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韓 受動形自動詞의 用法 對照硏究

        유장옥(Jang Ok Yoo)(兪長玉)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9 No.-

        この研究は、日韓辞書と韓國語辞書で自他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の特殊な意味について照査して分析した結果、日本語では次のような動詞が特殊な意味を持っていて辞書に記述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日本語の自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3個あって、相對自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2個、絶對自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1個、日本語の他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14個あって、相對他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3個、絶對他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10個、2重他動詞の受動形自動詞としては1個の動詞があることが分かる。 日本語では動詞の自他を問わず、ある程度の動作性さえ持っていれば受動形の成立が可能であるから、特殊な意味を持っている受動形自動詞だけを辭典に載せていることが分かる。 韓國語では他動詞に限定して音韻的な條件を持っている動詞だけに受動接尾辭「i·hi·ri·gi」が接續して受動形自動詞が成立できることが分かる。 In this study, the special meaning was analyzed as a passive-intransitive verb of and intransitive(a transitive) verb in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and Korean dictionary, and it is found that the following verbs have a special meaning in Japanese. In Japanese intransitive verbs, there are 3 passive intransitive verbs, 2 of them are relative passive intransitive verbs, 1 of them is an absolute passive intransitive verb. Also there are 14 passive intransitive verbs in Japanese transitive verbs, 3 of them are relative passive intransitive verbs, 10 of them are absolute passive intransitive verbs, and there are one double passive transitive verb. In Japanese, if the verb has only a certain degree of passive meaning,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n intransitive or a transitive verb, it can be established as a passive type, so that only the passive intransitive verb which has special meaning is listed. In Korean, it is found that only passive suffixes “i, hi, ri, gi” are connected to passive intransitive verbs which are restricted to transitive verbs and have phonetic conditions.

      • KCI우수등재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 연구

        신은수(Shin, Eun-su)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이 논문은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현대한국어의 공시적 특징을 살피고, 그와 같은 특징을 지니게 된 이유를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 안에서 설명하였다. ‘새다, 빠지다1’은 일반 대상 이동 자동사와 달리 행위주 주어를 갖는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는 행위주 이동 의미에서 대상 이동 의미로 확장하는데, ‘새다, 빠지다1’은 이와 반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새다, 빠지다1’은 ‘가다, 나가다’ 등보다는 더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 의미를 지니고, ‘꺼지다1, 뜨다’ 등보다는 덜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의미를 지닌다. 또 ‘새다, 빠지다1’은 대상 주어의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데, 행위주 이동 의미를 드러낼 때는 이동 방향이 폭넓은 평행 이동으로 바뀐다.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여러 공시적 특징은 이동 자동사의 밖으로-이동과 관련이 깊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 체계에서 밖으로-이동이 빈칸으로 있어,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 대상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다른 이동 자동사와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in modern Korean, and analyzed the reasons they have such features in the lexical system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have agent subjects, differently from most of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le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generally extend the meaning from agent to theme, ‘saeda, ppajida1’ do reversely. ‘saeda, ppajida1’ have more negative agent locomotive meaning than such as ‘gada, nagada’, which have less negative one than ‘kkeogida1, tteuda’, etc. Also, ‘saeda, ppajida1’ show the outward-movement of theme subject, which change the way to wide parallel movement when they represent the agent locomotive meaning. Several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are related with the outward-movement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ince the outwardmovement is empty in the simple verb system of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ch present the outward-movement show such features, differently from other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 KCI등재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적 특징 연구

        신은수 ( Shin Eun-su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이 논문은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에 나타난 공시적 통시적 특징을 살폈다. 그리고 이 특징을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와 연관 지어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적 특징으로 종합하였다. 하강 이동 자동사의 개념을 살피고, 주어의 의미역에 따라 하강 이동 자동사를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와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로 나누었다. 단순동사와 합성동사를 기준으로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를 설정하고, 주어 명사나 하강 장소 등의 선택특성에 따른 물리적 하강 의미 영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어휘 체계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현대한국어에서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는 특수 하강 의미를, 합성동사는 보편 하강 의미를 드러낸다. 대상 하강 이동 자동사는 통시적으로 단순동사의 의미 소멸이나 의미 축소를, 합성동사의 의미 유지나 의미 확장을 겪는다. 이와 같은 공시적, 통시적 특징은 행위주 하강 이동 자동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하강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에는 단순동사와 합성동사의 일정한 의미 대응 양상과 의미 변화 원리가 존재한다고 일반화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features of lexical system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se features were presented in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collected to characters of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o begin with, the concepts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were checked, and were divided into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based on thematic roles of subject. The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was set, with the criteria of simple verbs and compound verbs. This study also explained features of lexical system,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semantic scope of physical descent according to sel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 nouns, descent places. In contemporary Korean, simple verbs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present descent meaning of specific nouns while compound verbs show descent meaning of various nouns.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experienced the reduction or extinction of meaning in simple verbs, whereas they experienced the maintenance or extension of meaning in compound verbs, diachronically. These synchronic and diachronic features of theme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lso occurred in agent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correspondence of meaning between simple verbs and compound verbs, and also a principle of change in the lexical system of desc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 KCI등재

        日本語の[‐e‐]型自動詞と[‐ar‐]型自動詞

        韓靜姸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9 No.-

        본고에서는 타동사에서 파생한 일본어의 [-e-]형 자동사와 [-ar-]형 자동사의 형태와 의미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두 형태에 대한 影山(1996)에서의 분 석의 문제점을 밝히고, [-e-]형 자동사와 [-ar-]형 자동사의 의미를 새로이 기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별 동사의 파생 시기 및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두 형태의 파생에 있어서 의미적인 경 향성을 찾아볼 수 있음을 논하였다. [-e-]형 자동사는 기본적으로는 외적 원인에 의한 것이지만 의지적인 동작주 없이도 일어 날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며, [-ar-]형 자동사는 동작주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사건을 나타내 는 동사가 많다. 상대(上代)부터 주로 비의지적인 사건을 나타내는 동사가 많았던 [-e-]형 자 동사의 경향성은 그 후의 자동사 파생에도 반영되었다. 비의지적인 사건을 주로 [-e-]형 자 동사가 담당하게 됨에 따라, 동작주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사건은 [-ar-]형 자동사가 담당하 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meanings of ‘-e-’ type intransitive verbs and ‘-ar-’ type intransitive verbs and to clarify the problems in Kageyama(1996) and to redescribe the meanings of the two types.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iming of individual verb’s derivation and their meanings, it is possible to notice the semantic tendency of the derivation of the two types. ‘-E-’ type intransitive verbs denote the externally caused events that can take place without volitional agent and, there are many ‘-ar-’ type intransitive verbs that denote the events that presuppose the existence of agent. There have been many ‘-e-’ type intransitive verbs from ancient times, which mainly denote unvolitional events, and such a tendency has been reflected in subsequent derivation as well. ‘-E-’ types have taken up unvolitional events and consequently, ‘-ar-’ types have taken up the events that presuppose the existence of agent.

      • KCI등재

        일중 결과 복합동사의 논항 실현 -V2가 비대격자동사의 경우를 중심으로-

        최옥화 ( Cui Yu-hua ),이동철 ( Li Dong-zh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본고는 일본어와 중국어 결과 복합동사의 경우 후항동사가 비대격자동사의 경우를 중심으로 논항 실현에 있어서 이들 언어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후항동사가 비대격자동사의 경우 일본어에서는 대격 목적어가 구현될 수 없고 비대격자동사의 논항구조밖에 가능하지 않지만 중국어에서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논항구조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은 일본어와 중국어 결과 복합동사의 형태적 핵어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논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 on the realization of argument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resultative V-V compounds. This paper shows that resultative V-V compounds in Japanese are allowed only unaccusative verb argument structures, which the realization of the accusative case objects are not allowed when the second verb is unaccusative verbs. However this restriction is not observed on Chinese resultative V-V compounds, Chinese resultative V-V compounds allow transitive verb argument structures. I argue that this difference on the realization of the arguments results from the different locations of the morphological head in two languages.

      • KCI등재

        自動ㆍ他動ㆍ受身の構文論的対応 - 他動詞の可能文に対応する自動詞文に注目して -

        韓静妍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고에서는 자타대응을 가지는 자동사로 구성된 자동사 구문과 그에 대응하는 타동사로구성된 타동사 구문, 그리고 자동사 구문과 나란히 타동사 구문에 대응하는 수동문의 구문론적인 대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에 대응하는자동사 구문의 존재에 주목하여 가능의 의미를 지니는 자동사 구문에 있어 동작주의 의지성이 관련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대부분의 타동사 구문은 자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있음에 반하여 자동사 구문은 동작주가 명확하지 않으면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이는 수동문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한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 동작주가 외인(外因)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의 치환 또한 가능하지만, 동작주가내인(内因)으로 간주되며 외인일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나아가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하며 그에 더하여 자동사 구문이 나타내는사건의 실현에 동작주의 의지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동작주가 외인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문으로의 치환은 불가능하다. This thesis has studied the syntactic alternation of intransitive sentence, transitive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In addition,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intransitive sentence that alternates with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t also discusses the fact that the will of agent is involved in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s the meaning of potential. Whereas most of transitive sentence can be changed to intransitive sentence, intransitive sentence cannot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not clear. The same holds true also with passive sentence. In the case of intransitive sentence, it can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clear. In this ca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it is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but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not possible, if agent is regarded as internal cause and if it is not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Additionally, as for intransitive sentence, alternation to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s possible, if agent is clear and, in addition, if the will of agent is accompanied by the realization of events expressed through intransitive sentence. In this case, too,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there is likelihood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otherwi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impossible.

      • KCI등재

        일본어의 「무표가능문」에 대하여 - 「유대무의지자동사문」과 「유표가능문」과의 이동(異同)을 중심으로 -

        이경실 ( Lee Kyung-sil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70

        본고에서는 「무표가능문」을 중심으로 「유대무의지자동사문」과 「유표가능문」과의 형태ㆍ통어ㆍ의미적인 異同에 대하여 검토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대무의지자동사문」과 「무표가능문」은 형태ㆍ통어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의미적으로 전자는 동작주의 존재ㆍ의지성이 문제되지 않으며 상태(변화)만을 나타내는 반면 후자는 동작주의 존재ㆍ의지성이 인정되며 “동작주의 기대나 의도대로 대상물의 상태변화가 실현 된다(되지 않는다)”라고 하는 가능의 의미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무표가능문」과 「유표가능문」은 형태적으로 전자가 자동사의 형태로 가능의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후자는 가능동사ㆍ「(ラ)レル」ㆍ「デキル」등의 가능표지로 가능의 의미를 나타낸다. 통어적으로 전자는 Y(타동사문의 대상)를 주어로 하는 자동사문이며 후자는 「X」(동작주)를 주어로 하는 타동사의 가능문이다. 의미적으로양자 모두 동작주(「X」)의 존재ㆍ의지성이 인정되며 가능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무표가능문」은 「Y」의 상태변화에 주목한 표현인데 반해 「유표가능문」은 동작주 「X」의 능력이나 상황에 주목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拔ける」「割れる」「燒ける」등과 같이 형태적으로 「유대무의지자동사문」과 「유표가능문」의 동사가 동형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어적으로 전자의 「Y」는 변화의 주체이며 후자의 「Y」는 가능의 대상이다. 또한 전자는 동작주 「X」의 존재ㆍ의지성이 문제되지 않지만 후자는 동작주 「X」의 존재ㆍ의지성이 요구된다. 의미적으로 전자는 「Y」의 상태(변화)에 주목한 표현인데 반해 후자는 동작주 「X」의 능력이나 상황에 주목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l,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unmarked potential sentence」 and 「paired non-intentional intransitive sentence」, 「marked potential sentence」 First, I Investigated the formal,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paired non-intentional intransitive sentence」 and 「unmarked potential sentence」. The research indicated that 「paired non-intentional intransitive sentence」 and 「unmarked potential sentence」 take the same form and syntactic structure. But semantically, the latter expresses a potential meaning, and the former does not. And then I Investigate the formal,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unmarked potential sentence」 and 「marked potential sentence」. The research indicated that 「unmarked potential sentence」 takes the intransitive verb, and 「marked potential sentence」 takes the potential form such as “potential verb”, “reruㆍrareru” and “kotogadekiru”. Syntactically the former takes an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s [Y] as the subject(the object of the transitive sentence), and the latter takes a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sentence which has [X] as the subject(Agent). Semantically 「unmarked potential sentence」 and 「marked potential sentence」express a potential meaning. But the former focuses on the state of [Y], and the latter focuses on the ability or situation of [X].

      • KCI등재

        능격 동사 ‘명사+-化+-하다’에 대한 연구

        정수현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use of the verb, which can be used in both automatic and transitive Korean verbs. The verb ‘N+-hwa+-hada’ has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But in language reality, we seem to recognize the use of this composition a little differently. Therefore, we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verb ‘N+-hwa+-hada’ is actively used for intransitive or transitive verbs. It also conducted research on cases where there is a ‘N+-hwa+-hada’ verb paired with a ‘N+-hwa+-toida’ verb. Most of the subjects studied are in this case. Since ‘N+-hwa+-toida’ verbs are only used as intransitive verbs,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vocabulary. However, it is a review of the shrinking use of ‘N+-hwa+-hada’ as an intransitive verb. The research process showed that ‘N+-hwa+-hada’ which can be used as both intransitive and transitive in general, has a lot of uses for other verbs. More specifically, we can categorize it into three. In some cases, the use of other verbs is dominant. 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use for transitive verb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is boiling. If we present the results in a more conclusive manner, the use of ‘N+-hwa+-hada’ verbs, the use of transitive verbs prevailed. The number of intransitive verbs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itive verbs, or fewer were used only as automatic verbs. Overall, words combining ‘-sikida’ and ‘-toida’ were found in words with many transitive verbs of ‘N+-hwa+-hada’.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burden for ‘N+-hwa+-hada’ verbs to be used as an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 Therefore, it is less likely to distinguish between passive and transitive verbs. Therefore, ‘-toida’ can be seen as being distinguished using productive use. For similar reasons, the use of ‘-sikida’ may be productive. If it proves that the use of intransitive verb is less than that of transitive verb, it can explain one of the linguistic phenomena in Korean. 본 연구는 우리말 동사 중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쓸 수 있는 능격 동사의 실제 쓰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명사+-化+-하다’ 구성인 동사 가운데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인다고 “우리말샘”에 풀이된 동사이다. 이 구성이 실제로 자동사, 타동사로 모두 활발히 쓰이고 있는지를 말뭉치의 검색 결과로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명사+-化+-되다’와 통사적으로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데, 이러한 쓰임이 실제 언어 현실에서는 어떻게 반영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명사+-化+-하다’ 구성은 전반적으로 타동사로의 쓰임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하다’ 자동사의 수가 타동사의 수보다 많거나, 자동사로만 쓰인 말뭉치 검색 결과는 그 수가 적었다. ‘-化’는 ‘그렇게 만들거나 됨’을 뜻하므로 그 의미에 이끌리다 보면 ‘명사+-化’ 구성이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나타나는 것이 당연하고 그 비율도 어느 정도는 비슷할 듯하나 언어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 준다. ‘명사+-化’에 ‘-되다’, ‘-시키다’가 결합한 동사의 쓰임도 비교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명사+-化+-하다’의 타동사의 쓰임이 우세한 단어에서는 ‘-되다’가 붙은 자동사의 쓰임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명사+-化+-하다’가 피동과 자동의 의미를 모두 나타내기에 그 기능의 부담이 많아 기능의 부담을 탈피하기 위해 ‘-되다’를 생산적으로 사용하여 식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되다’와 대립되므로 ‘-하다’는 타동사로서 쓰이는 경향을 보일 수 있겠다. 비슷한 맥락에서 자동사의 의미가 ‘ㅇㅇ되다’와 통하고, 타동사의 의미가 ‘-시키다’가 붙은 표현 ‘ㅇㅇ시키다’와 통하기 때문에 ‘-시키다’의 쓰임이 생산적으로 생겨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ㅇㅇ시키다’가 전반적으로 쓰임이 많지 않은 것은 ‘ㅇㅇ하다’가 타동사로의 쓰임이 확보되면서 몇몇 개별 어휘를 제외한 전반에서는 ‘-시키다’가 현저히 많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의 쓰임이 타동사로의 쓰임보다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이는 우리말의 언어 현상의 하나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능격 동사 ‘명사+-화(化)+-하다’에 대한 연구

        정수현 ( Jeong Su-hyeo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8 No.-

        본 연구는 우리말 동사 중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쓸 수 있는 능격 동사의 실제 쓰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명사+-化+-하다’ 구성인 동사 가운데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인다고 “우리말샘”에 풀이된 동사이다. 이 구성이 실제로 자동사, 타동사로 모두 활발히 쓰이고 있는지를 말뭉치의 검색 결과로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명사+-化+-되다’와 통사적으로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데, 이러한 쓰임이 실제 언어 현실에서는 어떻게 반영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명사+-化+-하다’ 구성은 전반적으로 타동사로의 쓰임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하다’ 자동사의 수가 타동사의 수보다 많거나, 자동사로만 쓰인 말뭉치 검색 결과는 그 수가 적었다. ‘-化’는 ‘그렇게 만들거나 됨’을 뜻하므로 그 의미에 이끌리다 보면 ‘명사+-化’ 구성이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나타나는 것이 당연하고 그 비율도 어느 정도는 비슷할 듯하나 언어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 준다. ‘명사+-化’에 ‘-되다’, ‘-시키다’가 결합한 동사의 쓰임도 비교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명사+-化+-하다’의 타동사의 쓰임이 우세한 단어에서는 ‘-되다’가 붙은 자동사의 쓰임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명사+-化+-하다’가 피동과 자동의 의미를 모두 나타내기에 그 기능의 부담이 많아 기능의 부담을 탈피하기 위해 ‘-되다’를 생산적으로 사용하여 식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되다’와 대립되므로 ‘-하다’는 타동사로서 쓰이는 경향을 보일 수 있겠다. 비슷한 맥락에서 자동사의 의미가 ‘ㅇㅇ되다’와 통하고, 타동사의 의미가 ‘-시키다’가 붙은 표현 ‘ㅇㅇ시키다’와 통하기 때문에 ‘-시키다’의 쓰임이 생산적으로 생겨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ㅇㅇ시키다’가 전반적으로 쓰임이 많지 않은 것은 ‘ㅇㅇ하다’가 타동사로의 쓰임이 확보되면서 몇몇 개별 어휘를 제외한 전반에서는 ‘-시키다’가 현저히 많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의 쓰임이 타동사로의 쓰임보다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이는 우리말의 언어 현상의 하나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use of the verb, which can be used in both automatic and transitive Korean verbs. The verb ‘N+-hwa+-hada’ has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But in language reality, we seem to recognize the use of this composition a little differently. Therefore, we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verb ‘N+-hwa+-hada’ is actively used for intransitive or transitive verbs. It also conducted research on cases where there is a ‘N+-hwa+-hada’ verb paired with a ‘N+-hwa+-toida’ verb. Most of the subjects studied are in this case. Since ‘N+-hwa+-toida’ verbs are only used as intransitive verbs,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vocabulary. However, it is a review of the shrinking use of ‘N+-hwa+-hada’ as an intransitive verb. The research process showed that ‘N+-hwa+-hada’ which can be used as both intransitive and transitive in general, has a lot of uses for other verbs. More specifically, we can categorize it into three. In some cases, the use of other verbs is dominant. 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use for transitive verb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is boiling. If we present the results in a more conclusive manner, the use of ‘N+-hwa+-hada’ verbs, the use of transitive verbs prevailed. The number of intransitive verbs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itive verbs, or fewer were used only as automatic verbs. Overall, words combining ‘-sikida’ and ‘-toida’ were found in words with many transitive verbs of ‘N+-hwa+-hada’.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burden for ‘N+-hwa+-hada’ verbs to be used as an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 Therefore, it is less likely to distinguish between passive and transitive verbs. Therefore, ‘-toida’ can be seen as being distinguished using productive use. For similar reasons, the use of ‘-sikida’ may be productive. If it proves that the use of intransitive verb is less than that of transitive verb, it can explain one of the linguistic phenomena in Korean.

      • KCI등재

        일본어의 수동문과 자동사 구문 - 사건 구조와 구문 유형에 주목하여 -

        한정연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passive sentence and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ve things in common in terms of describing changes and being alternated with transitive sentence, this thesis has classified the two sentences into four categories: ①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②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③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abstract noun as subject, and ④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abstract noun as subject. And, then,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aspects of the distribution of these categories in modern times. In doing so, it has been noticed that passive sentence is used mostly in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and intransitive sentence in expressions describing ac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In previous studies, whether or not there was implicitness of agent was mainly mentioned a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ntences. Howeve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conducted this time through this the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wo sentences are different in event structure and sentence type as well. It can be said that passive sentence is relatively frequently used in expressions describing stativity with concrete noun as subject because these expressions have been used since the days before modern times and have served as prototype for inanimate-subject pas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