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인문학과 인지적 화용론의 연계성

        임지원(JiWon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인지인문학은 인지과학의 체계적이며 역동적인 학문의 틀과 인문학이 융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실천적 논의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어문학, 역사, 철학 등으로 불리던 인문학의 학문적 영역이 매우 배타적인 것에 반해, ‘인지인문학’은 이 시대 인간을 바르게 읽어내는 동시에 인간과 문화 언어 환경을 연계시켜 미래사회에 다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징적 학문체계를 구축하는 연구의 일면이라 생각한다. 필자는 인문학과 인지과학적 영역을 통섭해줄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의 일축으로써, 사회문화적 특성을 규명토록 하는 다학제 다학문적 측면의 실험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모든 환경과 인간 삶이 상호작용한다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행위 가운데 매 상황에 대한 역동적인 반응들이 단편적으로 한 시점에서 고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시점에 연결이 되어 순간순간 상황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것들이 연결되어서 이루어낸 마음이 미래 인지인문학이 밝혀내야 할 과제임을 인식하였다. 실험 기제로 광고 속 언어를 인지적 화용론에 접목시켜 올바른 의미를 도출한 뒤, 이 시대 인간, 환경, 미래, 본성 등의 문제가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인문적 사고와 연결되어 있는지 그 의미 체계의 재구성을 제언하고자 했다. Cognitive humanities is a practical discussion of a new paradigm; this is the humanities converged with the systematic, dynamic and academic frame of cognitive science. By now, the academic field of humanities so called literature, language, history and philosophy has been exclusive. On the contrary, ‘Cognitive humanities’ is considered as a part of the research that constructs symbolic academic system which enables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uture society by understanding contemporary human being in a right way and connecting humans with culture-language environments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experimental pragmatics in the multidisciplinary field will be represented; this discussion will allow the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to be clarified as the part of a new study integrating humanities with cognitive-scientific field.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meaning of all environmen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so that the dynamic responses to each situation are not isolated at all but connected at one point in time. It combined the language in advertisements with a research mechanism to derive the correct meaning by applying it to the cognitive chemical theory, and then connected it with the humanitarian thinking system based on the positions of human beings, environment, future, and nature in question.

      • KCI등재

        인간의 마음과 상호주체성:『댈러웨이 부인』에 대한 인지적 고찰

        박소영(Park, S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인문학 분야에 인지적 전환이 도입된 이래, 인간의 인지와 관련된 연구를 문학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문학비평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인지과학과 문학이 공통적으로 기반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것이다. 인간의 마음과 신체가 갖는 이러한 상관성은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혹은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체화된 마음 혹은 체화된 인지 가설은 인간은 몸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인간의 인지구조가 갖는 특징은 그것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나 출처를 통해 형성되고 소통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위의 인지적 구조가 중첩된 상호-주체성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복잡한 감정의 문제와 관련된 주제를 인지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정신 및 사고, 감정 등이 타인과의 교감 속에서 소통되는 방식은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을 구성한다. 하나의 서사 안에는 다수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상호주체성을 형상화한다. 울프는 영미 소설의 전통에서 상호주체성을 잘 구현해낸 대표적인 작가 중 하나로 손꼽힌다. 특히 자신의 글쓰기 실험을 극대화한 소설 『댈러웨이 부인』에서 이러한 인지적 구조의 특성을 구현하고 확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복잡한 상호주체성들의 네트워크를 창조해내기 위해 울프는 상호주체성의 다양한 층위를 설명할 인지구조의 양상을 창출했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cognitive shift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ttempts to apply research on human cognition to literature have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to literary criticism. If there is an element on which cognitive science and literature are based in common, it is an interest in human m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mind and the body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embodied mind or embodied cognition . The embodied mind or the embodied cognitive hypothe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beings think in the body. The characteristic of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is that it is not formed and communicated through one single path or source, but has a mutual-subject structure with overlapping cognitive structures at different levels.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the subject related to complex emotional problems is a form of intersubjectivity in which human mind, thoughts, and feelings communicate with others. In a narrative,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emerge to shape the subjectivity of each other. Virginia Wolf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writers who have realized intersubjectivity in the tradition of English and American novels. In particular, Mrs. Dalloway, which maximizes Woolf’s writing experiment, can be seen as realizing and exp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In order to create a network of complex interdependencies, Wolfe has created an aspect of the cognitive structure that explains the various layers of intersubjectivity.

      • KCI등재후보

        한반도 통일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시론적 모색 -세 가지 인문학적 접근-

        배성인 ( Bae Seong 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 접근에 대한 기존의 정치경제적/정치사회적 체제의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과 삶의 방식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과 인문학적 전망에 기반을 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통일문제에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그것이 삶의 문제, 일상의 문제, 인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부터 백낙청, 강만길, 송두율에 의해서 인문학 접근이 진행되어 왔지만, 이들의 작업은 과학적이거나 체계적이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분단체제가 우리의 몸과 신체에 내면화하는 가치-정서-생활문화의 차원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통일인문학, 평화인문학, 인지인문학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 인문학은 학제적.융합적.통섭적 연구라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첫째, 소통과 상생의 패러다임으로서 ``차이와 공통성``의 패러다임의 구축, 둘째, 분단의 트라우마와 치유, 그리고 분단의 아비투스와 이에 따른 승인과 성찰의 전략 제시, 셋째, 미래기획적인 통합의 패러다임으로서 다민족공동체의 자산을 흡수하는 통일한반도의 비전 모색을 제시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humanistic approach to unification. To this end, I reviewed the humanistic discourses for unification. However, they did not specifically analyze the dimension of value-emotion-culture the division that the korean division system internalize our body and mind-emotions-life. In this regard, this paper should be raised a paradigm shift need to be the Humanistic discourses for unification come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Peace Humanities, Cognitive Humanities as a new scientific system, Therefore, this paper has raised the following issues that the unification for humanities needed to address: ① to define a paradigm of difference and commonality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② to study the trauma of the division and healing, the habitus of division and strategies and reflection with it, ③ to seeking the vision of a unified Korea as a integrated paradigm of future and planning by absorbing the assets of multi-ethnic communities including overseas Koreans.

      • KCI등재

        인문학, 치유, 그리고 우울

        김유동(Kim, Yuh-D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본 논문의 목적은 인문 기반 치유의 정당성을 확립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우울 치유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인문 기반 치유는 인문학 공부와 인문적 활동이 삶과 지혜를 사랑할 수 있게 해주고, 경험의 진실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인문 기반 치유는 인문학의 치유 잠재력에 기대어 삶(생명)을 복원하고자 한다. 삶의 복원이란 서로 의존하면서 삶을 이루는 요소들 전체의 복원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원은 항상 새로운 모습으로 반복되어야 하며, 혼동을 품고 있으면서도 조화를 지향한다. 복원의 행위는 기본적으로 (자기) 삶을 사랑하는 행위이다. 평생에 걸쳐 이루어져야할 이러한 복원의 과정에서 자기치유자가 특히 중점을 두어 수행해야 할 과제는 삶의 비극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고난을 끝까지 견디는 용기와 인내를 잃지 않는 것, 삶의 모순들과 다채로움을 껴안는 것, 웃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는 것, 열린 마음으로 그리고 자기 자신을 지키며 타인과 관계 맺는 것, 정화된 희망을 품고 두려움 없이 삶의 모험을 떠나는 것, 정당한 분노를 정당한 방식으로 표출하는 것 등이다. 이렇듯 인문 기반 치유는 기본적으로 삶 전체의 변화를 의도하기 때문에 그것은 분리하고 대상화 하며 국부적인 증상의 완화 및 치료에 관심을 갖는 의학치료와 구분된다. 자기치유자가 자신의 우울을 더 잘 다스릴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기존의 심리치료와 인문 기반 치유가 서로 접속하는 일이 요구된다. 인문 기반 우울치유는 자신의 독자적인 위상을 세우면서 기존 우울증 치료의 원리들과 방법들을 배우고, 재해석하고, 변형시켜 나가야 한다. 또한 기존의 우울증 치료가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대화적이며 감성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기존의 우울 치료 영역에서도 인문 기반 우울치유를 위한 공간이 확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Humanites Based Healing(HBH) and to seek a way to heal the dep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 HBH ist mainl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humanities can inspire the Self Healer(=client) to love life and wisdom and to pursue the truth of the experience. It ist aiming at restoring the human being’s life with such a healing potential of the humanities. The restoration of the life, which is driven by love, is nothing else than that of whole elements of the life which are interdependent to each other an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t must always repeat itself in a new form, thus has nothing to do with a museum-like preservation. In this lifelong process of the restoration, what is especially required for the self-healing would be to accept the tragedy of the life just as it is, not to lose courage to endure the suffering, to embrace the contradictions and the colorfulness of the life,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feel the joy, and to undertake a life adventure with empty and open mind etc. Thus, the HBH is sharply contrasted to the medical treatment, which separates, objectifies, and focuses on the elimination or remission of symptoms. In order to help the Self Healer overcome his depression better, the existing psychotherapies and the HBH ne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BH for Depression can gain a lot from ideas and methods of the existing depression-therapies. On that occasion,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ose ideas and methods in the spirit of humanities are inevitable. And the fact that the existing psychotherap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dialogic and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cilor and the clien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BH could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realm of psychotherapy.

      • KCI등재

        시간의식의 현상학과 신경과학: 인문학기반 융합연구로서의 신경현상학을 중심으로

        김태희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한국융합인문학 Vol.11 No.2

        Rigorous methodology needs to be considered for productive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d evaluate an example of such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This article presents Varela’s neurophenomenological research, which front-loads Husserl’s phenomenology of time-consciousness into neuroscience research and analyzes it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Through dynamic theory, Varela’s study link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ield of presence as a structure of retention - primal impression - protention to the biological basis of brain activity. According to this study, while brain activity occurs on three temporal scales—elementary, integrative, and narrative scale, the integrative scale corresponds to the field of pres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neurophenomenology is that it provides a medium for explaining time-consciousness and bridges the explanatory gap regarding the difficult problem of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s it is difficult to explain ‘consciousness of time’ with ‘time of consciousness’ and what it provides cannot be more than the isomorphism between experience and neural processes.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are that humanities should maintain its ideas and methodology and that humanities can serve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cience.

      • KCI등재

        마종기 시에 대한 ‘체화된 인지’ 이론 기반 리터러시 방법론 탐색

        백우인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of “forehead” and “nationra” in Ma Jong Ki's poetry through three layers of embodied cognition: phenomenology, cognitive unconscious, and neural embodiment. Specifically, it presents a concrete model of cognitive humanities criticism by examining how “forehead” and “nationra” are metaphorically equated. Ma Jong Ki, a diaspora poet, perceives himself as a perpetual migrant in the nostalgia towards his homeland, viewing life as a series of wandering. To understand his poetry stemming from his multilayered experiences of time, borders, cultures, and societies, one must examine how his body and mind are configured i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Ultimately,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how reality is perceived, represented, and cognized within his poetry is necessary. Humanities intersect with cognitive science to understand human cognition, mind, behavior, and culture, forming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cognitive humanities. Embodied cognition theory, viewing the body-mind-environment as a unified entit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ever-changing human mind in interaction with the body and external environment.

      • KCI등재

        생태적 공존을 향한 ‘번역’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을 중심으로

        백우인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은 비인간-동물을 도구와 수단으로 삼는 기술과학의 발전에 대해 포스트 휴먼 사유로 이끈다. 이 연구는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에 나타난 그러한 내용을 ‘그로테스크 리얼리즘’과 ‘의인관’, ‘생물학적 진화론’ 등의 행위자로 ‘번역’하여 ‘생태적 공존의 행위자 연결망’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뤼노 라투르의 ‘번역’은 여러 가지의 행위소(행위자)를 구부리고 회유하여 동맹군을 만들어서 권력으로 등장시키고, 하나의 진리와 사실을 구성해내는 과정이자 방법이다. ANT 기반의 영화분석은 인지 인문학의 한 양식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즉, 학제 간 융합적 분석모형으로 기술과학 시대에 대두되고 있는 비인간-동물의 도구화 문제에 대해 다층적으로 숙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 비인간-동물과 인간의 존재론적 동등함을 알리며 생태적 공존을 실천하는 상상력을 제안하는 데 유용하다. The movie ‘Guardians of the Galaxy 3’ leads to a post-human reasoning abou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that utilizes non-human animals as tools and means. This research aims to construct an ‘ecological coexistence actor network’ by translating such content presented in the movie into ‘grotesque realism’, ‘anthropomorphism’, ‘biological evolution’, and other elements as actors. Bruno Latour's concept of ‘translation’ involves bending and coaxing various actors to form alliances, empowering them to appear as authorities, and constructing a single truth and fact. Movie analysis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ANT)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presenting a form of cognitive humanities. In other words, it provides an interdisciplinary analytical model that enables multi-layered contemplation of the issue of the instrumentalization of non-human animals, which is emerging in the era of technology and science. Moreover, it is useful for proposing a vision for ecological coexistence by advocating for the existential equality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humans.

      • KCI등재

        역사교육의 원리 논고

        송상헌 ( Sang Heon Sohng ) 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논집 Vol.50 No.-

        There are historical inight and historical discourse in the important content of history teaching. What to teach in history teaching is a mode of recognition like insight. Historical discourse is a narrative in the content of history teaching and a efficient material for learners to study historical epistemology The principle of history teaching is to set conditions so that learners can assimilate historian`s thinking mode and know how to make historical discourse. Because insight and intuition are not an ability teachable directly. So learners recognize historian`s insight and intuition through vicarious learning. After that they can learn a message of historical discourse and accomodate a thinking mode like insight. Teacher has to present the process of historical epistemology to the learners so that learners themselves are able to gain an insight to the history. Final purpose of teaching historical epistemology and teaching historical discourse is to have the learners be able to cultivate themselves own power of insight. History teaching is a subject for humanities. A criterion of objectivity for historical discourse is not a logical necessity but a plausibility. Therefore it needs a special teaching strategy to teaching history.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ships inspires teaching historical discourse and insight.

      • KCI등재

        개인발표 : 인지적 과업으로서 문학논술과 비평 교육의 지평

        박윤우 ( Yoon Woo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7 문학교육학 Vol.24 No.-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ritical reading derived from text accommodating process of the main subject as one, and the expression of what they understood to formalizing ``Literature Essay-writing`` as another. This subject had a purport of seeing the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as a cognitive standpoint, beyond a simple dimension that educational curriculum of integrative education requests to integrate reading and writing. With this standpoint, This article could define the meaning of literary experience and the value of insight comprised in literary sensibility. Having an object of recognizing the original meaning of criticism education, which confronted understanding with appreciation. And this argument might give a base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making a concept of ``Literature Essay-writing`` through the critical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literary texts. Accomplishing this, I layed stress on the request of the ontological and conversive awareness of ``the expressional humanities``, and shift over the notion from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o ``interpretation and critic`` to make objectivity of criticism. With regard to this argument, I will suggest several viewpoint or vision for a possibility of ``Literature Essay-writing``. First, formalizing the ``Literature Essay-writing`` must be approached in the respect of criticism education. Second, ``Literature Essay-writing`` must not be a simple method of Essay-writing with the premise of description between content and form. Third, having the meaning of formalizing ``Literature Essay-writing``, we must consider originality rather than superiority in evaluating process. Conclusively saying, poetic truth is not same as historical truth or theoretical one. ``Literature Essay-writing`` will embody its form in reflective practise of human and their life.

      • KCI등재

        융합, 통섭, 또는 융복합, 그 의미와 환원가능성

        한기호 ( Kiho Ha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본 논문은 지금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융복합 열풍의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고 그의미를 분명히 하는데 있다. 과학기술 영역과 학문적 탐구의 영역에서 동시에 시작된 이 열풍은 융복합을 시대의 화두로 만들어주었다. 그런데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만큼 융복합의 의미가 분명한 것 같지는 않다. 게다가 그것에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공정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융복합 이라는 개념에 여러 가지 다른 개념들이 침투해 있기 때문인데,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융합 (convergence)과 통섭 (統攝, consilience)이다. 융합은흔히 과학기술분야의 수렴적 활동을 대표하며, 통섭은 사회생물학자인 에드워드윌슨에게서 유래한 개념이다. 그런데 연구자들의 대체적인 견해를 보면 융합에 대해서 호의적이지만 통섭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데, 그 뿌리에는 환원주의(reductionism)를 반대하는 생각들이 자리 잡고 있다. 나는 그것이 정말 통섭을 반대하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환원주의는 여전히 유효한 설명 방식이며, 특히 통섭을 바라보는 환원주의적 관점은 좋은 설명적 틀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통섭을 이런 방식으로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로저 스페리와 장하석에 의해 제안된 역방향의 환원(reduction), 즉 인문학(humanities)의 상보적(complementary) 역할의 가능성을 주목하게 된다. Now, the wind of the convergence is blowing in the academic community. The wind has spread throughout our whole society beyond all industries without tying down the academic field. People have clamored as though big trouble happen if they are not doing convergence . However, it seems that sense of convergence is not that clear enough the way that many people say to it. In addition, I feel that the evaluation of it is not impartial; because the concept of convergence that we often used has been contaminated by many miscellaneous meanings. The core concept among them is the consilience ; the concept is derived from biologist Edward Wilson and it has its roots in reductionism. Anti-reductionist criticisms of consilience appear often in philosophical discussions. But I do not think it is justified to oppose this just because consilience rooted in reductionism. I think we should note what Jang Hasok pointing out that the reversed of the reduction, namely, complementary role of the humanitie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claiming reductionist consilience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