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 연구의 교육적 함의

        방선욱(Bang, Sun-Wo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그 동안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했던 성인 대상 중심의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다양한 학습동기 변인 가운데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구인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유사 구인과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증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인지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자기조절학습 모형은 자기조절학습을 목표지향적 과정으로 그리고 순환적인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자기조절 단계를 설정하고 있으며, 각 단계별로 자기조절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조절 단계와 자기조절 영역의 개념과 구조는 학습자의 자기조절과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각 단계별 수업전략 수립이나 학습내용 및 활동을 제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과제특수적 상황에서 학습자의 수행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변별적인 타당성을 보여주며, 학생들의 과제 선택, 노력, 지속성, 그리고 정서적 반응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기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도 수렴적 타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정확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전문화된 측정방법과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학습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구인으로서, 자기조절과정의 모든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과 동기의 유력한 매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자기효능감은 학생들의 동기와 그에 따른 결과로서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exploring the research 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paper reviewed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elf-efficacy beliefs differ conceptually from closely related constr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belief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results of th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s by Pintrich and Zimmerman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define self-regulated learning as goal-oriented process, proceeding from a forethought phase through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phase to self-reflection phase. For each phase, self-regulatory activities are listed in four separate areas, including cognitive, motivational and affective, behavioral and contextual areas. They also assume that self-regulation is cyclical in nature. Second, measures of self-efficacy are not only conceptually distinctive from closely associated constructs such as outcome expectations, self-concept, and perceived control, they have discriminant validity in predicting a variety of academic outcomes. Students’ self-perception of efficacy are distinctive from related motivational constructs because of their specificity and close correspondence to performance tasks. Third, self-efficacy beliefs provide students with a sense of agency to motivate their learning through use of such regulatory processes as goal setting,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trategy use. Therefore, self-efficacy beliefs of students are key variable affecting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3

        Self-regulated learning(SRL) along with intelligence, motivation and previous knowledge has appeared as a major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s. Recently, it is known that whereas the variance of intelligence affec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akes a part about 10% point, the one of SRL does about 18% point. It suggests that SRL could be a new strategy to make the difference narrow amo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it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of SRL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RL ability. The components of SRL have explored with a variety of factors by researchers, but in this study they are presented as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cognition/meta-cognition, motivation/affection, and behavior/contexts. The acquisition models of SRL are examined with a circular phase model(forethought→ performance→ self-reflection) and a sequential developmental model (others-regulation→ co-regulation→ self-regulation).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and facilitating students’ SRL abilities are presented based upon those SRL’s components and acquisition models. And on the basis of condition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SRL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suggested. 자기조절학습은 지능, 동기, 선행지식과 함께 학업성취의 새로운 주요한 변인으로 등장하였다. 최근에 지능은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량이 10% 정도인데 비해서 자기조절학습은 약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Veenman. 2011). 이것은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자간 학업성취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의 조건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탐색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을 구성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인지/초인지, 동기/감정과 행동/맥락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로 정리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습득모형은 순환적 단계모형(전사고→수행→자기성찰)과 순차적 발달모형(타인조절→공동조절→자기조절)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와 습득모형을 통해서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주요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의 조건과 전략을 바탕으로 장차 자기조절학습의 교수-학습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 행동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해외 학습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이성혜 ( Sunghye Lee ),이유경 ( You-kyung Lee ),박소영 ( So-young Park ),함은혜 ( Eun Hye Ha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분석 기반의 자기조절학습 연구의 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전략과 전략별 분석데이터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발표된 해외 학술지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이면서, 자기조절학습 또는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을 학습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논문 50편을 분석하였다. 학습분석 기반 자기조절학습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연구맥락별, 데이터 수집 환경별, 연구목적별,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하위요인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 중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을 명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이 분석한 요인과 이러한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된 분석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12년 이후 꾸준히 연구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대학 맥락에서 수행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데이터가 수집된 학습환경은 MOOC를 포함한 학습관리시스템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연구목적별로는 자기조절학습 행동을 기반으로 학습자 및 학습 행동 모델링, 행동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취도 등 수행결과 예측, 수행결과와의 관계 분석, 자기보고식 자기조절학습 설문 결과와 행동데이터 비교 또는 그 관계를 살펴본 연구 등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조절학습 전략별로는 메타인지전략, 행동조절전략, 인지전략, 환경조절전략, 학습전략 순으로 논문 수가 많았으며, 가장 많은 연구에서 분석된 하위요인은 시간관리, 자기평가 및 성찰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 행동 분석데이터의 특징과 학습분석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rends in overseas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learning analytics, and to analyze sub-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ists of data. For the analysis, 50 papers from overseas journals and conference proceedings prior to 2020 were screened. Frequency analyses are calculated by year, research context, data collection environment, research purpos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sub-factor. Sub-factors and analyzed data are then described in light of previous studies that specify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d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since 2012, most of which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universities. In over half of these studies, data was collected o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With respect to research purpose, studies may be classified as learners and learning behaviors modeling, performance prediction, relationship analysis with performance results, and behavior comparison between survey and behavioral data. With respect t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he greatest number of papers concern metacognitive strategy, followed by behavior control strategy, cognitive control strategy,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y, and learning strategy. Time management and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are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sub-factors. Analyzed data were also collected to measure these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analysis of data on the features of self-regulating learning behavior is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for learning analysis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심현(Sim Hy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규명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경상남도 농산어촌 35개 초등학교의 4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멘토의 자기조절학습요소 피드백은 자기주도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며, 자기주도적은 자기조절 학습 중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동기조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는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 학습의 동기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조절, 메타인지조절, 행동조절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6개월 동안 멘토가 직접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수행한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학습에서 멘토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의 피드백이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의 변화를 이끈 요인을 밝혀 차후의 수업활동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였다는 사실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tor self - regulated learning sub - factors on students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alize this aim, 457 elementary schools in 35 rural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 - do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tor s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 feedba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 - directedness. Self - directed mediates between cognitive control, meta - cognition control, motivation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 -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hird, motive contro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cognitive control, meta-cognitive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s study measured the results of a 6-month interaction with a ment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the self - regulated learning process of self - regulated learning factors in online learning revealed the factors that led to the change of self - 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se in learning activity.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박미정(Park, Mi Jung),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9학급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친사회적 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 만 5세 유아들의 친사회적 조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비놀이 행동보다 놀이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중 기능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규칙 있는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에서는 병행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집단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비놀이 행동 중 쳐다보기와 돌아다님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과 연관이 있는 놀이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children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lay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6 children aged 3, 4 and 5 in 9 classes at 3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regulation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otivational, prosocial regulations in order.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gulation. Secondly, children did more play behaviors than non-play behaviors as they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re non-play behaviors than play behaviors as they ha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cognitive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showed more functiona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rule games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social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did more paralle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group play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hildren did more watching behavior of non-play type as they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이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전략 활동 수준을 그들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 성적 수준과 관련하여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동기적 전략에 속하는 외재적 동기와 통제신념, 그리고 내재적 동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원관리 전략에 해당하는 또래학습과 노력조절, 그리고 인지적 전략인 비판적 사고를 가장 저조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 수준은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교, 성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저학년보다는 고학년들의 능력 및 전략 활용 수준이 높았다. 전공 계열에서는 예체능계열 학생들이 다른 전공계열 학생들에 비해 전략 활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일반계 교등학교 출신자와 특수목적고, 검정고시 출신자들이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보다 전략 활용 수준이 훨씬 정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과 학업 성적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전략들을 의미 있게 많이 사용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전략들 중에서 우리 학생들의 활용 정도가 낮은 전략들을 중심으로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양명희,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많은 연구들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습장면에 나타나는 자기조절적 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자기조절 수준에 따른 성취도 변화 추이와 이들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 전략을 잘 활용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은 시간에 따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자기조절학습 상위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높고 성취도의 평균 성장률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과 학업 성취의 두 변수간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볼 때, 자기조절학습은 이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학업성취도 또한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성취도가 이후의 자기조절학습에 주는 영향력이, 자기조절학습이 이후의 성취도에 주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일 시점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more studies are needed that use longitudinal design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change of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KELS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of 6,224 students in KEL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ble over time. Secondly, students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chieved more over time, compared to students who had a lowe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vice versa.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greater than the other way aroun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임규연(Lim Kyu Yon),김시원(Kim Si Won),김영주(Kim 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role of individual learner and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learners are critical elements to accomplish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Participants were 55 college students and data from 52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co-regulation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wherea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did. Also, learner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is results emphasize that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s consideri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low level of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협력학 습 성과와의 관계를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 자 하였다. 성공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해서는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 개인의 역 할 및 학습자들 간의 효과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 습 맥락에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다각적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탐 구를 통해 효과적인 협력학습 성과를 위한 요인을 규명하고, 협력학습의 성과를 촉 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52 명을 대상으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은 성취도를 예측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은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 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메타인 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메 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성취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력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 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설계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과제기반 협력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집단자기조절, 소집단 성과 및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협력학습에서 소집단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는 집단과정과 학업성취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소집단의 집단자기조절 수준, 소집단 성과, 소집단 활동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였다. 2010년 2학기에 과제기반 협력학습 방식으로 진행된 한 교양강좌의 수강생 93명을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라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으로 크게 구분하고, 동질 집단의 경우 자기조절학습 수준 상위집단, 중간집단, 하위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낮은 학습자로만 구성된 팀은 집단자기조절 수준에서 이질집단, 상위집단, 중간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고, 이질집단, 즉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상, 중, 하로 구성된 집단이 동질집단보다 소집단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소집단 활동에 대해서는 이질집단과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집단의 집단자기조절 수준은 소집단 성과 및 활동 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 있어서 소집단 구성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소집단 구성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잘 혼합되어 협력의 과정에서 집단조절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가 사전에 고려해야 한다는 사전 처방적 설계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ing strategy based on group member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level on group self-regulation, group performance, and group activity satisfaction. In the fall semester of 2010, 93 college-level students, who were taking a general course in which projec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as appli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semester, each participant's self-regulation level was measured, and th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self-regulation levels. Then, based on the self-regulation level, four different group types were composed; heterogeneous group, high group, medium group, and low group. The AN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low groups were lower than heterogeneous, high, and medium groups in group self-regulation level. The heterogeneous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three homogeneous groups. The heterogeneous and high groups were more satisfied with group activity than the low groups. Finally, the level of group self-regula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oup performance and group activity satisfac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roup members' self-regulation level in group composit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by instructors to promote effective collaboration.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3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수는 295개이다. 자기결정성은 자기결정성 분류 형태인 내재적 동기, 확인/통합동기, 부과된 동기, 외적 동기, 무동기로 나누었다. 자기조절학습도 일반적인 분류 형태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나누었다. 두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출판편의를 Orwin의 fail-safe N과 Egger의 회귀절편으로 분석한 결과 출판편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486,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544,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79,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046,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95로 나타났다. 이 효과크기들은 모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논문형태, 학교급별과 관련되는 독립변인들이 이질성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분석을 하였다. 논문형태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meta-analysis. For the study 295 effect sizes from 23 studies were analyzed by CMA2 Program. Self-determination was divided by intrinsic, identified/integrated, introjected,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along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Self-regulated learning was divided by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low possibilities of the public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ntrinsic-SRL was .486, identified/integrated-SRL was .544, introjected-SRL was .379, external-SRL was -.046, and amotivation-SRL was -.395. There were heterogeneities in the effect sizes of subgroups, so the researcher thought these were attributed by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shed or unpublished studies and school class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betwe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on intrinsic-SRL and extrinsic_SR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of school classes on intrinsic-SRL, identified/integrated-SRL, introjected-SRL, external-SRL, and amotivation-SRL.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