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퍼텍스트 탐색도구 유형과 작동기억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김진영 ( Jin Young Kim ),김회수 ( Hoi 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탐색도구 유형별로 학업성취도와 작동기억 억제과제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5명, 여학생 74명 총 89명을 위계형 탐색도구를 제공받은 집단과 목록형 탐색도구를 제공받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검사를 위해 작동기억 검사와 사전지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를 학습하도록 하면서 학습내용의 각 페이지마다 작동기억 억제과제를 제시하여 작동기억 부하에 따른 성취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학습이 끝난 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지식 점수를 통제했을 때, 목록형 보다는 위계형 탐색도구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와 언어적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 모두 목록형 탐색도구보다는 위계형 탐색도구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와 언어적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 모두 목록형 탐색도구를 제공받은 집단이 위계형 탐색도구를 제공받은 집단보다 작동기억 억제과제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교수설계 시 학습효과의 증진을 위해서는 방향감 상실과 인지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구조화된 탐색도구의 제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작동기억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위한 교수설계 시에도 탐색도구를 구조화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나 구조화된 탐색도구가 오히려 인지부하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탐색도구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인지부하의 차이에 관한 효과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load according to the type of hypertext navigation methods. 8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outh Korea (15 males and 74 female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an alphabetical index group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map group). Each student was given 3 pretests of three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before taking their learning tasks. After completing these pretests, both groups were given a learning task regarding biology while having to perform a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 appeared on the computer screen. Finally, the subjects were given a posttest after finishing their learning task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ubject`s prior knowledge was controlled, the group with the hierarchical structure map got higher scores of hypertext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group with the alphabetical index. Second, the subjects with low capacities of both the central executive and the phonological loop achieved higher scores in the posttest when they used the hierarchical structure map than they used the alphabetical index navigation tool. Third, the subjects with low capacities of both the central executive and the phonological loop showed higher achievement of the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s when they used the alphabetical index as a navigation tool in hypertext.

      • KCI등재후보

        하이퍼텍스트에서 탐색도구들의 작동기억 부하량과 부하량 감소에 대한 상대적 효과

        김회수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하이퍼텍스트 학습상황에서 구조도형 탐색도구가 풀다운 메뉴형과 목록형 탐색도구에 비해 작동기억 부하량 감소에 상대적인 효과가 있는가, 그리고 각 탐색도구에 따라 작동기억 하위 요소 중 어떤 요소에 대한 부하량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성인 피험자를 피험자간 변인, 즉 탐색도구 유형에 따라 3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모든 집단에서 피험자내 변인으로 통제조건, 언어적 작동기억 억제조건, 시 공간적 작동 기억 억제조건 및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 억제조건에서 2중 과제 제시방법을 통해 연구 문제를 분석한 결과, 풀다운 메뉴형 탐색도구는 다른 탐색도구에 비해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에 더 많은 부하를 주었고, 구조도형 탐색도구는 풀다운 메뉴형보다는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에 부하를 적게 주었지만, 목록형과는 차이가 없었다. 세 가지 탐색도구간의 시 공간적 작동기억 부하량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는 충분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navigational tools of the pull-down menu, the list and the structural map on reduction of students' working memory load in hypertext. According to Baddeley's working memory model, the study defined working memory to b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of the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sketchpad. The subjects were 60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registered in the graduate course of C University. They took the pretest and three working memory tests in a computer lab, and the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hree navigational tool groups. The subjects was given 16 search tasks using their navigational tool. Doing the tasks, they were asked to simultaneously perform secondary tasks by which their specific working memory would be suppressed. Their performance of the first and second tasks, and their reaction time of the two tasks were automatically recorded by the compu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prior knowledge had no effects on subjects' performance and reaction time of the tasks. It means that the prior knowledge has no relation to the working memory load in the search task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ull-down menu put the heavier working memory load to the subjects than the other two tool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working memory load between the list group and the structural map. Thir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ull-down menu put heavier load on the phonological loop and the central executive than the other two navigational tool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list group and the structural map. In addition, there was not enough evidence supporting the claim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visuospatial sketchpad load according to the navigational tools, even if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reaction time of main tasks between the pull-down menu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

      • KCI등재후보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진화봉,이순아,김회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핵심요소로 강조되는 메타인지가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세 개의 실험집단과 한 개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메타인지적 지식 수준이 높은 피험자는 낮은 피험자보다 메타인지적 규제를 요구하는 과제에서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작동기억 용량에 따른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에서는 중앙집행장치와 언어적 작동기억을 제외한 시· 공간적 작동기억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 · 공간적 작동기억 검사도구의 신뢰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반복실험이 필요하다. 작동기억을 억제했을 때의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 성취도는 예측했던 대로 중앙집행장치 억제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고, 네 집단 중에서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가 중앙집행장치의 많은 인지적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앙집행장치 용량의 상하에 따른 성취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중앙집행장치를 억제하면 성취도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결과는 메타인지적 규제의 기능을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가 담당하며, 메타인지적 규제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메타인지적 규제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를 고려해야 보다 설명력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mponents of metacognition and working memory that were considered as critical constructs to have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subjects were 140 sixth grad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tasks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concurrent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only the task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ith high metacognitive knowledge got higher achievement in the task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than the low metacognitive knowledge group. Visuo-spatial working memory span affected task performance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However, because of low reliability of visuo-spatial span test additional experiments are necessary to confirm the results. As expected, the central executive sup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tasks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other groups got the lowest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entral executive would play the rol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the students with high metacognitive regulation skills would be successful in self-directed learning. It is desired that the stud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skills consider the students' central executive capacity.

      • 작동기억 특징과 효과적인 학습기술

        이순덕(Soon Du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6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6 No.-

        컴퓨터를 통한 멀티미디어 보조학습이나 하이퍼미디어 보조학습 상황이 확산되면서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학습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학습자들은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다양한 학습기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학습기술(learning skill)을 인지적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실제적인 인지활동이 활성화되어 작용하는 작동기억의 구조 및 그 특정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학습기술들을 소개하였다. 작동기억이 언어적 작동기억과 시공간적 작동기억, 그리고 에피소드 버퍼라는 하위체제와 이 하위영역 정보를 통합하거나 인지전략을 점검하고 통제하는 중앙집행장치라는 상위체제로 구성되어 있다는 구조적 특정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작동기억의 저장 용량과 저장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하였다. 작동가억의 이러한 특정들로 인해 새로운 학습내용이 제사될 때 정보를 청킹하여 학습하는 방법, 작동기억에 전혀 인지적 부담이 가지 않도록 기능을 자동화하는 방법, 그리고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함께 제시하는 이중양식 활용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작동기억의 용량 제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학습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은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하이퍼미디어 보조 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작동기억이 정신모형 형성에 미치는 효과

        진화봉 ( Hwa Bong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하이퍼미디어 보조 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과 작동기억이 정신모형 형성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90명을 대상으로 도움 제공 집단, 도움중지 집단 등 두 개의 실험집단과 하나의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피험자들이 하이퍼미디어 학습을 하며 개념도를 그릴 때, 도움제공 집단은 코칭을 받고, 도움중지 집단은 학습 중간에 코칭을 중지하고 힌트나 전문가 수준의 개념도를 제공받았으며, 비교집단은 코칭을 받지 않았다. 실험 결과, 스캐폴딩 유형은 도움제공이 도움중지보다 정신모형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동기억에 따른 정신모형 검사 점수는 언어적 작동기억을 제외한 중앙집행장치와 시,공간적 작동기억 용량이 많은 집단이 높았다. 그리고 도움제공 조건의 작동기억 하 집단의 정신모형 검사 점수는 예상했던 대로 도움중지 조건의 작동기억 상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하이퍼미디어 보조 학습 과정에서 개념도 그리기를 할 때 코칭의 도움제공과 작동기억 용량이 정신모형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도움중지 전략은 인지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작동기억 용량이 적은 학습자에게 적용할 때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 and working memory on mental model construction in hypermedia based learning. The subjects were 90 sixth graders.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of the experimental groups (scaffolded-coaching and scaffolded-coaching-fading) or the control group (scaffolded only). The scaffolded-coaching group were given coaching about nodes and links during mapping on the hypermedia. The scaffolded-coaching-fading group were given hints or concept map of expert level instead of coaching, in the middle of learning.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were not given coach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affolded-coaching facilitated learners` mental model construction in hypermedia based learning. Specifically, the scaffolded-coaching group outperformed the scaffolded-coaching-fading group in mental model construction test scores. Second,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lower in the mental model construction test, but subjects` phonological loop working memory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test scores. Third, as expected, the low working memory group under scaffolded-coaching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under scaffolded-coaching-f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affolded-coaching and working memory affect positively on mental model construction in hypermedia based learning. If learners are provided with scaffolded-coaching-fading strategies, low working memory group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ith working memory load.

      • KCI등재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한 의식의 개념과 기능적 특성

        김은숙(Eun Sook Kim),신현정(Hyun Jung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4

        본 연구는 정보처리 관점에서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하여 의식의 개념과 기능적 특성을 탐색해 보고, 의식과 기억과 주의의 관계에 기반한 정보처리와 작업기억의 특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간의 심적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개념들이 설명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잘 이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기초개념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기억과 주의와의 비교를 통해 정보처리 관점에서 의식은 주변 환경과 자극에 대한 그리고 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자각하고, 필요한 행동을 결정내리고 수많은 정보들을 통합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작동시스템의 특성을 가진다. 의식은 정보의 부호화와 저장, 인출이란 특성을 가진 기억, 그리고 정보의 선택과 분할이란 특성을 가진 주의와 개념적으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심적구성체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기억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이 라기 보다는 의식과 기억과 주의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정보처리의 작업장일 수 있다. 또한 의식과 기억과 주의란 심적구성체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심적구조에서 정보처리는 의식적인 처리과정과 무의식적인 처리과정의 연속선상에서 위계 병렬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in comparison of memory and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It also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as hypothetical constructs. Consciousness is regarded as too ambiguous a concept to be understood and accepted as a mental construct without the inclusion of memory and attention in any conceptualization. We need one criterion to count satisfactorily as an explanation of consciousness in information processing. Consciousness would be a subjective awareness of momentary experience and also have the characteristic of an operating system performing control and consolidation in information processing. This could be called cognitive consciousness which refers to a subjective awareness and an executive control system, even though those are not equivalent concepts. Consciousness, memory and attention, three mental constructs could operate dependently or independently depending on the specific tasks conditioned in many information processing levels whose modules with three mental constructs could operate in hierarchy. In this premise, working memory could not be a unitary system, contrary to those of Baddeley and Hitch(1974) and Baddeley(1992, 2000), just being a mental workplace consisting of two components: the phonological loop, and the visual-spatial sketchpad without the episodic buffer and a central executiv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In the continuum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conscious processes and the unconscious processes seem not to be totally different and contrasting processes.

      • KCI등재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의 개발 및 응용

        백일현(Il Hyun Paik),구남서(Nam Seo Goo),정용채(Yong Chae Jung),조재환(Jae Hwan Cho) 한국항공우주학회 200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4 No.1

        본 논문에서는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CSMPU)의 개발과 응용 방법이 연구되었다. 일반적인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이 외부 열원에 의해 작동되어 온 반면에, 2004년에 소개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은 전력에 의해 작동되었다.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는 일반적인 형상기억폴리우레탄에 카본 나노 튜브를 첨가함으로써 제작되었다. 2004년 연구에서 제작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이 지닌 핵심 문제점은 카본 나노 튜브의 낮은 분산도였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으며, 일련의 정교한 작업을 통해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지닌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의 작동 성능을 측정 및 평가하였으며, 초소형비행체 조종면의 제어 실험을 통하여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 (CSMPU) actuator. While conventional shape memory polyurethanes were activated by external heat source,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s introduced in 2004 are activated by electric power.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 actuators were manufactured by adding carbon nano tube to conventional shape memory polyurethane. The main problem of the CSMPU developed in 2004 was bad dispersion of carbon nano tubes.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how to solve the dispersion problem, and with a lot of elaborative works,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 actuators which had better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developed. Then the actuation performance of the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 actuators was also measured and assessed. Finall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s were examined through the installation to Micro Air Vehicle.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이용한 초점주의와 작동기억의 뇌 활성화 양상 비교

        김재진,조상수,김명선,손정우,이재성,이동수,이명철,권준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단순 초점주의 과제와 보다 고도의 집중을 요하는 작동기억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뇌 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여, 두 인지기능 과정을 매개하는 정상적 신경회로의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정상인 14명을 대상으로 시각처리 대조 과제, 단순 초점주의 과제, 작동기억 과제 등 세 가지 인지과제를 주고, 과제 수행 동안 [□O]H₂O를 추적자로 한 양전자방출단층활영을 실시한 후 감산분석을 통해 초점주의와 작동기억의 신경회로 지도를 작성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초점주의 동안 활성화되는 부위는 좌측으로 편측화되고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양상이었고, 특히 전대상이랑과 운동영역을 포함한 전두엽, 일차 및 이차 시각피질 등의 활성화가 특징적이었다. 작동기억 동안의 뇌 활성화 역시 산발적 분포와 좌측 편측화 양상이 관찰되었으나, 시각피질보다는 전두엽의 활성화가 우세하였고, 특히 우측 전대상이랑의 현저한 활성화가 특징적이었다. 결론: 초점주의와 작동기억은 개념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매개 신경회로에서도 공통 혹은 특이한 영역을 각각 가지며, 전대상이랑의 역할이 두 기능에 공통적으로 중요하고, 이차 시각피질과 전전두피질이 두 기능 각각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 같다. Objectives: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neural substrates for simple focused attention and more highly-focused working memory i normal people and inv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Method: Fourteen normal subjects were studied with [□O]H₂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during a visual processing baseline task, simple focused attention task and working memory task.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ubtraction analysis to map the neural correlates of focuse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Results: Activated areas during focused attention tended to be lateralized to the left and scattered over various regions including the anterior cingulate, motor area, and primary and secondary visual cortices. While the areas activated during working memory also show the left lateralization and scattered distribution, activation prevailed more in the frontal lobe than in the visual cortex, and was particularly remarkable in the right anterior cingulate. Conclusions: Focuse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do not have only conceptuall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ut also have common and specific areas in their neural substrates. The anterior cingulate may commonly play an important role in both cognitive functions, whereas secondary visual cortex and prefrontal cortex seem to be predominantly implicated in each function, respectively.

      • KCI등재

        설명적 텍스트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 국어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은 ( Kyung Eun Cho ),김회수 ( Hoi 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에 추가된 삽화, 텍스트의 개인화 및 관련된 추가 텍스트가 학습자의 작동기억 수준에 따라 국어 읽기학습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작동기억: 상, 하) × 4(텍스트 유형: 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다중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중학교 2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각각 8개의 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실험 결과 학습자의 작동기억이 텍스트 이해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화 텍스트와 삽화텍스트가 작동기억 용량이 큰 집단의 텍스트 이해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텍스트보다는 다른 세 가지 텍스트(개인화 텍스트, 삽화텍스트, 일반화텍스트)에서 학습자의 텍스트 이해도가 높았다. 그러나 작동기억 용량이 낮은 집단에서 개인화 텍스트와 삽화텍스트가 다른 텍스트 유형에 비해 텍스트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 우월하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삽화텍스트나 개인화 텍스트가 모든 학습자에게 일반적으로 텍스트 이해를 높인다는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달리 학습자의 작동기억이 이러한 텍스트의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working memory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nd text types (personalized text, text with illustrations, multiple text, and controlled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The experiment was designed 2(working memory capacity: high and low)×4(text types: controlled text, illustration text, personalized text, and multiple texts) two way pretest-posttest comparison factorial designs. One hundred sixty-four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ght treatment groups in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entral executive working memory and phonological loop working memory and text types on the recognition test scores whil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main effects of three working memory components and text types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 scores. High working memory group outperformed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s of personalized text and text with illustrations than the other two texts. High working memory students got the lowest scores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s of the multiple text.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보조학습에서 정보제시유형이 작동기억 부하에 미치는 효과

        오선아,김회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보조학습에서 시각정보와 청각적 언어정보를 분산제시 했을 때, 또는 통합제시 했을 때 작동기억 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실험 1에서는 간단한 시각정보와 청각적 언어정보를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제시해서 이 두 과제를 통합하게 했다. 분산제시되는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통합하는 데 피험자들이 어떤 작동기억 부하를 받는 가를 보고자 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학습상황에서 정보를 분산시켰을 때와 통합시켰을 때 작동기억의 부하량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분산제시 했을 때,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이 받는 인지 부하가 언어적, 시·공간적 작동기억에서 보다 더 증가하였고,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통합시켜 제시하면 중앙집행장치 작동기억이 받는 인지부하가 분산시켜 제시될 때보다 감소하여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working memory load between split and integrated presentation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in the multimedia-aided-instruction. In experiment 1, simple geometrical figures and sounds were sequentially presented at a intervals of 1.5 seconds, and then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s were presented. Subjects were asked to recall information about the matching sounds and figures and also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 The task of experiment 2 was more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s than experiment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working memory load between the split-source presentation and integrated presentation format in experiment 2, the integrated presentation task was added.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1 and 2 were as follows: First, when verbal and visual information were sequentially presented, the cognitive load on the central executive increased. Second, when verbal and visual information was simultaneously presented, the cognitive demands on the central executive decreased than in the case of the split-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