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5 포스터 발표 : 환경 화학 분야(PC) ; CAPSS 자료를 이용한 경기 남부지역 WRF-chem 입력자료의 구축 연구

        안재호 ( Jae Ho An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WRF-chem 대기오염모델링 수행을 위하여 경기도 남부의 오염배출입력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미국의 경우 NEI-05 배출량 자료를 미국전역에 적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CAPSS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부분의 WRF를 수행하여 동아시아 지역(D1), 한반도(D2), 수도권(D3) 도메인에 대하여 기상자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nesting-down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역인 수도권(D3)의 대기오염모델링 수행을 위한 대기오염 입력파일을 생성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WRF의 결과인 wrfinput-d01, wrfinput-d02, wrfinput-d03 와 wrfbdy-d01 파일을 입력 자료로 하여 MCIP(Meteorology Chemistry Interface Processor)를 수행하여 GRID_CRO_2D, GRID_BDY_3D, MET_CRO_3D 등의 총 8개의 파일을 생성한다. 둘째, MCIP의 결과를 연결하여 SMOKE3.6 버전을 이용하여 CB5와 SAPRC99의 광화학 반응 메커니즘을 위한 연구 대상 도메인의 대기오염 입력자료를 추출 하였다. 셋째, 이를 WRF-chem의 입력자료의 형태로 전환하여 최종적으로 wrfchemi-d01의 형태를 구축하였다. 특히 세 번째 단계의 경우 추출되는 파일의 형식이 ASCII, NetCDF 등으로 다양하여 이들의 내부 전환을 위하여 IDL8.3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WRF-chem 입력자료를 구축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기상부분과 대기오염모델이 분리되어 수행되는 모델시스템이여서 대기오염모델수행 시에 기상모델부분에서 생성되는 세부적인 자료들이 약 한 시간 간격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수치모의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WRF와 WRF-chem 대기오염모델링 시스템의 경우 chem부분이 Subroutine의 방식으로 실행이 되므로 기상부분의 변화가 1분~3분 정도의 작은 시간해상도로 전달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인 WRF-chem 대기오염입력파일의 구축이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광화학반응에 의한 미세분진과 고농도오존 에피소드 분석 및 연구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구축된 CB5 또는 SAPRC99의 광화학반응에 입력될 약 30 종에 해당하는 대기오염물질의 대상지역의 배출량 및 형태를 그래픽화 하였을 때 비교적 합리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SCOPUS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시설 안전성평가 입력자료 관리를 위한 해외사례 분석

        강미경(Mi Kyung Kang),박하나(Hana Park),박선주(Sunju Park),정해식(Hae Sik Jeong),윤운상(Woon Sang Yoon),이정환(Jeonghwan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스웨덴, 스위스, 영국 등 폐기물 처분 선도국들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시설의 계획, 부지선정, 건설, 운영, 폐쇄, 그리고 폐쇄 후 관리 전 단계에서 안전성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안전성평가는 각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장기간에 걸쳐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안전성평가 자료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료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처분 분야에서 선도적인 국가의 안전성평가 자료관리체계를 1) 안전성평가 입력 및 참조자료, 2) 자료관리 지침, 3) 자료관리 조직, 그리고 4) 자료관리 전산시스템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각 국가는 특정 부분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안전성평가 입력자료를 처분 시스템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분류하고, 이를 제공, 사용, 관리하는 조직을 설립하며, 지침 및 매뉴얼에 따라 품질관리 체계를 구현하는 등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연하게 활용 가능한 입력자료의 분류, 입력자료의 일관성과 추적성 보장, 그리고 입력자료와 문서관리를 위한 품질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Leading waste disposal countries, such as Sweden, Switzerland, and the United Kingdom, conduct safety assessments across all stages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eep Geological Disposal Facilities-from planning and site selection to construction, operation, closure, and post-closure management. As safety assessments are repeatedly performed at each stage, generating vast amounts of diverse data over extended period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database for safety assessment and establish a data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the safety assessment data management systems of leading countries, were analyzed, categorizing them into 1) input and reference data for safety assessments, 2) guidelines for data management, 3)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data management, and 4) computer systems for data management. While each country exhibited differences in specific aspects, commonalities included the classification of safety assessment input data based on disposal system component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to supply, use, and manage this data, a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s guided by instructions and manuals. These cas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systems and document management systems for securing the safety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To achieve this, the classification of input data that can be flexibly and effectively utilized, ensuring the consistency and traceability of input data, and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input data and document management are necessary.

      •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의 자료처리방식과 범위에 대한 인지도 분석

        차진화 대한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저널 Vol.13 No.-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ax accounting program been using in business. Regain and analyzed common feature of opinion about data input way at tax accounting program and other point in end user's sid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urposeful to present input way of program normalized through users' cognition analysis. Research result about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by some.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forefinger between group about composition of input screen of tax accounting program but Preference degree between group is construed by similar tendency, and this can analyze that create new program or apply by standard been common when modify old program. Second, difference of forefinger between group about necessity about function of tax accounting connection program of part about processing way of data input and sphere was construed at tax accounting program. But, suggestion in user side about item which do not need with necessary item in input extent of tax accounting program is similar. Third, each groups' opinion about substance and sphere marked on screen of tax accounting program is expressing difference as statistical. Generally, do not want checkup of much function and achievement in input screen of data. Was construed by wanting simple input contents in only data input. May reference function and sphere and standard of data input that examine contents that is marked and is reunified that want in most user side. 본 연구는 현재 실무에서 채택되어져 있는 다양한 전산세무회계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자의 측면에서 세무회계 관련 프로그램하에서의 입력방식의 선호도, 다양한 시스템의 회계입력방식에 대하여 공통점과 특화점을 찾아서 사용자들의 인식도분석을 통한 공통된 시스템입력의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연구결과는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의 입력화면구성에 대하여 집단간 인지에 차이가 있으나 집단간의 선호도는 비슷한 경향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혹은 기존프로그램을 수정할 경우에도 공통된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에서 자료입력의 처리방식과 범위에 대한 부분은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의 기능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집단간 인지의 차이는 분석되었으나, 필요한 항목과 필요하지 않는 항목에 대한 사용자측면에서의 욕구는 대개 통일된다고 판단된다. 셋째,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의 화면상 표시되는 내용과 범위에 대하여 각 집단들의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자료의 입력화면에 있어서 많은 기능의 조회 및 수행을 원하지는 않으며 단순한 입력내용만을 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사용자측면에서 원하는 기능과 범위 및 표시되는 내용을 통제하여 통일된 자료입력의 기준으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세무회계관련 프로그램의 입력시 최종사용자들의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여 대부분의 최종사용자들의 선호경향이 비슷함과 자료입력의 처리방식과 범위에 대한 기능영역에서도 최종사용자들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비슷한 경향임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學術論文 漢文原典資料 活用의 誤謬

        이의강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5 No.-

        This treatise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of errors in the use of original material of Chinese writing that are found in current treatises. The aim of it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With aspects of the use of the material being considered,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in the scope of four academic journals ; 「敎育史學(History of Education)」,「歷史民俗學(Historical Folklore)」, 「音樂史學(Historico-Musicology)」, 「美術史學(Art History). A analysis of insertion errors that belong to characters shows that lots of wrong and missing characters have been found in treatises. From lack of Chinese character attainments, in the current treatises is serious misinterpretation of contents in epigrams quoted from the original material. Another factor of misinterpretation is lacking in understanding of names-people, places, books- customs, culture, and social systems, etc. It could be possible that these errors are considered writers' simple carelessness. Some of these, however, are too heavy to accept. The worse problem is that scholars have been conduction studies without consciousness of their own errors. Devices that can reduce these errors should be investigated. It is the most fundamental measures that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grow to be strengthened from elementary schools to universities. Besides, everytime being used original material of Chinese writing, all treatise related Korean studies should be revised by specialists in Chinese literature. At this time, it is a systemic device that revisor's name and achievements can be acknowledged. 본 논문은 현행 학술논문에서 발견되는 漢文原典資料 活用의 오류 실태를 분석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한문원전자료 활용의 면모를 고려하여, 敎育史學, 歷史民俗學, 音樂史學, 美術史學 등 네 분야 학회지에 수록된 2000년 이후의 최근 논문에 한정하였다.학술논문에서 한문원전자료를 입력하면서 범하고 있는 글자 차원의 오류를 분석한 결과, 틀린 글자를 입력한 誤字, 글자를 빠뜨린 脫字 등이 난무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학술논문에서 한문원전자료를 인용하면서 표시한 句讀는, 일정한 원칙이 결여되어 있으며 잘못 표시된 것들이 자주 발견되었다.현행 학술논문의 한문원전자료 독해는 한문어학 소양의 부족으로 인하여 원전자료의 내용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었다. 또한 원전자료에 서술된 당시의 인명, 지명, 서명 등의 物名과 풍습, 문화, 사회제도 등등을 이해하지 못하여 내용을 자주 왜곡하고 있었다.학술논문에서 한문원전자료를 활용하면서 범하고 있는 오류들은, 필자의 단순한 부주의라 간주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어떤 것들은 그 정도가 너무 심하여 차마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연구자들이 이처럼 극심한 오류를 범하면서도 스스로의 오류를 자각하지도 못한 채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었다.학술논문에 한문원전자료를 활용할 때 발생하는 갖가지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초, 중, 고등학교로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한문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조치이다. 아울러 모든 한국학 관련 분야의 논문은 한문원전자료를 활용할 때 한문 전공자들에게 교열을 받도록 해야 한다. 이때 교열자의 이름을 밝히고 그의 업적을 인정해주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수문학적 유역특성자료 자동화 추출 및 분석시스템 적용 (2) -PRMS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권형중 ( Hyung Joong Kwon ),황의호 ( Eui Ho Hwang ),이근상 ( Geun Sang Lee ),유병혁 ( Byeong Hyeok Yu ),고덕구 ( Deuk Koo Ko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 (KGIS-Hydrology)을 이용하여 PRMS 모형의 입력매개변수를 추출하고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서 개발된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 및 추출된 매개변수를 이용한 PRMS 모형의 국내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DEM, 토양도, 임상도 등을 구축하여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에 적용하여 PRMS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강수자료 및 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장수기상관측소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하천유출량 자료로서 용담댐 지점(용담댐 유역)과 동향수위관측소(구량천 유역)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장기유출모의 목적에 맞는 PRMS 모형을 구성하고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된 매개변수로서 1966년부터 2001년까지 용담댐 유역에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2002-2006)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0.49~0.83, 구량천 유역(2001-2004)은 0.57~0.75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어 모의결과가 실측치에 대하여 높은 모형효율을 나타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extracted PRMS input parameters by KGIS-Hydrology over Yongdam-Dam watershed. KGIS-Hydrology is a system for automatic extraction and analysis of watershed characteristic data. Input parameters of PRMS were generated from GIS data (DEM, soil, forest type, etc.) using KGIS-Hydrology. Multi-temporal meteorological data from Jangsu station of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used for all simulation periods. Input parameters of PRMS were optimized using observed runoff data of Yongdam-Dam station (1966-2001) and validated using observed runoff data of Yongdam-Dam station (2002-2006, Yongdam-Dam watersh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flows were much closed to the observed flows of Yongdam-Dam (2002-2006) and Donghyang (2001-2004) station by 0.49~0.83 and 0.57~0.75 model efficiencies, respectively.

      • 단체법에서 기저역행렬과 입력자료의 보관방법과 자료구조

        김우제,안재근,서용원,성명기,박순달 한국경영과학회 199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기저역행렬의 계산방법에 따른 효율적인 자료구조를 실험적으로 검토하고, 입력자료방식과 효율화 방법을 제안하여 구현하였다. 기저역행렬의 계산방법에 따른 효율적인 자료구조는 명시형에서는 연결리스트 방식이 유리하였으며, 상하분해형에서는 연결 리스트 방법과 Gustavson 방법이 비슷한 효율을 보였다. 새로운 비영요소의 도입이 많은 경우일수록 연결 리스트가 효율적인 자료구조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MPS자료의 입력방식과 효율화 방안에서는 각 열별로 행 정렬을 실시하고 해싱(Hashing)함수를 도입하여 효율화를 기여하였따.

      • 항공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CFD 모델 입력자료 품질 향상에 대한 기초연구

        박명하,안승만,최윤수,정인훈,전병국,Park, Myeong-Ha,An, Seung-Man,Choi, Yun-Soo,Jeong, In-Hun,Jeon, Byeong-Ku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1

        최근 CFD 기술 발전과 보편화를 통해 소규모 지역에서의 수치기상모의 영향평가와 설계반영 기법이 단지계획과 엔지니어링 설계에 반영되는 추세이지만 수치지도에서의 건물이나 지물 높이정보 부재와 그에 따른 입력방법의 부정확성 등으로 인해 수치기상모의 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산업 현장에서 실험적 연구로만 진행될 뿐 일반 업무로는 확대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대도시를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는 항공 LiDAR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로부터 수치기상모의에 필요한 기본 입력 자료를 자동 추출 및 구축하여 수치기상모의에 활용하고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모의와 비교한 결과, 모의 범위 및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초기입력자료(.in)의 생상효율성이 증가하였으며, 자료의 품질 및 해상도 또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도시 재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입체적인 도시의 물리적 구조 변화를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환경변화예측을 위한 수치모의에 빠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CFD techniques are being involved w it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DesignroThey are being applied to the Site Planning and Engineering Design works as a new trendroHowever, CFD laboratory works are not extended to the field works in Industrial Project due to inaccuracy of the data input process that is cause by absence of regional height informationsroHence, in this study, we promote to build a new initial input data processing steps and algorithms for CFD Model generation. ENVI-met model is very popular, efficient, and freely downloadable CFD model.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re well known state of art technology and dataset proving a reliable accuracy for CFD. We use LiDAR data as a input source for CFD input producing process and algorith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FD initial input data generation process and results derived from am development and set is very useful and efficient for rapid CFD input data producing and maklomore reliable CFD Model forec st for atmospheric and climatic analysis for planning and design engineering industry.

      • KCI등재

        원격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에서 물리적 측면의 고찰

        강위생,허순녕 한국의학물리학회 1999 의학물리 Vol.10 No.2

        원격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과정에서 관찰된 환자에 대한 부정확한 자료나 방사선치료 기록부에 기록이나 이기의 오류로 인한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오류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수치 오류을 시정하기 위해 의학물리학자가 치료개시전과 일주일에 일회 이상 방사선치료 기록부의 병록지와 배치도면, MU 계산용지나 치료계획 요약지, 일일 치료기록지를 점검하고 있다. 관찰된 오류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환자신원 확인, 2)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지만 병록지의 누락이나 미기재, 3) 배치도면의 누락이나 setup 에 필요한 자료의 누락과 착오, 4) MU와 점선량 계산용지에서는 MU의 오류의 중요 원인별로 구분 및 점선량의 오류, 5) 치료계획 요약지의 분실여부와 환자자료의 오류, 6) 일일 치료기록지에서는 치료사실의 기재누락, 치료일정 착오, 처방선량 착오, setup 착오, MU 착오, 누적선량착오, 7)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부정확성을 초래한 오류와 그런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실현되지 않은 오류, 단순히 기록상의 오류 , 8) 서명의 누락에 대해 검사하였으며, 결과는 환자의 수 대신 오류 건수별로 분석하였다. 1996년 6월 17일부터 1999년 7 월 31 일까지 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에서 환자신원의 불일치는 한건도 없었으며 ,399명의 환자에 대해 431건의 오류가 관찰되었다. 물리적인 오류는 405건, 병록지의 누락 또는 미기재가 9 건, 서명누락이 17건이었다. 배치도면이 없는 경우 23 건 (5.7%), 자료의 누락 21건 (5.2%), 자료의 오기 73건(18.0%) 이었으며, MU의 계산용지가 없거나 계산 없이 치료가 시행된 경우는 13건 (3.2%), MU 계산의 착오 68 건 (16.3%), 점선량의 계산착오 8 건(2.0%), 방사선치료계획 결과 용지의 분실이 1건 (0.2%), 환자자료의 입력 오류가 11건(2.7%), 치료기록의 누락이나 치료의 누락이 8건(2.0%), 치료일정의 오류 13건 (3.2%), MU 계산이나 치료계획의 처방선량과 일일 치료기록지 처방선량의 불일치 20건(4.9%), 치료 setup 의 착오 33건(8.1%), MU의 설정 착오 52건(12.8%), 누적선량 착오 61건(15.1%) 이었다.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부정확성을 초래한 오류는 239건(59.0%) 이었으며, 그런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실현되지 않은 오류 142건(35.1%), 단순히 기록상 오류는 24건 (5.9%) 이었다. 관찰된 수치 오류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었다. 나타난 대부분의 오류는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오류에 직접 기여하거나 기여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방사선치료 기록부에서 물리적인 면의 QA를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다. The aims of this report are to classify the incorrect data of patients and the errors of dose and dose distribution observed in QA activities on teleradiotherapy chart, and to analyze their frequency. In our department, radiation physicists check several sheets of patient chart to reduce numeric errors before starting radiation therapy and at least once a week, which include history, port diagram, MU calculation or treatment planning summary and daily treatment sheet. The observed errors are classified as followings. 1) Identity of patient, 2) Omitted or unrecorded history sheet even though not including the item related to dose, 3) Omission of port diagram, or omitted or erroneous data, 4) Erroneous calculation of MU and point dose, and important causes, 5) Loss of summary sheet of treatment planning, and erroneous data of patient in the sheet, 6) Erroneous record of radiation therapy, and errors of daily dose, port setup, MU and accumulated dose in the daily treatment sheet, 7) Errors leading inexact dose or dose distribution, errors not administerd even though its possibility, and simply recorded errors, 8) Omission of sign. Number of errors was counted rather than the number of patients. In radiotherapy chart QA from Jun 17, 1996 to Jul 31, 1999, no error of patient identity had been observed. 431 Errors in 399 patient charts had been observed and there were 405 physical errors, 9 cases of omitted or unrecorded history sheet, and 17 unsigned. There were 23 cases (5.7%) of omitted port diagram, 21 cases (5.2%) of omitted data and 73 cases (18.0 %) of erroneous data in port diagram, 13 cases (3.2 %) treated without MU calculation, 68 cases (16.3 %) of erroneous MU, 8 cases (2.0%) of erroneous point dose, 1 case (0.2 %) of omitted treatment planning summary, 11 cases (2.7%) of erroneous input of patient data, 13 cases (3.2%) of uncorrected record of treatment, 20 cases (4.9%) of discordant daily doses in MU calculation sheet and daily treatment sheet, 33 cases (8.1%) of erroneous setup, 52 cases (12.8%) of MU setting error, 61 cases (15.1%) of erroneous accumulated dose. Cases of error leading inexact dose or dose distribution were 239 (59.0 %), cases of error not administered even though its possibility were 142 (35.1 %), and cases of simply recorded error were 24 (5.9 %). The numeric errors observed in radiotherapy chart ranged over various items. Because errors observed can actually contribute to erroneous dose or dose distribution, or have the possibility to lead such errors, thorough QA activity in physical aspects of radiotherapy charts is required.

      • KCI등재

        필자의 인지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연구 방법

        이경화 ( Kyung Hwa Lee ),강동훈 ( Dong Hoon K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는 필자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작문(교육) 연구 방법으로 자판 입력 및 시선 추적 자료 그리고 회상적 사고구술의 통합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필자는 과연 어떤 생각을 하는가?’라는 물음은 작문(교육) 연구자들의 오랜 관심사였다. 그런데 필자의인지 과정을 직접적으로 들여다볼 수 없는 특성상 비록 덜 직접적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를 밝히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 자판 입력 자료와 시선 추적 자료는 필자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된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비유에서 알수 있듯이 필자의 시선은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은 손글씨 쓰기의 연필 사용 기록에 해당하므로, 이입력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곧 쓰기 과정의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최근에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필자의 인지 과정을 객관적으로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에 비하여, 국내의 작문(교육) 연구에서 이를 실제로 활용한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자의인지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방법 (예:Scriplog & TimeLine, Inputlog & Eyelink, Eye tracer)을 소개하고, 실제 이를 활용한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measures for integrated utilization of data related to keystroke logging, eye-tracking, and retrospective thinkaloud in connection with methodology of writing(education) research that aims to analyze writer’s cognitive process. One of long-standing questions of ‘writing(education) researchers’ has been what writers are thinking about when they write. In relation to that, attempts have been made to look into the thoughts of writers through various methods, albeit somewhat indirect due to the fact that writer’s cognitive process cannot be fathomed directly. Among others, both keystroke logging data and eye-tracking data can be useful for analysis of writer’s cognitive process. As the proverb says that eyes are window to mind, writer’s eyes contain various information. As keystroke logging corresponds to handwriting records, analysis of keystroke can provide data for writer’s writing processes. There has been recently a heightened interest among researchers in examining writer’s cognitive process objectively by taking scientific approach. However, despite increased recognition of those needs, such approach has rarely been taken to domestic writing(education) research. In response to that,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for integrated utilization of aforesaid data related to keystroke logging, eye-tracking, and retrospective think-aloud to analyze writer’s cognitive process and presented practical cases that had been analyzed(ex:Scriplog & TimeLine, Inputlog & Eyelink, Eye tracer)

      • KCI등재

        항공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CFD 모델 입력자료 품질 향상에 대한 기초연구

        박명하,안승만,최윤수,정인훈,전병국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1

        The recent development of CFD techniques are being involved wit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DesignroThey are being applied to the Site Planning and Engineering Design works as a new trendroHowever, CFD laboratory works are not extended to the field works in Industrial Project due to inaccuracy of the data input process that is cause by absence of regional height informationsroHence, in this study, we promote to build a new initial input data processing steps and algorithms for CFD Model generation. ENVI-met model is very popular, efficient, and freely downloadable CFD model.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re well known state of art technology and dataset proving a reliable accuracy for CFD. We use LiDAR data as a input source for CFD input producing process and algorith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FD initial input data generation process and results derived from am development and set is very useful and efficient for rapid CFD input data producing and maklomore reliable CFD Model forec st for atmospheric and climatic analysis for planning and design engineering industry. 최근 CFD 기술 발전과 보편화를 통해 소규모 지역에서의 수치기상모의 영향평가와 설계반영 기법이 단지계획과 엔지니어링 설계에 반영되는 추세이지만 수치지도에서의 건물이나 지물 높이정보 부재와 그에 따른 입력방법의 부정확성 등으로 인해 수치기상모의 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산업 현장에서 실험적 연구로만 진행될 뿐 일반 업무로는 확대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대도시를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는 항공 LiDAR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로부터 수치기상모의에 필요한 기본 입력 자료를 자동 추출 및 구축하여 수치기상모의에 활용하고자 기존의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모의와 비교한 결과, 모의 범위 및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초기입력자료(.in)의 생상효율성이 증가하였으며, 자료의 품질 및 해상도 또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도시 재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입체적인 도시의 물리적 구조 변화를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환경변화예측을 위한 수치모의에 빠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