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 5요인 모형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연구

        노상충,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2

        최근에 심리학 및 경영학 분야에서 일터영성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마다 서로 조금씩 다르게 일터영성을 정의하면서 아직까지 합의된 정의나 포괄적인 개념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일터영성을 포괄적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척도를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일터영성 5요인 모형을 제안하고 일터영성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일터영성의 5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교차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 3에서는 일터영성과 관련 개념들 간에 변별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일터영성이란 일과 조직이라는 환경 속에서 개인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더 나은 존재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인간 본연의 심리적 의식상태를 말한다. 일터영성은 다음의 5가지 하위 차원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①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a sense of inner life), ② 일에 대한 소명의식(a sense of calling), ③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a sense of empathy), ④ 조직에 대한 공동체의식(a sense of community), ⑤ 세상에 대해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a sense of transcendence). 연구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일터영성 5요인 모형이 지지되었으며, 교차타당화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변별타당화 연구를 통해 일터영성의 개념이 주관적 안녕감, 직장생활의 질, 일가치감 등의 관련 개념들과 잘 변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일터영성의 5요인 모형 및 일터영성척도가 향후 일터영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의의 및 실제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한광현(Han, Kwang-Hy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일터영성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및 일터영성 차원들과 소진행동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나아가 영적성숙도를 일터영성 변수들과 소진행동 간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국내 상장된 23개 제조업 388명의 사무관리직 근로자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일터영성은 네 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일터영성의 개념은 오직 일터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의식만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변수들의 개념은 첫째, 일에 대한 소명의식 둘째, 동료와의 연대의식 셋째, 조직 공동체의식 넷째, 일터에서의 초월 의식 등이다. 일터영성을 구성하는 이와 같은 4개 변수들은 소진을 구성하는 변수들인 감정적 탈진, 비개인화, 저성취감 등과 모두 부적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일터영성은 근로자들의 소진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대처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영적성숙 도가 일터영성과 소진변수들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모든 관계에서 조절효 과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하지만 영적성숙도는 조직 공동체의식과 모든 소진변수들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여주는 것처럼, 대다수의 관계에 있어서 일터영성에 따른 소진경감에 조절적 영향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영적성숙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일터영성에 따른 소진의 감소폭이 커진다는 점을 말하는 것이다. 영적성숙도가 일터영성과 소진 간 다수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 있는 연구결과이다. 기업은 소진을 해결할 수 있는 근원적이면서 체계적인 관리방안 구축이 필요하며, 향후 지금까지 고려하지 않았던 일터영성이 소진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주요 해결책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present research are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ement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and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matu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research was showd that the scale of workplace spirituality consist of 4 facto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8 office workers in 23 compan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4 factor structure, and 18 items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final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Seco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was related to burnout outcomes. The result was show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had reduced the worker’s burnout. Third, spiritual maturity revealed that it had moderating effects in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but it failed to predict moderating effect in part of the relationships. However, spiritual maturity wa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organization community and burnout. A sense of organization community is one of four factors in workplace spiritua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s greatly to the understanding of workplace spirituality within office workers in companies. Additionally, the paper contributes to extend of research area in spirituality, in which empirical studies on spirituality have been scarce until now.

      •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

        정윤주 ( Jung Yoon Ju ),채경아 ( Chea Kyoung Ah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 교육기관 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심리적인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이론적·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문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502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에 대한 분석결과, 일터영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결과,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터영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에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내재 적동기와 사회적지지를 통하여 규명해 보았다는 것이다. 또한 제언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표집 집단이 넓지 못하고 연구의 설문이 객관적이고 정확한지에 대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empirical,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and to recognize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ocial support of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wo issue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First, check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heck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um of social support. Subject to the study are 502 teachers working at child education institutes bas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hypothesis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s shown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hypothesis test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social support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ocial support. A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social support for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workplace nature of the infant teacher was identified through social support as a variable affecting the psychological euphoria. Also, as a suggestion, the collection group is not broad in the research metho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objective and correctness of the investigation. Thus,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measures suitable for the job of an infant teacher for further analysis.

      • KCI등재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을 매개효과로 -

        조영복,하태영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2

        마을기업은 지역사회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업방식이면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안적 노력의 한 형태이다. 이처럼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면서도 영리기업의 특성을 함께 가진 마을기업은 자신의 삶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마을기업의 일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으며, 동료들과 함께 있다는 심리적 정서 즉 공동체 의식이 마을기업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일터에서의 영성은 일반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지역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지역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비즈니스 형태로 해결하려는 마을기업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오늘날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역동성의 중심에서 개인과 조직의 문제해결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일터영성이다. 일터영성은 만족, 몰입, 헌신, 조직시민행동에 이로울 뿐 아니라,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대부분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존 일터영성 연구에서 연구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여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 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마을기업의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분석결과, 마을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동일하게 일터영성은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만족은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은 일반기업과 차이가 있었는데, 마을기업에서 일터영성의 계수와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터영성이 영리를 우선으로 추구하는 일반 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마을기업에 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마을기업을 통한 일의 소명의식,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 조직에 대한 공동체 의식,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인 일터영성은 마을기업 내 촉진되고 정착될 필요성이 있다. Community enterprise is a type of business that simultaneously pursues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to vitalize the local society and economy and also an alternative endeavor to restore community by local residents using local resources. In rapid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 and social dynamics of these days,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ovide solutions for problems in persons and organizations is workplace spirituality. Workplace spirituality is not only beneficial to satisfaction, commitment, devo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also positively influential to outcome of an organization. Expanding the scope and subjects found in most previous studies on workplace spirituality of general companies,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ommunity enterpris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community enterprise. In result, workplace spirituality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qually in both of community enterprises and general companies. Job satisfaction presente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workplace spirituality of community enterprises showed difference from general companies showed greater coefficient and influence. Although workplace spirituality is important for general companies that pursue profit, it is shown that greater significance was found in community enterprises. Workplace spirituality, which is equivalent to A sense of calling, sense of inner life, sense of empathy, sense of community, and sense of transcendence through community enterprise, needs to be promoted and settled in community enterprises.

      • KCI등재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을 통해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아(Jeong-ah Lee),서용원(Young-Won Suh)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직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이직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내적 가치인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터영성을 촉진하는 방법 중, 리더측면에서 영성 리더십의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 측면에 서 조직이 제공하는 영성지원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며, 개인측면에서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5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Spiritual Leader Scale’이라는 영성 리더십 척도 개발을 통해 좀 더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영성 리더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이직의도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을 일터영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직장인 331명의 응답을 분 석한 결과, 영성 리더십, 지각된 조직지원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영성 리더십이 일터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터영성은 영성 리더십과 직무열의,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직에서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복리후생 제공을 통해 부하들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영성 리더십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영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조직은 복리 후생을 통해서만 직원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영성 리더 십을 통해 직원들의 내적 가치 체계인 일터영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그들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 This research analyzed 'Workplace Spirituality' focusing on job’s meaning, relationship of people at the workplace. For workplace spirituality facilitation, this research analyzed leader, organization and individual facets. On leader’s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because it is not studied in this area. On organizati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roviding organization to facilitate individual spirituality. On personal effect, this research verifi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research consisted of 2 parts. Part 1 redefined comprehensive concept of spiritual leadership and developed a new scale that can contribute to succeeding research in this area. Part 2 verified four hypotheses as below: First, this research verified antecedent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re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organizations provide, the more spiritual leadership strengthen workplace spiritualty. And if employees perceive highly organizational support, then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n workplace spiritualty gets higher, too. Third, the research verified how workplace spirituality is mediating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sion, engagement. Fourth, the research shows that spiritual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ngagement, turnover intension. So, this study revealed organization facilitate employees' workplace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employees' engagement and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sion.

      • KCI등재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초월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주영(Ju Young Choi),서용원(Yongwon Suh) 한국인사관리학회 202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터영성이 가치(자기초월 가치, 자기고양 가치)에 미치는 영향 및 가치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관계를 가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사동일시가 일터영성과 가치 관계의 조절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사이에서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24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일터영성은 자기고양 가치보다는 자기초월 가치에 영향을 주며,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은 자기초월 가치보다는 자기고양 가치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터영성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사이에서 자기초월 가치의 부적인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상사동일시의 조절효과는 일터영성과 자기초월 가치간의 정적 관계에서 나타나며, 일터영성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초월 가치를 통한 상사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대한 사전 예방 요인으로 일터영성 및 자기초월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and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values(selftranscendence value, self-enhancement value) through supervisor iden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224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workplace spirituality,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values, and supervisor ident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was mediated by self-transcendence value. Second, supervisor identifi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transcendence valu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transcendence value was moderated by supervisor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LMX의 조절효과

        류태모,서정기,정현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1

        최근 들어 구성원들의 정신과 관계된 개념인 일터영성에 관한 연구가 기업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학문연 구에서도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경제적 가치와 비영리적인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는 기업인 사회적기업은 특히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밀접한 관계를 가 지고 있는 일터영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LMX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고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또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552명의 종업원을 표본으로 하여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러한 관계에 대한 LMX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사회적기업에서 일터영성 구성요인인 내면세계와 공동체의식이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 인 스포츠맨십과 양심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일터영성 구성요인 중 공동체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LMX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기업에 있어서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인 스포츠맨십과 양심적행동을 향상 시키는데 일터영성의 구성요인인 내면세계와 공동체의식에 대한 중요성을 제고시키며, 특히 일터영성의 구성요인인 공동체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LMX에 의해 조절되어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학원강사의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성용,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학원강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대한 인식 및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 아보고, 어떠한 요인들이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궁극적으로 학 원강사의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학원경영에서 인사관리 방안을 새롭게 모색함으로써 경 영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보습학원, 어학원, 종합학원에 종사 하고 있는 학원강사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학원강사의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고, 이직의도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월소득, 결혼여부, 근무경력, 교육정도, 직급, 지도하는 학생층에 따라 대체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학원강사의 개인배경을 고려한 인사관 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셋째, 학원강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터영성의 모든 하위요인과 개인배경의 연령, 결혼여부, 근무경력, 직급, 지도하는 학생층으로 나타났다. 학원강사의 일터영성 및 조직시민행동의 수 준이 높아질수록 학원교육의 질이 좋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학원강사의 일터영성 및 조직시민행동을 증대시키기 위한 학원강사와 학원경영자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workplace spiritua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or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to identify which factors influ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Ultimately,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by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y seeking new ways to manage personnel in the academy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26 instructors working at tutoring institutes, language institutes, and general institute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as moderate, and turnover intention was generally low. Second,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perceptions of workplace spiritual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were gener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education level, position, and the class of students who they teach. This suggests that personnel management considering the individual background of the instructors is necessary.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ere all sub-factors of workplace spirituality along with age,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position, and the class of students who they teach of the individual background. Since the quality of education of private tutoring center can be improved as the level of instructo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s, the efforts of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and managers are required to increase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KCI등재

        중소 제조기업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심명섭,정진철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4

        This study is start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piritual leadership & workplace spirituality. Specifically, it is to explor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 job engagement in the psychological process. The influence of spiritual leadership on proactive behavior is achieved through the serial connection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is empirical research prov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a single role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engagement. It suggests that spiritual leadership plays an essential role in employee behavior, but its direction is to be able to form job engagement through workplace spirituality rather than a single dimension such as workplace spirituality or job engagement. The research implies that the function of meaningfulness on job design and leadership competency development. 본 연구는 최근 일터에서 영성의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음에 따라 영성 리더십과 일터 영성의 의미 및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는데서 시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성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과정에 일터 영성과 직무열의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중소기업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상사의 지각된 영성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영성 리더십은 일터영성을 형성하는 선행요인이 되며, 또한 선제적 행동을 유발시키는 원격 영향(distal influential)요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성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터 영성과 직무열의의 순차적 연결고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들 매개변수의 단일 효과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증명하고 있다. 이 결과가 의미하는 점은 영성 리더십이 종업원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방향이 단순히 일터영성이나 혹은 직무열의와 같은 단일 차원이 아닌 일터영성을 통한 직무열의가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검토하지 못한 일터영성과 직무열의의 이중매개에 의한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유의성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리더십 이론 연구에 종업원들에게 업무에 대한 의미감(meaningfulness)을 줄 수 있는 리더십 연구가 보다 확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실무 차원에서 영성 리더십을 관리자들에게 교육시켜 그 역량을 높일 수 있는지는 중요 관건이 되며, 단순히 성과 제고 유형의 리더십 교육개발에서 영성 가치를 중시하는 리더십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