.-

        잡가(雜歌)는 말 그대로 잡(雜)이라는 특성상 장르를 규정하기 쉽지 않으며, 잡가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잡가는 민요, 가사, 사설시조, 판소리 등과 혼용되기도 하고, 또 이와는 다른 성악의 한 갈래로 대중의 호응을 얻어 일반인들도 즐겨 불렀다. 正調가 아닌 俗謠라는 뜻에서 잡가라 칭하기도 하였으며, 그 형성에 있어서는 민요나 가사, 사설시조 또는 판소리 한 대목 등 여러 갈래가 모두 援用되었다. 이렇듯 규격화되고 고정화된 노래가 아니어서 잡가에 포함되는 노래들이 장르의 모호성으로 잡가의 장르를 정확히 규정 짓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잡가의 장르에 대한 논의는 음악학계와 문학계에서 계속되어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르에 대한 뚜렷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잡가의 장르적 성격에 관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잡가가 성립되고 확산된 19 · 20세기 초 광범위하게 퍼져 직업적 소리꾼에 의해 가창되었다는 잡가의 발생을 다시 한 번 살피고, 잡가를 조선후기의 격변하는 사회를 배경으로 일반 서민들에게 애호되었던 대중성이 짙은 우리나라 초기대중가요로 보고 그 시대 대중가요로서 잡가의 장르적 성격의 연구를 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대중가요는 대중을 대상으로 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전파하는 음악 양식을 총칭하는 말이다. 대중의 노래라는 것으로 대중이 속해 있는 사회와 항상 관련을 맺고 있고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 있음은 물론 우리나라의 대중가요 또한 우리의 변화하는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중가요가 대중매체를 통해 향유하는 음악이라 할 수 있다면 20세기 초 유성기 등장 이전 시기에 많은 인기를 얻었다가 유성기 등장 이후에 음반에 수록된 잡가와 판소리 등도 그 시대의 대중가요라 하겠다. 그러므로 대중가요의 근원에 대한 고찰도 함께 필요하며 19세기를 거쳐 20세기 초 · 중반의 서민 대중문화로 발전 하였으며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대중성이 많았던 잡가를 그 시대 대중가요로 보고 잡가의 장르적 성격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잡가와 관련된 국문학적 연구와 음악학적 연구 결과물 들을 살펴보고, 대중이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의 19세기를 지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신분 간 불평등 등 많은 변화가 있었던 그때와 지금의 대중 이라는 용어가 같은지 대중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대중이 향유하거나 그에 바탕을 두어 만들어진 잡가 외에, 민요, 가사, 시조, 판소리와의 관계를 분석해 보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본다. 잡가는 우리민족의 진솔한 정서를 담고 있음은 물론 대중성을 담은 전통음악으로서 음악적, 문화적, 민속악적으로 높은 가치와 의의가 있는 장르이다. 그러므로 잡가의 장르적 성격에 관한 연구로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발전뿐만 아니라 새로운 음악문화 발전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Jabga (雜歌) is not easy to define the gen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jab (雜), also, as in the name of jabga, literally, is combined with folk song, gasa, saseol sijo, and pansori, etc., also, the genre of those songs that belong to jabga is not clearly defined due to ambiguity of genre, since they are not standardized and fixed as other genre. Discussion on such genre of this jabga has been continued in the music academic world and literary world, however there’s no clear conclusion on the genr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lass that enjoyed jabga since it was created, considering it was established and widely spread during the 19th․20th century, sung and transmitted by ordinary people and professional singers, and intended to investigate genre characteristic of jabga as the popular song of the period which had thick popularity, determining it as the initial popular song of Korea which had prepared popularity based on rapidly changing society of late Joseon. Popular song calls the overall musical mode that is transmitted through mass media, targeting the public. It is always associated with the society where the public belongs to as the song of the public, which reflects our life, also, our popular song is deeply related to our changing history. This way, popular song can be said to be the music that is enjoyed through mass media, however, jabga, pansori, etc. can be said to be the popular song of the period, which were recorded in the album since the appearance of gramophone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had gained lots of popularity before the period of gramoph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rigin of popular song, which was developed to the ordinary people’s popular culture in the early․mid 20th century through the 19th century, accordingly,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genre characteristic of jabga mainly with characteristic research, considering it as the popular song of that period, which had lots of popularity that has been so far transmitted. Based on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Korean literary research, music academic research results related to jabga, the popular cultural aspect, whether the term of the public on that period when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 such as inequality between the status since the 20th century through 19th century in Korea and today is the same, also,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analyze ambiguous classification of jabga, folk song, gasa, sijo, and pansori. Jabga contains genuine emotion of our people, which is a traditional music that includes popularity, which is a genre with high value and significance musically, culturally, folk musically. Therefore, the researcher considers this research could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new musical culture development, not only in Korean popular song development, as a research on genre characteristic of jabga.

      • KCI등재

        잡가(雜歌)의 종교성과 세속성

        김종진(Jong Jin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잡가는 지역적으로 경기잡가, 서도잡가, 남도잡가로 나뉘며 연행의 주체에 따라 12좌창계열, 선소리계열 등으로 나누어진다. 자료를 파악해 볼 때, 서울의 양반문화의 주변에서 구연되었던 12잡가를 제외하면 의외로 많은 작품들이 불교와 무속의 주변에서 창조되고 전승되고 파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음악적 연구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주목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마도 파편화된 표현들이 조합되어 한 가지 주제나 정서를 지향하는 잡가의 속성 상, 그리고 종교적 가요로 출발하였으나 세속화 과정에서 비속한 미의식을 지향하는 이들 잡가의 속성 상문학적 분석과 평가의 대상으로 삼기에는 미진한 측면이 있다는 선입견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고는 사당패의 존재와 사찰과의 관련성에 대해 탱화의 화기 기록을 통해 살펴본 후 사당패의 노래인 <판염불>의 등장시기를 추정한 후에, <판염불>과 <보렴>, <놀량> 등에 드러나는 변이를 통해 종교성과 세속성이 교차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무속의 주변에서 새롭게 산출된 가요로는 <배따라기>, <제전>, <사설공명가>, <배뱅이굿>을 대상으로 하여 그 관련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잡가는 근대인의 유흥문화의 맥락에서 퇴폐적인 가요로 전승된다는 기존의 통념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전근대와 근대에 걸쳐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과 담론을 이만큼 담아낸 장르는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종교와 오락의 경계에 놓여있는 이들 작품이야말로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에서 삶을 살았던 당대인들의 사유와 미의식이 생동감 있게 반영된 것이라는 점을 제기하여 잡가에 대한 재인식을 도모하였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shed lights on some aspects in Chapga. It says that Chapga is a kind of poetry or popular song in modern times in Korea. There are two or three origines which Chapga was derived from. One of them is religious performance regardless of religion-Buddhism or shamanism. Up to now literary study on these songs are not accomplished, and it has not received any attention except music researchers. In the last analysis it would be said that Chapga was a very important genre in modern times because it was very useful for showing one`s belief at that time. In the meanwhile it doesn`t express noble mind by using refined rhetoric but using vulgar and joyful expression. The gap between the sublime and the vulgarization is very wide. But it does not any reason that Chapga is a incomplete public song. It could be said that this discordance are reflecting an aesthetic sense of people who had lived in premorden and modern times.

      • KCI등재

        『잡가(단국대본)』2의 성격과 가집의 유형 분류

        이상원 ( Lee Sang-won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에는 기존에 널리 알려진 가사집인 『잡가』 외에 동명의 책이 하나 더 소장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를 기존의 『잡가』(『잡가』1)와 구별하기 위해 『잡가』2로 명명하고 이 책의 특성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가집의 유형 분류와 관련된 시각 교정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잡가』2는 시조창 사설 186수, 가사 4편, 잡가 2편을 수록한 가집이다. 이 책에서 포착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실제 연행 현장에서 불린 사설을 그대로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남훈태평가』와 유사하지만 실제로는 『남훈태평가』 계열 가집과 기타 가집을 아우르는 특성을 보인다. 이에 따라 단독출현 작품이 꽤 많은 편이다. 셋째 이 책의 편찬 연대는 1900년을 전후로 한 시기로 추정된다. 넷째 <춘면곡> 이하에서는 가사와 잡가가 섞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수록하였다. 『잡가』2는 시조, 가사, 잡가가 어우러진 모습을 취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기존에는 시조창 가집으로 규정하였다. 『남훈태평가』를 대표적인 시조창 가집이라 부르는 데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선 후기 가집을 가곡창 가집과 시조창 가집으로 양분하여 이해하는 관행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이런 이분법은 시조와 가사의 역동적 변모상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시조와 가사는 정가(正歌)와 속가(俗歌)를 넘나들면서 역동적으로 변모해갔기 때문에 이런 변모상을 엿볼 수 있는 가집 이해의 구도가 필요하다. 그러려면 시조와 가사가 가곡과 잡가 중 어떤 것과 결합하는지 그 결합의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시조와 가사가 가곡과 결합된 경우 정가 가집일 가능성이 크지만, 시조와 가사가 잡가와 결합된 경우는 속가 가집일 가능성이 크다. 『잡가』2의 제목이 ‘잡가’로 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 중요하다. 여기 ‘잡가’는 ‘속가’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잡가』2는 시조창 가집이 아니라 속가 가집의 일종으로 이해된다. The Yulgok Library of Dankook University houses Japga, a well-known collection of Gasa works, and another book with the same title. This study called it Japga 2 to tell it from the old Japga(Japga 1) and investigated its characteristics in details, highlighting a need to revise the viewpoints in the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of songs by the type. Japga 2 is a collection of songs including 186 Sijochang Saseols, four Gasas, and two Japgas.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works in this collection seem to record Saseols sung at real sites of performance as they were; second, it is similar to Namhuntaepyeongga on the surface, but its characteristics encompass those of the collections of songs in the line of Namhuntaepyeongga and other collections of songs. This collection thus includes a good number of exclusive works; third,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is estimated around 1900; and fourth, it makes no distinction between Gasas and Japgas even though they are mixed under Chunmyeongok. Japga 2 offers harmony between Sijos, Gasas, and Japgas. Such a case used to be categorized as a collection of Sijochangs,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practice of calling Namhuntaepyeongga a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Sijochangs. This derived from a practice of dividing collections of songs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 into collections of Gagokchangs and collections of Sijochangs. This dichotomy, however, has limitations with explaining the dynamic changes of Sijos and Gasa. As Sijos and Gasas underwent dynamic changes between Jeongga and Sokga,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to understand collections of songs to peek at these changes. Such a structure should focus on the ways that Sijos and Gasas were combined with Gagoks or Japgas. A combination of Sijos and Gasas with Gagoks poses a high possibility of a Jeongga collection of songs. A combination of Sijos and Gasas with Japgas poses a big possibility of a Sokga collection of songs. This places importance on the reason behind "Japga" in the title Japga 2. In this case, "Japga" was used to signify "Sokga," which means that Japga 2 should be classified as a Sokga collection of songs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ijochangs.

      • KCI등재

        박춘재 소리 <맹꽁이타령>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 고찰

        전계영 ( Jeon Gye-yeong ) 한국시가학회 2019 韓國 詩歌硏究 Vol.48 No.-

        이 글은 휘모리잡가 <맹꽁이타령>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휘모리잡가는 사설시조에서 유래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기까지 흥행한 노래로 연행 담당층은 공장(工匠)이었다. 대체로 잡가의 하위범주에는 ‘십이잡가, 선소리타령, 민요계열잡가, 휘모리잡가’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 노래는 주로 광무대와 같은 무대공연, 활판본 잡가집과 SP음반, 경성 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흥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황은 실증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잡가의 근대적 성격과 관련된 논의 대부분은 잡가의 노랫말보다는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이나 전후 맥락에 의지하는 경향성을 띠고 있다. 이는 잡가의 노랫말에서 ‘근대적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태생적 한계에 기인한다. 잡가는 기존에 향유되던 타 시가와의 갈래 교섭을 통해 노랫말의 일부(또는 전체)를 가져와 조(調)를 바꿔 부르거나 재편집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래의 노랫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휘모리잡가의 경우 이현익의 창작이 존재하며, 그의 노래 가운데 몇 편은 20세기 전반기 세태를 반영하면서 풍자를 표현기법으로 활용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필자는 휘모리잡가 가운데 <맹꽁이타령>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근대적 성격을 드러내는 다양한 지표 가운데, 정치적 폭력(위력)에 대응하는 민중(대중)들의 모습을 통해 작품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맹꽁이타령>에는 기존 시가(詩歌)에 나타나지 않았던, 정치권력에 대한 민중의 비판과 풍자가 반전(反轉)의 수법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20세기 전반기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골계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근대적 성격을 형상화하는 주체와 방식을 볼 때, ‘떠나는 사람’과 ‘돌아온 사람’이 아닌 재래적으로 살아온 민중들과 그들이 향유한 ‘잡가’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Hwimori-japga < Maengkongi-taryeong >. Hwimori-japga originated from the Saseol-Sijo and was performed by masters as a popular so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enerally, there are 'twelve japga, Sunsori-taryeong, Minyo-related japga, Hwimori-japga' in the subcategories of japga. As these songs were performed on a stage such as Gwangmudae, printed as japgajibs, and played by SP record and Kyungsung radio broadcast, they became well known and popular with the public. This situation is confirmed by research through empirical data analysis.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japga tends to rely on the background or the context surrounding it rather than on the lyrics of the original text. This is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modern characteristics' in the lyrics. The japga is not far from the original lyrics because it consists of works that were altered or re-edited by taking part (or all) of the lyrics through the genre interaction between other poems which had been enjoyed. In the case of Hwimori-japga, however, there are the works which I-Hyeonik (person's name) created and some of his songs have been used as a satirical expression technique,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is context I determined < Maengkongi-taryeong > among Hwimori-japga as the subject of study and tried to derive the significance of the works through the appearance of people(the public) who responded to political violence( power) among various indicators that revealed the moder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n the < Maengkongi-taryeong > people's criticism and satire of political power which had not appeared in the existing Siga were embodied and people's hard life was sublimated as the comic. In addition, looking at the subjects and the way of embodying the modern characteristics, it could be confirmed that 'japga' was represented by the people who had enjoyed it and had lived traditionally not 'leavers' and 'returners'.

      • KCI등재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 (이하 일선잡가 )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 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 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 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 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 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 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 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 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 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