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가이벤트와 도시발전

        윤현위(Yoon, Hyun-W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메가이벤트는 기본적으로 국제적인 규모의 스포츠행사나 박람회, 전시회 등을 의미하며, 규모와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지방자체단체에서 지역발전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에서 개최된 메가이벤트인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과 2014 인천아시안게임을 사례로 메가이벤트의 개최가 갖는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2009 인천도시축전의 경우, 인천의 역사와 구도심 지역과는 다소 무관하게 인천경제자유구역만을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되었다. 인천아시안게임의 경우는 신설경기장을 과도하게 건설하여 인천의 재정상황을 악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후 시설이용에 대한 과도한 숙제를 남겨놓았다. 결국 인천은 메가이벤트를 활용하여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발전의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했으나 오히려 지역발전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각 도시와 지역에서는 메가이벤트를 계속적으로 지역발전의 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지역과의 관련성을 높이고 재정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메가이벤트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Mega event means a basically the Largest sports events of fairs, exhibitions but as the size and ripple effect are vary larg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used frequent case. This study was case of 2009 Incheon international city of congratulation and 2014 Incheon Asian game, discussed problems of Mega events host. 2009 Incheon international city of congratulation was focused on IFEZ(Incheon free economic zone), history and inner-city of Incheon was unthought. Because of excessive new stadium in Asian Game, financial situation was become wors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new stadiums were left project behind practical use. Incheon attempted to ues Mega-event for improving awareness and means of regional development, Mega-events were caused barrier factor of regional development. It is high probability of hosting Mega-events in Korean cities later. so it has to consider relation of own’s region and reducing financial burden.

      • KCI등재

        유신정권의 지방지 강제통폐합과 인천 지역신문

        이희환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8 No.-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view history of ‘local compulsion merge’ by Yushin Government in 1973. Progress of local press merge by Yushin Government in 1973 has remained unilluminated properly even in Korea modern history of the press. So far, three company of Kyenggi press was known to people that made a autonomous procedure. That is called ‘Kyenggi province three newspaper reunion held tn Incheon Olympos hotel at 7. 31 in 1973. But integrated events was result that Pak Jeong-hee Government let journalist agree with declaring a state of emergency violently. Kyeonggi Daily Paper is the follow-up of Daejungilbo published at 9. 1 in 1973. Incheon local press including the upper is discontinued forcibly and it is reunited in a new paper Kyenggi Paper. Those historical background has been located in such a local influence. From after modern times there was a political motion to drag down Incheon and place upper Suwon because of attracting events of Kyeonggi-Do Provincial. Competition of Incheon and Suwon was made in a irrational way by group of 5.16 military government. After making a decision to move Kyeonggi-Do Provincial th 녀Suwon, press compulsion merge by Yushin government at 9. 1 in 1973 was a plan to do away with local identity of Incheon. Caused by these two action, the biggest Incheon city in Kyeonggi province didn’t have a local autonomy any more and fell down. After all kinds of local newspaper disappeared, Incheon area passed their time without local newspaper for 15 years. 이 논문은 1973년 유신정권에 의해 강제로 진행된 지방지 강제통폐합의 역사를 재조명해보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1973년 유신정권에 의한 지역언론 통폐합 과정은 한국현대언론사 연구에서도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이제까지 경기언론 3사 통합은 1973년 7월 31일 인천 올림포스 호텔에서 열린 ‘경기도 3개신문사 통합대회’의 결의로 통해 자율적으로 통폐합 절차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통합대회는 이미 박정희 정권에 의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데 맞추어 언론인들이 정부 시책에 적극 호응한다는 명분으로 폭력적으로 강제되었던 결과였다. 1973년 9월 1일 대중일보의 후신인 ≪경기매일신문≫ 등 인천지역 언론이 강제로 폐간되고 수원에서 새로 창간된 ≪경기신문≫으로 통폐합된 역사적 배경에는 경기도의 오랜 지역적 역학관계가 작용하고 있었다. 근대 이후부터 경인지역의 중심이었던 인천을 밀어내고 남북 분단 이후 수원을 경기도의 중심지로 부상시키려는 정치적 움직임이 경기도청 유치를 둘러싸고 작동했던 것이다. ‘인천 대 수원’의 지역주의 대결 논리는 그러나 합리적 방법으로 귀결되지 않고 5·16군사정권과 밀착한 집단에 의해 정치적으로 강제적으로 결정됐다. 경기도청 수원 이전 결정 이후 유신정권에 의한 1973년 9월 1일의 언론통폐합은 인천의 지역적 독자성을 또 한 번 인위적으로 없애는 결정적 계기였다. 이 두 조치로 인해 경기도에서 가장 큰 시세를 자랑하던 인천시는 이후 지역적 자치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경기도 인천시’라는 틀에 갇히는 역사적 계기였다. 1973년 경기지역 지방지 통폐합 과정을 통해 지역신문이 일거에 사라진 후 인천지역은 15년간을 지역신문 없이 보냈다.

      • KCI등재후보

        인천의 읍격 변화와 그 원인 연구

        서영대(Suh, Young-da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3 No.-

        이 글은 고대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 인천(원 인천)의 읍호와 읍격의 변천 과정을 정리해 본 것이다. 원래 인천은 비류국 또는 미추국이었으나, 기원 전후 무렵에 백제의 영역이 되었고, 백제에서는 이를 彌鄒城이라 했다. 그러나 고구려 광개토 왕에 의해 4세기 말 고구려의 영토에 편입되었고, 고구려에서도 이를 미 추성이라 했는데, 지방조직에서의 위상은 縣級 정도의 성이었다. 그러다 가 6세기 중엽 신라가 한강 하류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신라에 통합되었 고, 新州 관할 하의 한 성이 되었다. 이때 역시 인천의 위상은 縣級 정도 였고, 지방관으로는 현급의 장관인 道使가 중앙으로부터 파견되었을 것으 로 짐작된다. 한편 통일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지방제도가 더욱 체계화되면서 인천은 栗木郡의 領縣이 된다. 그리고 757년(경덕왕 16) 경덕왕이 한화정책의 일 환으로 지명 개정을 추진할 때는 邵城縣이 되었다. 그러나 경덕왕의 개 혁이 실패로 끝나면서, 소성현은 다시 매소홀현이나 미추홀현으로 환원되 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려시대 인천은 1018년(현종 9) 樹州의 임내가 되어, 고려의 지방제도 속에 처음으로 일정한 위치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임내이기 때문에 중앙으로부터 지방관은 파견되지 않았고, 통솔은 향리층에 의해 이루어졌 다. 그러나 숙종 때는 경원군으로 승격되는데, 그것은 숙종의 思母의 정 과 인주 이씨 세력의 무마가 목적이었다. 이때부터 인천에는 지방관이 파견되는 등, 인천의 위상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나아가 인종 초년에는 다시 仁州로 승격되는데, 그것은 인종의 어머니에 대한 애정과 함께 李資 謙의 입김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경원군에서 인주로의 변화 는 인천의 영역의 확장과 주변 군현과의 영속관계 확대 등, 인천의 위상 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1390년 경원부로 승격되었는데, 그것은 공양왕이 신종을 매개로 왕권의 정통성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조선시대에도 인천의 읍격 변화가 일어난다. 시작은 태조가 경원부를 인주로 다시 환원하는 조치였는데, 그것은 고려의 정통성을 부인하기 위 한 것이었다. 그리고 1413년에는 인천군으로 개명하는데, 이때 처음으로 인천이란 지명이 등장한다. 이어서 1459년에는 인천은 도호부로 승격하 는데, 그것은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외향이기 때문이었다. 이로서 인천 의 읍격과 위상은 일단 안정되었으나, 광해군 때·숙종 때·순조 때 도합 3차례 현으로 강등된 적이 있었다. 이처럼 인천의 읍호와 읍격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지만, 인천 자체는 해체되거나 분해되지 않고, 하나의 고을로 수천 년을 유지해 왔 다. 이 점이 바로 인천의 저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aimed at the village promotion and demotion of proper Incheon in historical times and it's causes. Incheon had been Michu state. About 1st century B.C., Michu state merged in Bakjae dynasty and Baekjae called it as Michu Castle(彌鄒城). In late 4th century, King-Gwanggaeto(廣開土王) of Goguryeo dynasty, attacked Incheon and made it as his territory. In this time, Incheon was also called Michu or Maeso(買召) Castle and the grade of Michu Castle in local system of Goguryo was Hyun(縣), a kind of small local unit. In 6th century, Incheon was conquered by Silla dynasty and it's grade in local system of Silla was Hyun. The governors of Hyun in Silla were titled Dosa(道使), so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Maeso castle's governor was called Dosa. After Silla unified Goguryeo and Baekje In 7th century, Silla fully equipped his local system and Incheon belonged to Yulmok county(栗 木郡) in this course. In the 757, King Kyungduk(742~765) changed Maeso's name to Sosung-Hyun in the course of political reformation. But King Kyungduk's reformation denied by aristocrats of Silla, so name called Sosung returned to Maeso. Next of Silla was the Goryeo dynasty. In the 1018, Incheon belonged to Su-Ju(樹州), but the local governor of Incheon did not despatched by government of Goryeo dynasty and it was governed by local influential persons called by Hangli(鄕吏). But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1095~1105), Incheon promoted to higher level in local systems of Goryeo as Gyungwon-Gun or Gyungwon county(慶源郡). This was to appease In-Ju Lee families who were originated from Incheon and most influential family at that time. King Injong(1122~1146) also upgraded the Incheon as In-Ju(仁州). The Ju was higher grade of Kun in Goryeo. And the reason of promotion in this case also influenced by Lee Jagyum (李資謙) one of In-ju Lee's families, who was not only grandfather on king Injong's mother's side but also king Injong's father in law. In the 1390, King Gongyang promote the Incheon to Gyungwon-Pu for legitimation of his authority as king. After the Goryo dynasty, the Chosun dynasty was build in the 1392 and there are many times of village promotion and demotion in Chosun dynasty. The first was demotion of Gyungwon-Pu to In-Ju and the reason of this demotion was to deny legitimation of Goryo dynasty. In the 1413, Incheon was demoted to Incheon-Kun(仁川郡). But in this case, the reason of demotion was not political but practical, i.e. Incheon did not have sufficient conditions such as enough populations and area, which Ju must have. In spite of demotion, this has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name of province Incheon was appeared first time in history. In the 1459, Incheon upgraded to Dohopu(都護府), because Incheon was hometown of Queen Junghee's mother. From this to the 1895, the grade of Incheon i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was Dohopu. But there were exceptions in three times. The first was period of the King Gwanghae(1608~1623), the second is period of the King Sukjong(1674~1720). In all this case, Incheon demoted from Incheon-Dohopu to Incheon-Hyun and the reason of demotion was a kind of punishment for revolt of villagers. But term of demotion did not over the ten years.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테러방지 대책 연구

        선계훈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2

        한국은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을 개항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시설과여객 수송과 물류 수송에 있어서 세계 일류공항으로 손색이 없다. 세계는 경제교류가 급증하고 그 중심에 공항이 있다. 테러의 목표는 많지만, 공항은 항상 테러의 주요 대상이다. 현대사회의 테러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잔혹한 범죄로 세계는 테러에몸살을 앓고 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연구목적은 인천국제공항의 안전이다. 인천국제공항은 개항하면서 김포국제공항과는 다른 보안검색과 시설경비체제로 대테러활동을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국가기관이 테러예방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익자부담원칙에 따라 민간업자가 대테러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공항은 테러를 막을 수 있을까? 인천국제공항이 활용하는 수익자부담원칙은 안정된 선진국 체제다. 한국은 북한 등이 있어 안전한 나라가 아니어서 안전을 위해 동맹국과 협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도 테러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인천국제공항은 밀입국자가 빈번히 들어오고 있다. 그들이 테러범이라면, 인천국제공항은 이미 테러가 발생했을 것이다. 테러의 위험성을 생각해보면, 한국은 수익자부담원칙은 부담이 된다. 연구방법은 세계 테러범죄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례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직접 공항을 상대로 테러행위를 자행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공항의 허술한 보안검색과 시설경비를 통과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후 테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항 관련 테러는 궁극적으로 공항 보안검색과 시설경비에 달려 있다. 공항의 테러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봄으로서 안전한공항체제를 도출해 볼 것이다. 결론은 인천국제공항은 시설경비와 보안검색 체제를 공권력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1986년 김포국제공항의 테러의 발생은 모든 체제를 경찰이 담당하도록하였다. 이후에는 한 건의 밀입국 사건이나 테러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우리는 공항에서 테러를 예방할 수 있는 핵심은 현장 근무자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현대 테러의 양상으로 볼 때, 인천공항의 시설경비와 보안검색은 국가관 있고 공권력이 있는 국가기관이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South Kore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opened March 29, 2001.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not comparable to world-class airport facilities and passenger transport in the logistics and transport. The world is a rapidly economic exchange and airport at the center. Although the goal of the terrorist is large, the airport is always a prime target of terrorism. Terrorism in contemporary society is confused by the brutal crimes against unspecifie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his paper has studied around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purpose of study is safet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has opened a counter-terrorism activities with other security systems and facilities expens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not prevent terrorist activities by the country, and that the private contractor prevent counter-terrorism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Ca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prevent terrorism?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to take advantage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the system stable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a safe country because of North Korea. Allies have maintained cooperation for safety. This is not the fact that Korea is safe from terroris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coming in frequently smuggled parties. If they are terrorist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ll have already occurred terrorism. Think of the dangers of terrorism, South Korea is not right on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Methods were studied around the change of paradigm and cases of the criminal world terrorism. There are two cases. The first is to commit terrorist acts directly against the airport, another one will pass through the lax security and the security guards at the airpor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errorism after boarding the aircraft. Therefore the airport-related terrorism is ultimately depend on airport security and facility security. The Case Analysis of Terrorism at the airport saw derive a secure system. The conclusion i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hould switch the system to search facility security guards and public power system. Gimpo International Airport attacks occurred in 1986 was responsible for all this to the police system. After that incident did not occur, such as smuggling or terrorism. Still not too late. The key to prevent terrorism from the airport should not forget the fact that the field workers. In terms of aspects of modern terrorism, Incheon airport facilities and security guards will think it should be handled by national authorities.

      • KCI등재

        「인천안목(人天眼目)」의 편찬․수용과 판본 비교

        송정숙,정영식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50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ublishing, acceptance, printing and com- parison of woodblock-print versions of Ren-Chaun-An-Mu(人天眼目).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Ren-Chaun-An-Mu was written by Hui-Yan-Zhi- Zhao(晦巖智昭) in Sung(宋) Dynasty, China. In 1258 Wu-Chu-Dai-Guan(物初大觀) revised, and in 1317 Zhi-You(治祐) changed the order of the five schools of Chinese Zen(禪宗五家) in sequence of the realm of Buddhism(法系) as Lin-Ji School(臨濟宗), Wei-Yang School(潙仰宗), Cao-Dong School(曹洞宗), Yun-Men School(雲門宗) and Fa-Yan School(法眼宗). According to a Dictionary of Zen Buddhism(禪學大辭典), in 1368 Ren-Chaun-An-Mu was published in 6 volumes in Korea. In this volume, the realm of Buddhism(法系) was rearranged to the Lin-Ji School, Yun-Men School, Cao-Dong School, Wei-Yang School, and Fa-Yan School, and the Zong-Men-Za-Lu(宗門雜錄) and Long-Tan-Kao(龍潭考) were added. However presently in Korea, only the book in 3 volumes is included within the realm of Buddhism(法系) at Lin-Ji School, Yun-Men School, Cao-Dong School, Wei-Yang School, Fa-Yan School, and Zong-Men-Za-Lu. This means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respects Yun-Men School. The oldest volume of Ren-Chaun-An-Mu printed in Korea was the one printed at Hoiam temple(檜巖寺) in 1395. This volume was re-engraved from Ren-Chaun-An-Mu printed at Shou-Ging-Chan temple(壽慶禪寺) in Peking, China in 1357, and arranged by Kang Kum-kang(姜金剛), an eunuch who was originally from Goryeo. In Korea, 5 woodblock-print versions of Ren-Chaun-An-Mu with the printer's imprints have been discover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se ver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y were originated from Ren-Chaun-An-Mu which was printed at Shou-Ging-Chan temple. 송대 「인천안목」의 편찬과 한국에의 수용, 북경에서의 간행과 조선에서 판각된 유간기본의 판본 등에 대해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송나라의 회암지소가 선의 종지를 편찬한 「인천안목」이 간행된 후 여러 간본이 유통되어 혼란을 초래하자, 같은 임제종 대혜파인 물초대관이 1258년에 이를 다시 수정[重修]하였다. 이를 원나라의 치우(治祐)가 1317년에 임제종, 위앙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의 순서로 배열하여 다시 간행[重刊]하였다. 그 근거는 육조(六祖) 혜능(慧能) 이후의 사승관계에 의한 것이었다. 일본의 「선학대사전」에 의하면, 원래 「인천안목」은 3권본이었는데 홍무 원년(1368)에 간행된 조선본에서 6권으로 되면서 <종문잡록>과 <용담고>가 추가되었으며, 이 간본이 후대간본의 기본이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현존하는 명(明)속장본, 만(卍)속장본, 대정신수대장경본 등에 수록된 「인천안목」은 모두 6권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이 1368년 간행본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한국에 전래하는 간본은 모두 3권본인데도 <종문잡록>은 들어있고, <용담고>는 없다. 홍무 원년(1368)본은 오가(五家)의 배열을 임제종, 운문종, 조동종, 위앙종, 법안종으로 하고 있는데, 이것은 치우본의 순서를 다시 바꾼 것이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모든 간본은 홍무원년본의 순서를 따르고 있는데, 이는 조선의 선승들은 운문종을 마조도일 계통에서 나왔다고 간주하여 중시하였고, 반면에 위앙종에 대해서는 폄하하는 태도를 취했다고도 해석된다. 현존하는 「인천안목」 가운데 최고(最古)본은 1357년 북경의 수경선사에서 강금강이 간행한 것을 회암사에서 번각한 목판본이다. 강금강은 고려 출신 환관으로 자정원의 우두머리인 자정원사였다. 「인천안목」을 중간한 수경선사는 고려 충선왕이 원 황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경수사에 시주를 많이 하고, 대장경도 봉안했음을 볼 때, 고려수경사(高麗壽慶寺)는 경수사(慶壽寺)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진다. 국내에서 인출한 「인천안목」 가운데 유간기본 5종 모두 ‘至正17年丁酉(1357)三月松月閑人玉田誌’라는 간기를 싣고 있고, 어미의 차이만 있을 뿐 글자의 모양과 10行20字로 판식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1357년 간행된 수경선사간본의 번각본 내지 수경선사간본을 저본으로 한 회암사간본의 번각본 또는 중수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이세영(Lee, Se-yo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이 글은 해방~한국전쟁기 남한으로 내려온 월남민들의 정착과정을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천은 해방 직후부터 다수의 월남민들이 거쳐가거나 머무른 도시였다. 한국전쟁 이전에는 평안도민들의 월남이 많았고, 전쟁 와중에는 황해도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해방 정국기, 평안도민을 위주로 한 월남민들은 인천의 좌우 대립을 적극적으로 주도하였다. 우익 청년단 활동을 통해 월남민들은 대한민국에 대한 자신들의 ‘충성’을 증명하였으며 인천에 정착할 근거를 확보해 나갔다. 평안도민들은 종교와 교육의 두 분야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켜 나갔다. 한말 이래 평안도민에게 기독교는 곧 근대문명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평안도민 정체성의 근원이었다. 이들은 인천에 발을 디딤과 동시에 장로교회를 설립하고, 교회 인맥에 기반하여 교육 사업을 벌려 나갔다. 한국전쟁의 발발과 전황의 급변 속에서 다수의 월남민이 발생하였다. 인천에는 생활기반을 잃은 다수의 황해도민들이 유입되었다. 황해도민들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였다. 다행히 인천은 경제적 활력을 지닌 도시였다. 황해도민들은 인천의 상권을 장악하였고, 전쟁 이후 들어선 미군기지를 통해 생계를 해결하기도 하였다. 황해도민 다수는 전쟁 기간 유격대로 참전하였다. 3년여의 비정규전 경험은 강고한 반공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해산과 동시에 이들은 대개 인천에 들어왔고, 이들의 유격대 경험은 황해도민들의 집단기억으로 승화되었다. 인천의 황해도민들은 이른 시기에 동향 조직을 만들고 현재까지도 강한 결속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바, 그들의 마음 속에는 피난과 전투, 정착의 고난이 여전히 쳇바퀴처럼 돌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refugees who came to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period, mainly in the Incheon area. Many refugees passed by or stayed in Incheon after the liberation. A lot of Pyungan-do inhabitants came in before the Korean War, while the people of Hwanghae-do flowed in during the war. Prior to the war, the Pyungan-do people—i.e., the right-wing youth organizations—proved their loyalty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secured grounds for settlement in Incheon. They maintained their identity in the two areas of religion and education. Upon arriving in Incheon, they established a Presbyterian Church and launched educational projects based on church connections.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sudden change in the front line drew in a large number of refugees. Many Hwanghae-do residents fled to Incheon. Although they were poor, Incheon was a city with economic potential. They took control of Incheon s commercial areas. Many of the Hwanghae-do people participated in the war period as irregular military forces. The experience of three years of irregular warfare formed a basis for strong anti-communism. As they were discharged, they usually settled in Incheon, and their guerrilla experience was sublimated into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Hwanghae-do people.

      • KCI등재

        인천도시공사의 경영위기 극복과 뉴노멀시대의 역할

        김칭우(Ching-Woo Kim),최정철(Jeong-Chul Choi),박기찬(Kichan Park),이승우(Seung-Woo Lee)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신년 특별호

        인천도시공사는 2003년 창립 이래 도시공간 재창조로 시민의 주거안정과 행복실현을 위한 도전과 응전의 과정에서 숱한 역사의 발자취를 남겨왔다. 인천도시공사는 설립 직후 서창지구택지개발사업과 송도국제도시 및 논현동 웰카운티 아파트사업, 연희동 해드림 국민임대 아파트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으며, 조직 확장과 자기자본 확충, 공사채 발행능력 제고 등 자금조달 능력 확대를 통하여 검단신도시와 영종하늘도시 택지개발사업, 검단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본격적인 도시 공간 재창조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검단신도시와 영종하늘도시 택지개발사업 등 많은 사업들이 토지보상 이후 조성단계에서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등 대내외적으로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하여 적지 않은 시간 동안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즉 사업이 지체되거나 축소되고 사업성마저 떨어지면서 공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재정적 위기가 지속되었다. 2014년도에는 부채규모는 8조 981억 원까지 치솟으면서 인천광역시의 개발사업 전체가 정체기를 겪었다. 특히 부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영종하늘도시 개발, 검단신도시개발 등의 지연은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중앙정부로부터 경영개선명령도 받았다. 이에 대응하여 인천도시공사는 3차례의 사업구조조정과 인천광역시의 현금 및 현물 출자, 2011년말 인천관광공사와의 통폐합 추진 등을 거쳐 설립 18년 만에 인구 300만 명의 거대도시 인천의 골격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큰 성과를 일궈냈다. 한때 지방재정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기도 했으나 20조원이 넘는 사업비를 투자하면서 인천지역의 주택공급과 복지향상을 주도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를 비롯한 신도시 건설과 함께 원도심 발전이 중시되는 인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인천도시공사의 역할은 더욱 부각된다. 즉 원도심과 신도시가 함께 성장 및 상생할 수 있는 도시재생과 신규 사업 추진에 초점을 둔 ‘도시재생 · 주거복지 리더 공기업, 인천도시공사’라는 기치 하에 ‘원도심과 신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상생특별시, 인천’ 건설의 선도자이자 공공개발자(developer)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체, 환경, 자원 등 세가지 요소가 결합된 메커니즘에 의해 기업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이 결정된다”는 SER-M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03년 출범한 인천도시공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초래된 경영위기를 진보진영 시장과 보수진영 시장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원도심과 신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주체 집단의 일관된 노력과 중앙정부 및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의 협업 메커니즘 구축으로 재정의 안정성 확보와 지역발전에의 공헌이라는 사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its founding in 2003, Incheon Metropolitan City Development Corporation (IMCD) has left many traces of history in the process of challenging and responding to citizens housing stability and happiness realization by recreating urban spaces. Through the expansion of organizational expansion, capital expansion, and the ability to raise public bonds, the IMCD has begun full-fledg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the Geomdan New Town and Yeongjong Sky City Housing Development Project. However, faced with a threatening situation, such a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MCD faced difficultie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 number of projects were delayed or reduced, and business feasibility fell, causing difficulties in issuing construction bonds. In 2014, the size of IMCDs debt soared to 8.98 trillion won. IDCD was able to overcome this with three business restructurings and investments in cash and in kin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At one time, it was regarded as the main culprit of the deterioration of local finances, but by investing more than 20 trillion won in project expenses, it is leading the housing supply and welfare improvement in the Incheon area. As much as possible. To this end, the SER-M paradigm of “th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a company is determined by a mechanism in which three factors such as the subject, the environment, and resources are combined” was used to focus on a cas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MCD, which was launched in 2003, was able to deal with the management crisis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despite the changes in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markets. It was found that it was due to the cooperative efforts of the group of subjects to build a city where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the new city grow together and the cooperation mechanism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H.

      • KCI등재

        제2기(1908.10~1910.12) 인천 일본인 거류민단의 운영과 활동

        추교찬 ( Chu Kyo-ch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1908년 10월 조직된 제2기 인천일본인거류민단의 구성ㆍ운영ㆍ활동에 대한 것이다. 이 거류민단은 1905년 일본에서 제정된 거류민단법에 따라 이듬해 10월 조직된 되었다. 제1기 거류민단 임기가 종료될 무렵 발포된 민장 관선령은 재한일본인 사회를 혼란에 빠뜨렸고, 이 여파는 재인일본인 사회에도 밀어닥쳤다. 재한일본인 사회가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한 반면, 재인일본인들은 자치제 수호보다는 통감부에 협력해 이권을 획득하려는 실리를 택하였다. 이 결정은 당시 인천에서 가장 절실했던 인천항 개선 문제와 관선령 반대운동을 교환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1909년에는 인천 민장 부전경사의 자살 시도라는 사태를 불러오기에 이르렀다. 정국이 어수선한 가운데 출범한 제2기 재인거류민단에 닥친 문제는 공공성을 상징하는 인천병원 문제 해결과 인천항 개선이었다. 인천 지역의 대표적인 서양식 의료기관인 인천병원이 재정악화로 유지가 어렵게 되며 경성 일본인 의사에게 경영을 위임한 것은 인천 민단의 근본적 취약성을 드러내는 사건이었다. 또 세계적인 조수 간만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천항을 개항장으로 선정한 점은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를 노출하였고, 러일전쟁 때 건설된 월미철교는 이 상황은 더욱 악화시켰다. 재인일본인들은 관선령의 대가로 얻어낸 항만 개선 약속이 지체되자, 개항 이후 인천 최대 집회를 열며 통감부를 압박하여 그 결과 1911년 6월 축항 기공식이 실현되었다. この論文は 1908年10月に組織され, 第2期仁川日本人居留民団の構成ㆍ運営ㆍ活動に対するものである. この居留民団は1905年に日本で制定された居留民団法に応じて, 翌年10月に組織されました. 第1期居留民団の任期が終了する頃發布された民長官選令は, 在韓日本人社会を混乱に陥れたし, この余波は在仁日本人社会にも波立った. 在韓日本人社会がさまざまな方法で抵抗したのに対し, 在仁日本人は自治体守護より統監府に協力して利権を獲得する実利を選んだ. この決定は, 当時仁川で最も切実な仁川港の改善の問題と官選令反対運動を交換したものであった. これらの結果, 1909年には仁川民長富田耕司の自殺未遂という事態を読み込みに至った. 政局がだらしないうちに発足した第2期在仁居留民団に迫った問題は, 公共性を象徴する仁川病院問題の解決と仁川港の改善であった​​. 仁川地域の代表的な洋風医療機関である仁川病院が財政悪化に維持が困難にされ, 京城日本人医師に経営を委任したのは, 仁川民団の根本的な脆弱性を明らかに事件だった. また, 世界的な潮の干満の差にもかかわらず, 仁川港を開港場に選定点は, 時間が経つにつれ, 問題を公開し, 日露戦争時に建設された月尾鉄橋は, この状況はさらに悪化した. 在仁日本人は官選令の対価として得た港湾の改善の約束が遅滞されると, 仁川開港以来 最大の集会を開いて統監府を圧迫し, その結果 1911年6月築港が開始された.

      • KCI등재후보

        인천국제공항 문화예술사업의 국내·외 이용객 만족도와 경쟁요인 분석

        권병웅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cultural performanc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 acknowledg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sitors. The period for this research was from June 30th 2011 to June 29th 2012 (365 days). The contents wer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lace, time, and contexts of performances and charming point of the airport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The survey is conducted at both first floor and duty free zone, with four different languages; Kore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here are two types of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mparison analysis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places and respondents. For comparison analysis, we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a result, male respondents satisfied more than female ones toward the place, time,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Moreover, respondents from English language region satisfied more than those from the rest of reg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satisfaction rate was very high as it showed 81% from duty free zone and 81.83% from first floor. About the question of asking whether visiting the airport or not, 89.1% from duty free zone and 90.06% from first floor answered positively, which reveals the high satisfaction of visitors. Visitors pointed out the modern buildings, easiness of departure/arrival procedure, and various performances as charming points of the airport. This means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take greater part in visitor’s satisfaction than convenient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question of how much the performances influence the value an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86.7% from duty free zone and 84.51% from first floor answered they influence a lot. Regarding this result, the most positive result was from English language users, and the rest goe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in order. We can conclude that the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serve as increased value and acknowledgement of airport, increased revisiting and connecting rates, and overall satisfaction towar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shows the power of this industry in global airport. As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s rather than other facilities or servic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develop this field more so that it can be a Culture Por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국내・외 공항이용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의 수행기간은 2011년 6월 30일~2012년 6월 29일(365일) 기간이다. 조사내용은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공항의 브랜드가치 상승에 대한 문화예술사업의 기여도, 재방문의사, 공항의 매력요소 등이다. 설문지 구성은 국제공항의 이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1층과 면세구역으로 장소를 분리하였고, 설문조사는 4개의 언어권(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영어권)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만족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해서 국내·외 방문객 중 ‘여성’ 보다는 ‘남성’이 더 만족하였다. 언어권별로는 ‘영어권’에서 타 언어권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외 공항이용객의 문화행사 만족도는 면세구역이 81%, 1층구역이 81.8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문형태와 상관없이 문화행사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인천공항 재방문 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면세구역은 89.1%, 1층구역 90.06%가 적극적으로 응답하여, 인천공항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 인천공항의 매력포인트 요인으로는 ‘현대식 건물’과 ‘입출국 절차의 간소함’에 이어서 세 번째 만족요인으로 ‘즐길거리(문화공연 등)’ 순으로 문화행사를 지목하였다. 이는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 요인 보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이용객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고있음을 이미한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브랜드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면세구역 86.7%, 1층구역 84.51%가 공항의 브랜드가치와 인지도 상승에 문화행사가 크게 기여하는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 점과 관련하여 가장 높은 호응을 보인 언어권은 영어권(43.1%)이며, 이어서 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공항의 브랜드가치 제고, 재방문 및 환승율 제고, 그리고 인천공항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글로벌 공항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인천국제공항의 글로벌 공항경쟁력은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보다도 문화예술사업의 만족도로부터 크게 힘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향후 인천국제공항은 문화예술사업을 더욱 강화하여 문화공항(Culture Port)으로서의 비전을 더욱 실현해 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천의 5·3 민주항쟁과 한국의 민주화

        이준한(Junhan Le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이 논문은 인천의 5·3 민주항쟁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정치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천의 5·3 민주항쟁이란 1986년 5월 3일 인천의 주안역 앞 시민회관 사거리에서 일어난 정치적 시위를 말한다. 제3의 민주화 물결의 원인을 설명하는 프로테스트 모델(protest model)은 1986년 인천의 5·3 민주항쟁으로부터 그 다음해 이어진 한국의 6월 항쟁 및 민주주의 이행과 7·8·9월 노동자 대투쟁을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설명틀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프로테스트 모델에 입각하여 인천의 5·3 민주항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환경부터 분석하고 평가한 뒤 그것이 1987년 민주화와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추적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천의 5·3 민주항쟁과 한국의 민주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전 세계 정치학계의 민주화 이론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것을 한국의 민주화에 적용해본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민주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구하는 프로테스트 모델이라는 시각에서 인천의 5·3 민주항쟁의 흐름과 특징을 조망한다. 다음으로 이 논문에서는 인천 수준에서 5·3 민주항쟁과 6월 항쟁 및 7·8·9월 노동자 대투쟁의 흐름과 특징을 찾아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 논문은 인천의 5·3 민주항쟁의 위상을 찾게 된다.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5·3’ democratic protests and analyzes them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e ‘5·3’ democratic protests mean the political protests occurred in a street across Juan Station, Incheon, May 3rd 1986. The protest model well explains the Korean democratic transition from the ‘5·3’ democratic protests to the June democratic protest in 1987. Thus, this paper attempt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5·3’ democratic protests and their impacts on Korea’s 1987 democratization. This piece firstly reviews the previous literature relevant to the issues of democratization and consolidation in the worldwide settings. Then this study draws a picture on the processes of Korea’s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is paper ascertains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5·3’ democratic protests in Incheon 1986. Then this study traces the impacts of the ‘5·3’ democratic protests that have on the ‘June 1987’ democratic protests and ‘7·8·9 1987’ strikes at the level of Incheon. Finally, this paper attempts to ascertain the implications of ‘5·3’ democratic prot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